KR101646846B1 - 압축공기 제습장치 - Google Patents

압축공기 제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846B1
KR101646846B1 KR1020140170891A KR20140170891A KR101646846B1 KR 101646846 B1 KR101646846 B1 KR 101646846B1 KR 1020140170891 A KR1020140170891 A KR 1020140170891A KR 20140170891 A KR20140170891 A KR 20140170891A KR 101646846 B1 KR101646846 B1 KR 1016468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ase
inner case
ai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0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6471A (ko
Inventor
공부성
Original Assignee
공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부성 filed Critical 공부성
Priority to KR1020140170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846B1/ko
Publication of KR20160066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6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8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8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04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 B01D45/08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utilising inertia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5/00Gas separation
    • Y10S55/20Spark arrest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 일측에 압축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며, 하부에 수분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케이스(1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표면에 공기이동홀(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구획판(2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중간부와 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고정판(31)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와의 사이로 공기 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을 마련하는 외부케이스(3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최하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유입공기 유도관(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는 개방되고, 그 상부 외주면에는 나선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내부케이스(10)를 지지하도록 지지볼트(3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31)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용된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배수밸브(34a)가 설치된 배수관(3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압축공기 제습장치{Dehumidifier of compressedair}
본 발명은 압축공기 제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분을 제거하기 위한 압축공기 제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압축기에서 토출되는 압축공기에는 압축기의 구동에 따른 열과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등이 여러 요인에 의해 수분 또는 유분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수분은 부식의 원인이 되므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여러가지 기기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공기제어회로의 고장을 야기한다. 따라서 압축공기를 이용하는 기기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전에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통상의 압축공기 제습장치는 미세 다공질부로 이루어진 필터부재를 이용하고 있는데, 압축공기가 필터부재를 통과할 때 수분이 필터부재의 미세 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포집되도록 하는 원리를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필터부재를 사용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는 수분 제거 성능이 우수하지 못하고 유분이 필터부재에 유착될 경우 필터부재를 자주 교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허공개 제2012-0015118호가 게시되었다.
상기 특허기술은 사이클론형상의 내부공간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의 하부에 배수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측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기압축기의 수분이 포함된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는 유입유로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수분을 제거한 압축공기를 상기 공기압축기로 유출시키는 유출유로가 형성된 제1블록; 상기 케이스의 내,외부에 장착되어 상기 유입유로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마련된 제1,2방열부; 상기 케이스의 하측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응축되어 상기 배수구를 통해 배수되는 수분을 집수하는 집수부가 마련된 제2블록;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기술은 케이스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를 통해 케이스 내부로 인입된 압축공기의 방열로 미세한 수분과 유분을 걸러낼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압축공기의 계절에 따라 편차가 발생하게 되어 방열구조만으로는 압축공기의 온도에 따른 수분제거를 용이하게 하지는 못하였다.
또한, 방열을 통해 수분을 제거함에 따라 통상의 필터부재에 따른 제습방식보다는 성능이 좋으나 수분제거에 한계가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2012-0015118호(공개일: 2012.02.21, 발명의 명칭: 압축공기 제습장치)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압축공기의 온도에 따라 제습방식을 다르게 하여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후단에 수분여과부재를 설치하여 2번의 제습으로 수분제거성능을 높이도록 한 압축공기 제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압축공기 제습장치는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 일측에 압축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며, 하부에 수분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케이스(1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표면에 공기이동홀(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구획판(2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중간부와 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고정판(31)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와의 사이로 공기 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을 마련하는 외부케이스(3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최하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유입공기 유도관(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는 개방되고, 그 상부 외주면에는 나선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내부케이스(10)를 지지하도록 지지볼트(3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31)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용된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배수밸브(34a)가 설치된 배수관(3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형성된 구획공간은, 상기 수용공간(32)과 접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습공간(15)과, 그 제습공간(15)의 상부에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제습완료공간(16)과, 그 제습완료공간(16)의 상부에 제습완료된 압축공기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매개로 제습공간(15)에 연통되고, 상기 유출구(12)는 상기 제습완료공간(16)에 연통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습완료공간(16)과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의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20㎜이내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분이동공간(22)이 