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319B1 -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 Google Patents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319B1
KR101645319B1 KR1020150130834A KR20150130834A KR101645319B1 KR 101645319 B1 KR101645319 B1 KR 101645319B1 KR 1020150130834 A KR1020150130834 A KR 1020150130834A KR 20150130834 A KR20150130834 A KR 20150130834A KR 101645319 B1 KR101645319 B1 KR 101645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asing
ball
p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0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수
Original Assignee
김용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수 filed Critical 김용수
Priority to KR10201501308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319B1/ko
Priority to EP16165213.6A priority patent/EP3202277A1/en
Priority to JP2016083536A priority patent/JP6218877B2/ja
Priority to US15/135,871 priority patent/US10182613B2/en
Priority to CN201610332932.5A priority patent/CN106539189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3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3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provided with wedged, concave or convex end portions, e.g. for improving roll-off of the foot
    • A43B13/148Wedged end por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43B13/203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provided with a pump or valv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43B13/125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idsole or middl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A43B13/186Differential cushioning region, e.g. cushioning located under the bal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9Resilient soles filled with a non-compressible fluid, e.g. gel,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2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38Elevating, i.e. height increasing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9Equipment associated with footwear for walking on inclines to compensate for angle of incl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16K15/04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shaped as balls
    • F16K15/048Ball features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 각도를 수평에 가깝도록 보정할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안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42);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44); 그리고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을 포함하는 4개로 구성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12); 그리고 상기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함과 같이, 좌우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도 서로 연결하고, 신발의 밑창이 전후 방향 및 좌우방향의 경사 상태가 되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밸브체(20,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신발 밑창의 경사 상태에서, 유체케이싱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경사가 보정된다.

Description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Outsoles for shoes being capable of adjusting partial height}
본 발명은 신발 밑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에 대해서도 밑창에 내장된 유체케이싱의 높이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보다 유리한 균형감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신발 밑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일상 생활에서도 즐겨 신는 일반적인 워킹화를 비롯하여, 등산화 및 골프화 등 여러 종류의 것이 생산되어 시판되고 있다. 이러한 신발에서 가장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는 워킹 시 발이 느끼는 편안함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발이 느끼는 편안함은 실질적으로는 쿳션기능(Cushioning)에 기초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발을 신을 때의 편안함을 제공하기 위하여, 현재 신발의 제조에서는 쿠션기능이 가장 중요한 기능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고,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공보 8,707,583 B2에 의하여 제안되는 신발을 살펴보면, 공기의 출입을 통한 에어 쿳션기능(Air cushioning)을 부여함으로써 신발의 착용 시 편안함(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장시간의 워킹에도 피로감을 덜 받도록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킹 시 신발에 대하여 편안함 또는 안락함을 느끼는 것은 실질적으로 쿠션 기능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많은 신발 제조회사에서 추구하고 있는 에어 쿠션 기능이외에도 신발의 착용 및 워킹에서 더 중요한 점은, 신발의 밑창이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로 수평을 유지하는가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전히 수평면을 이루고 있는 지면에서 워킹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신발 착용자가 편하고 안락함을 느낄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그러나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한 경사면을 걷는다면, 신발 착용자는 위에서 설명한 어떠한 에어쿠션을 가지더라도 경사 자체에 기인하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따라서 현재 신발 제조사에서 집중하고 있는 신발의 아웃솔 자체의 쿠션기능에 의하여 느끼는 안락감 또는 편함보다는, 실제 지면의 경사상태에 따라서 신발 착용자가 느끼는 편함 또는 불편함이 더욱 큰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경사를 가지는 지면을 걷는 경우에도 착용자가 상대적으로 더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밑창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 또는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을 걷는 경우에도 경사상태를 최대한 수평상태에 가깝게 보정함으로써, 착용자에게 편하고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경사진 지면에서 수평상태에 가깝도록 보정하는 것에 의하여, 부상의 위험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경사도에 의하여 유발되는 체력소모를 최대한 억제하는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같은 기본적인 목적 이외에도,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는 유체의 쿠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높이를 가지는 신발 밑창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을 포함하는 4개로 구성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 그리고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 및 좌우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고, 신발의 밑창이 전후 방향과 좌우방향 중에서 적어도 한 방향으로 경사 상태가 되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밸브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신발 밑창의 경사 상태에서, 상기 유체케이싱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의 경사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밸브체에 대한 제1실시 예에 의하면,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의 유체케이싱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로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높아서 유체 내에서 침강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낮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밸브체에 대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의 유체케이싱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로 각각 구성된다. 여기서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낮아서 유체 내에서 부력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상기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높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의 유체케이싱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신발 밑창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이 적어도 하나 이상 좌우 방향으로 배열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 그리고 상기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고, 신발의 밑창이 전후 방향의 경사 상태가 되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밸브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신발 밑창의 경사 상태에서, 상기 유체케이싱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에 의하여 전후 방향의 경사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신발 밑창은,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이 적어도 하나 이상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 그리고 상기 좌우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고, 신발의 밑창이 좌우 방향의 경사 상태가 되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는 다수의 밸브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신발 밑창의 경사 상태에서, 상기 유체케이싱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하여,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어,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에 의하여 좌우 방향의 경사가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전후 방향의 경사 지면 또는 좌우 방향의 경사지면에서는, 기본적으로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에 유체가 유입되면서 높이가 높아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신발 착용자는 수평 상태에 가깝게 되도록 경사가 보정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의 경사가 보정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보행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은 물론이고, 더 나가서는 사고의 위험도 충분히 해소시킬 수 있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밑창은 등산에서와 같이 오르막을 걸어가는 경우에는, 뒷굼치 부분의 높이를 평소 보다 높게 함으로써, 보다 쉬운 산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기본적인 기능을 제공하고, 내리막의 경우에는 그 반대로 높이가 조절된다. 이와 같이 전후방의 경사 또는 좌우측의 경사에 대하여 수평에 가까운 높이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편안한 워킹은 물론이고 안전한 워킹이 가능한 장점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예를 들면 골프화에 본 발명의 밑창이 적용되면,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경사가 있는 지역에서의 어드레스 자세에서 아주 편리하면서도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은 당연히 예상되는 현저한 작용효과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안정된 어드레스를 제공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경기력의 향상으로 직결되는 것임은 당연하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골프화 및 등산화 이외에도, 일반적인 산책이나 워킹 등에서도 실질적으로 경사각도를 수평에 가깝게 보정하는 것에 의하여, 편리함은 물론이고 안전성도 더욱 확보할 수 있는 잇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면의 경사에 기인하는 체력의 소모도 줄일 수 있는 장점도 기대될 것이다.
