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913B1 -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 Google Patents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913B1
KR101645913B1 KR1020160000251A KR20160000251A KR101645913B1 KR 101645913 B1 KR101645913 B1 KR 101645913B1 KR 1020160000251 A KR1020160000251 A KR 1020160000251A KR 20160000251 A KR20160000251 A KR 20160000251A KR 101645913 B1 KR101645913 B1 KR 1016459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code
message
terminal
unit
conf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필
Original Assignee
김선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필 filed Critical 김선필
Priority to KR1020160000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9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9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9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4Real-time or near real-time messaging, e.g. instant messaging [IM]
    • H04L51/046Interoperability with other network applications or services
    • H04L67/16
    • H04L67/2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 메세지 작성 및 전달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작성되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를 가리키는 식별 코드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고백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백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성한 메세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메세지 관리부와,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고백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코드의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한 구매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매내역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 메세지 및 구매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와 구매 내역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System for transferring a message using application}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고백 메세지, 기프티콘 등의 멀티미디어를 전달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해당 애플리케이션으로의 사용자 유입을 장려할 수 있으며,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해당 멀티미디어를 확인 및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온오프라인을 결합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한 것이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는 온라인 상에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개인간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나타낸다.
이러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서는, 단말간 모바일 메세지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 메세지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카카오톡, 라인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의 폰북 리스트를 이용하는 모바일 메세지 서비스가 대표적인 예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메세지 서비스는 대부분 모바일 메세지의 송수신 차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만 사회적 관계를 이용하는데 그치며, 송신자는 친구 관계인 수신자의 단말에만 모바일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고, 친구 관계가 아닌 수신자의 단말에 모바일 메세지지를 전송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또한, 기존의 소녈 네트워크 서비스는 해당 애플리케이션만을 이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메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스마트폰에 설치하고, 회원가입을 하여야만 하는 과정들이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만 했다.
본 발명은 메세지 송신자가 작성한 메세지를 식별 코드로서 부여하고, 해당 식별 코드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다운로드 링크만이 아니라 해당 메세지도 선택에 따라 포함되도록 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세지 뿐만 아니라 상품으로의 교환 내지는 결제수단이 될 수 있는 키프티콘 등을 메세지와 함께 전달하거나, 메세지와 별도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의 온라인상에서만 제공되는 메세지 전달을 오프라인으로 확대가능하고, 오프라인에서의 사용을 온라인으로 유도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은,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 메세지 작성 및 전달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작성되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를 가리키는 식별 코드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고백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백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성한 메세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메세지 관리부와,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고백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코드의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한 구매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매내역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 메세지 및 구매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와 구매 내역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안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시스템에 의해서, 메세지 및 선물을 전달하는 것이 편리하고, 반드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메세지를 전달하는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식별 코드를 이용한 간편한 메세지 전달 및 확인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개시하는 사항으로부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의 범위가 정해질 수 있을 것이며, 본 실시예가 갖는 발명의 사상은 제안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구성요소의 추가, 삭제, 변경 등의 실시변형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되는 설명에 사용되는 접미어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메세지 및/또는 기프티콘 등의 선물 내역을 식별 코드로 생성하는 고백 관리 서버(20)가 개시된다.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를 통한 메세지 전달과,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수신자 확인용 식별 코드를 생성되는 것은 상기 단말기(10)에 설치된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접속가능한 단말기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 뿐만 아니라,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의하여 생성된 식별 코드를 인터넷 주소창에 입력하는 경우에도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로의 접속과 함께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된 메시지 및/또는 선물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를 이용하여 익명의 사람에게 메세지와 선물을 전달하는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단말기(10)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를 중심으로,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여 본다.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단말기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21)와,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성한 메세지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메세지 관리부(22)와, 인터넷(1)을 통하여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 및 관리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23)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매한 내역들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매내역 관리부(23)와,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제공하는 상점 또는 외부서버 연결부(26)를 통한 외부 상점에서의 상품 구매가 가능하도록 중개하는 결제 처리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 관리부(21)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정보, 예를 들면, 이름, 전화번호, 프로필 사진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메세지 관리부(22)는 사용자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성한 메세지를 저장 관리하고, 다른 사용자의 성공 사례 또는 추천 메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보여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구매내역 관리부(24)는 상기 외부서버 연결부(26)를 통하여 외부 서버를 통하여 구입한 내역과,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상점에서 사용자가 결제한 내역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작성한 메세지는 상기 메세지 관리부(22)에 의하여 저장 및 관리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23)는 상기 메세지 관리부(22)에 저장된 메세지에 대한 링크 정보와, 인터넷 상에서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접속될 수 있는 인터넷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 식별 코드를 생성 및 관리한다.
