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590A -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 Google Patents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590A
KR20060088590A KR1020050009358A KR20050009358A KR20060088590A KR 20060088590 A KR20060088590 A KR 20060088590A KR 1020050009358 A KR1020050009358 A KR 1020050009358A KR 20050009358 A KR20050009358 A KR 20050009358A KR 20060088590 A KR20060088590 A KR 20060088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surrogate
orderer
proxy
shopping 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대진
김홍모
김창호
Original Assignee
(주)이노바투스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노바투스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이노바투스정보기술
Priority to KR1020050009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590A/ko
Publication of KR20060088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2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 F03B13/26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tide energy using the horizontal flow of water resulting from tide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9/00Water-power plants; Layout, construction or equipment, methods of, or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B9/08Tide or wave power pl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08Machine or engine aggregates in dams or the like; Conduits therefor, e.g. diffu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20/00Application
    • F05B2220/30Application in turbines
    • F05B2220/32Application in turbines in water turb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20Hydro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ceanograph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주문자는 대금결제 능력이 없어도 온라인상 물품을 주문할 수 있으며, 주문한 물품의 물품대금은 대리결제자가 결제한다. 예컨대 부모나 보호자가 자녀 또는 피보호자들이 주문한 물품 또는 음식을 외출 중에도 간단하게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할 수 있다. 또한, 애인, 친구 등의 사이에서 상대방으로부터 받고자 하는 물건이 있다면 자신이 직접 해당 물건을 주문하여 상대방에게 결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목적하는 대리결제는 본 발명에 의한 대리결제시스템을 이용하여 물품 주문단계, 대리결제 신청단계, 대리결제 승인단계 그리고 대리결제 통지단계를 통하여 달성할 수 있다.
주문, 결제, 대리결제, 대리결제시스템, PDS

Description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PAYMENT METHOD OF GOODS PRICE ON ONLINE SEPARATED BETWEEN ORDERER AND PAY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리결제를 이용한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이 PDS와 분리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순서도,
도 2은 도 1의 결제방법에서 대리결제자가 물품의 주문내용을 확인하는 흐름도,
도 3은 도 1의 결제방법에서 대리결제자가 주문자의 신상을 확인하는 흐름도,
도 4는 도 1의 결제방법에서 주문자가 대리결제자에게 연락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대리결제를 이용한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이 PDS와 결합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순서도,
도 6a는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과 PDS가 분리된 제1실시예의 구조도,
도 6b는 대리결제자가 물품의 주문내용을 확인하는 구조도,
도 6c는 대리결제자가 주문자의 신상을 확인하고, 주문자와 접촉을 요청하는 구조도,
도 6d는 주문자가 대리결제자와 접촉을 신청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도,
도 7은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과 PDS가 결합된 제2실시예의 구조도,
도 8은 주문자가 쇼핑몰에서 주문한 물품 내용을 확인하고 대리결제를 신청하는 화면,
도 9은 주문자가 대리결제를 요청하고 대리결제자정보를 입력하는 화면,
도 10은 주문자가 대리결제자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이메일 화면,
도 11은 대리결제자가 주문자의 정보 및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결제여부를 결정하는 화면,
도 12는 대리결제자의 대리결제를 위한 카드결제폼을 나타내는 화면,
도 13은 주문정보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구조도,
도 14는 주문정보DB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문자 200 : 쇼핑몰
210 : 쇼핑몰 Agent모듈 300 : PDS
310 : 주문자 I/F모듈 320 : 쇼핑몰 I/F모듈
330 :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 340 : 대리결제자 I/F모듈
350 : 결제 I/F모듈 360 : 공지전송모듈
400 : 대리결제자
500 : 결제대행사
600 : 주문정보 700 : 주문정보 DB
본 발명은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자가 주문한 물품을 주문자와 구별되는 대리결제자에게 결제요청하면, 대리결제자는 주문내용을 확인하고 대리결제를 신청하여 물품대금을 결제하는 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 온라인 결제방식에서 물품을 주문한 주문자와 이를 결제하는 결제자는 동일인이었다. 온라인상 물품은 주문하였지만 당장 결제할 수 없는 형편이거나, 미성년자처럼 결제능력이 없어서 부모의 동의가 필요한 경우는 현재 방식으로는 결제 자체가 불가능하다.
