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477B1 - 압축 공기 제습 장치 - Google Patents

압축 공기 제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477B1
KR102079477B1 KR1020190120478A KR20190120478A KR102079477B1 KR 102079477 B1 KR102079477 B1 KR 102079477B1 KR 1020190120478 A KR1020190120478 A KR 1020190120478A KR 20190120478 A KR20190120478 A KR 20190120478A KR 102079477 B1 KR102079477 B1 KR 10207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hamber
water
particle separato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0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충환
Original Assignee
임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환 filed Critical 임충환
Priority to KR10201901204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4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pressor (AREA)
  • Drying Of Gas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압축 공기 제습 장치가 개시된다. 압축 공기 제습 장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수분 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압축 공기에 함유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미세 입자 제거부;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입자 제거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압축 공기를 멤브레인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켜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하는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압축 공기 제습 장치{Apparatus for drying compressed air}
본 발명은 압축 공기 제습 장치에 관련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철도 차량이나 차량에 장착 가능한 압축 공기 제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철도 차량이나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브레이크 작동이나 전차선 접촉 전원 공급장치(Pantograph, 전동차에 한함)의 작동, 문의 개폐용으로 압축 공기가 사용된다. 기존에는 압축기에서 토출된 압축 공기를 실리카 겔 등의 흡습제가 충전된 흡습제 충전조에 통과시켜 제습하였다.
그러나 흡습제를 이용한 제습 방법은 흡습제 충전조가 대형이기 때문에 흡습제 충전제의 설치를 위해 설치 공간을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별도로 확보해야 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또한, 흡습제의 교환 작업도 주기적으로 요구되었다.
본 발명은 작은 크기로 압축 공기를 제습할 수 있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입자 및 미세 입자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겨울철 결빙이 예방될 수 있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는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수분 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압축 공기에 함유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미세 입자 제거부;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입자 제거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압축 공기를 멤브레인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켜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하는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물 입자 분리기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 입자가 1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는 선회류 생성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류가 생성된 압축 공기로부터 분리된 물 입자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 및 상기 제1하우징의 내에서 상기 회수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슬릿 홀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 홀들을 통해 내외부가 연통되며, 개방된 상면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중공관을 포함하되, 상기 선회류 생성부는 링 형상의 지지 판; 및 상기 지지 판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 판의 둘레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지지 판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회류 형상 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물 입자 분리기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 입자가 2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하단에 제공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압축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멤브레인들을 통과한 압축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멤브레인들의 사이 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물 입자 분리기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 또는 상기 제2 물 입자 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는 상기 챔버 내로 공급되고 상기 챔버 내부는 상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의 일 측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개폐 부재에 의해 개폐되되,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기구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류 생성과 멤브레인을 통한 물 입자 제거로, 압축 공기 제습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회류 생성과 멤브레인을 통해 2회에 걸쳐 물 입자를 제거하고, 미세 입자 제거부와 필터를 통해 2회에 걸쳐 미세 입자를 제거하므로, 제습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챔버 내부가 20~50℃의 온도 범위를 갖는 압축 가스에 의해 일정 압력으로 충전되므로, 겨울철 결빙이 예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와 도 3은 도 1의 압축 공기 제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개폐 부재가 배기구를 개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입자 제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은 도 8의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A)와 측단면도(B)이다.
도 10은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도 1의 압축 공기 제습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는 압축 공기(11)로부터 물 입자를 제거하여 건조된 압축 공기를 공급한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의 전단에는 공기를 압축하기 위한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압축기와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의 사이에는 압축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는 온도 조절부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의 후단에는 건조된 압축 공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탱크가 제공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저장 탱크에 저장된 압축 공기는 철도 차량이나 자동차 등의 차량에 있어서 브레이크의 작동이나 도어 개폐용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는 하나의 모듈로 제공가능하며, 압축기와 저장 탱크 사이에 장착 가능하다. 또한,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를 교체함으로써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는 챔버(100), 제1 물 입자 분리기(200), 미세 입자 제거부(300), 그리고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를 포함한다.
챔버(10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챔버(100)의 내부 공간에는 제1물 입자 분리기(200), 미세 입자 제거부(300), 그리고 제2 물 입자 분리기(400)가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압축 공기는 제1물 입자 분리기(200)에 공급되며, 제1물 입자 분리기(200), 미세 입자 제거부(300), 그리고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건조된다. 챔버(100)의 일 측벽에는 압축 공기가 공급되는 공급 튜브(110)가 삽입되고, 타 측벽에는 건조된 압축 공기가 배기되는 배기 튜브(120)가 삽입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공급 튜브(110)와 배기 튜브(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분기 튜브(130, 140)가 형성된다. 공급 튜브(110)에 형성되는 분기 튜브(130)는 제1물 입자 분리기(20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를 챔버(100) 내부에 공급한다. 배기 튜브(120)에 형성된 분기 튜브(140)는 제2물 입자 분리기(400)에서 배기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를 챔버(100) 내부에 공급한다. 챔버(100) 내부에 공급된 압축 공기로 인해 챔버(100) 내부는 외부 압력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될 수 있다.
