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007B1 -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 Google Patents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007B1
KR101645007B1 KR1020150033818A KR20150033818A KR101645007B1 KR 101645007 B1 KR101645007 B1 KR 101645007B1 KR 1020150033818 A KR1020150033818 A KR 1020150033818A KR 20150033818 A KR20150033818 A KR 20150033818A KR 101645007 B1 KR101645007 B1 KR 10164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eparating
tension member
main body
separa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8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현구
조아서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33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500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00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separating a wedge and a method for separating a wedge using the same which can separate a wedge mounted on a tendon for prestressing from a fixing part for fixing the tendon in a prestress concrete technique of a building or a public work structure to dismantle the we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separating a wedge dismantles a wedge mounted on a tendon for prestressing from a barrel fixing part, and comprises: a wedge insertion unit dented on a front end of cylindrical main body, into which the wedge is inserted to be stopped; a tendon insertion hole penetrated in the middle of the wedge insertion unit to a rear end of the main body, through which the tendon passes; a fixing part insertion unit which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wedge insertion unit of the middle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and has a diameter larger than the wedge insertion unit to allow the barrel fixing part on which the tendon is mounted to be inserted thereinto to be stopped; and an opening part formed on a side of the wedge insertion unit of the main body to collect the wedge.

Description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 separating device and a wedge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축·토목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 등에서 긴장재를 고정하는 정착구로부터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에 결합된 쐐기를 분리하여 해체할 수 있는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에 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 separating device for separating and disassembling a wedge coupled to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from a fixation port for fixing a tension member in a prestressed concrete method of a building or civil structure, and a wedge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콘크리트는 인장 강도가 현저하게 작으므로, 인장 응력이 생기는 부분에 미리 압축의 프리스트레스를 주어 콘크리트의 인장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경우가 있다.Since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is remarkably small, a prestress may be introduced to increase the tensile strength of concrete by applying a compressive prestress to a portion where tensile stress occurs.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PC 강연선 등의 긴장재를 미리 인장시켜 설치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프리텐션 공법과 콘크리트 경화 후 긴장재를 긴장시키는 포스트텐션 공법이 있다.As a method of introducing a prestress into a member, there are a pre-tension method in which a concrete is laid in a state where a tensile material such as a PC strand is pre-tensioned, and a post-tension method in which a tensile material is tightened after the concrete is cured.

또한, 강연선에 피복이 없거나 쉬스관을 이용하고 그라우팅을 하는 것을 부착식이라 하고, 한 가닥의 강연선마다 피복이 있거나 쉬스관을 이용하면서 그라우팅을 하지 않는 경우를 비부착식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Also, the case where there is no covering on the strand or the case where the grouting is carried out by using the sheath tube is referred to as an adhesion type, and the case where there is a covering for each strand of strand or the case where grouting is not performed by using a sheath tube is also classified as non-sticking.

부착 강연선을 이용하는 프리텐션 공법은 주로 프리캐스트 공법에 사용하며, 정착구의 해체가 반드시 필요하다. The pretensioning method using the stiffened strand is mainly used in the precast method, and the dismantling of the fixing agent is indispensable.

그러나 종래 부착 강연선을 이용하는 프리텐션 공법은 강연선에 걸려 있는 팽팽한 상태의 인장력 때문에 강연선 절단시 매우 위험할 수 있고, 절단된 강연선과 정착구를 다시 물리적으로 분리해야 하는 과정이 수반된다. However, the pretension method using a conventional stiffened wire may be very dangerous in the case of cutting the stranded wire due to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stranded wire, and a process of physically separating the stranded wire and the anchorage is accompanied.

아울러 포스트텐션 공법의 경우에는 사용 중 유지 관리 차원에서 쐐기 또는 강연선을 교체하거나 해체할 필요가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ost-tensioning method, it is necessary to replace or dismantle the wedge or stranded wire in maintenance and management.

그러나 포스트텐션 공법에서는 강연선이 건물 슬래브 등 콘크리트 내부에 묻혀 있고 강연선의 양단이 정착장치와 쐐기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강연선의 절단 혹은 일단에서 강연선을 빼내는 방법 등으로 부재의 파괴 없이 강연선을 해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소모품인 쐐기의 불량 혹은 노후 등의 경우에 단부에 정착되어 있는 쐐기를 해체할 적절한 방법이 없었다. However, in the post-tension method, since the stranded wire is buried in the concrete such as the building slab and both ends of the stranded wire are fixed by the fixing device and the wedge, it is not possible to dismantle the stranded wire without breaking the member by cutting the stranded wire or pulling out the stranded wire at one end Do. And there was no proper way to dismantle the wedge that is fixed at the end in case of defective or old wedge consumables.