상세히,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23)에 대해서는 도 2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을 구성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식별 코드 관리부(23)는 상기 회원 관리부(21)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참조하는 회원관리 참조부(231)와, 상기 메세지 관리부(22)에 저장된 사용자 작성의 메세지를 참조하는 메세지 참조부(232)와, 상기 구매내역 관리부(24)에 관리되는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들을 참조하는 구매내역 참조부(23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23)는 상기 회원관리 참조부(231), 메세지 참조부(232), 및 구매내역 참조부(233)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식별 코드 생성부(234)와,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234)에 의하여 생성된 식별 코드들이 회원별 또는 메세지별 분류하여 저장하는 식별 코드 저장부(235)와, 상기의 생성된 식별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식별 코드 송수신부(236)를 포함한다.
상시 식별 코드 송수신부(236)는 생성된 식별코드를 단말기로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하거나, 출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식별 코드 저장부(235)는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로 접근이 가능한 인터넷 주소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234)는 참조한 메세지와, 구매내역 정보와 함께 상기 인터넷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식별 코드 저장부(235)에 의하여 생성되는 식별 코드의 예는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생성된 식별 코드가 'f3261e35b'인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식별 코드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기기에서 인터넷 주소창에 해당 식별 코드를 입력할 경우,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로의 접근 뿐만 아니라,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메세지 또는 구매내역(선물)이 인터넷 화면에 표시되도록 한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식별 코드는 9자리로 구성되고, 그 중 첫째자리, 여섯째자리, 일곱째자리, 여덟째자리, 아홉째자리는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를 나타내는 주소로 독출되고, 둘째자리 내지 다섯째자리는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메세지 또는 구매내역을 지정하기 위한 주소로 독출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제 2 실시예에서는, 식별 코드 중 연속되는 일련의 문자(예를 들면, 'f3251e')가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의 인터넷 상에서의 주소를 나타내고, 식나머지 식별 코드(예를 들면, '35b')는 고백 관리 서버(20)에 저장된 메세지 또는 구매내역을 지정하기 위한 주소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제 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지 않은 단말기의 사용자는 문자 메세지 또는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전달받은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메세지 또는 구매내역(선물)을 확인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 설치한 다음, 해당 식별 코드를 입력함으로써, 그 메세지 또는 구매내역(선물에 해당)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234)는 생성하는 식별 코드에 대하여 해당 메세지를 작성한 회원의 정보를 링크시키고, 식별 코드를 이용하여 해당 메세지를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메세지 및 구매내역(선물) 뿐만 아니라, 메세지 작성자의 회원 정보도 함께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234)는 상기 식별 코드 송수신부(226)를 통하여 제 3자로부터의 식별 코드 입력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원관리 참조부(231), 메세지 참조부(232) 및 구매내역 참조부(233)를 모두 참조하여 수신된 식별 코드에 연결되어 있는 회원 정보, 메세지, 선물(구입내역으로서, 키프티콘, 커피 교환권 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에서 본 발명의 고백 관리 서버(20)를 이용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사용자들 사이의 메세지 전달 및 선물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메세지를 남기고자 하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301)와,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메세지 또는 선물을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302)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백 관리 서버(20)를 이용하여 메세지의 전달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세지를 작성하는 화면이 제공되는데, 이에 앞서 사용자의 프로필을 기입하는 메뉴가 먼저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애플리케이션 내에서의 메세지창(311)에서 메세지를 작성하며, 고백이 성공한 경우의 메세지들을 참조할 수 있다. 그리고, 메세지와 함께 선물을 다른 사용자에게 보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점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매 메뉴(312)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구매 메뉴(312)를 선택하는 경우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상에서 결제가 가능한 상품들이 표시되는 상품창(320)이 단말기 상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상품을 결제하는 때에는 상기 결제 처리부(25)에 의하여 온라인 상에서 결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사용자가 결제처리한 상품에 대해서는 상기 구매내역 관리부(24)가 사용자 정보와 함께 해당 구매내역을 관리 저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자 하는 경우에 '메세지 작성 완료' 등의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식별 코드(예를 들면, 메세지 번호)(330)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식별 코드를 고백하고자 하는 상대에게 이미지 파일로 전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이미지 생성 메뉴(331)를 선택하면 해당 식별 코드가 기록된 이미지를 수신 및 다운로드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생성 메뉴(331)를 선택하여 생성되는 식별 코드 이미지(340)는, 도 7과 도 8의 경우와 같이, 해당 식별 코드 정보와,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정보가 메세지만인지, 아니면 메세지와 함께 선물도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세지 및 식별 코드 생성한 다음에는, 고백하고자 하는 상대방의 단말기로 문자 메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대방의 단말기로 문자 메세지를 전송하게 되면, 해당 식별 코드와 함께 고백 메세지가 저장되어 있거나(350), 식별 코드와 함께 고백 메세지 및 선물이 저장되어 있는지(351) 여부를 전달할 수 있다.