또한, 회사 비용으로 물품을 구입하는 경우, 물건을 주문한 사람이 결제까지 하여야 하는 현재의 방식에서는 결제자 모두를 관리해야 하므로, 특정인이 비용결제를 관리하는 것과 비교하여 그 관리가 허술할 수 있다.
또한, 생일 등의 기념일에 선물을 선물하는 자가 물건을 온라인상 직접 고르는 경우, 선물받는 자가 원하는 선물이 아닐 수 있다. 선물받는 자가 자신이 원하는 선물을 온라인상 주문하여 직접 알려준다면, 선물하는 자는 상대방이 원하는 물건을 정확하게 선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을 통하여, 주문자와 결제자가 동일인이 아니더라도 쇼핑몰에서 대금결제가 가능하도록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부모는 자녀들이 부모와 동일 공간에 함께 있지 않더라도 자녀가 원하는 물품이나 음식 등을 배달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녀의 나이가 어린 경우는 본 발명에 의한 결제방법이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애인, 친구 사이에서 상대방으로부터 받고자 하는 물건을 정확하게 알려주면서 온라인상 주문하고, 선물하는 자가 그 물건의 대금을 대신 결제하게끔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문자(100)'는 온라인 쇼핑몰 사이트에서 물품, 서비스, 음식 등을 주문하는 자를 말한다.
본 명세서에서 '쇼핑몰(200)'은 좁게는 물품 등을 제공하는 온라인 쇼핑몰을 말하지만, 보다 넓게는 온라인 쇼핑몰에 국한하지 않고 물품, 서비스, 음식 등을 제공하는 모두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물품'이란 실제적으로 운송되는 상품 뿐만 아니라 제공되는 서비스, 음식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대리결제자(400)'는 쇼핑몰에서 주문한 물품, 서비스, 음식 등의 대금을 주문자를 대신하여 결제하는 자로서, 주문자와는 구별된다.
본 명세서에서 '대리결제시스템(300)(Payment Delegation System, 이하 'PDS'라 함)'은 주문자가 쇼핑몰에서 주문한 물품, 서비스, 음식 등을 대리결제자가 대금결제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서, 대리결제는 독자적인 대리결제시스템 사이트를 갖추고 대리결제시스템 사이트 서버를 통하여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쇼핑몰 사이트와 통합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대리결제를 이용한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이 PDS와 분리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대리결제가 가능한 본 발명의 결제방법은 주문자(100), 쇼핑몰(200), PDS(300), 대리결제자(400), 결제대행사(500)를 필요로 한다.
쇼핑몰(200)은 쇼핑몰 Agent모듈(210)을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고 송수신한다.
PDS(300)는 PDS 프로세스 엔진(330), 주문자 인터페이스모듈(310)(이하 'I/F모듈'라 함), 쇼핑몰 I/F모듈(320), 공지전송모듈(360), 대리결제자 I/F모듈(340), 결제 I/F모듈(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PDS(3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면서 각 모듈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물론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에서는 PDS(300)가 독립적인 사이트로 제공된다.
결제대행사(500)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물품대금의 결제를 대행한다. 본 발명에서의 결제대행사(500)는 결제를 대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결제대행사에서 필요에 따라 카드결제 등을 통하여 실제 결제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문자(100)가 특정 쇼핑몰에서 물품주문시 쇼핑몰 에이전트(Agent) 모듈(210)을 통하여 물품의 주문정보(600)를 입력한다.(물품주문단계) 물품의 주문정보(600)에는 주문할 물품의 물품정보(610)와 물품대금을 결제할 대리결제자의 대리결제자정보(650)가 있다. 입력한 주문정보(600)는 쇼핑몰 I/F모듈(320)을 통하여 PDS(100)에 전달된다. 본 발명에서 각종 정보의 전달, 전송 또는 공지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달성된다.
물품정보(610)에는 물품구매가 발생하는 쇼핑몰정보(620), 물품의 주문내용정보(630), 금액정보(640) 등으로 구분되고, 대리결제자정보(650)에는 대리결제자의 이메일정보(660), 휴대단말기정보(670), 주문자와의 관계정보(680),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690) 등으로 구분된다.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 및 그 세분화된 구별은 편의상 구분한 것에 불과하며, 새로운 정보들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되거나 서로 교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품정보(610)에 해당하는 쇼핑몰정보(620), 주문내용정보(630), 금액정보(640)는 다음과 같다.