한편, 종래의 강연선 해체 장비는 정착장치로부터 강연선을 직접 빼어내는 것으로, 장치의 크기가 크고 프리캐스트 부재 등의 사용에는 제한적이며, 정착장치 별로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strand disassembling apparatus pulls out the strands directly from the fixing apparatus, and the size of the apparatus is large and the use of the precast member is limited, and it has been troublesome to separately manufacture it for each fixing apparatus.

또한, 공개특허 제10-2012-0080381호에서는 강연선을 제거 또는 해체할 수 있는 강연선 제거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In additi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80381 proposes a technique for removing a strand or removing a strand therefrom.

그러나 상기 공개특허기술은 그라우팅 앵커에서 강연선을 정착장치로부터 제거하는 기술로, 강연선의 일단이 정착장치와 쐐기로 고정되어 있을 경우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However, the technique disclosed in the above patent is a technique for removing a stranded wire from a fixing device in a grouting anchor, and there is a limitation that the stranded wire can not be used when one end of the stranded wire is fixed with a fixing device and a wedge.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존 강연선 제거장치와 비교하여 소형으로 구성이 간단하고, 크기나 형상이 다양한 여러 종류의 정착구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dge separator which is small in size and simple in construction and can be widely used for various types of fixtures having various sizes and shapes, and a wedge separator .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트 공법에서 쐐기의 불량 또는 노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쐐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쐐기만을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는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dge separating device capable of separating and replacing only a wedge when the wedge needs to be replaced due to defective or worn-out of the wedge in the prestressing method, and a wedge separating method using the wedge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쐐기 분리 후 긴장재를 안전하게 해체할 수 있는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dge separating device capable of safely disassembling a tension member after wedge separation and a wedge separating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배럴 정착구에서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에 결합된 쐐기를 해체하기 위한 쐐기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쐐기 분리 장치는 통 형상의 본체 전단에 쐐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 삽입부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쐐기 삽입부 중앙에는 긴장재가 통과되는 긴장재 삽입공이 본체 후단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 전단 중앙의 쐐기 삽입부 전방에는 상기 쐐기 삽입부보다 지름이 큰 것으로 긴장재가 정착된 배럴 정착구가 삽입되어 걸리는 정착구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의 쐐기 삽입부 측면에는 쐐기 회수를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dge separating apparatus for disassembling a wedge coupled to a prestressing prism in a barrel fixing unit,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including a wedge Wherein a wedge insertion portion for receiving the wedg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Wherein the wedg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n opening for receiving a wedge, and a wedge inser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wedge insertion portion of the main body.

삭제delete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쐐기 삽입부의 전단의 내주면 모서리는 경사지게 챔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chamfer.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개구부의 상단 및 하단에는 긴장재가 본체 측면에서 삽입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are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into which a tension member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아울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정착부 일측으로 돌출된 배럴 정착구에서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에 결합된 쐐기를 해체하는 쐐기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상기 쐐기 분리 장치를 정착구 삽입부에 배럴 정착구 일단이 삽입되고, 긴장재 삽입공에 긴장재가 삽입되도록 긴장재에 결합하여 쐐기 삽입부가 쐐기를 향하도록 쐐기 후단에 위치시키는 단계; (b) 긴장장치를 쐐기 분리 장치 후단에서 긴장재와 결합시키는 단계; (c) 긴장장치를 구동하여 쐐기 분리 장치 후단을 가압하면서 긴장재를 쐐기 분리 장치 후방으로 긴장하여 쐐기를 정착구로부터 분리시킨 후 쐐기 삽입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쐐기를 개구부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edge separating method for disassembling a wedge coupled to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at a barrel fixing port protruded to one side of a fix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 Placing the wedge insert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so that the wedge insert is facing the wedge; (b) combining the tension device with a tension material at a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or; (c) driving the tensioning device to press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and tense the tensioning material behind the wedge separating device to separate the wedge from the fixing port, and then move the wedge to the wedge insertion portion; And (d) removing the wedge through an opening; And a wedge separating method using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삭제delete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긴장재를 긴장하는 장비 외에 별도의 장비가 필요 없고, 기존 강연선 제거장치와 비교하여 소형으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설치 및 작동 방법이 매우 간단하고 신속할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 사용이 가능하다.First,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equipment in addition to equipment for tensioning tension,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production cost by making it smaller than the existing device for removing stranded wire. In addition,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method is very simple and fast as well as semi-permanent use is possible.

둘째, 쐐기 삽입부 외에 정착구 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 가능하므로, 정착구 유무, 정착구 길이, 로드셀의 결합 여부에 상관없이 다양한 종류나 형상의 정착구에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wedge insertion unit can include the fixing unit insertion unit, the wedge insertion unit can be universally used in various types and shapes of fixing units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the fixing unit, the length of the fixing unit, and the combination of the load cells.