형성되게 설치되고, 상기 다수 개의 구획판(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이동홀(21)은 서로 일직선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지 않고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구획판에서부터 상측에 구비된 구획판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공기 유도관(4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어 각각 상단개구부(41)와 하단개구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개구부(41)는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에 위치되며, 상기 하단개구부(42)는 상기 제습공간(15)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하방으로 유도되어 하단개구부(42)를 통해 상기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케이스(30)의 하부에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5)가 설치되고, 상기 유출구(12)에는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를 한번 더 여과하도록 내부에 여과지가 설치된 수분여과부재(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효과는, 압축공기의 온도에 따라 방열방식(수냉식, 공냉식)을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수분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계절 및 기후에 관계없이 향상된 제습성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에서 유입공기 유도관에 끼워 결합되는 구획판의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구획판의 설치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냉식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분을 절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에서 유입공기 유도관에 끼워 결합되는 구획판의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케이스의 내주면에 이격되게 설치되는 구획판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냉식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공냉식 압축공기 제습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공기 제습장치는 내부케이스(1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구획판(2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부에 수용공간(32)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외부케이스(3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유입공기 유도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케이스(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일정길이의 밀폐된 관체로서, 상단부와 하단부는 압축공기의 원활한 이동은 물론 수분 발생시 수분의 원활한 흐름을 위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며, 상부 일측에는 압축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중앙에는 수분배출구(13)가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와 유출구(12)에는 유로개폐를 위해 밸브(14a)가 설치되어 있고, 압력체크를 위해 압력계(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유출구(12)에는 유출되는 공기의 제어를 위해 밸브가 필요하나, 상기 유입구(11)에는 콤프레샤에 직접 연결되어 콤프레샤의 작동에 의해 생성된 압축공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밸브가 설치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상기 수분배출구(13)에는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서 발생된 수분의 여과를 위해 내부에 여과지가 설치된 필터부재(13a)가 설치된다. 상기 필터부재(13a)는 상기 내부케이스(10)가 밀페된 상태로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필수적으로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다수 개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케이스(10)의 내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서로 이격되어져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 공간은 다수 개의 구획판에 의해 형성된 구획공간으로 나뉘어져 형성되는 것이며, 이러한 구획공간은 상기 수용공간(32)과 접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습공간(15)과, 그 제습공간(15)의 상부에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제습완료공간(16)과, 그 제습완료공간(16)의 상부에 제습완료된 압축공기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습공간(15)와 제습완료공간(16) 및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은 구획판(20)에 형성된 공기이동홀(21)을 통해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습공간(15)은 상기 유입구(11)에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매개로 연결되는 공간으로, 하나의 큰 공간으로 형성하여도 되고, 다수개의 작은 공간으로 분할되도록 형성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습공간(15)에서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용된 공기나 냉각수에 의해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압축공기의 온도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면서 그 압축공기 상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수분이 제거된 압축공기는 상기 공기이동홀(21)을 통해 제습완료공간(16)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제습완료공간(16)은 상기 유출구(12)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공간으로, 제습완료된 압축공기가 저장된 공간이다.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은 상기 제습완료공간(16)의 상측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제습완료공간에 저장된 압축공기 중 상대적으로 고온에 해당되어 상승되는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공간이다.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이동되어 저장된 압축공기는 유입구를 통한 압축공기 유입시 그 유입압력에 의해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따라 다시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되어 제습과정을 다시 거치게 된다.
상기 구획판(20)의 표면에는 공기이동홀(2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공기이동홀(21)은 각각의 구획공간이 서로 연통되어 압축공기가 이동될 수 있도록 일정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구획판에서부터 상측에 구비된 구획판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그 이유는 상기 제습공간(15) 중 최하측 공간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그 상측의 공간으로 이동이 쉽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습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고, 또한 상기 제습완료공간(16)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다수 개의 구획판(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이동홀(21)은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되어 연통되게 형성되지 않고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게 한다. 그 이유는 각각의 공기이동홀이 일직선으로 형성되면 압축공기의 이동이 원활히 이루어져 제대로 제습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어 제습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여기서, 상기 제습완료공간(16)과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의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20㎜이내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습완료공간(16)에 저장된 압축공기가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쉽게 이동되지 않게 되며,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만이 고온공기 이동공간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서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분이동공간(22)이 형성되게 설치된다. 상기 수분이동공간(22)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구획판(20)은 두지점 또는 네지점만이 내부케이스(10)에 고정된다.