쇼핑몰정보(620)는 주문자(100)가 물품을 주문한 쇼핑몰(200) 사이트 정보를 나타낸다. 주문내용정보(630)는 주문자가 주문한 물품이 어떤 물품인지를 나타낸다. 하나 이상의 물품일 때에는 전체 물품리스트가 주문내용정보(630)에 보여진다.
금액정보(640)는 주문한 물품의 금액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해당 쇼핑몰(200) 사이트에서 물품대금에서 할인금액, 할인받을 수 있는 포인트, 적립되는 금액이나 포인트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
대리결제자정보(650)에 해당하는 이메일정보(660), 휴대단말기정보(670), 주문자와의 관계정보(680),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690)는 다음과 같다.
이메일정보(660)는 대리결제자(400)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기 위한 이메일 주소를 말한다. 이메일 주소는 1 또는 2 이상일 수 있다. 주문자(100)는 대리결제자(400)의 이메일 주소로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메세지를 보낸다.
휴대단말기정보(670)는 일반적으로 대리결제자(400)의 휴대단말기 번호, 서비스사업자 등과 같은 정보를 의미한다. 대리결제를 요청할 때에는 이메일 뿐만 아니라 휴대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휴대단말기는 핸드폰에 국한하지 않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와 같이 네트워크 기능을 갖춘 단말기는 모두 포함한다. 또한 휴대단말기는 온라인으로 신용카드 결제기능 또는 인터넷뱅킹 기능 등을 갖추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용카드 결제기능 또는 인터넷뱅킹 기능을 이 용하여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은 대리결제자가 즉시 물품대금을 결제할 수 있다.
주문자와의 관계정보(680)는 물품대금을 요청하는 주문자(100)가 대리결제자(400)와 어떤 관계인지를 나타낸다. 그 관계가 부모나 형제 또는 친구, 연인 등의 관계인지를 선택할 수 있다. 대리결제자(400)가 주문자(100)와는 아무 관계가 없는 타인일 수도 있다.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690)는 주문자(100)가 대리결제를 요청하면서 대리결제 가능시기를 정하는 경우 그 시기정보를 말한다.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690)를 설정하여 주문자(100)는 원하는 일시(日時)에 대리결제가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 대리결제 가능시기는 특정 일시(日時)로 할 수 있고, 주문일시(日時)로부터 일정기간이 정하여 기산케 할 수도 있다. 2 이상의 대리결제자(400)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여 복수의 대리결제가 있는 경우, 복수의 대리결제 중에서 가장 빠른 대리결제만을 유효한 대리결제로 하는 조건부 시기로 정할 수도 있다.
주문자(100)가 쇼핑몰(200)의 쇼핑몰 Agent모듈(210)을 통하여 원하는 물품을 주문하고 대리결제를 선택하고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입력창에 입력한다. 물품정보(610)는 대리결제자정보 입력창에 자동적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문자(100)는 자신이 주문한 물품의 해당 쇼핑몰의 쇼핑몰정보(620), 주문한 물품의 주문내용정보(630) 그리고 주문한 물품의 금액정보(640)를 확인하면서, 물품정보에 이상이 없다면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입력하여 대리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
입력하는 대리결제자정보(650)에는 대리결제자의 이메일정보(660), 휴대단말 기정보(670), 주문자와의 관계정보(680),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690) 등이 있다.
주문자(100)가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대리결제자(400)는 특정 1인이 바람직하지만 2인 이상에게 대금결제를 요청하여 요청받은 자중에서 가장 먼저 대리결제를 완료하면 다른 사람은 동일한 물품에 대하여 대리결제가 불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2인 이상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경우 대리결제자(400) 각각의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입력한다.
주문자(100)가 쇼핑몰 Agent모듈(210)에서 물품의 주문정보(600)를 입력하고 대리결제를 요청하면, PDS(300)의 쇼핑몰 I/F모듈(320)에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90)를 전달한다.
도 1은 쇼핑몰(200)과 PDS(300)가 서로 분리되어 독자적인 사이트로 존재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이다. 본 발명에서 쇼핑몰(200)과 독자적으로 존재하는 PDS(300)는 대리결제만을 전문적으로 처리하는 사이트로 운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수의 쇼핑몰 사이트에서 대리결제 요청이 들어오면 해당 물품의 주문정보(600), 즉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를 PDS(300)로 전송하여 저장 및 관리한다. PDS(300)가 하나의 사이트로 운영되는 경우는 전송받는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이하 'DB'라 함)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DS에 구비된 DB는 쇼핑몰정보DB(720), 주문내용정보DB(730), 금액정보DB(740)와 같은 물품정보DB(710)와 이메일정보DB(760), 휴대단말기정보DB(770), 주문자와의 관계정보DB(780), 대리결제 가능시기정보DB(790)와 같은 대리결제자정보DB(750)가 있다.