셋째, 쐐기의 불량 또는 노후 등의 원인으로 인하여 쐐기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긴장재의 긴장이 유지된 상태에서 쐐기만 쉽게 제거할 수 있다. Third, when the wedge needs to be replaced due to the defective or deteriorated wedge, the wedge can be easily removed only when the tension of the tensioned material is maintained.

넷째, 쐐기 제거 후 긴장재의 긴장력을 제거한 후 긴장재를 해체할 수 있다. 따라서 긴장재의 안전한 해체가 가능하다. Fourth, after removal of the wedge, the tension can be removed after remov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ed material.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fely dismantle the tensions.

다섯째, 쐐기 삽입부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쐐기를 교체할 수 있다. Fifth, the wedge can be replaced through the opening formed in the side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여섯째, 복수의 긴장재가 설치된 다중 긴장재를 사용하는 경우, 특정 긴장재만을 대상으로 쐐기의 분리, 교체, 긴장재의 해체 작업이 가능하다.Sixth, when using multiple tensions with multiple tensions, it is possible to separate, replace, and dismantle tensions only for specific tensions.

일곱째, 절개부의 구성에 의하여 길이가 긴 긴장재의 경우에도 긴장재와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Seventh, due to the constitution of the incision part, it is possible to easily install the long length material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tension material.

도 1은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긴장재 긴장 후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복수의 긴장재가 설치된 정착구에서 특정 긴장재에 설치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도.
도 7은 긴장재 긴장 후 짧은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긴장재 긴장 후 긴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로드셀이 결합된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긴장재 긴장 후 배럴 정착구가 없는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챔퍼가 형성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절개부가 형성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wedge from the anchorage fixture after tensioning.
4 shows a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specific tension member at a fixtu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5;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short barrel anchorage after taut strainin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wedge from the long barrel anchorage after tensional tens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barrel fixture to which a load cell is coupled.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n anchorage fixture without a barrel fixture after a tensile strai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hamfers are formed;
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cutout is formed;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preferred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긴장재 긴장 후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복수의 긴장재가 설치된 정착구에서 특정 긴장재에 설치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And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fixture after a tensile stress, and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 wedge sepa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stalled in a specific tension member at a fixtu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ensile materials.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5)는 건축·토목 구조물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공법 등에서 긴장재(3)를 고정하는 배럴 정착구(2)로부터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3)에 결합된 쐐기(4)를 분리하여 안전하게 해체하기 위한 것이다.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s the wedge 4 coupled to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3 from the barrel fixing port 2 for fixing the tensioned member 3 in a prestressed concrete method of a building or a civil engineering structure, It is for dismantling.

도 1 내지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쐐기 분리 장치(5)는 통 형상의 본체(51) 전단에 쐐기(4)가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 삽입부(52)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쐐기 삽입부(52) 중앙에는 긴장재(3)가 통과되는 긴장재 삽입공(53)이 본체(51) 후단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51)의 쐐기 삽입부(52) 측면에는 쐐기(4) 회수를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ncludes a wedge insertion portion 52 in which a wedge 4 is inserted and hooked on the front end of a tubular main body 51, A tentative material insertion hole 53 through which the tension member 3 passes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part 52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51. A wedge 4 is collected on the side of the wedge insertion part 52 of the main body 51 And an opening 54 is formed in the opening.

상기 본체(51)는 도 3의 (a) 내지 (c)에서와 같이, 전단이 콘크리트 구조체(1) 등 쐐기(4)를 분리하고자 하는 대상에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As shown in FIGS. 3A to 3C, the main body 51 is installed so that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bject to be separated from the wedge 4, such as the concrete structure 1.

도면에는 원통 형상의 본체(51)가 도시되었으나, 내부에 쐐기 삽입부(52)와 긴장재 삽입공(53)이 형성되기만 하면 다양한 단면 형상의 통 부재를 본체(51)로 이용할 수 있다.
Although the cylindrical body 51 is shown in the drawing, the tubular member having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can be used as the main body 51 as long as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nd the tension member insertion hole 53 are formed therein.

상기 쐐기 삽입부(52)는 쐐기(4)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으로, 쐐기(4)는 쐐기 삽입부(52) 측면에 형성된 개구부(54)를 통하여 제거 가능하다.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is a portion where the wedge 4 is inserted and caught and the wedge 4 is removable through the opening 54 formed in the side surface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쐐기(4)가 후진한 후 긴장재 삽입공(53)을 통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쐐기 삽입부(52)의 지름은 쐐기(4)보다 크고, 긴장재 삽입공(53)의 지름은 쐐기(4)보다 작게 구성한다.
The diameter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edge 4 so that the wedge 4 is not remov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53 after the backward movement of the wedge 4, .