상기 수분이동공간(22)을 형성한 이유는, 제습공간(15)이나 제습완료공간(16) 또는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의 내부케이스 내주면에 수분이 발생된 경우 그 수분이 내주면을 타고 하방으로 흘러 수분배출구(13)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외부케이스(30)는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는 것이고,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중간부와 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외부케이스(30)는 상기 내부케이스(10)와의 사이에 수용공간(32)을 형성하는데, 수용공간(32)의 형성을 위해 상기 내부케이스(10)의 하부에 외부케이스(30)의 내주면 중간부분이 고정판(31)으로 연결되어 진다.
상기 수용공간(32)에는 공기 또는 냉각수가 수용되어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된 압축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즉, 통상 콤프레샤는 건물 외부에 설치하고, 관을 통해 압축공기를 전달받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데, 여름철과 같이 외부공기가 실내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냉각수를 넣어넣고 압축공기를 제습공간으로 유입시켜 냉각수에 의해 온도가 하강되도록 하는 것이며, 그 과정에서 압축공기 상에 존재하는 수분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겨울철과 같이 외부공기가 실내보다 낮을 경우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아무것도 수용하지 않은 채 상온의 실내공기만이 존재하도록 하여 제습공간으로 유입된 압축공기가 상온의 실내공기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도록 하여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용공간으로의 냉각수 수용은 물론, 실내공기의 원활한 유입을 위해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를 개방되게 하여 수용공간의 상측이 개방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선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내부케이스(10)를 지지하도록 지지볼트(33)가 설치된다.
상기 지지볼트(33)는 90°간격으로 4개의 지지볼트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판(31)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용된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배수관(34)이 연결되고, 그 배수관(34)에는 유로개폐를 위해 배수밸브(34a)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외부케이스(30)의 하부에는 외부케이스의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5)가 설치된다.
즉, 상기 지지대(35)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외부케이스가 중공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그 자체의 몸체만으로 지지하게 됨에 따라 쉽게 넘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지지대(35)를 설치하여 외부케이스(30)의 지지력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상기 지지대(35)는 하면이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하여 지지력을 높이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닥면에 앙카볼트 등으로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입공기 유도관(40)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최하측 공간으로 유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입공기 유도관(4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어 각각 상단개구부(41)와 하단개구부(42)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상단개구부(41)는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에 위치되어 고온공기가 상단개구부를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하단개구부(42)는 상기 제습공간(15)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제습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에 저장된 고온의 공기는 상기 유입구(11)를 통한 압축공기 유입시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따라 하강이동되어 제습과정을 다시 거치게 되는 것이고, 이를 통해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에 저장된 공기는 계속해서 순환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내부케이스의 내부에는 유입된 압축공기의 원활한 순환이동을 위해, 상기 유입공기 유도관(40)과 마주보는 위치에 압축공기 순환관(45)이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내부케이스(10)에 수평하게 결합되어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단부 부분이 하방을 향하도록 형성하도록 하여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상방보다는 하방으로 유도되어 상기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11)의 단부를 하방으로 경사지게 하향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한 이유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가 하측방향이 아닌 상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으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고온공기 이동공간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 유입구(11)를 하향기울기를 갖도록 형성하지 않더라도, 고온공기 이동공간의 압력이 상기 제습공간이나 제습완료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에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는 하측방향으로 유도되어 제습공간으로 이동된다. 이는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은 제습완료공간과의 사이에 2개 이상의 구획판이 설치됨은 물론, 고온공기 이동공간의 공기가 제습완료공간의 공기보다 온도가 높으므로 유출구(12)를 통해 압축공기를 유출시키더라도 쉽게 제습완료공간으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습장치에는 2번의 수분제거를 위해 상기 유출구(12)에 연결되게 수분여과부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분여과부재(50)는 내부에 여과지가 설치된 공지의 필터부재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를 한번 더 여과하게 되어 수분제거성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콤프레샤의 압축공기 중에 존재하는 수분을 1차적으로 제거한 후 2차적으로 상기 수분여과부재(50)를 통과시켜 재차 수분을 제거함으로써 수분의 존재가능성을 차단하게 되는 것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습장치를 여름철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용공간(32)에 냉각수를 수용시켜 수냉식으로 제습한다.