쇼핑몰 I/F모듈(320)은 쇼핑몰 Agent모듈(210)로부터 주문정보(600)를 전달받아서,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다시 주문정보(600)를 전달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주문정보(600)를 바탕으로 대리결제자(400)에게 결제요청할 공지 콘텐츠를 생성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생성된 공지 콘텐츠를 공지전송모듈(360)에 공지요청하고, 공지전송모듈(360)은 대리결제자(400)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공지 콘텐츠를 발송한다. 발송되는 공지 콘텐츠는 비동기식 공지인 것이 바람직하다.(대리결제 신청단계)
결제요청을 받은 대리결제자(400)는 주문물품 내역과 대리결제를 요청한 주문자의 신상을 확인할 수 있다. 대리결제자(400)는 PDS의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을 통하여 대리결제의 승인을 요청한다. 대리결제의 승인을 요청받은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결제 I/F모듈(350)을 통하여 결제대행사(500)에 대리결제의 승인을 요청한다. 대리결제요청을 받은 결제대행사(500)는 결제를 승인한 후 결제승인 사실을 결제 I/F모듈(350)에 통지한다.(대리결제 승인단계)
결제승인 사실을 통지받은 결제 I/F모듈(350)은 결제승인 사실을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통지한다. 결제승인 사실을 통지받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쇼 핑몰 I/F 모듈(320)과 대리결제자 I/F모듈(340)에 결제승인 사실을 통지한다. 또한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에 결제승인 사실을 공지해 줄 것을 요청한다. 결제승인 사실을 통지받은 쇼핑몰 I/F모듈(320)과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쇼핑몰 Agent모듈(210)과 대리결제자(400)에게 각각 결제승인 사실을 통지한다. 또한, 공지 전송을 요청받은 공지전송모듈(360)은 결제승인 사실을 주문자(400)에게 공지한다.(대리결제승인 통지단계)
대리결제자(400)나 주문자(100)에게 통지 또는 공지하는 방식은 이메일(email)이나 SMS(short message service), LMS(long message service),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등을 이용한다.
도 2은 도 1의 결제방법에서 대리결제자(400)가 물품의 주문내용을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대리결제자(400)는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을 통하여 주문내용을 확인 요청한다.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쇼핑몰 I/F모듈(320)을 통하여 주문내용의 확인을 요청하고, 쇼핑몰 I/F모듈(320)은 쇼핑몰 Agent모듈(210)에게 주문내용에 대한 정보를 요청한다. 쇼핑몰(200)과 PDS(300)가 분리된 결제방법에서는 주문정보(600) 중 물품정보(610)는 쇼핑몰(200)에서 저장 및 관리하고, 주문정보(600) 중 대리결제자정보(650)는 PDS(30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 모두 쇼핑몰(200)이나 PDS(300) 한 곳에서 통합하 여 저장 및 관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PDS(300)의 결제 I/F모듈(350)은 쇼핑몰 Agent모듈(210)로부터 대리결제할 물품의 주문정보(600)를 전송받고, 대리결제자(400)는 결제 I/F모듈(350)을 통하여 주문정보(600)를 확인한다.
도 3은 도 1의 결제방법에서 대리결제자(400)가 주문자(100)의 신상을 확인하는 흐름도이다.
주문자(100)의 정보는 쇼핑몰(200) 또는 PDS(300)에서 관리한다. PDS(30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경우, 대리결제자(400)는 대리결제자 I/F모듈(340)에 주문자정보를 요청하며, 주문자정보의 요청을 받은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주문자정보의 검색 및 전송을 요청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서는 PDS(30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주문정보(610) 또는 대리결제자정보(650)에서 요청받은 주문자정보를 검색하여 해당 주문자정보를 대리결제자 I/F모듈(340)에 제공한다.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대리결제자(400)에게 PDS 프로세스 엔진(330)으로부터 제공받은 주문자정보를 전송한다. 대리결제자(400)가 주문자정보를 확인하고, 주문자(100)와 접촉을 원하는 경우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주문자 접촉요청을 한다. 주문자 접촉요청을 받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에 공지를 요청하고, 공지요청을 받은 공지전송모듈(360)은 주문자(100)에게 메시지를 보내어 주문자가 대리결제자(4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의 결제방법에서 주문자(100)가 대리결제자(400)에게 연락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흐름도이다.