챔버(100)의 또 다른 측벽에는 배기구(130)가 형성된다. 배기구(130)는 개폐 부재(140)에 의해 개폐된다.
일 실시 예에 의하면, 개폐 부재(140)는 고무 패킹일 수 있다. 고무 패킹(140)은 일 측이 챔버(100)의 측벽에 고정되고, 타 측이 챔버(100)의 측벽에 밀착될 수 있다. 챔버(10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지면, 도 4와 같이 고무 패킹(140)은 타단이 내부 압력에 의해 밀려 배기구(130)를 개방할 수 있다. 배기구(130)의 개방 시 챔버(100) 내부의 압축 공기가 외부로 유출되어, 챔버(100) 내외부의 압력이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챔버(100)의 내외부 압력이 같아지면 고무 패킹(140)은 다시 배기구(130)를 차단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개폐 부재(140)는 밸브가 사용될 수 있다. 밸브(140)는 챔버(100)의 내부 압력 크기에 따라 개폐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물 입자 분리기(200)는 공급 튜브(110)를 통해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1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1물 입자 분리기(200)는 제1하우징(210), 선회류 생성부(220), 회수 용기(230), 그리고 중공관(240)을 포함한다.
제1하우징(210)은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211)와 물 입자가 1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212)를 갖는다. 유입구(211)와 배출구(212)는 제1하우징(21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선회류 생성부(220)는 제1하우징(210)의 내부에 위치하며, 유입구(211)에서 유입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선회류 생성부(220)는 지지 판(221)과 선회류 형성 핀(222)들을 포함한다.
지지 판(221)은 소정 두께를 갖는 링 형상의 판으로, 제1하우징(210) 내에서 유입구(211)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선회류 형성 핀(222)들은 지지 판(221)의 상면에 제공된다. 선회류 형성 핀(222)들은 지지 판(221)의 둘레를 따라 이격하여 배치된다. 선회류 형성 핀(222)들은 지지 판(221)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지게 배치된다.
유입구(211)에서 유입된 압축 공기는 선회류 생성 핀(222)들 사이를 따라 흐르면서 선회류를 형성한다. 선회류는 선회류 생성 핀(222)들의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회수 용기(230)는 제1하우징(210)의 바닥에 위치하며, 압축 공기의 선회류로부터 이탈하여 제1하우징(210)의 내측벽을 따라 흘러내린 물 입자(30)를 회수한다. 회수 용기(230)는 배출 라인(231)과 연결되며, 회수 용기(230)에 회수된 물은 배출 라인(2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중공관(240)은 제1하우징(210)의 내부 중심 영역에 위치하며, 제1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다. 중공관(240)은 상하부가 개방되며, 내측에 유로가 형성된다. 중공관(240)의 상부는 배출구(212)와 연통된다. 중공관(240)의 외주면에는 슬릿 홀(241)이 형성된다. 슬릿 홀(241)은 중공관(240)의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 형성된다. 슬릿 홀(241)들은 그 길이 방향이 중공관(24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하우징(210) 내에 형성된 압축 공기의 선회류는 슬릿 홀(241)들을 통해 중공관(240)의 내부로 유입되고, 중공관(240)의 상부를 통해 배출구(212) 측으로 유입된다. 압축 공기는 선회류 과정에서 물 입자(30)가 1차 제거된 상태로 배출구(212) 측으로 유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1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물 입자 분리기는 히터 자켓(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히터 자켓(270)은 제1하우징(210)의 외부에서 회수 용기(230)를 감싸도록 제공된다. 히터 자켓(270)은 겨울철 회수 용기(230)에 회수된 물이 외기에 의해 동결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입자 제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미세 입자 제거부(300)는 필터 하우징(310)과 필터(320)를 포함한다. 필터 하우징(310)에는 제1 물 입자 분리기(200)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311)와 필터(320)를 통과한 압축 공기가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로 공급되는 배출구(312)가 제공된다.