도 1은 전후방향의 경사지면에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의 기능을 보이는 설명도.
도 2는 좌우방향의 경사지면에서 본 발명의 신발 밑창의 기능을 보이는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하여 다수의 유체케이싱을 가지는 신발밑창의 횡단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신발밑창을 보인 도 3에서의 세로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신발밑창을 보인 도 3에서의 가로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전후 방향의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좌우방향의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전후 방향의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경사 상태 단면 예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신발밑창의 좌우방향의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경사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수평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체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경사상태에서의 단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밑창의 기본적인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걸어가는 방향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경사진 지면에서의 밑창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수평적인 지면을 걷고 있는 경우에는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의 두께(A,B) 변화가 없이 기본적인 수평상태(기본 설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오르막을 만나게 되면,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밑창이 변하게 된다. 도 1의 (b)에 도시한 상태는, 실질적으로 밑창의 전방부분의 높이(A-a)가 낮아지고, 후방부분의 높이(B+b)가 높은 상태로 변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는 걸어가는 방향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경사진 지면에서의 밑창의 변화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수평적인 지면을 걷고 있는 경우에는(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밑창의 두께(C,D) 변화 없이 기본적인 수평상태(기본 설정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워킹 상태에서 좌우 방향에 대한 경사지면을 만나게 되면 높은 위치(도면 상 좌측 부분)의 높이(C-c)는 낮아지고, 낮은 위치(도면 상 우측부분)의 밑창이 높이(D+d)가 두꺼워져서 실질적으로 우측부분이 높아지도록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수평에 가까운 지면을 걷는 경우에는 신발 밑창은 설정된 기본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전후 방향 또는 좌우 방향에 대한 경사 지면을 걷게 되면 경사 지면 중에서 낮은 위치의 밑창이 높아지면서 경사면에 대하여 보상을 수행하여 최대한 수평면에 가까운 상태로 걸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주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신발 밑창(10)에는, 다수개의 유체케이싱(12FL,12FR,12RL,12RR)(이하에서는 모든 유체케이싱을 총칭하여 12라고 칭합니다)이 내장되어 있다. 이러한 유체케이싱(12)은 내부에 유체(Fluid)를 내장하고 있고, 인접하는 유체케이싱과 밸브체(20,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RL, 12FR 및 12RR)을 연결하는 밸브체를 도면 부호 20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FR, 12RL 및 12RR)을 연결하는 밸브체를 도면 부호 30으로 표시하기로 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체케이싱(12)은 전후방향(FR)에 대하여 복수개, 바람직하기로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RL, 12FR 및 12RR)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유체케이싱(12)은, 좌우방향(RL)에 대해서도 복수 개, 바람직하기로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FR, 12RL 및 12RR)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각의 유체케이싱(12FL,12FR,12RL,12RR)은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인접하는 유체케이싱과 밸브체(20,30)를 통하여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전후 방향(FR)으로 배열된 한 쌍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RL, 12FR 및 12RR)은 밸브체(2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도 4), 좌우 방향(RL)으로 배열된 한 쌍의 유체케이싱(12FL 및 12FR, 12RL 및 12RR)은 밸브체(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도 5).