주문자(100)가 대리결제자(400)와 접촉하고자 하는 경우, 주문자(100)는 PDS(300)의 주문자 I/F모듈(310)을 통하여 대리결제자(400)와 접촉을 신청한다. 주문자(100)로부터 접촉을 신청받은 주문자 I/F모듈(310)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대리결제자(400)와의 접촉을 진행하도록 알린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에 대리결제자(400)에게 공지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하고, 공지전송모듈(360)은 접촉 희망 메시지를 대리결제자(400)에게 전달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대리결제를 이용한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200)이 PDS(300)와 결합되어 있는 제2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쇼핑몰(200)과 PDS(300)는 별개의 사이트로 운영되거나 별개의 사업체로 운영될 수도 있지만, 도 5에서는 쇼핑몰(200)과 PDS(300)를 하나의 사이트에서 또는 하나의 사업체에서 대리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도 1과 같이 도 5에서도 주문자(100)는 주문정보(600)를 입력한다. 주문정보는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로 나뉜다. 물품정보(610) 또는 대리결제자정보(650)의 입력방식 및 내용은 도 1에서 설명한 쇼핑몰(200)과 PDS(300)가 분리되어 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쇼핑몰(200)안에서 자체적으로 PDS(300)를 제공하는 경우, 쇼핑몰(200)에서 곧바로 대리결제자(400)에게 물품대금의 대리결제를 요청한다. 요청하는 방식은 도 1의 설명과 같이 이메일이나 LSM, SMS, MMS 등을 이용한다.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를 PDS(300)에서 저장 및 관리하는 도 1의 방식과는 달리, PDS(300)와 쇼핑몰(200)이 결합된 결제방식에서는 쇼핑몰(300)이 물품정보(610)와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저장 및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쇼핑몰(200)로부터 대리결제를 요청받은 대리결제자(400)는 주문자(100)가 주문한 물품을 확인하고, 쇼핑몰(200)에서 주문내역을 확인하고 물품대금의 대리결제를 신청한다. 대리결제자(400)가 대리결제를 신청하면, 쇼핑몰(200)은 결제대행사(500)에게 대리결제의 승인을 요청한다.
결제대행사(500)에서 대리결제를 승인하는 방식은 도 1과 동일하다. 결제대행사(500)는 해당 주문내용의 대리결제를 승인한 후, 승인 사실을 곧바로 쇼핑몰(200)에 통지한다. 해당 쇼핑몰(200)은 결제승인 사실을 주문자(100)와 대리결제자(400)에게 통지한다. 통지방식은 대리결제자(400)가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은 방식과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메일로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았다면 이메일로 대리결제의 승인사실을 통지하며, SMS로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았다면 SMS로 대리결제의 승인사실을 통지한다. 통지방식과 결제요청 방식이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a, 도 6b, 도6c 그리고 도 7은 각각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구조도이다.
도 6a는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200)과 PDS(300)가 분리된 제1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쇼핑몰(200)과 PDS(300)가 분리된 제1실시예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주문자(100)는 쇼핑몰 Agent모듈(210)에 물품정보(610)를 입력한다. 물품정보(610)를 입력하고 대리결제를 신청하면, PDS의 쇼핑몰 I/F모듈에서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입력할 수 있도록 입력창이 만들어진다. 제1실시예에서는 대리결제자정보(650)를 PDS(300)에서 입력하도록 되어 있지만, 쇼핑몰 Agent모듈(210)에서 입력하여 PDS(300)에 전송 또는 전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입력된 대리결제자정보(650)의 이메일주소나 휴대단말기번호를 이용하여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에 이메일 또는 SMS 메시지를 발송하라고 지시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의 이메일 또는 SMS 발송 지시를 받은 공지전송모듈(360)은 대리결제자(400)에게 이메일이나 SMS 메시지를 통하여 대리결제의 요청을 한다. 이러한 대리결제의 요청은 비동기적인 알림이 바람직하다.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은 대리결제자(400)는 주문자 I/F모듈(310)을 통하여 주문자(100)의 정보를 파악하거나 주문자(100)와 접촉할 수 있으며, 대리결제자 I/F모듈(340)과 연결된 쇼핑몰 I/F모듈(320)을 통하여 물품의 주문내용을 확인한다. 쇼핑몰 I/F모듈(320)과 연결된 쇼핑몰 Agent모듈(320)에서 주문 물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주문을 확인한 대리결제자(400)는 결제 I/F모듈(350)을 이용하여 결제를 신청한다. 결제신청을 받은 결제 I/F모듈(350)은 결제대행사(500)에 결제승인을 요청한다. 결제승인을 요청받은 결제대행사(500)는 결제를 승인한 후 결제 I/F모듈(350)에 결제승인의 통지를 한다.