필터(320)는 필터 하우징(310) 내에 위치하며, 유입구(311)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를 통과 시켜 압축 공기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여과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멤브레인을 나타내는 평단면도(A)와 측단면도(B)이고, 도 10은 도 8의 A 영역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는 미세 입자 제거부(300)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며, 압축 공기에 포함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한다.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는 제2하우징(410), 중공관(420), 필터(430), 그리고 멤브레인(440)을 포함한다.
제2하우징(410)은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411)와 물 입자가 2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412)를 갖는다. 유입구(411)와 배출구(412)는 제2하우징(410)의 상단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중공관(420)은 제2하우징(410)의 내부 중심 영역에 위치하며, 내부 유로가 유입구(411)와 연결된다. 압축 공기는 중공관(420)의 내부 유로를 따라 아래로 흐른다.
필터(430)는 중공관(420)의 하단에 제공된다. 필터(430)는 중공관(420)의 내부 유로를 따라 공급된 압축 공기를 통과시켜 미세 먼지를 걸러낸다.
멤브레인(440)은 중공관(420)의 주변에 복수 개 제공된다. 멤브레인(440)은 중공관(420)의 길이 방향으로 제공되며, 다발로 제공되어 중공관(420)의 주변을 에워싸도록 배치된다. 멤브레인(440)의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멤브레인 지지판(450)이 제공되어 멤브레인(440)을 지지한다. 멤브레인(440)의 내측에는 유로(441)가 형성된다. 필터(430)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멤브레인(440)들 각각의 내부 유로(441)로 유입되며, 내부 유로(441)를 따라 이동한다. 압축 공기가 내부 유로(441)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압축 공기에 포함된 물 입자(30)는 멤브레인(441)의 측벽을 투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의해 멤브레인(440)의 내부를 통과한 압축 공기는 물 입자가 2차 제거된 건조 상태이며, 배출구(412)로 유입된다. 압축 공기 중 일부는 중공관(420)의 상단에 형성된 회수 유로(421)를 통해 멤브레인(440)들 사이 공간으로 공급된다. 회수 유로(421)는 유입구(421a)가 멤브레인 지지판(4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유출구(421b)가 멤브레인 지지판(450)의 하부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멤브레인(440)에서 배출된 압축 공기 중 일부는 회수 유로(421)의 유입구(421a)로 유입되며, 유출구(421b)를 통해 멤브레인(440)들 사이에 공급될 수 있다. 압축 공기는 멤브레인(440)들 사이 공간을 따라 아래 방향으로 흐른다. 압축 공기는 멤브레인(440)의 외측면을 건조하여, 멤브레인(440)의 내부 유로(441)로부터 외측으로 물 입자의 투과를 촉진한다. 압축 공기는 제2하우징(410)의 하부 영역에 형성된 배기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축 공기 제습 장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200)와 제2 물 입자 분리기(400)를 통해 압축 공기로부터 물 입자를 두 차례에 걸쳐 제거하고, 미세 입자 제거부(300)와 필터(430)를 통해 두 차례에 걸쳐 미세 입자를 제거한다. 이러한 과정은 압축 공기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키고, 압축 공기 속의 미세 입자들이 멤브레인(440)의 미세 구멍들을 막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멤브레인(440)의 물 입자 투과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에 공급되는 압축 공기의 온도를 항상 20~50℃로 일정하게 유지시키며, 압축 공기 중 일부를 분기 튜브(130, 14)을 통해 챔버(100) 내부에 공급한다. 때문에 챔버(100) 내부는 항상 0℃ 보다 높은 온도를 유지되므로, 회수 용기(210)에 저장된 물, 그리고 멤브레인(440)을 투과한 물 입자가 겨울철 주변 온도에 의해 결빙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따라서 압축 공기 제습 장치(10)의 결빙 방지를 위해 별도의 히터가 요구되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 압축 공기 제습 장치
100: 챔버
200: 제1 물 입자 분리기
210: 제1하우징
220: 선회류 생성부
230: 회수 용기
240: 중공관
300: 미세 입자 제거부
400: 제2 물 입자 분리기
410: 제2하우징
420: 중공관
430: 필터
440: 멤브레인

Claims (4)

  1. 삭제
  2.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물 입자 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압축 공기에 함유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미세 입자 제거부;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입자 제거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압축 공기를 멤브레인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켜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하는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 입자 분리기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 입자가 1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에 위치하며, 상기 유입구로 유입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는 선회류 생성부;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 바닥에 위치하며, 상기 선회류가 생성된 압축 공기로부터 분리된 물 입자를 회수하는 회수 용기; 및
    상기 제1하우징의 내에서 상기 회수 용기의 상부에 위치하며, 외주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의 슬릿 홀들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슬릿 홀들을 통해 내외부가 연통되며, 개방된 상면이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는 중공관을 포함하되,
    상기 선회류 생성부는
    링 형상의 지지 판; 및