참고로, 도 11 내지 도 17은 식별 코드를 전달받은 사용자가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메세지와 선물을 확인하는 과정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식별 코드를 전달받은 사용자는 본 발명의 시스템을 구성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자신의 단말기에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면 메세지 확인을 선택할 수 있고, 식별 코드를 입력할 수 있다.
메세지 확인을 위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하게 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세지 내용을 확인하는 메뉴(371)와, 메세지를 작성한 사용자가 구매하여 선물한 내역을 확인하는 메뉴(372)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대방의 고백 메세지에 대하여, 대화를 허락하거나 거절할 수 있는 메뉴(373,374)를 제공하여, 고백 당사자와의 대화 여부를 결정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백을 허락하는 샘플 문장 또는 고백을 거절하는 샘플 문장들이 예시될 수 있으며, 선택된 사항에 대해서는 고백 메세지를 작성한 회원의 단말기로 푸쉬 알림이 이루어진다.
한편, 위의 도 11 내지 도 14의 경우에는, 식별 코드를 알고 있는 사용자가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단말기에 설치한 경우의 예이고,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를 통하여 직접 메세지 내용 및 선물 내용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 코드를 알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의 인터넷 브라우저에서 주소창에 해당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 해당 인터넷 브라우저는 본 발명의 고백 관리 서버(20)에 접속하게 되고,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는 해당 식별 코드에서 미리 지정된 문자를 확인하여 저장된 메세지를 독출한다.
여기서, 상기 고백 관리 서버(20)는 접속을 시도하는 단말기가 입력한 식별 코드 중에서 미리 지정된 문자열을 확인하고, 해당 문자열에 대하여 연결되어 있는 메세지 또는 선물 내역을 독출한다.
그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식별 코드의 일부 문자열에 대응되는 저장 메세지(410)를 사용자 단말기(400)의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상에 표시한다.
그리고, 해당 식별 코드의 일부 문자열에 대응되는 선물 내역이 있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상품 정보(420)를 인터넷 브라우저 상에 표시한다.