결제승인의 통지를 받은 결제 I/F모듈(350)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 결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리고,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쇼핑몰 I/F모듈(320)과 주문자 I/F모듈(310)에 각각 결제완료 사실을 알린다. 이러한 결제완료의 사실을 통지받은 쇼핑몰 I/F모듈(320)과 주문자 I/F모듈(310)은 쇼핑몰 Agent모듈(210)과 주문자(100)에게 각각 결제완료 사실을 통지한다. 주문자 I/F모듈(310)에서 주문자(100)에게 결제완료 사실을 통지하는 방식은 이메일이나 SMS로 통지하며, 비동기적인 통지가 바람직하다.
도 6b는 대리결제자(400)가 물품의 주문내용을 확인하는 구조도이다. 도 6b에서 대리결제자(400)는 PDS(300)의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을 통하여 주문내용을 확인 요청을 하여, 쇼핑몰 I/F모듈(320)을 거쳐서 쇼핑몰 Agent모듈(320)로부터 주문내용을 전달받는다.
도 6c는 대리결제자(400)가 주문자(100)의 신상을 확인하고, 주문자(100)와 접촉을 요청하는 구조도이다. 대리결제자(400)는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을 통하 여 주문자 정보를 요청하거나 주문자(100)와 접촉을 요청하고, 대리결제자 I/F모듈(340)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게 주문자(100)의 정보 또는 주문자(100)와의 접촉을 요청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을 통하여 주문자(100)에게 이러한 사실을 통지한다.
도 6d는 주문자(100)가 대리결제자(400)와 접촉을 신청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하는 구조도이다. 주문자(100)는 PDS(300)의 주문자 I/F모듈(310)을 통하여 대리결제자(400)와의 접촉을 신청하고, 이러한 접촉 신청은 PDS 프로세스 엔진(330)에게 전달된다. PDS 프로세스 엔진(330)은 공지전송모듈(360)에게 대리결제자(400)에게 주문자(100)의 접촉신청 내용을 통지하도록 공지요청한다. 공지요청받은 공지전송모듈(360)은 대리결제자(400)에게 접촉요청 내용을 공지한다.
도 7은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에 있어서 쇼핑몰(200)과 PDS(300)가 결합된 제2실시예의 구조도이다. 쇼핑몰(200)과 PDS(300)가 결합된 제2실시예의 구조는 도 6a의 쇼핑몰(200)과 PDS(300)가 분리된 구조와 거의 동일하다. 다만, 쇼핑몰(200)과 PDS(300)의 결합으로 PDS(300)의 모듈 구성요소가 쇼핑몰(200)안에 존재한다. 따라서 쇼핑몰 Agent모듈(210)과 정보를 송수신하는 쇼핑몰 I/F모듈(320)는 하나로 통합되어 관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제2실시예는 편의상 쇼핑몰 I/F모듈(320)과 쇼핑몰 Agent모듈(320)이 분리되어 존재하지만 쇼핑몰 I/F모듈(320)과 쇼핑몰 Agent모듈이 하나의 모듈로 통합되어 기능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에서 설명한 쇼핑몰 Agent모듈(210), 주문자 I/F모듈(310), 쇼핑몰 I/F모듈(320), 대리결제자 I/F모듈(340), 공지전송모듈(360)), 결제 I/F모듈(350) 또는 PDS 프로세스 엔진(330) 중에서 적어도 2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그 기능을 수행하게 할 수 있다. 즉, 쇼핑몰 I/F모듈(320), 주문자 I/F모듈(310), 대리결제자 I/F모듈(340), 결제 I/F모듈은 통합된 하나의 I/F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쇼핑몰과 PDS가 하나로 통합된 경우는 쇼핑몰 Agent모듈이 PDS의 다른 모듈 하나 이상과 하나로 통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쇼핑몰과 PDS가 분리된 경우는 PDS의 모듈 여러개가 모여서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 내지 도 12는 주문자가 이메일로 대리결제자(400)에게 결제를 요청하여 대리결제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은 주문자(100)가 쇼핑몰(200)에서 주문한 물품 내용을 확인하고 대리결제를 신청하는 화면이다. 주문자(100)는 자신이 주문한 물품 리스트와 비용을 확인하고 대리결제요청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주문자(100)는 주문 물품을 대리결제의 요청을 하지 않고 자신이 결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9은 주문자(100)가 대리결제를 요청하고 대리결제자정보(650)를 입력하는 화면이다. 주문자의 인적사항과 대리결제자의 인적사항을 입력한다. 회원가입한 주 문자의 인적사항은 자동으로 화면에 나타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의 입력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서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주문자(100)가 대리결제자(400)에게 대리결제를 요청하는 이메일 화면이다. 대리결제자(400)는 도 10의 이메일 화면을 확인하고 대리결제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대리결제 절차를 진행한다.