    상기 지지 판의 상면에서 상기 지지 판의 둘레를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며, 상기 지지 판의 상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선회류 형상 핀들을 포함하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
  3.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물 입자 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압축 공기에 함유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미세 입자 제거부;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입자 제거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압축 공기를 멤브레인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켜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하는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물 입자 분리기는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물 입자가 2차 제거된 압축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갖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며, 상기 유입구로부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중공관;
    상기 중공관의 하단에 제공되는 필터를 포함하되,
    상기 멤브레인은 상기 중공관의 외측에 복수 개 제공되며, 상기 필터를 통과한 압축 공기가 통과하는 유로가 내측에 형성되며,
    상기 멤브레인들을 통과한 압축 공기 중 일부는 상기 멤브레인들의 사이 공간으로 공급되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
  4. 챔버;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챔버의 외부에서 공급된 압축 공기의 흐름에 선회류를 생성하여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1차 제거하는 제1 물 입자 분리기;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물 입자 분리기로부터 공급된 압축 공기를 필터에 통과시켜 압축 공기에 함유된 미세 입자를 제거하는 미세 입자 제거부; 및
    상기 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 입자 제거부로부터 압축 공기가 공급되고, 상기 압축 공기를 멤브레인의 내부 유로로 통과시켜 상기 압축 공기에 함유된 물 입자를 2차 제거하는 제2 물 입자 분리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물 입자 분리기로 유입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 또는 상기 제2 물 입자 분리기에서 배출되는 압축 공기의 일부는 상기 챔버 내로 공급되고 상기 챔버 내부는 상압보다 높은 압력으로 유지되며,
    상기 챔버의 일 측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구는 개폐 부재에 의해 개폐되되,
    상기 챔버의 내부 압력이 기 설정된 압력보다 높아질 경우 상기 개폐 부재가 상기 배기구를 개방하는 압축 공기 제습 장치.
KR1020190120478A 2019-09-30 2019-09-30 압축 공기 제습 장치 KR102079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78A KR102079477B1 (ko) 2019-09-30 2019-09-30 압축 공기 제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0478A KR102079477B1 (ko) 2019-09-30 2019-09-30 압축 공기 제습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477B1 true KR102079477B1 (ko) 2020-02-19

Family

ID=6967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0478A KR102079477B1 (ko) 2019-09-30 2019-09-30 압축 공기 제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4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2B1 (ko) * 2014-05-12 2014-11-27 이상필 압축공기용 정화장치
KR20160066471A (ko) * 2014-12-02 2016-06-10 공부성 압축공기 제습장치
KR20190100587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제논아이엔티 압축공기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필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5022B1 (ko) * 2014-05-12 2014-11-27 이상필 압축공기용 정화장치
KR20160066471A (ko) * 2014-12-02 2016-06-10 공부성 압축공기 제습장치
KR20190100587A (ko) * 2018-02-21 2019-08-29 주식회사 제논아이엔티 압축공기 필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압축공기 필터링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5227045B2 (en) Dual cartridge air dryer with oil separator and readily changeable valves
US7892329B2 (en) Air dryer cartridge
JP5031816B2 (ja) 圧縮ガスを乾燥する装置とそれに使用する方法
US10099164B2 (en) Oil separator
JP6373757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JP3231718B2 (ja) 圧縮空気清浄/乾燥装置用のシャトル弁機構
US20160001758A1 (en) Oil separator
CA2616842C (en) Air dryer system
CN109715268B (zh) 干燥装置及空气悬架系统
JP5298922B2 (ja) 車両のエアサスペンション用ドライヤ
KR20100110645A (ko) 압축공기 오일제거장치의 열을 열원으로 하는 에어드라이어시스템
KR20150021496A (ko) 멤브레인을 포함하는 재생 공기 스위칭 장치를 구비한 공기 건조기
KR102079477B1 (ko) 압축 공기 제습 장치
US10130910B2 (en) Compressed air drying device
CN103143241B (zh) 空气干燥器及方法
WO2022131425A1 (ko) 공기 건조기 카트리지
CN113663467A (zh) 用于从待处理气体混合物中吸附气体的装置和方法
KR101724325B1 (ko) 공기 건조기
JPH0822365B2 (ja) 除湿装置
JP6144154B2 (ja) 圧縮空気乾燥装置
CN113797722A (zh) 压缩空气干燥装置、系统及其方法
US10343108B2 (en) Air drier
JP6138517B2 (ja) オイルセパレータ
GB2103954A (en) An air drying arrangement
US6148535A (en) Gas dr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