이와 같은 유체케이싱(12)의 연결관계를 정리하면, 전후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유체케이싱 및 좌우 방향으로 배열된 한 쌍의 유체케이싱은, 각각 밸브체(20,30)를 통하여 내부의 유체가 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연결되는 유체케이싱에서 내부의 유체가 인접하는 유체케이싱으로 이동하는 것은 밸브체(20,30)의 상태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유체케이싱(12)은, 그 내부의 유체가 연결된 다른 유체케이싱으로 이동할 수 있고, 다른 유체케이싱으로부터 유체가 유입되어 들어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체케이싱(12)은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어야 하고, 다른 유체케이싱에서 유체가 유입되면 전체적으로 부피가 커져서, 실질적으로 밑창의 높이를 높일 수 있도록 만들어져야 한다. 본 발명에서 신발 밑창 내부에 설치되는 유체케이싱은 실질적으로느 신발 밑창의 넓이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유체케이싱(12)의 내부로 다른 유체케이싱에서 유체가 유입되면 높이가 변화하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유체케이싱(12)은 외력이 인가되지 않으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밸브체(20,30)는 유체를 단속하기 위한 것으로, 신발 밑창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 일방향으로만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상태, 즉 전후방향(FR)으로 경사진 경사면, 더욱 구체적으로는 오르막을 걷는 경우에서는, 신발의 밑창(10)에서 후방에 위치하는 유체케이싱(12RL,12RR)이 높아져야만 오르막길에 대한 밑창의 높이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지면에 대한 다른 예로써 내리막을 걷는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전방에 위치하는 유체케이싱(12FL,12FR)이 부풀어 올라서 높아져야만 내리막길에 대한 밑창의 높이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전후 방향의 경사를 가지는 지면에 대해서, 전후 방향에 대한 밑창의 높이 보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높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으로 유체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이는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에서 높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으로의 유체의 이동은 절대로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밸브체(20)는,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12)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12)으로 유체가 흐를 수 있고, 그 반대 방향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일어나지 않도록 동작해야 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밸브체(20,3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밸브체(20)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유체케이싱(12FL 및 12RL, 12FR 및 12RR)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밸브체(20)는, 내부에 유체가 흐를 수 있는 내부통로(23)를 구비하는 밸브바디(22)와, 상기 밸브바디(22)의 내부통로(23)에 내장되어 신발의 경사 방향에 따라서 이동하는 체크볼(28)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내부통로(23)는, 연결되어 있는 유체케이싱(12) 내부의 유체가 흐를 수 있는 연결통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통로(23)의 양측단부에는 볼안착부(24a,24b)가 성형되어 있다. 이러한 볼안착부(24a,24b)는 볼이 그 내부에 들어오면 완전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볼의 외형의 일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볼안착부(24a,24b) 사이의 내부통로에서, 저면은 수평면으로 성형하는 것이 체크볼(28)의 좌우 이동에 유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24a,24b)가 성형된 내부통로(23)의 양측 단부는 연결부(26a,26b)을 통하여 각각의 유체케이싱(12)과 연결된다. 따라서 서로 연결된 유체케이싱(12)의 내부에 있는 유체가, 다른 유체케이싱으로 흐르기 위해서는, 유체케이싱(12)에서 연결부(26a,26b), 내부통로(23), 그리고 다른 측의 연결부를 경유하여 다른 유체케이싱으로 이동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좌우측에 서로 위치하고 밸브체(30)에 의하여 연결되는 유체케이싱(12FL 및 12FR, 12RL 및 12RR)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실질적으로 도 6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구성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좌측에 위치하는 유체케이싱(12FL 또는 12RL)은 밸브바디(22)의 우측의 연결부(26d)와 연결되고, 우측에 위치하는 유체케이싱(12FR 또는 12RR)은 밸브바디(22)의 좌측의 연결부(26c)와 연결되어 있다고 표시하고 있다. 또한 밸브바디(22)의 좌측에는 볼안착부(24c)가 성형되어 있고, 밸브바디(22)의 우측에는 볼안착부(24d)가 형성되어 있다고 표시하고 있다.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체크볼(28)은 유체케이싱(12) 내부의 유체 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짐과 같이, 상기 밸브바디(22)의 양측에 성형된 연결부(26a,26b)는 서로 반대 방향의 유체케이싱(12)과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체크볼(28)이 유체보다 비중이 높은 재질로 만들어진다고 함은, 예를 들면 유체는 공기와 같은 기체로 구성되고, 상기 체크볼(28)은 충분한 강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성형되는 예를 들 수 있다. 여기서도 상기 유체는 기체가 아니라 액체가 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상기 체크볼(28)은 이러한 액체보다 비중이 높은 금속재로 성형되면 충분하다.
상기 내부통로(23)는, 유체가 흐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러한 내부통로(23) 내에서는 상기 체크볼(28)에 의하여 유체의 흐름이 규제될 수 없다. 즉 체크볼(28)이, 상술한 볼안착부(24a,24b) 중의 어느 일측에 밀착된 상태가 아니라, 내부통로(23)에 있게 되면, 유체는 내부통로(23)를 통하여 흐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는 체크볼(28)이 어느 일측의 볼안착부(24a,24b)에 밀착되면 적어도 일측으로의 유체의 흐름이 규제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러한 설명은 도 7에 도시한 좌우방향으로 배열되어 밸브체(30)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는 유체케이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시한 바와 같은 실시 예에 있어서, 다수 개의 유체케이싱(12)은 서로 연결되어 내부의 유체가 다른 유체케이싱(12)으로 이동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러한 유체케이싱(12)은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데, 전후방에 위치하는 유체케이싱들(12FL 및 12RL, 12FR 및 12RR)이 서로 연결되고, 좌우측에 있는 유체케이싱들(12FL 및 12FR, 12RL 및 12 RR)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이러한 유체케이싱(12)이 밸브체(20,30)를 경유하여 서로 연결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체케이싱(12)과 밸브체(20)의 연결부(26a,26b)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연결된다. 즉, 도 3 및 도 6에 도시한 것을 기준으로 하면, 내부통로(23)의 양측에 형성되는 연결부(26a,26b)는 반대 방향의 유체케이싱(12)과 연결된다. 