도 11은 대리결제자(400)가 주문자(100)의 정보 및 주문 내용을 확인하고 결제여부를 결정하는 화면이다.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리결제자(400)는 대리결제를 요청한 주문자(100)의 정보와 주문 내역을 알 수 있다. 주문자(100)와 주문 내역을 확인하고 결제한다. 결제 물품이 2 이상인 경우는 원하는 물품만 선택적으로 대리결제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 나타난 정보들은 예시적인 정보에 불과하며 세부 항목의 증감 또는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2는 대리결제자(400)의 대리결제를 위한 카드결제폼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대리결제 방식은 카드결제, 인터넷 뱅킹, 무통장입금, 핸드폰결제 등 다양하며 대리결제자가 선택하여 진행한다. 도 12는 대리결제의 요청을 이메일로 받은 화면이지만, 대리결제자(400)의 휴대단말기를 통하여 대리결제의 요청을 받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결제방식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한 카드결제, 인터넷뱅킹 등을 사용한다.
도 13은 주문정보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고, 도 14는 주문정보DB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구조도이다.
이상 도면과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을 통하여, 주문자는 대금결제 능력이 없어도 대리결제자의 결제를 통하여 쇼핑몰에서 물품 구입이 가능하다. 예컨대 부모는 자녀들이 주문한 물품 또는 음식을 출타중에서 간단하게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된 컴퓨터나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인, 친구 등의 사이에서 상대방으로부터 받고자 하는 물건이 있다면 자신이 직접 해당 물건을 주문하여 상대방에게 결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1) 온라인상 물품을 주문하는 주문자;
    (2) 상기 주문자가 주문한 물품의 주문정보를 입출력하고 상기 주문정보를 송수신하는 쇼핑몰 에이전트(Agent) 모듈을 포함하는 쇼핑몰;
    (3) 상기 주문자를 대신하여 물품대금을 결제하는 대리결제자;
    (4) 상기 쇼핑몰에서의 대금결제를 대행하는 결제대행사; 및
    (5) 상기 물품대금의 대리결제를 제어하고, 1) 상기 주문자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주문자 인터페이스모듈; 2) 상기 쇼핑몰과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 3) 상기 주문자와 상기 대리결제자에게 정보를 공지하는 공지전송모듈; 4) 상기 대리결제자와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 5) 상기 결제대행사와 유무선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정보를 송수신하는 결제 인터페이스모듈; 및 6) 상기 주문자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공지전송모듈 또는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모듈로부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고, 송수신한 정보를 저장하며, 상기 대리결제시스템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리결제시스템(PDS)을 이용하며,
    상기 주문자가 상기 쇼핑몰의 상기 쇼핑몰 에이전트 모듈에서 온라인상 물품을 주문하고 상기 주문자를 대신하여 대금결제하는 대리결제자정보를 입력하는 물 품주문 단계;
    상기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쇼핑몰 에이전트 모듈로부터 상기 대리결제자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으로 송신하며, 상기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에서는 공지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공지전송모듈에게 대리결제 요청을 대리결제자에게 통지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대리결제자는 주문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을 통하여 대리결제를 신청하며, 상기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은 결제 인터페이스모듈에게 대리결제의 신청을 전달하는 대리결제 신청단계;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결제대행사에게 대리결제의 승인을 신청하며, 상기 결제대행사는 대리결제를 승인한 후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모듈에게 통지하는 대리결제 승인단계; 및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모듈은 상기 대리결제시스템의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에 대리결제 승인을 통지하고, 상기 대리결제시스템은 상기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공지전송모듈 또는 상기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에 대리결제 승인 사실을 통지하고, 대리결제 승인 사실은 상기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은 쇼핑몰 에이전트 모듈에 통지하거나 상기 공지전송모듈은 주문자에게 통지하거나 상기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은 대리결제자에게 통지하는 대리결제승인 통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과 상기 대리결제시스템을 하나의 사이트로 구축하거나 개별사이트로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쇼핑몰 에이전트 모듈, 상기 주문자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쇼핑몰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대리결제자 인터페이스모듈, 상기 공지전송모듈, 상기 결제 인터페이스모듈 또는 상기 대리결제시스템 프로세스 엔진 중에서 적어도 2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여 대리결제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금결제요청 단계에서 상기 주문자는 결제가능한 일시(日時)를 정하고 상기 대리결제자가 상기 일시안에 대금결제하도록 요청하며,