상기 긴장재 삽입공(53)은 본체(51) 내 쐐기 삽입부(52)에서 본체(51) 후단까지 관통 형성되는 부분으로, 긴장재(3)가 긴장재 삽입공(53)에 삽입되도록 쐐기 분리 장치(5)를 설치한다. The tension member insertion hole 53 is a portion penetrating from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in the main body 51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51. The tension member insertion hole 53 is formed in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s installed.

이때 상기 긴장재(3)는 PC 강연선(PC strand), PC 강봉 등 부재에 프리스트레스력을 도입할 수 있는 것이면 다양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ension member (3) can be various ones as long as it can introduce a prestress force to a member such as a PC strand (PC strand), a PC steel bar or the like.

상기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에는 오일잭 등 긴장장치를 설치하여 긴장재(3)를 재긴장할 수 있다.A tension device such as an oil jack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to re-tension the tensioned member 3.

그리고 쐐기(4)의 보수 또는 보강시에는 원래 쐐기(4)를 제거하고 새로운 쐐기(4)를 개구부(54)를 통해 설치한 후, 긴장재(3)의 긴장력을 제거하여 쐐기(4)가 정착구(2) 내부에 정착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When the wedge 4 is to be repaired or reinforced, the wedge 4 is removed and the new wedge 4 is installed through the opening 54. Thereafter, the tension of the tensioned member 3 is removed, (2).

뿐만 아니라 해체하고자 하는 긴장재(3)에 쐐기 분리 장치(5)를 설치한 다음, 긴장장치를 이용하여 긴장재(3)를 재긴장하고 쐐기(4)를 분리하여 제거한 후 긴장재(3)의 긴장력을 제거하면 긴장재(3)를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addition, after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s installed in the tension member 3 to be disassembled, the tension member 3 is retensioned by using a tension device, and the wedge 4 is removed and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dismantle the tensile material 3 when removed.

도 3에서는 콘크리트 구조체(1) 내에 정착구(2)와 쐐기(4)가 위치하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1) 표면에 쐐기 분리 장치(5)를 밀착 설치하고(도 3의 (a)),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한 다음(도 3의 (b)),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분리하는 과정을 도시한다(도 3의 (c)).
3, when the fixing port 2 and the wedge 4 are positioned in the concrete structure 1,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 (Fig. 3 (a)), 3 shows the process of separating the wedge 4 from the fixation port 2 by tensing the wedge 3 and then separating the wedge 4 through the opening 54 c)).

도 3의 (c)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쐐기(4)는 단일 웨지로 구성하거나 2~3개의 유니트를 조합하고 링으로 체결한 분할 웨지로 구성할 수 있다.As can be seen in FIG. 3 (c), the wedge 4 can be composed of a single wedge or a split wedge in which two or three units are combined and fastened by a ring.

쐐기(4) 내측에는 긴장재(3)가 인입되는 인입공이 형성된다.Inside the wedge (4), an inflow hole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3) is inserted is formed.

분할 웨지의 경우 하나의 유니트를 제거하면 나머지 유니트도 손쉽게 해체 가능하다. 또는 가위나 절단기로 링을 절단한 다음 유니트를 해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case of a split wedge, the remaining units can be easily dismantled by removing one unit. It is also possible to dismantle the unit after cutting the ring with scissors or a cutter.

도 4에서와 같이, 복수의 긴장재(3)가 설치된 다중 긴장재(3)를 사용하는 정착구(2)에서는 특정 긴장재(3)의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쐐기(4)의 분리 후 긴장재(3)의 해체 혹은 교체 작업이 가능하다.
4, the wedge 4 of the specific tension member 3 can be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 2 using the multiple tension members 3 provided with the plurality of tension members 3. After the removal of the wedge (4) Dismantling or replacement of the tension member (3) is possible.

도 5는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도 5 내지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51) 전단 중앙의 쐐기 삽입부(52) 전방에는 상기 쐐기 삽입부(52)보다 지름이 큰 것으로 긴장재(3)가 정착된 배럴 정착구(2)가 삽입되어 걸리는 정착구 삽입부(55)가 형성된다.5 to 6,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in front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1, 2 is inserted and engaged.

긴장재(3)가 쐐기(4)가 삽입되어 정착되는 배럴 정착구(2)에 의해 정착되는 경우, 배럴 정착구(2)의 단부가 쐐기 분리 장치(5)의 정착구 삽입부(55)에 끼워지도록 쐐기 분리 장치(5)와 결합한다.When the tension member 3 is fixed by the barrel fixing port 2 into which the wedge 4 is inserted and fixed, the end of the barrel fixing port 2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And is coupled to the separating device 5.