이러한 경우에는, 식별 코드를 알고 있는 사용자가 자신의 단말기에서 간편히 고백 메세지와 선물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인터넷 연결이 가능하고, 메세지 작성 및 전달이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를 통하여 작성되는 메세지를 저장하고,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를 가리키는 식별 코드를 생성 및 관리하는 고백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백 관리 서버는, 상기 단말기의 정보 또는 사용자 정보를 관리하는 회원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작성한 메세지를 저장 및 관리하는 메세지 관리부와, 상기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고백 관리 서버로 접속하는 것을 허용하고 저장된 메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 코드의 생성과 관리를 수행하는 식별 코드 관리부와,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결제한 구매 내역을 저장 및 관리하는 구매내역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 메세지 및 구매 내역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코드가 다른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의 저장된 메세지와 구매 내역 정보를 다른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 회원 관리부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참조하는 회원관리 참조부와, 상기 메세지 관리부에 저장된 사용자 작성의 메세지를 참조하는 메세지 참조부와, 상기 구매내역 관리부에 의하여 관리되는 사용자의 구매 내역 정보들을 참조하는 구매내역 참조부와, 상기 회원관리 참조부, 메세지 참조부 및 구매내역 참조부에 의하여 수집된 정보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생성하는 식별 코드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는 상기 고백 관리 서버의 인터넷 주소와 함께 상기 메세지 및 구매 내역 정보가 포함되도록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고백 관리 서버는 상기 식별 코드를 인터넷 주소로 이용하여 접속되는 제 2 단말기에 대하여 접속을 허용하고, 상기 식별 코드에 대응되는 메세지 정보 및 구매 내역 정보를 제 2 단말기 화면 상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에 의하여 생성된 식별 코드들을 회원별 또는 메세지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식별 코드 저장부와, 상기의 생성된 식별 코드를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식별 코드를 수신하는 식별 코드 송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식별 코드 생성부는 상기 고백 관리 서버의 인터넷 주소를 나타내는 문자열과, 상기 고백 관리 서버 내에 저장된 메세지를 연결시키는 문자열이 포함되도록 상기 식별 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식별 코드 관리부는 상기의 생성된 식별 코드를 상기 단말기로 다운로드하거나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00251A 2016-01-04 2016-01-04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KR1016459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51A KR101645913B1 (ko) 2016-01-04 2016-01-04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251A KR101645913B1 (ko) 2016-01-04 2016-01-04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913B1 true KR101645913B1 (ko) 2016-08-04

Family

ID=5670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251A KR101645913B1 (ko) 2016-01-04 2016-01-04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9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21A (ko) * 2003-06-23 2003-08-06 신충섭 아이템 구입과 선물에 따른 포인트적립과 상품신청을 이용한 미팅서비스 모델
KR20070082463A (ko) * 2006-02-16 2007-08-21 홍성제 이메일 전송이나 휴대폰 문자메세지를 통한 온라인미팅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5421A (ko) * 2003-06-23 2003-08-06 신충섭 아이템 구입과 선물에 따른 포인트적립과 상품신청을 이용한 미팅서비스 모델
KR20070082463A (ko) * 2006-02-16 2007-08-21 홍성제 이메일 전송이나 휴대폰 문자메세지를 통한 온라인미팅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410084A1 (en) Computerized agent external to an instant messaging (im) service for enhancing an im session managed by the im service
US10346849B2 (en) Communicating personalized messages using quick response (QR) codes
KR101089944B1 (ko) Sns 정보를 이용한 쿠폰 알림 및 제공 시스템과 그 방법
AU2013302600B2 (en) Payment in a chat session
US20200219152A1 (en) Systems for Integrating Online Reviews with Point of Sale (POS) OR EPOS (Electronic Point of Sale) System
US1018594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gift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US20070021969A1 (en) Mobile electronic transac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therefor
CN102934133A (zh) 用于计算装置的商务窗口应用的系统和方法
CN111582961B (zh) 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5989483A (zh) 业务实现方法、支付方法及装置
KR20180010926A (ko) 지인의 연락처를 이용한 선물 주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쇼핑몰 서버
JP6175735B1 (ja) SNSを利用したWebサイトの中継サーバ、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45913B1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메세지 전달 시스템
KR101458374B1 (ko) 마케팅 캠페인 채널을 통한 소셜 커머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상황 인지 기반 웹 메시징 시스템 및 방법
KR101413739B1 (ko) 전자태그 및 선물을 활용한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시스템 및방법
KR20060088590A (ko)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KR20050019454A (ko) 휴대폰 번호를 이용한 선물 배송 방법 및 이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KR20110118449A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북 커뮤니티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 북 커뮤니티 운영방법
JP2006338355A (ja) 決済装置
JP2018045277A (ja) マネーギフトシステム
WO2016181188A1 (en) Mobile application based discount coupon management solution (quponer) business & technical specification
JP2017191392A (ja) ギフトシステム
KR100924073B1 (ko) 네트워크 기반의 신체 치수 관련 상품의 판매 운영 서버 및 그 판매 방법
KR20210131197A (ko) 문답 기반 콘텐츠 공유 방법 및 문답 기반 콘텐츠 공유 시스템
KR20230092509A (ko) 당사자간 블록체인을 갖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거래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