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576B1 -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 Google Patents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576B1
KR101646576B1 KR1020150046404A KR20150046404A KR101646576B1 KR 101646576 B1 KR101646576 B1 KR 101646576B1 KR 1020150046404 A KR1020150046404 A KR 1020150046404A KR 20150046404 A KR20150046404 A KR 20150046404A KR 101646576 B1 KR101646576 B1 KR 101646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heat insulating
insulating material
mold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경
Original Assignee
김윤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경 filed Critical 김윤경
Priority to KR102015004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5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2Shape or form of insulating materials, with or without coverings integral with the insulating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에 관한 것으로서, 단열성이 우수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상기 금형의 구획벽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금형의 성형홈 내면에 필름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의 일부분들이 상기 구획벽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성형홈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과 발포성 수지를 탈형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INSULATING MATERIALS AND THE PRODUCTS THEREOF}
본 발명은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바닥, 벽면, 천정 등에는 실내외의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해 단열재가 시공되며, 판상의 발포 스티렌 수지, 즉 스티로폼(styrofoam)이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단열재는 판상의 단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단열의 효율성이 저하되고, 불에 약하여 화재의 위험성이 높았으며, 강도가 약한 등 단점이 있지만, 재질이 가볍고 비용이 저렴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형성한 단열재보다 표면의 강도가 단단하고 모양이 미려한 발포단열재가 사용되기도 한다. 즉 인테리어용으로 건축물의 벽체 등에 그대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발포단열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발포단열재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단열 효과를 가지는 발포층과,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어 발포층의 일면에 부착되는 필름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필름층은 외부의 습기가 발포층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거나 이물질로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마치 발포단열재의 표면을 코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발포단열재는 발포층과 필름층을 적층한 상태에서 금형을 사용하여 제작한다.
예를 들어, 표면이 불규칙한 패턴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벽돌모양으로 된 금형을 설계하고, 이렇게 설계된 금형을 발포층과 필름층이 차례로 적층된 상부에서 하부로 눌러 제작하므로서, 제조가 완료된 단열재의 일면이 다수개의 벽돌을 쌓아 올린 형상이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발포단열재는 스티로폼 등의 재질로 형성한 단열재보다 제품의 강도가 높아 건축물의 벽체 등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벽돌을 쌓아 올릴 경우 벽돌의 사이에 시멘트 또는 몰타르를 발라 벽돌들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는 것인 바, 종래의 발포단열재의 경우 벽돌 형상의 색상과 벽돌 사이에 형성되는 홈의 색상이 동일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이 단열재를 보았을 경우 실제 벽돌을 쌓아 올린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금방 알게 되어 인테리어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단열재의 홈에 시멘트 색상 또는 몰타르 색상을 칠하기도 하였으나 이와 같은 경우, 작업속도가 매우 느리고 단열재의 개당 제작에 소요되는 인건비의 비중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50887호(2004.05.07)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열성이 우수하고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의 구획벽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금형의 성형홈 내면에 필름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의 일부분들이 상기 구획벽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성형홈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과 발포성 수지를 탈형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4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금형의 구획벽 상면에 교체필름을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교체필름의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2단계, 상기 금형의 성형홈 내면에 필름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의 일부분들이 상기 교체필름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성형홈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4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과 발포성 수지를 탈형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 사이에는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에 마감부를 부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는, 단열재의 일면에 벽돌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단열부들이 형성되어 단열성이 우수하고, 단열부들 사이의 홈에는 시멘트 또는 몰타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염색됨에 따라, 실제로 다수개의 벽돌을 지그재그 형태로 쌓아 올린 것 처럼 보이게 되어 단열재 이외에 단열재 보강을 위한 판재나 벽지 등의 건축자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가 벽면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단열재(10)를 제조하되, 상기 단열재(10) 중 시야에 노출되는 전면이 실제로 다수개의 벽돌을 쌓아 올린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면서 벽돌의 사이에 시멘트 또는 몰타르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므로서, 보다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재(10)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먼저, 금형(40)의 구획벽(42) 상면에 색상을 도포한다.(제1단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40)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10)가 벽돌을 쌓아 올린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크기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면에는 다수개의 구획벽(42)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4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성형홈(41)의 크기 및 형상은 벽돌과 동일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성형홈(41)은 제조가 완료된 단열재(10)의 전면에 벽돌 형상의 단열부(11)가 형성되도록 한 것이고, 상기 구획벽(42)은 상기 벽돌을 쌓아 올렸을 경우 일반적으로 벽돌의 사이에 시멘트 또는 몰타르를 바른 것과 같은 홈(12) 이미지가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구획벽(42)의 상면에 도포되는 색상(80)은 시멘트 또는 몰타르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흡수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된 롤러(70)의 외면에 상기 색상을 흡수시킨 다음 상기 구획벽(42)의 상면을 따라 구름이동 시키므로서 구획벽(42)의 상면에 상기 색상(80)이 도포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금형(40)의 성형홈(41) 바닥면과 각각의 벽면에 필름(111)을 고정시킨다.(제2단계)