후술할 도 7 내지 도 8의 실시예에서는 원통 형상의 배럴 정착구로, 앵커 그립(anchor grip) 타입의 배럴 정착구가 도시된다.
In the embodiment of FIGS. 7 to 8 to be described later, a cylindrical barrel fixation port is shown, and an anchor grip type barrel fixation port is shown.

도 7은 긴장재 긴장 후 짧은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긴장재 긴장 후 긴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short barrel fixation slot after a tensile strain, and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long barrel fixation slot after a tensile strain.

길이가 짧은 배럴 정착구는 쐐기 분리 장치(5)의 전단을 콘크리트 구조체(1)에 밀착시키고(도 7의 (a)),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한 다음(도 7의 (b)),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도 7의 (c)).The barrel fixation port having a short length is provided with a front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n close contact with the concrete structure 1 (Fig. 7 (a)), and the wedge 4 is separated from the fixing port 2 (Fig. 7 (b)), the wedge 4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54 (Fig. 7 (c)).

그리고 길이가 긴 배럴 정착구의 경우, 즉 정착구(2)의 길이가 길어 쐐기 분리 장치(5)의 하면이 부재에 직접 밀착될 수 없는 경우에도 배럴 정착구의 단부가 정착구 삽입부(55)에 걸리도록 설치하고(도 8의 (a)),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한 다음(도 8의 (b)),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도 8의 (c)).Even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can not be directly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ember due to the long length of the fixing port 2, the end of the barrel fixing port is caught by the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The tension member 3 is tensed to separate the wedge 4 from the fixing port 2 (Fig. 8 (b)), and then the wedge 4 is pulled out through the opening 54 (Fig. (Fig. 8 (c)).

따라서 정착구(2)의 길이에 관계없이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5)를 이용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fixing unit 2.

도 9는 로드셀이 결합된 배럴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barrel fixture to which a load cell is coupled.

도 9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배럴 정착구(2)에는 긴장재(3)에 의한 하중을 측정하기 위한 로드셀(L)이 결합되는 경우가 있다. As shown in FIG. 9, a load cell L for measuring a load by the tension member 3 may be coupled to the barrel fixing port 2.

이와 같이 로드셀(L)이 설치된 경우에도 도 9의 (a)에서와 같이 쐐기 분리 장치(5)를 설치하고,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한 다음(도 9의 (b)),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도 9의 (c)).9 (a), the wedge separator 5 is installed, the tension member 3 is tensed to separate the wedge 4 from the fixing hole 2 (refer to FIG. 9 9 (b)), the wedge 4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54 (Fig. 9 (c)).

도 9에서와 같이 정착구(2)에 로드셀(L)이 결합된 경우뿐만 아니라 쐐기 분리 장치(5)의 전단을 지지시킬 수 있는 것이기만 하면 다양한 형태의 정착구(2)에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5)를 이용할 수 있다.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may be provided with a wedge separating device 5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front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as well as the case where the load cell L is coupled to the fixing port 2 as shown in FIG. (5) can be used.

도 10은 긴장재 긴장 후 배럴 정착구가 없는 정착구로부터 쐐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separating a wedge from a fixture having no barrel fixture after a tensile strain.

도 1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를 배럴 정착구가 없는 정착구에 적용한 경우의 실시예이다.Fig. 10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Figs. 5 to 6 is applied to a fixation port without a barrel fixation port.

즉, 배럴 정착구(2)가 없는 경우 콘크리트 구조체(1) 표면에 쐐기 분리 장치(5)를 밀착 설치하고(도 10의 (a)),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한 다음(도 10의 (b)),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도 10의 (c)).That is, when there is no barrel fixing port 2, the wedge separator 5 is close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 (FIG. 10 (a)), and the wedge 4 is tightened by tightening the tension member 3 10 (b)), the wedge 4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opening 54 (Fig. 10 (c)).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체(1) 표면에 배럴 정착구가 위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정착구 삽입부(55)가 형성된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5)로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edge 4 can be separated by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ixing port inserting portion 55 is formed, irrespective of whether the barrel fixing port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structure 1 or not.

도 11은 챔퍼가 형성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chamfers are formed.

도 11의 (a) 내지 (b)에서와 같이, 상기 쐐기 삽입부(52)의 전단 내주면 모서리는 경사지게 챔퍼(56)가 형성될 수 있다.11 (a) to (b), the chamfer 56 may be formed such that the edge of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is inclined.

상기 챔퍼(56, chamfer)는 긴장재(3)의 긴장시 쐐기(4)가 쐐기 삽입부(52) 전단에 걸려 쐐기 삽입부(52) 내로 들어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한다. The chamfer 56 prevents the wedge 4 from being caught by the front end of the wedge insertion part 52 and preventing the wedge 4 from entering the wedge insertion part 52 when the tension member 3 is tensed.