즉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 및 12 FR)은 후방의 연결부(26b)와 연결되고,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 및 12RR)은 전방에 있는 연결부(26a)와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반대 방향의 연결은 좌우 방향(RL)에 대해서도 동일한데, 도 3 및 도 7을 기준으로 하면, 좌측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 및 12RL)은 밸브바디(22)에서 우측의 연결부(26d)와 연결되고, 우측에 있는 유체케이싱(12FR 및 12RR)은 밸브바디(22)에서 좌측의 연결부(26c)와 연결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체크볼(28)은 유체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유체에 대하여 침강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10)이 수평 상태가 되면 상기 체크볼(28)은 볼안착부(24a,24b)에 밀착되지 않고, 내부통로(23)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체케이싱(12)에 대한 외력이 없거나 양측의 유체케이싱(12)에 동일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유체는 이동이 없는 상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유체케이싱(12)은 신축성이 있어서, 유체의 유입에 의하여 부풀어서 신발 밑창의 높이가 높아져야 하고, 유체가 빠져 나가면 그 반대로 신발 밑창의 높이가 낮아질 수 있는 재질, 즉 신축성이 있는 재질로 성형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유체케이싱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되면, 원래의 상태로 자연스럽게 복원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다수의 유체케이싱(12)은 신발에서 밑창을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42)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44) 사이에 구비되어야 한다. 그리고 위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유체케이싱(12)의 체적변화에 의한 높이변화에 따라서 상기 지면접촉부(44)와 발바닥접촉부(42) 사이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내부에 있는 유체의 이동에 의하여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케이싱(12)의 높이가 충분히 변할 수 있도록 다른 부품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고, 예를 들면 측면형성부재(46) 또는 유체케이싱(12)의 테두리부분에 접촉하여 유체의 유입에 의하여 유체케이싱(12)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도록 유도하거나 안내하는 부재 등을 이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할 것이다. 또는 본 발명의 유체케이싱(12)을 지면접촉부(44)와 발바닥접촉부(42) 사이에서 구획된 칸막이 내부에 설치하여, 유체의 출입에 의하여 높낮이가 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다음에는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신발 밑창의 사용 시, 상태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밑창(10)이 적용되어 신발이 완성되면, 기본적으로 설계된 상태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기본 설정 상태는 신발을 신지 않은 상태이고 외력이 밑창에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기본 설정 상태에서, 신발의 밑창(10)은 정해진 높이를 가지게 된다. 예를 들면 기본적으로 발바닥접촉면(42)의 전방부분(42F) 및 후방부분(42R)은 상술한 다수의 유체케이싱(12)에 의하여 형성되는 정해진 높이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정해진 높이는 실질적으로 후방부분(42R)이 다소 높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에서 기본 설정 상태라고 함은,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R,12FL) 및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이 정해진 양의 유체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에서 정해진 높이를 가지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모든 유체케이싱(12)은 어떠한 외력도 가해지지 않은 상태임과 동시에 어떠한 복원력도 가지고 있지 않은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본 설정 상태 또는 도 1의 (a) 및 도 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면을 가지는 지면을 걷는 상태에서는, 신발의 밑창(10)의 높이 변화는 전체적으로 볼 때 발생하지 않는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에서, 상기 체크볼(28)은 유체보다 높은 비중을 가지기 때문에, 유체에 대하여 침강력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발밑창(10)이 수평 상태가 되면 상기 체크볼(28)은 어느 측의 볼안착부(24a,24b)에도 밀착되지 않고, 내부통로(23)의 중심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는 상기 유체케이싱(12)에 대한 외력이 없거나 양측의 유체케이싱(12)에 동일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유체는 이동이 없는 상태이다.
그리고 예를 들어 수평면을 가지는 지면을 걷는 경우를 상정하면, 신발 밑창이 지면에 전체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경우에는 발바닥 전체가 균일하게 발바닥접촉면(42)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밑창의 높이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평지를 걷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발바닥이 전체적으로 발바닥접촉부(42)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걷기를 시작하면, 뒷굼치가 먼저 들지게 되면서 신발 밑창은 전방이 낮은 경사상태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 때 앞굼치는 신발 밑창의 발바닥접촉부(42)의 전방부분(42F)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렇게 전방이 낮은 경사 상태가 되면 도 8과는 반대 방향의 경사상태가 되는데, 이 때 체크볼(28)은 전방에 있는 볼안착부(24a)에 안착된 상태가 되어, 실질적으로 전방의 유체케이싱(12FL,12FR)에서 내부통로(23)까지는 유체가 들어갈 수 있어도, 체크볼(28)이 전방의 볼안착부(24a)에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부통로(23)에서 전방의 연결부(26a)로 유체가 나갈 수 없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발의 앞굼치가 발바닥접촉부(42)의 전방부분(42F)을 누른다고 하더라도,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12FR)에서 유체가 빠져나가지 못하기 때문에, 신발 밑창의 높이 변화는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신발이 지면에서 떨어지게 되는데, 신발이 지면에서 떨어지면 실질적으로 발바닥 접촉부(42)에는 외력(발바닥에 의한 압력)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유체케이싱의 높이 변화는 발생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신발이 지면에 착지하는 과정에서는 먼저 발의 뒷굼치가 지면에 접촉하면서, 발바닥접촉부(42)의 후방부분(43R)이 가압된다.
그러나 워킹 중 발이 지면에 착지하는 순간에는, 신발은 뒷 부분이 낮은 경사 상태를 이루게 되어 도 8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에 압력이 가해지게 된다. 그러나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체크볼(28)이 후방의 볼안착부(24b)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의 유체케이싱(12RL,12RR)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12FL,12FR)으로 유체의 이동은 불가능한 상태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면을 이루고 있는 지면을 워킹하는 과정에서는, 실질적으로 유체케이싱(12)에서의 유체의 출입이 발생할 수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신발 밑창의 높이 변화는 전체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된다. 여기서 신발의 저면 전체가 지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발의 앞굼치가 전방부분(42F)를 누르거나 뒷굼치가 후방부분(42R)을 누르는 경우에는 일측의 유체케이싱에서 다른 측을 유체가 조금은 흐를 수 있으나,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체크볼이 볼안착부(24a,24b,24c,24d)에 안착되기 때문에 소량의 흐름만이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소량의 유체 흐름은 신발 밑창의 경사도 변화까지 유발하지는 못하는 수준일 것이고, 신발에 쿠션기능을 부여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평지를 걷는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유체케이싱(12) 내부의 유체의 체적변화가 없어서, 실질적인 밑칭의 높이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점은, 기본 설정 상태에서의 다수의 유체케이싱(12)이 원래 정해진 형상을 유지하고 있는 복원력이 작용한 상태라고도 볼 수 있다.
