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4103B1 -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4103B1 KR101674103B1 KR1020140072758A KR20140072758A KR101674103B1 KR 101674103 B1 KR101674103 B1 KR 101674103B1 KR 1020140072758 A KR1020140072758 A KR 1020140072758A KR 20140072758 A KR20140072758 A KR 20140072758A KR 101674103 B1 KR101674103 B1 KR 1016741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nsion member
- fixing unit
- bridge
- member fixing
- ten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04C5/12—Anch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1)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긴장재 정착부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에 포함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which one end of a tension member for fixing a tension to the bridge 1 is fixed, comprising: a body 100 formed in a pre-casting manner; A through hole 200 formed through the body 100 and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And a reinforcing bar 300 enclosed within the body 100 and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00. The tongue fixing unit 300 includes a tongue fixing unit 300,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목 및 건축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프리스트레스를 부여하기 위한 프리스트레스드 공법에 사용되는 선제작 긴장재 정착구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fie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prefabricated method for applying a prestress to a concrete structure,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the prefabricated fixture.
일반적으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구조는 건물, 교량 등의 건축, 토목 공사에 적용되는 콘크리트 부재 내에 긴장재(tendon)을 매립하여 콘크리트를 보강하는 수단이다. Generally, a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is a means for reinforcing concrete by filling a tendon in a concrete member applied to construction of buildings, bridges, and the like, and civil engineering works.
즉, 외부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긴장재를 이용하여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응력을 도입(프리스트레스)함으로써 외부하중의 작용 후에도 콘크리트의 단면 내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지 않고 압축응력만이 존재하게 된다.That is, before the external load is applied, the compressive 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concrete by using the prestressing material in advance, so that there is no tensile stress in the cross section of the concrete even after the external load is applied.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철근은 콘크리트가 균열이 발생하기 전까지는 어떠한 역할도 수행하지 않고 균열이 발생하면 균열의 폭을 줄이기 위한 인장 보강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In a typic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reinforcing steel plays a role as a tensile reinforcement to reduce crack width when cracks occur, while concrete does not play any role until cracking occurs.
이에 대하여,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는 미리 도입된 압축력으로 인장응력을 상쇄하므로 균열이 발생하지 않고, 상쇄된 하중만큼 처짐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일시적으로 과하중이 적재되어 발생한 작은 균열은 프리스트레스에 의해 곧 폐합되고 원래의 성능을 회복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tressed concrete, since the tensile stress is canceled by the compressive force introduced in advance, the cracks do not occur and the deflection decreases by the canceled load. In addition, the small cracks caused by the temporary overload are soon closed by the prestress and the original performance can be recovered.
이와 같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공법은 크게 프리텐션(pre-tension) 공법과 포스트텐션(post-tension) 공법으로 구분된다. 프리텐션 공법은 거푸집 내의 소정 위치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놓고, 그 주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킨 다음 긴장재의 긴장력을 제거함으로써 콘크리트에 미리 압축력을 부여하는 공법이다. The prestressed concrete method is divided into a pre-tension method and a post-tension method. The pre-tension method is a method of applying a compressive force to a concrete by tensioning the tension material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formwork, curing the concrete by placing it around the concrete, and then removing the tensile force of the tension material.
포스트텐션 공법은 거푸집 내에 다수의 쉬스관을 배치시키고, 쉬스관 내측에 긴장재를 삽입한 다음, 콘크리트를 거푸집에 주입하여 양생하고 이후에 긴장재를 긴장시켜 마무리하는 방식이다.
The post-tensioning method is a method in which a plurality of sheath pipes are arranged in the formwork, a tension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sheath tube, and the concrete is injected into the formwork to cure and thereafter the tension material is tightened.
FCM교량의 경우 긴장재 정착부에 작용되는 국부적 응력을 저항하기 위해 긴장재의 긴장 전 긴장재 정착부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충분히 발현될 것이 요구되는데, 일반적인 경우 긴장재 정착부는 전체 세그먼트와 일체 타설 되므로, 전체 세그먼트의 콘크리트 압축강도가 충분히 발현될 때까지 긴장 공정의 진행이 지연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FCM bridges, it is requir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concrete in the pre-tensioned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is sufficiently expressed to resist the local stress applied to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In general, since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is integrally cast with the entire seg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gress of the stretching process is delayed until the compressive strength is fully manifested.
또한, 이러한 긴장재 정착부에는 국부적 응력저항을 위한 보강철근이 집중되어 시공이 어려우며, 정착구 균열 발생 시 전체구조물의 내구성능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reinforcing bars for local stress resistance are concentrated on the tension member fixing part,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onstruct and the durability of the entire structure is reduced when the fixing hole crack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술된 종래의 긴장재 정착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도 발현을 위한 양생 기간이 요구되지 않는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which a curing period for strength development is not required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the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hav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더부와 별도로 제작된 긴장재 정착부가 거더부와 긴밀하게 일체화될 수 있는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which can be tightly integrated with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separately manufactured from a girder unit,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the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화된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ghtweight,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FCM 공법에 최적화된 선제작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optimized for the FCM method an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the prefabricated tension member fixing uni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교량(1)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긴장재 정착부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에 포함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which one end of a tension member for fixing tension to the bridge 1 is fixed, comprising: a
여기서, 상기 보강철근(300)은 "ㄷ"형강 또는 "ㅁ"형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Here,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In addition, a portion of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관통홀(200)은 상기 몸체(100)에 삽입된 관(200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The through-
또한, 상기 관(200a)과 상기 보강철근(30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또한, 상기 보강철근(300)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에는 스터드(3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재 정착부일 수 있다.