이 산태에서, 유입구(11)를 통해 고온상태의 압축공기를 유입시키면, 압축공기는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따라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되고,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된 압축공기는 수용공간에 수용된 냉각수에 의해 온도가 하강되며 그 과정에서 수분이 발생되어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맺히게 된다.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맺힌 수분은 자중에 의해 내주면을 따라 하강된 후 수분배출구(13)에 설치된 필터부재를 통과하여 배출된다.
제습공간(15)에서 제습된 압축공기는 구획판의 공기이동홀(21)을 통해 제습완료공간(16)으로 이동되고, 제습완료공간(16)에 충진된 압축공기는 유출구(12)의 개방시 유출되고, 제습완료공간(16)에 충진된 압축공기 중 상대적으로 고온의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되어져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인입된 후 상기 유입구(11)를 통한 콤프레샤의 압축공기 유입시 그 유입압력에 의해 유입되는 압축공기와 함께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따라 하강되어 재차 제습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순환하면서 제습이 이루어지고, 제습완료된 압축공기는 유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겨울철에는 수용공간에 냉각수를 수용시키지 않은 채 빈 공간 그대로 사용하여 상온의 공기가 존재하도록 한 채로 공냉식으로 제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콤프레샤가 설치된 외부 설치위치의 온도에 따라 수냉식, 공냉식으로 제습하도록 하여 압축공기의 효과적인 제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수개의 구획판을 통해 압축공기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제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발명이다.
10: 내부케이스 11: 유입구
12: 유출구 13: 수분배출구
13a: 필터부재 14a: 밸브
14b: 압력계 15: 제습공간
16: 제습완료공간 17: 고온공기 이동공간
20: 구획판 21: 공기이동홀
22: 수분이동공간 30: 외부케이스
31: 고정판 32: 수용공간
33: 지지볼트 34: 배수관
34a: 배수밸브 35: 지지대
40: 유입공기 유도관 41: 상단개구부
42: 하단개구부 45: 압축공기 순환관
50: 수분여과부재

Claims (10)

  1. 내부가 비어있고, 상부 일측에 압축공기의 유입과 유출을 위해 각각 유입구(11)와 유출구(12)가 형성되며, 하부에 수분배출구(13)가 형성된 내부케이스(1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를 다수 개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서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표면에 공기이동홀(21)이 형성된 다수 개의 구획판(2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갖는 중공체로 형성되어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된 채 상부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중간부와 하부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마련되고, 상기 내부케이스(10)에 고정판(31)으로 연결되어 상기 내부케이스(10)와의 사이로 공기 또는 냉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32)을 마련하는 외부케이스(30);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11)와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압축공기를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최하측 공간으로 유도하는 유입공기 유도관(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케이스(30)의 상부는 개방되고, 그 상부 외주면에는 나선결합을 통해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그 내부케이스(10)를 지지하도록 지지볼트(33)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판(31)에는 상기 수용공간(32)에 수용된 냉각수의 배수를 위해 배수밸브(34a)가 설치된 배수관(34)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0)에 의해 형성된 구획공간은, 상기 수용공간(32)과 접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제습공간(15)과, 그 제습공간(15)의 상부에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제습완료공간(16)과, 그 제습완료공간(16)의 상부에 제습완료된 압축공기 중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압축공기가 이동되어 저장되는 고온공기 이동공간(17)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유입공기 유도관(40)을 매개로 제습공간(15)에 연통되고, 상기 유출구(12)는 상기 제습완료공간(16)에 연통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습완료공간(16)과 고온공기 이동공간(17)의 사이에 설치된 구획판은 적어도 2개 이상이 구비되어 서로 20㎜이내의 간격을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판(20)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주면에 이격되어 그 사이에 수분이동공간(22)이 형성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구획판(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이동홀(21)은 서로 일직선상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지 않고 지그재그 또는 불규칙적으로 