다음에는 평지에서 경사면(오르막)으로 변하는 상태에서의 신발 밑창(10)의 높이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수평상태에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지면, 예를 들면 오르막길에 들어서면 신발은 경사면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유체(본 실시예에서는 기체) 보다 비중이 높은 체크불(28)은 후방으로 밀려서 후방의 볼안착부(24b)에 안착되면서, 내부통로(23)에서 후방의 연결부(26b)로 나가는 유체의 흐름은 차단하게 되고, 연결부(26b)를 통하여 내부통로(23)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만을 허용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의 유체케이싱(12FL,12FR)과 연결되어 있는 후방의 연결부(26b)에서 내부통로(23)의 내부로, 그리고 내부통로(23)의 내부에서 전방의 연결부(26a)를 통하여 후방의 유체케이싱(12RL,12RR)로 유체의 이동만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걸음에 의하여 경사진 지면에서 도 8과 같은 상태로 있는 밑창을 발바닥이 가압하게 되면,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12FR)에서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으로 유체가 유입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을 오르는 과정에서, 신발 밑창은 거의 대부분이 전방이 높은 경사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신발 밑창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은 지면에 신발이 접촉하여 발바닥접촉부(42)에 체중이 실려 있는 과정에서 일어나게 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르막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발바닥이 및창(10)의 발바닥접촉부(42)을 가압한다고 하더라도,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12FR)에서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으로만 유체의 이동이 일어날 수 있게 되어 있기 때문에, 오르막에서는 항상 밑창(10)의 후방부분의 높이가 높아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밑창이 적용된 신발은 오르막에서는 뒷 부분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으로 유체가 이동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신발은 항상 뒷부분의 높이가 높게 보정될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분적인 높이 변화는 착용자가 더욱 편하면서도 안전하게 오를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르막에서의 유체의 이동을 정리하면, 실질적으로 신발의 적어도 일부가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유체의 이동이 일어난다고 할 수 있는데, 오르막에서는 신발은 대체적으로 선단부가 위에 있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전후 방향의 유체케이싱(12) 사이의 밸브체(20)에서, 체크볼(28)은 항상 후방의 볼안착부(24d)에 안착되어 있기 때문에, 후방의 유체케이싱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으로 유체는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발바닥이 밑창에 하중을 가하더라도 전방부분의 유체케이싱(12FR,12FL)을 누르는 힘이 후방부분의 유체케이싱(12RL,12RR)을 누르는 힘 보다 큰 경우에만, 유체가 전방의 유체케이싱에서 후방의 유체케이싱으로 흐르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원리는, 내리막의 경사 지면에도 동일하게 적요될 뿐만 아니라, 좌우측으로 경사진 경사 지면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명백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오르막 경사를 지나 다시 수평면을 이루는 지면에 도착하여 신발이 지면과 접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신발의 뒷부분이 먼저 지면에 접촉하는데 이러한 상태는 신발 자체는 앞이 들려 있는 경사 상태이면서, 사람의 뒷굼치가 신발의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을 가압하는 상태이다. 그리고 이어서 신발 밑창의 전체면이 지면에 접촉하고, 그 다음에는 뒷부분이 들리면서 밑창의 앞부분만이 지면과 접촉하게 된다. 즉, 하나의 발의 한 걸음 과정에서, 신발의 밑창의 경사의 변화를 보면, 앞부분이 높은 경사 상태에서 점진적으로 수평상태, 그리고 이어서 앞부분이 낮은 경사 상태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 따라서 상기 체크볼(28)의 위치도 변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오르막 경사를 지나 수평면을 이루는 지면에 도착한 상태에서는, 실질적으로 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RL,12RR)이 부풀어서 높아진 상태이기 때문에, 사람이 계속하여 평지를 걸을 때와는 달리, 높아진 상태의 후방 유체케이싱(12RL,12RR)에 가하는 힘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 걸음의 과정에서 후방의 유체케이싱(12RL,12RR)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12RF,12FL)으로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순간, 즉 체크볼(28)이 후방의 볼안착부(24b)에 밀착된 상태를 제외한 시간 동안[체크볼이 전방의 볼안착부(24a)에 위치하거나 내부통로(23)에 있는 동안], 발의 앞굼치가 전방의 유체케이싱을 가압하는 힘 보다 뒷굼치가 후방부분(42R)을 가압하는 힘이 더 큰 경우, 후방의 유체케이싱(12RL,12RR)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12FL,12FR)으로 유체가 흘러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즉, 오르막을 오른 상태에서 후방의 유체케이싱(12RL,12RR)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12FR,12FL)으로 유체가 이동하게 되면서, 실질적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기본 설정상태로 돌아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기본 설정상태의 복귀는, 한 걸음의 동작으로 완벽하게 완료되는 것은 아니고 몇 걸음 이내의 동작으로 완료될 것이다. 여기서 처음의 한 두 걸음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유체의 흐름(후방의 유체케이싱에서 전방의 유체케이싱으로)이 발생할 것임은 당연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기본설정상태로 유체케이싱의 상태가 복귀하는 것은, 유체케이싱(12)의 탄성복원력도 어느 정도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된다.