상기 필름(111)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외부의 습기가 후술되는 단열층에 침투하지 못하도록 하고, 이물질에 의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상기 필름(111)은 단열층의 표면을 코팅한 것과 같은 효과를 제공하여 기본적인 단열기능 이외에 강도 강화, 완충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필름(111)은 에어 콤프레셔 등과 같은 공지의 공기 흡입장치(50)를 통해 상기 성형홈(41)에 밀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형(40)에는 상기 성형홈(41)과 연결되는 다수개의 흡입홀(43)이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각의 흡입홀(43)에는 에어 콤프레셔 등과 같은 공지의 공기 흡입장치(5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 흡입장치(50)는 상기 흡입홀(43)에 관통설치되며 일단이 상기 필름(111)과 마주하는 흡입관(51)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상기 필름(111)이 성형홈(41)의 각 측벽과 바닥면에 접촉되면서 일부분들이 상기 구획벽(42)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한 다음 상기 공기 흡입장치(50)를 작동시켜 단열재(10)를 제조하는 동안 상기 필름(111)이 성형홈(41)의 내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111) 중 구획벽(42)의 상면에 안착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멘트 또는 몰타르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염색되며, 상기 염색된 부분은 상기 홈(12) 이미지를 연출한다.
부가적으로, 상기 필름(111)은 단열재(10)를 실내 벽면에 설치하였을 경우 시야에 노출되는 부분으로, 상기 성형홈(41)의 바닥면에는 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형상 또는 불규칙적인 패턴을 갖는 돌기 및 홈이 형성되도록 하면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가 접촉되는 면, 즉 단열재(10)를 실내 벽면에 설치하였을 경우 시야에 노출되는 단열부(11)의 전면이 벽돌의 표면처럼 거칠기를 갖게 되어 보다 현실적인 벽돌 형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금형(40)의 성형홈(41) 내부에 발포성 수지(112)를 충진한다.(제3단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름(111)이 상기 성형홈(41)의 바닥면과 각각의 벽면에 고정됨으로 인해 상기 필름(111)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발포성 수지(112)는 상기 필름(111)의 빈 공간에 충진되어,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는 일체화 된다.
상기 발포성 수지(112)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실내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외부로의 열손실이나 열의 유입을 최소화 시킨다.
이후,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의 일면에 마감부(20)를 부착시킨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0)의 일면이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와 접촉되도록 배치한 다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융착기 등의 부착장치(60)를 통해 상기 마감부(20)를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에 부착시키므로서,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 및 마감부(20)가 일체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감부(20)는 단열성, 방수성 및 흡음성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10)의 단열기능과 방수기능 및 흡음기능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20) 중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와 부착되지 않는 타면이 실내 벽면에 설치된다.
이후에, 상기 금형(40)에서 상기 일체화 된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를 탈형하여 단열재(10)를 형성한다.(제4단계)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단열재(10)를 제조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열재(10)의 전면에는 벽돌 형상의 단열부(11)들이 필름(111)의 전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단열부(11) 사이의 홈(12)에는 시멘트 또는 몰타르 색상과 동일한 색상이 염색됨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10)를 벽면에 설치하였을 경우 실제로 다수개의 벽돌을 지그재그 형태로 쌓아 올린 것 처럼 보이게 되어 단열재(10) 이외에 단열재(10) 보강을 위한 판재나 벽지 등의 건축자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면서 단열,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상기 금형(40)의 구획벽(42) 상면에 교체필름(30)을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교체필름(30)의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2단계, 상기 금형(40)의 성형홈(41) 내면에 필름(111)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111)의 일부분들이 상기 교체필름(30)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성형홈(41)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112)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4단계, 상기 금형(40)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111)과 발포성 수지(112)를 탈형하여 단열재(10)를 형성하는 제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단열재 제조방법은 전술한 방법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금형(40)의 구획벽(42) 상면에 교체필름(30)을 부착한 다음 교체필름(30)의 상면에 시멘트 또는 몰타르와 동일한 색상을 도포하므로서, 필름(111) 중 단열재(10)의 홈(12)을 형성하는 부분에 상기 교체필름(30)에 도포된 색상이 염색되도록 한 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때, 상기 교체필름(30)은 일면에 접착성분이 도포되어 있어, 상기 구획벽(42)에 상면에 용이하게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교체필름(30)은 상기 구획벽(42)에 색상이 도포되지 않도록 하므로서 구획벽(42)의 오염을 방지하며, 일회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단열재(10)의 홈(12)에 염색하고자 하는 색상의 종류와 명도 등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단열재 11 : 단열부
111 : 필름 112 : 발포성 수지
12 : 홈 20 : 마감부
30 : 교체필름 40 : 금형
41 : 성형홈 42 : 구획벽
43 : 흡입홀 50 : 공기 흡입장치
51 : 흡입관 60 : 부착장치
70 : 롤러 80 : 색상

Claims (4)

  1.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금형의 구획벽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1단계,
    상기 금형의 성형홈 내면에 필름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의 일부분들이 상기 구획벽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2단계,
    상기 성형홈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과 발포성 수지를 탈형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4단계
    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조방법.