    상기 대금결제승인 단계에서 상기 일시가 도과하면 결제승인이 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KR1020050009358A 2005-02-02 2005-02-02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KR200600885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58A KR20060088590A (ko) 2005-02-02 2005-02-02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358A KR20060088590A (ko) 2005-02-02 2005-02-02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590A true KR20060088590A (ko) 2006-08-07

Family

ID=37176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358A KR20060088590A (ko) 2005-02-02 2005-02-02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5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47B1 (ko) * 2005-03-25 2007-07-20 권도균 인터넷상의 컨텐츠와 상품을 위한 동의권자의 동의를처리하는 방법
KR101068022B1 (ko) * 2009-12-11 2011-09-28 아라정보(주)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처리 방법
KR101641729B1 (ko) * 2015-10-02 2016-07-21 박준흥 공동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025724A1 (ko) * 2020-07-30 2022-02-03 김윤상 대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347B1 (ko) * 2005-03-25 2007-07-20 권도균 인터넷상의 컨텐츠와 상품을 위한 동의권자의 동의를처리하는 방법
KR101068022B1 (ko) * 2009-12-11 2011-09-28 아라정보(주) 휴대폰 결제를 위한 인증 처리 시스템 및 휴대폰 결제 처리 방법
KR101641729B1 (ko) * 2015-10-02 2016-07-21 박준흥 공동물품 판매 서비스 제공 방법
WO2022025724A1 (ko) * 2020-07-30 2022-02-03 김윤상 대리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3053B1 (ko) 저축 목표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AU2019200041A1 (en) Multi-channel remote payment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20080228638A1 (en) Method and system of controlling linked accounts
US200300839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wards benefits to account holders
US20140172633A1 (en) Payment interchange for use with global shopping cart
US20160314517A1 (en) Ordering and payment systems
US20120041870A1 (en) Systems and Methods to Identify Carrier Information for Transmission of Premium Messages
JP2020086590A (ja) 情報処理装置、支払管理方法、プログラム、管理方法、及びユーザ機器
US20120011059A1 (en) Systems and Methods to Receive Funds via Mobile Devices
US20140032376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electronic commerce
JP2014056413A (ja) 決済装置、及び決済方法
US20120303516A1 (en) Donation and payment system
WO2016032541A1 (en) Shopper-centric social networking system
US20140372290A1 (en) Face-to-Face Meeting Facilit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Program Products
KR102300466B1 (ko)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이용한 상품 판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088590A (ko) 주문자와 결제자가 분리된 온라인상 물품대금의 결제방법
JP2023006790A (ja) 提供装置、提供方法及び提供プログラム
US20210390526A1 (en) Validating a transaction relating to an offer for a good or a service to a user
US201703722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coupling an e-commerce order from th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KR101745603B1 (ko) 쇼핑 서비스 제공 방법
KR20020059499A (ko) 이메일을 이용한 선물리스트 전송 및 물품 결제방법
KR20090119806A (ko) 보증금 상품에 대한 손실 환불처리 방법
TWM636023U (zh) 團購付款管理系統
TW202407612A (zh) 團購付款管理方法及系統
TWI313846B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