그리고 전후 방향에 대한 경사면 중에서도, 내리막을 걷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는데, 내리막을 걷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오르막을 걷는 경우와 정반대 방향으로 유체케이싱(12)의 변화가 일어난다. 따라서 전방에 있는 유체케이싱(12FL,12FR)에 유체가 유입됨으로써 신발 밑창(10)의 전방부분이 높아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수평 지면에 이르게 되면, 오르막에서 평지로 가는 과정에서와 동일한 원리에 의하여, 기본 설정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다음에는 도 5, 도 7, 그리고 도 9를 참조하면서, 워킹 시 좌우 방향의 경사면에서의 신발 밑창의 변화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실질적으로 좌우 방향의 경사면에서의 변화도 위에서 설명한 전후 방향의 경사면에서의 변화와 원리는 동일하다. 도 7에 도시한 수평 지면의 상태에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이 높은 경사면에 이르게 되면, 체크볼(28)은 우측에 위치하는 볼안착부(24d)에 들어가서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실질적으로 좌측의 유체케이싱(12FL,12RL)에서의 유체가 연결부(26d)을 거쳐 내부통로(23)로, 그리고 내부통로에서 연결부(26c)를 거쳐서 우측의 유체케이싱(12FR,12RR)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상태이다. 이와 동시에 우측의 유체케이싱(12FR,12RR)에서 좌측의 유체케이싱(12FL,12RL)으로는 유체의 흐름이 체크볼(28)에 의하여 엄격하게 차단된 상태이다.
따라서 도 9에서와 같은 경사면에서, 사용자가 발바닥접촉부(42)를 통하여 유체케이싱(12)을 가압하게 되면, 실질적으로는 높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으로 유체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이동에 의하여 실질적으로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에 대한 보정이 이루어지게 되어, 가능한 범위 내에서 수평상태에 근접하게 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9에서는 좌측이 높은 경사면을 예로 들고 있으나, 우측이 높은 경사면에서의 좌우 경사 보정을 위한 유체의 흐름은 동일한 원리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좌우의 경사면에 대한 워킹이 끝나고, 다시 수평 지면으로 돌아오게 되면, 실질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후 방향의 경사면에서 수평 지면으로 돌아온 상황과 동일한 원리도 기본 설정 상태로 복귀하게 될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전후방향의 경사와 좌우 방향의 경사 지면을 걷는 경우를 각각 분리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제 지면은 좌우 및 전후 방향의 경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좌우 방향의 경사 및 전후 방향의 경사가 복합적으로 이루어진 경사 지면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유체의 흐름이 동시에 복합적으로 일어날 것임은 당연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살펴본 실시 예는, 유체케이싱(12) 내부의 유체는 기체이고, 체크볼(28)은 비중이 높은 금속재로 성형되어 침강력을 갖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는 유체케이싱(12A,12B)의 내부에 들어가는 유체가 예를 들면 액체로 구성되고, 체크볼(28)은 액체보다 비중이 낮아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 즉 유체 보다 비중이 가벼운 재질의 것으로 성형한 실시예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 예의 경우에도, 경사면을 워킹하는 경우에는 낮은 쪽의 유체케이싱이 높아져야 실질적인 경사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유체케이싱(12A)와 제2유체케이싱(12B)은, 밸브체(20)에 의하여 내부의 유체가 서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상기 내부통로(23)가 형성되어 있는 밸브바디(22)의 양측면에 볼안착부(24A,24B)가 성형되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 예와 동일하다. 여기서 상기 볼안착부(24A,24B)의 내부를 통하여 성형되는 연결부(26A,26B)는 각각 동일한 방향의 유체케이싱(12A,12B)과 연결되어 있다.
즉 좌측의 유체케이싱(12A)은 밸브바디(22)의 좌측에 형성되는 연결부(26A)와 연결되어 있고, 우측의 유체케이싱(12B)은 밸브바디(22)의 우측에 형성되는 연결부(26B)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있어서는, 체크볼(28)이 부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밸브바디(22)의 상면을 수평면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 있어서도, 평지를 걷는 경우의 유체케이싱(12A,12B)의 변화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에 이르게 되면, 상기 체크볼(28)은 부력이 있기 때문에 높은 측에 있는 볼안착부(24A)에 밀착된다. 이렇게 되면 실질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A)에서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12B)으로의 유체의 흐름은 가능하지만, 그 반대 방향의 유체 흐름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유체를 액체로 구성하고 체크볼을 비중이 낮은 물질로 구성하여 부력을 가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연결부와 유체케이싱을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연결함으로써, 경사 지면에서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 내부로 유체가 흐르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실시예에 있어서도, 실질적인 동작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기 때문에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경사지면을 걷거나 경사지면에서 멈춘 상태로 있을 경우, 낮은 위치에 있는 유체케이싱이 부풀어서 높이를 높게 보정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체를 기체로 하는 경우에는 금속제와 같이 강도가 충분히 확보되는 체크볼을 사용할 수 있어서, 경량이면서도 확실한 동작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유체를 액체를 사용하고 부력을 가지는 체크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밸브체 좌우(전후)의 연결부를 유체케이싱과 보다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신발 밑창
12, 12FL, 12FR, 12RL, 12RR ..... 유체케이싱
20, 30 ..... 밸브체
22 .... 밸브바디
23 ..... 내부유로
24a, 24b, 24c, 24d ..... 볼안착부
26a, 26b, 26c, 26d ..... 연결부
28 ..... 체크볼
42 ..... 발바닥접촉부
44 ..... 지면접촉부

Claims (6)

  1.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과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을 포함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그리고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 및 좌우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밸브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의 유체케이싱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높아서 유체 내에서 침강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신발밑창의 경사에 의하여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체크볼은 낮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는 신발용 밑창.
  2.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 및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을 포함하고, 신축성 있는 재질로 성형되는 다수의 유체케이싱,그리고 전후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 및 좌우 방향의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는 다수의 밸브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상기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의 유체케이싱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과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낮아서 유체 내에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신발밑창의 경사에 의하여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체크볼은 높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는 신발용 밑창.