연통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구획판(20)에 형성된 각각의 공기이동홀(21)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내부 하측에 구비된 구획판에서부터 상측에 구비된 구획판으로 갈수록 그 직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공기 유도관(40)은 상단과 하단이 모두 개방되어 각각 상단개구부(41)와 하단개구부(42)를 형성하고, 상기 상단개구부(41)는 상기 고온공기 이동공간(17)에 위치되며, 상기 하단개구부(42)는 상기 제습공간(15)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는 상기 내부케이스(10)의 상부에 하방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결합되어 유입구(1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내부케이스(10)의 하방으로 유도되어 하단개구부(42)를 통해 상기 제습공간(15)으로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케이스(30)의 하부에는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지지대(3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12)에는 제습이 완료된 압축공기를 한번 더 여과하도록 내부에 여과지가 설치된 수분여과부재(5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20140170891A 2014-12-02 2014-12-02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16468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91A KR101646846B1 (ko) 2014-12-02 2014-12-02 압축공기 제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0891A KR101646846B1 (ko) 2014-12-02 2014-12-02 압축공기 제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71A KR20160066471A (ko) 2016-06-10
KR101646846B1 true KR101646846B1 (ko) 2016-08-08

Family

ID=5619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0891A KR101646846B1 (ko) 2014-12-02 2014-12-02 압축공기 제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8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085B1 (ko) * 2016-10-19 2017-04-06 주식회사 정원랜드 에어 세정시스템용 압축공기 여과장치
KR102079477B1 (ko) * 2019-09-30 2020-02-19 임충환 압축 공기 제습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486A (ja) * 2004-03-30 2005-10-13 Eiichi Uratani 圧縮空気の冷却式除湿装置
JP2008013643A (ja) * 2006-07-05 2008-01-24 Kayaba System Machinery Kk 乾留ガス冷却器
JP2011020038A (ja) 2009-07-15 2011-02-03 Eiichi Uratani 多積式デミスター装置を備えた大容量圧縮空気の除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3443A (en) * 1977-11-28 1980-03-18 Orion Machinery Co., Ltd. Heat exchanger for cooling system compressed air dehumidifiers
KR101244729B1 (ko) 2010-08-11 2013-03-18 오윤탁 압축공기 제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9486A (ja) * 2004-03-30 2005-10-13 Eiichi Uratani 圧縮空気の冷却式除湿装置
JP2008013643A (ja) * 2006-07-05 2008-01-24 Kayaba System Machinery Kk 乾留ガス冷却器
JP2011020038A (ja) 2009-07-15 2011-02-03 Eiichi Uratani 多積式デミスター装置を備えた大容量圧縮空気の除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6471A (ko) 2016-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3837B1 (ko) 복합 제습식 수배전반
US9933171B2 (en) Air conditioning and heat pump system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
KR101646846B1 (ko) 압축공기 제습장치
EP3012568B1 (en) Cooling device and cooled electrical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WO2017027022A1 (en) Power plant with multiple-effect evaporative condenser
CN205102271U (zh) 一种除湿空气净化器
JP2016198757A (ja) 熱効率の高い3相セパレーター
KR101233098B1 (ko) 에어 드라이어
KR101244729B1 (ko) 압축공기 제습장치
KR102201746B1 (ko) 이코노마이저를 포함하는 응축기 및 이를 포함하는 터보 냉동기
US9845980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evaporative cooling system
CN207221646U (zh) 改进型气源净化回路
KR101118103B1 (ko) 폐열회수수를 이용한 냉동식 공기 제습 장치 및 방법
CN203678152U (zh) 一种气水分离器初级分离部结构
KR100661771B1 (ko) 오일 수거기능을 갖는 제어반용 냉각장치
JP2007160148A (ja) 圧縮空気の除湿装置
JP6236624B2 (ja) 除湿装置
CN107543343B (zh) 一种可收集杂质的双向过滤器及热泵系统
CN207614603U (zh) 封闭母线微正压气源净化设备
KR20130024621A (ko) 공기 청정기
JP6340627B2 (ja) 圧縮空気除湿装置
CN208674713U (zh) 一种变电站高压室防潮防湿系统
CN206496434U (zh) 除湿机
KR101985017B1 (ko) 응축수 유입이 방지되는 에어드라이어
JP2005279486A (ja) 圧縮空気の冷却式除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