즉, 챔퍼(56)는 쐐기(4)가 쐐기 삽입부(52) 내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쐐기(4)의 삽입을 가이드한다.That is, the chamfer 56 guides the insertion of the wedge 4 so that the wedge 4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도 11의 (a)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의 실시예에 대하여 쐐기 삽입부(52) 전단 내주면에 챔퍼(56)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11의 (b)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의 실시예에 대하여 쐐기 삽입부(52)와 정착구 삽입부(55) 사이에 챔퍼(56)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11A shows a case in which a chamfer 5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Figs. b shows a case where a chamfer 56 is formed between the wedge inserting portion 52 and the fixture insertion portion 55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Figs.

도 12는 절개부가 형성된 본 발명 쐐기 분리 장치의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embodiments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ut-out portion.

도 12의 (a) 내지 (b)에서와 같이, 상기 개구부(54)의 상단 및 하단에는 긴장재(3)가 본체(51) 측면에서 삽입되는 절개부(57)가 형성될 수 있다.12 (a) and 12 (b), a cutout 57 may be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opening 54, in which a tensile member 3 is inserted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51.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5)는 정착구(2) 후단의 긴장재(3) 단부에 끼워 정착구(2)까지 이동시켜 결합하여야 하나, 정착구(2) 후단에 위치되는 긴장재(3)의 길이가 긴 경우 이러한 결합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다.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tted to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3 at the rear end of the fixing port 2 to be connected to the fixing port 2, This combination process can be cumbersome.

따라서 절개부(57)를 통하여 쐐기 분리 장치(5)를 긴장재(3) 측면에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긴장재(3)의 길이에 상관없이 정착구(2) 부근에서 긴장재(3)에 쐐기 분리 장치(5)를 결합시킬 수 있다.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can be fitted on the side of the tension member 3 through the cutout 57 so that the wedge member 3 can be separated from the tension member 3 in the vicinity of the fixing hole 2 regardless of the length of the tension member 3. [ The device 5 can be engaged.

도 12의 (a)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구부(54)의 상단 및 하단에 절개부(57)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도 12의 (b)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의 실시예에 대하여 개구부(54)의 상단 및 하단에 절개부(57)가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12 (a) shows a case where an incision 57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54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Figs. 1 and 2. Fig. 12 (b) show the case where the cutout 57 is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opening 54 with respect to the embodiment of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Figs. 5 to 6.

이상 본 발명의 쐐기 분리 장치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다음으로 정착부 일측으로 돌출된 배럴 정착구(2)에서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3)에 결합된 쐐기(4)를 해체하는 쐐기 분리 방법에 관하여 살펴본다.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Next, a wedge separating method for disassembling the wedge 4 coupled to the prestressing tension member 3 in the barrel fixing port 2 project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will be described .

상기 쐐기 분리 방법은 (a) 상기 쐐기 분리 장치(5)를 정착구 삽입부(55)에 배럴 정착구(2) 일단이 삽입되고, 긴장재 삽입공(53)에 긴장재(3)가 삽입되도록 긴장재(3)에 결합하여 쐐기 삽입부(52)가 쐐기(4)를 향하도록 쐐기(4) 후단에 위치시키는 단계; (b) 긴장장치를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에서 긴장재(3)와 결합시키는 단계; (c) 긴장장치를 구동하여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을 가압하면서 긴장재(3)를 쐐기 분리 장치(5) 후방으로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시킨 후 쐐기 삽입부(52)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쐐기(4)를 개구부(54)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wedge separating method includes the steps of: (a) inserting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nto the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at one end of the barrel fixing port 2 and inserting the tension member 3 into the tension member insertion hole 53; And positioning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4 so as to face the wedge 4; (b) engaging the tensioning device with the tension member (3)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c) The tensioning device is driven to press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while tensing the tensioning material 3 backwar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to separate the wedge 4 from the fixing port 2, 52); And (d) removing the wedge (4) through an opening (54); And a control unit.

도 1 내지 도 2의 실시예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를 쐐기(4) 후방에 위치시키는 (a) 단계는 도 3의 (a)에 도시된다. The step (a) of positioning the wedge separating apparatus 5 shown in the embodiment of Figs. 1 and 2 behind the wedge 4 is shown in Fig. 3 (a).

쐐기 분리 장치(5)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시킨 다음에는 (b) 긴장장치를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에서 긴장재(3)와 결합하고, 도 3의 (b)에서와 같이 긴장재(3)를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시킨 후 쐐기 삽입부(52)로 이동시킨다.After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 the tensioning device is coupled with the tensioning device 3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and the tensioning device 3, as shown in FIG. 3 (b) So that the wedge 4 is separated from the fixation port 2 and then moved to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마지막으로 도 3의 (c)에서와 같이 (d)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제거한다.Finally, the wedge 4 is removed through the opening 54 as shown in FIG. 3 (c).