  3.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는 밸브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낮아서 유체 내에서 부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인접한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신발밑창의 경사에 의하여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체크볼은 높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는 신발용 밑창.
  4. 신발착용자의 발바닥이 접촉하는 발바닥접촉부, 워킹 중 지면과 접촉하는 지면접촉부, 신축성 있는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발바닥접촉부와 지면접촉부 사이에서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유체케이싱, 그리고 상기 한 쌍의 유체케이싱을 서로 연결하는 밸브체로 구성되고;
    상기 밸브체는, 유체케이싱 내부의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내부통로와, 상기 내부통로의 양측면 내부에 성형되고 체크볼이 안착되면 일방향의 유체흐름이 규제되는 한 쌍의 볼안착부, 어느 하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면 일방향으로만 유체의 흐름을 허용하고 내부통로 내에서는 유체의 양방향 흐름을 허용하는 하나의 체크볼, 그리고 상기 볼안착부를 경유하여 전후방향 또는 좌우방향의 유체케이싱을 연결하는 연결부로 구성되고;
    체크볼은 유체보다 비중이 높아서 유체 내에서 침강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고, 상기 연결부는 서로 반대방향에 있는 유체케이싱과 연결되며;
    신발밑창의 경사에 의하여 밸브체가 기울어지면, 상기 체크볼은 낮은 위치의 볼안착부에 안착되어, 높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에서 낮은 위치의 유체케이싱으로만 유체가 흐르도록 규제하는 신발용 밑창.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케이싱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성형되는 신발용 밑창
  6. 삭제
KR1020150130834A 2015-09-16 2015-09-16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101645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34A KR101645319B1 (ko) 2015-09-16 2015-09-16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EP16165213.6A EP3202277A1 (en) 2015-09-16 2016-04-14 Sole of shoe having partially adjustable height depending on inclination
JP2016083536A JP6218877B2 (ja) 2015-09-16 2016-04-19 高さ調節が可能な靴底
US15/135,871 US10182613B2 (en) 2015-09-16 2016-04-22 Sole of shoe having partially adjustable height depending on inclination
CN201610332932.5A CN106539189B (zh) 2015-09-16 2016-05-18 具有根据倾角高度局部可调节的鞋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0834A KR101645319B1 (ko) 2015-09-16 2015-09-16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801A Division KR101709666B1 (ko) 2016-04-27 2016-04-27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319B1 true KR101645319B1 (ko) 2016-08-03

Family

ID=5575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0834A KR101645319B1 (ko) 2015-09-16 2015-09-16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182613B2 (ko)
EP (1) EP3202277A1 (ko)
JP (1) JP6218877B2 (ko)
KR (1) KR101645319B1 (ko)
CN (1) CN10653918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11A1 (ko) * 2016-12-07 2018-06-14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920030B1 (ko) 2016-12-07 2018-11-19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920032B1 (ko) 2016-12-07 2019-02-08 김용수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969014B1 (ko) * 2018-03-27 2019-04-15 현대강전(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WO2019189982A1 (ko) * 2018-03-27 2019-10-03 현대강전 주식회사 다수의 출입구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13407B2 (en) 2015-11-30 2020-10-27 Nike, Inc.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having strain relief element and method of fabrication
US10932523B2 (en) 2015-11-30 2021-03-02 Nike, Inc. Electrorheological fluid structure with attached conductor and method of fabrication
WO2019046516A1 (en) 2017-08-31 2019-03-07 Nike Innovate C.V. FOOTWEAR COMPRISING A TILT ADJUSTMENT ELEMENT
WO2019046520A1 (en) 2017-08-31 2019-03-07 Nike Innovate C.V. MULTI-CHAMBER DISCRETE TILT ADJUSTMENT DEVICE
WO2019074588A1 (en) 2017-10-13 2019-04-18 Nike Innovate C.V. FOOTWEAR SHOE WITH ELECTRO-HEAT FLUID COMPARTMENT
WO2019231968A1 (en) * 2018-05-31 2019-12-05 Nike Innovate C.V. Adjustable foot support systems including fluid-filled bladder chambers
DE202018103942U1 (de) * 2018-07-10 2019-10-11 Jacek Czernicki Vorrichtung zur Schrittweitenvariierung
CN117338091A (zh) * 2019-05-31 2024-01-05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具有自适应高度的囊元件的鞋类物品
CN114502028A (zh) * 2019-08-23 2022-05-13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用于鞋类物品的鞋底结构
US20210361030A1 (en) * 2020-05-22 2021-11-25 Nike, Inc. Foot Support Systems, Sole Structures, and Articles of Footwear Including Interconnected Bladder Chambers for Inducing Til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1418Y1 (ko) * 2000-04-17 2000-11-01 권해붕 바닥재(밑창) 경사가 조정되는 골프화
KR20050122149A (ko) * 2004-06-23 2005-12-28 이지민 경사각 조절 신발
US20130067775A1 (en) * 1999-03-16 2013-03-21 Anatomic Research, Inc. Removable rounded midsole structures and chambers with computer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pressure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0330A1 (de) * 1967-04-24 1971-01-21 Svaerd Alf Georg Ventil mit rollenden Ventilkoerpern