  2. 구획벽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개의 성형홈이 형성된 금형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방법에서,
    상기 금형의 구획벽 상면에 교체필름을 부착하는 제1단계,
    상기 교체필름의 상면에 색상을 도포하는 제2단계,
    상기 금형의 성형홈 내면에 필름을 고정시키되, 상기 필름의 일부분들이 상기 교체필름의 상면에 안착되도록 하여 상기 색상이 염색되도록 하는 제3단계,
    상기 성형홈의 내부에 발포성 수지를 충진하여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가 일체화 되도록 하는 제4단계,
    상기 금형에서 상기 일체화된 필름과 발포성 수지를 탈형하여 단열재를 형성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단열재 제조방법.
  3. 제1항에서,
    상기 제3단계와 제4단계의 사이에는 상기 필름과 발포성 수지에 마감부를 부착시키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단열재 제조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KR1020150046404A 2015-04-01 2015-04-01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KR101646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404A KR101646576B1 (ko) 2015-04-01 2015-04-01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404A KR101646576B1 (ko) 2015-04-01 2015-04-01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576B1 true KR101646576B1 (ko) 2016-08-05

Family

ID=567114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404A KR101646576B1 (ko) 2015-04-01 2015-04-01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57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87Y1 (ko) 2004-02-28 2004-05-20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박지가 부착된 건축용 발포성 단열재
JP2006224617A (ja) * 2005-02-21 2006-08-31 Sanei Kogyo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1529A (ko) * 2010-01-08 2011-07-14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건축용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0887Y1 (ko) 2004-02-28 2004-05-20 삼우중공업 주식회사 알루미늄 보강박지가 부착된 건축용 발포성 단열재
JP2006224617A (ja) * 2005-02-21 2006-08-31 Sanei Kogyo Kk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81529A (ko) * 2010-01-08 2011-07-14 유한회사 신한코리아 건축용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18392B2 (en) Decorative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8578669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making a building block for mortar-free construction
CA2997269A1 (en) Exterior polymer-based brick building material
KR101646576B1 (ko) 단열재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단열재
NL1028355C2 (nl) Constructie-element en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daarvan.
KR20160125930A (ko) 단열과 방습 특성을 가진 발포 초배지
JP2010525972A (ja) 硬質フォーム成形部材を両面被覆する方法
FI127493B (fi) Eristelaatta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KR20170142250A (ko) 콘크리트벽체와 복합단열 마감재를 일체형으로 시공하는 벽체 시공 방법
CN104179291B (zh) 一种生产建筑墙体的工艺方法及建筑墙体
KR20160012794A (ko) 마감재 일체형 벽체 및 그 시공 방법
KR20130096170A (ko) 한옥용 벽체 및 한옥 벽체의 시공 방법
EP3009056B1 (en) Method for producing a lightweight textured shower tray
KR101893941B1 (ko) 건축용 패널
KR20100025799A (ko) 저비중 마그네슘 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마감재
JP2007138443A (ja) 壁用板状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0136778Y1 (ko) 알루미늄 형재에 불소 수지가 코팅된 타일
KR101656026B1 (ko) 건축물의 내외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375577B1 (ko) 산업, 건축용 미끄럼방지 인테리어 바닥재와 그 제조방법
GB2518154A (en) A Stay-in-place concrete forming system
KR102438848B1 (ko) 건축용 단열판넬
KR101458667B1 (ko)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수지를 이용한 하니콤보드
CN211341541U (zh) 一种聚氨酯pu发泡仿石装饰板结构
KR101029200B1 (ko) 건축용 외장 판넬 및 그 시공방법
KR0136779Y1 (ko) 불소수지 코팅 타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