이때, 상기 쐐기(4)의 보수 또는 보강시에는 (d) 단계 이후 개구부(54)를 통하여 쐐기(4)를 교체하고, 긴장장치의 긴장력을 해제하여 쐐기(4)를 재정착시키는 단계가 수반될 수 있다.At the time of repairing or reinforcing the wedge 4, a step of replacing the wedge 4 through the opening 54 after the step (d) and releasing the tension of the tensioning device to remount the wedge 4 .

아울러 긴장재(3) 제거시에는 (d) 단계 후 긴장재(3)를 제거하는 단계가 수반될 수 있다.
The step (d) of removing the tensile material (3) may be accompanied by a step of removing the tensile material (3).

본 발명의 쐐기 분리 방법에서 상기 정착구(2)는 정착부 일측으로 돌출된 배럴 정착구(2)이고, 상기 본체(51) 전단 중앙의 쐐기 삽입부(52) 전방에는 상기 쐐기 삽입부(52)보다 지름이 큰 것으로 긴장재(3)가 정착된 배럴 정착구(2)가 삽입되어 걸리는 정착구 삽입부(55)가 형성되어, 상기 (a) 단계에서 쐐기 분리 장치(5)의 정착구 삽입부(55)에 배럴 정착구(2) 일단이 삽입되도록 쐐기 분리 장치(5)가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the wedge separat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ort 2 is a barrel fixing port 2 protruded to one side of the fixing unit, and the wedge insertion unit 52 is formed in front of the wedge insertion unit 52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1 A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into which a barrel fixing port 2 in which the tension member 3 is fixed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n the step (a)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may be installed such that one end of the barrel fixing port 2 is inserted.

이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쐐기 분리 장치(5)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에 대한 것으로, 콘크리트 구조체(1)에 배럴 정착구(2)에 의해 쐐기(4)가 정착되거나 로드셀(L) 일측에 설치된 배럴 정착구(2)에 의해 쐐기(4)가 정착된 경우, 배럴 정착구(2)가 정착구 삽입부(55) 내에 끼워지도록 설치하여 쐐기(4)를 분리할 수 있다.
The wedge 4 is fixed to the concrete structure 1 by the barrel fixing port 2 or the wedge 4 is fixed to one side of the load cell L by using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shown in FIGS. When the wedge 4 is fixed by the installed barrel fixing port 2, the barrel fixing port 2 can be fitted into the fixing port insertion portion 55 to separate the wedge 4.

1: 콘크리트 구조체 2: 정착구
3: 긴장재 4: 쐐기
5: 쐐기 분리 장치 51: 본체
52: 쐐기 삽입부 53: 긴장재 삽입공
54: 개구부 55: 정착구 삽입부
56: 챔퍼 57: 절개부
L: 로드셀
1: concrete structure 2: anchorage
3: Tension material 4: Wedge
5: wedge separating device 51:
52: wedge insertion portion 53: tension member insertion hole
54: opening portion 55: fixer insertion portion
56: chamfer 57: incision part
L: Load cell

Claims (6)