FR2452889A1 (fr) * 1979-04-03 1980-10-31 Reber Walter Dispositif destine a faciliter la locomotion de l'homme se deplacant a pied sur le sol
DE3031818A1 (de) * 1980-08-22 1982-04-08 Marker, Hannes, 8100 Garmisch-Partenkirchen Schuh, insbesondere sportschuh
US4446634A (en) * 1982-09-28 1984-05-08 Johnson Paul H Footwear having improved shock absorption
JPH0743558Y2 (ja) * 1990-02-13 1995-10-09 株式会社クボタ 開閉弁を兼ねる逆止弁
US5179792A (en) * 1991-04-05 1993-01-19 Brantingham Charles R Shoe sole with randomly varying support pattern
US5598645A (en) * 1992-01-02 1997-02-04 Adidas Ab Shoe sole, in particular for sports shoes, with inflatable tube elements
US5673498A (en) * 1995-02-27 1997-10-07 Amir; Avni Shock absorbing system for human feet
US5813142A (en) * 1996-02-09 1998-09-29 Demon; Ronald S. Shoe sole with an adjustable support pattern
US5706589A (en) * 1996-06-13 1998-01-13 Marc; Michel Energy managing shoe sole construction
JPH10196817A (ja) * 1997-01-09 1998-07-31 Tec Corp 切換バルブ
US6170173B1 (en) * 1999-05-18 2001-01-09 Gayford Casto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flow transfer in shoes
US6519873B1 (en) * 1999-10-21 2003-02-18 Yamamoto Limited Plastic bellows inserted into soles
US6457262B1 (en) * 2000-03-16 2002-10-01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a motion control device
US6889451B2 (en) * 2003-04-23 2005-05-10 Mike, Inc. Fluid system with internal filter
US20050055846A1 (en) * 2003-09-17 2005-03-17 Richard Caldwell Footwear piece with cushioning system and method of absorbing impact forces on the feet of a walker or runner
US7603725B2 (en) * 2004-06-07 2009-10-20 Kerry Sheldon Harris Shock balance controller
JP4411439B2 (ja) * 2005-12-20 2010-02-10 独立行政法人国立高等専門学校機構 靴底及び靴
JP2009299308A (ja) * 2008-06-11 2009-12-24 Sekisui Chem Co Ltd 逆流防止構造及び排水施設
US8316560B2 (en) 2010-02-15 2012-11-27 Nike, Inc. Air cushioning outsole window
JP2012016447A (ja) * 2010-07-07 2012-01-26 Toyota Motor Corp 足底機構
JP2013204698A (ja) * 2012-03-28 2013-10-07 Osaka Gas Co Ltd 配管用水遮断弁
US9820531B2 (en) * 2015-05-29 2017-11-21 Nike, Inc. Footwear including an incline adjus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67775A1 (en) * 1999-03-16 2013-03-21 Anatomic Research, Inc. Removable rounded midsole structures and chambers with computer processor-controlled variable pressure
KR200201418Y1 (ko) * 2000-04-17 2000-11-01 권해붕 바닥재(밑창) 경사가 조정되는 골프화
KR20050122149A (ko) * 2004-06-23 2005-12-28 이지민 경사각 조절 신발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5811A1 (ko) * 2016-12-07 2018-06-14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920030B1 (ko) 2016-12-07 2018-11-19 김용수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KR101920032B1 (ko) 2016-12-07 2019-02-08 김용수 수평 상태 및 경사 방향에 따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어셈블리
CN110072402A (zh) * 2016-12-07 2019-07-30 金龙洙 可沿着倾斜方向控制流体的流动方向的阀组件
JP2020500656A (ja) * 2016-12-07 2020-01-16 キム, ヨン−ソKIM, Yong−Soo 傾斜方向に応じて流体の流れ方向を制御可能なバルブアセンブリ
KR101969014B1 (ko) * 2018-03-27 2019-04-15 현대강전(주)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WO2019189981A1 (ko) * 2018-03-27 2019-10-03 현대강전 주식회사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밸브 어셈블리
WO2019189982A1 (ko) * 2018-03-27 2019-10-03 현대강전 주식회사 다수의 출입구를 가지는 밸브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56184A (ja) 2017-03-23
US10182613B2 (en) 2019-01-22
CN106539189A (zh) 2017-03-29
CN106539189B (zh) 2018-09-25
JP6218877B2 (ja) 2017-10-25
EP3202277A1 (en) 2017-08-09
US20170071287A1 (en) 201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5319B1 (ko)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US11622601B2 (en) Footwear with flexible cage and wedge
JP7136923B2 (ja) 複数のプレート及び介在の流体充填ブラダを備えるソール構造体、並びにこれの製造方法
KR101178266B1 (ko)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EP2241208A1 (en) Sole for shoes enabling exchange of shock-absorbing member
US8056261B2 (en) Footwear sole construction
CN101877978B (zh) 高跟鞋和用于高跟鞋的插入物
US7523566B2 (en) Shoe sole
US20110225852A1 (en) Articles of Footwear
US20110113646A1 (en) Articles of Footwear
KR100884659B1 (ko) 충격분산기능과 구름보행기능을 가지는 신발중창
KR101329615B1 (ko) 기능성 신발물품
JP2006334395A (ja) 履物ソール
US20130318828A1 (en) Two-part sole for footwear
KR101380100B1 (ko) 신발 밑창
US9943132B1 (en) Support insole for shoes
EP2019604B1 (en) Cushioning member
KR101089139B1 (ko) 신발창
JP2015509384A (ja) 歩行修正または歩行保存のための靴底
KR200412036Y1 (ko) 키 높이용 보조 신발깔창
KR101709666B1 (ko) 경사도에 따라 부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한 신발 밑창
KR20140104210A (ko) 충격 흡수용 신발 밑창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79740A1 (en) Basketball Shoe Sole
KR101329616B1 (ko) 기능성 신발물품
KR20060055724A (ko) 기능성 신발 깔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