배럴 정착구(2)에서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3)에 결합된 쐐기(4)를 해체하기 위한 쐐기 분리 장치(5)에 관한 것으로,
상기 쐐기 분리 장치(5)는 통 형상의 본체(51) 전단에 쐐기(4)가 삽입되어 걸리는 쐐기 삽입부(52)가 함몰 형성되고, 상기 쐐기 삽입부(52) 중앙에는 긴장재(3)가 통과되는 긴장재 삽입공(53)이 본체(51) 후단까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본체(51) 전단 중앙의 쐐기 삽입부(52) 전방에는 상기 쐐기 삽입부(52)보다 지름이 큰 것으로 긴장재(3)가 정착된 배럴 정착구(2)가 삽입되어 걸리는 정착구 삽입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본체(51)의 쐐기 삽입부(52) 측면에는 쐐기(4) 회수를 위한 개구부(5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
A wedge separating device (5) for dismantling a wedge (4) coupled to a prestressing tensioner (3) at a barrel fixing port (2)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is formed with a wedge insertion part 52 in which a wedge 4 is inserted and hooked on the front end of a tubular main body 51. A tension member 3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edge insertion part 52 A taut material insertion hole 53 is formed to pass through to the rear end of the main body 51,
A fixture insertion portion 55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nd inserted into the barrel fixation port 2 to which the tension member 3 is fixed is inserted in front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t the center of the front end of the main body 51, And an opening (54) for collecting the wedge (4)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wedge insertion part (52) of the main body (51).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쐐기 삽입부(52)의 전단의 내주면 모서리는 경사지게 챔퍼(56)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hamfer (56) is formed at an inner peripheral edge of the front end of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so as to be inclined.
제1항에서,
상기 개구부(54)의 상단 및 하단에는 긴장재(3)가 본체(51) 측면에서 삽입되는 절개부(5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a cutout portion (57) is formed at an upper end and a lower end of the opening (54) to insert a tension member (3) from the side of the main body (51).
정착부 일측으로 돌출된 배럴 정착구(2)에서 프리스트레싱용 긴장재(3)에 결합된 쐐기(4)를 해체하는 쐐기 분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a) 제1항에 의한 쐐기 분리 장치(5)를 정착구 삽입부(55)에 배럴 청착구(2) 일단이 삽입되고, 긴장재 삽입공(53)에 긴장재(3)가 삽입되도록 긴장재(3)에 결합하여 쐐기 삽입부(52)가 쐐기(4)를 향하도록 쐐기(4) 후단에 위치시키는 단계;
(b) 긴장장치를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에서 긴장재(3)와 결합시키는 단계;
(c) 긴장장치를 구동하여 쐐기 분리 장치(5) 후단을 가압하면서 긴장재(3)를 쐐기 분리 장치(5) 후방으로 긴장하여 쐐기(4)를 정착구(2)로부터 분리시킨 후 쐐기 삽입부(52)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쐐기(4)를 개구부(54)를 통해 제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쐐기 분리 장치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dge separating method for disassembling a wedge (4) coupled to a prestressing tension member (3) at a barrel fixing port (2)
(a) A wedge separating device (5)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one end of the barrel mouthpiece (2) is inserted into a fixation hole inserting portion (55) and a tension member And positioning the wedge insertion portion 52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4 so as to face the wedge 4;
(b) engaging the tensioning device with the tension member (3) at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c) The tensioning device is driven to press the rear en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while tensing the tensioning material 3 backward of the wedge separating device 5 to separate the wedge 4 from the fixing port 2, 52); And
(d) removing the wedge (4) through an opening (54); Wherein the wedge separating device comprises a wedge separating device.
삭제delete
KR1020150033818A 2015-03-11 2015-03-11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KR10164500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18A KR101645007B1 (en) 2015-03-11 2015-03-11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818A KR101645007B1 (en) 2015-03-11 2015-03-11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5007B1 true KR101645007B1 (en) 2016-08-02

Family

ID=56708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818A KR101645007B1 (en) 2015-03-11 2015-03-11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00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069B1 (en) 2017-10-16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edge anchorage with separable bolt and tendon anchoraging method therewith
KR20190037617A (en)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Apparatus Separating out Iron bar Fixing Devi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25A (en)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Spacing apparatus for construct of earth anch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2625A (en) * 2005-10-19 2007-04-24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Spacing apparatus for construct of earth anchor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617A (en) * 2017-09-29 2019-04-08 김영학 Apparatus Separating out Iron bar Fixing Device
KR102080977B1 (en) * 2017-09-29 2020-02-24 김영학 Apparatus Separating out Iron bar Fixing Device
KR101924069B1 (en) 2017-10-16 2019-02-2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edge anchorage with separable bolt and tendon anchoraging method therewith
US10267041B1 (en) 2017-10-16 2019-04-23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Anchoring wedge with separable bolt and method of anchoring tendon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87026C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US7819388B2 (en) Tendon gripping device
KR101005347B1 (en) Structure reinfor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rtucture reinforcement under concrete surface
JP4712612B2 (en) PC tension material intermediate fixing device and intermediate fixing method
US11326345B2 (en) Hollow composite beam using dual-web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45007B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wedge
KR101482388B1 (en) Prestressed girder
JP2007216503A (en) Connector,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c member
KR101023882B1 (en) cylinder for wire tension and a method
KR20100069839A (en) Precast anchorage block an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with the same
KR101685387B1 (en) Removal and Replacement Method of External Tendon in Box Girder
KR200209297Y1 (en) Retensioning device of prestressed structure
KR100814387B1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manufacture method equipped with end anchorage for economical upkeeping
JP4148317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precast slab
CN110184954A (en) A kind of bridge prestress external tendon method for dismounting
JP2007255149A (en)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tool and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method
JP2017186814A (en) Intermediate fixation device and intermediate fixation method of pc tension material
KR101843904B1 (en) Post-Tensioned Anchor
KR20150090572A (en) dismantling method of tension member for anchor and apparatus thereof
JP2006112189A (en) Tensional material anchoring tool
KR100739879B1 (en) Device
JP2011190616A (en) Device and method for releasing tensioning force of tendon
KR102672804B1 (en) Anti-twisting anchorhead jig for tendon and anti-twisting steel wire install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1742788B1 (en) Repairing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concrete apparatus, and the method for installing the repairing and reinforcing structure
EP3118386A1 (en) Wedge for post tensioning tend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