In addition, a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긴장재 정착부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상기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하는 긴장재 정착부를 교량(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거푸집(7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량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제3 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a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긴장재 정착부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에 있어서,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을 형성하는 관(200a), 상기 관(200a)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 및 상기 관(200a)과 상기 보강철근(300)을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400)를 포함하는 긴장재 정착부를 교량(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상기 거푸집(7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량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제3 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ensioning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the method comprising: a tube (200a) forming a through hole (200) through which a tension member is inserted; a reinforcing bar (200) and a second joint member (400) for joining the pipe (200a) and the reinforcing bar (300) to a mold (700) for forming a bridge (1) (S100); A second step S200 of plac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여기서, 상기 보강철근(300)은 "ㄷ"형강 또는 "ㅁ"형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일 수 있다.
Herein, the
또한,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일 수 있다.
Also, a part of the reinforcing
또한, 상기 보강철근(300)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제1 단계(S100)는, 긴장재 정착부를 하방 지지하는 내부 거푸집(5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first step S100 may include a step of installing an
본 발명에 따르면 긴장재 정착부의 강도 발현을 위한 양생 기간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a curing period for manifesting the strength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is not required.
본 발명에 따르면 거더부와 별도로 제작된 긴장재 정착부가 거더부와 긴밀하게 일체화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tension member fixing part separately made from the girder part can be tightly integrated with the girder part.
본 발명에 따르면 FCM 공법에 최적화된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optimized for an FCM method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설치를 위한 내부 거푸집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설치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터드가 형성된 긴장재 정착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의 사시도. 1 is a side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of an inner die for installation of a tensioner fix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method of install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which a stud is form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appended claims. And redundant explana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hereinafter are merely reference numerals for distinguishing between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nd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fined by terms such as first, second, no.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는 교량의 거더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의 말단이 정착되는 부분으로서, 기본적으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몸체(100) 내부에 포함됨과 아울러,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할 수 있다(도 1).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rtion to which a distal end of a tension member for fixing a tension force to a girder of a bridge is fixed. The tension member fixing member is basically formed through a
종래의 교량의 시공방법에서는 긴장재의 말단이 정착되는 긴장재 정착부의 충분한 강도 발현을 위해 장기의 대기기간이 요구되었던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현장타설에 의해 거더가 시공되는 경우에도 긴장재 정착부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선 시공된 상태이므로, 긴장재 정착부의 강도 발현을 위한 대기 기간이 요구되지 않는다. In the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a long period of waiting time is required for the sufficient strength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where the end of the tension member is fixed.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girder is installed by field installation, The waiting period for manifesting the strength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is not required.
따라서, 거더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긴장재 정착부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거푸집(700)에 타설하여 거더를 형성하고, 단기간의 양생기간이 지난 뒤에 바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nstall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강철근(300)은 긴장력에 의해 긴장재 정착부에 제공되는 응력에 저항하기 위해서 본체(100) 내부에 삽입된다. The reinforcing
긴장재 말단이 위치하는 영역을 고려할 때, 보강철근(300)은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철근(300)을 "ㅁ"형강 또는 "ㄷ"형강으로 형성시키는 경우 시공의 편의성의 효과를 갖을 수 있다(도 2, 3).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보강철근(300)은 일부가 몸체(10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도 3). The reinforcing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는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거더(1)와 일체화될 것이 요구되므로, 보강철근(300)의 일부를 몸체(100)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서, 긴장재 정착부와 거더(1)의 일체화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Since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required to be integrated with the girder 1 formed by field installation, a part of the
즉, 노출된 보강철근(300)은 전단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the exposed
보강철근(300)은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이 가능하다(도 3). 보강철근(300)을 복수로 형성시키는 경우, 긴장재 정착부의 강도 향상 및 긴장재 정착부와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거더(1)의 일체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The
또한, 몸체(100)를 형성하는 콘크리트는 고강도 콘크리트이거나 강섬유가 포함된 보강콘크리트일 수 있다. 몸체(100)를 고강도 콘크리트 또는 강섬유 포함 보강콘크리트를 사용하는 경우 보강철근(300)의 수를 줄이면서도 충분한 압축강도를 갖는 몸체(100)를 형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Also, the concrete forming the
긴장재 정착부와 현장타설에 의해 형성되는 거더(1)의 일체성을 높이기 위해서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에는 스터드(310)가 형성될 수 있다(도 6).
A
관통홀(200)은 긴장재가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몸체(100)에 삽입된 관(200a)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 through
관(200a)은 강관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보강철근(300)과 관(200a)을 결합부재(400)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서, 긴장재 정착부에 가하여지는 응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구조적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도 3).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200a is a steel pipe. In this case, by joining the reinforcing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를 이용하여 교량을 긴장 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applying a tension to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를 이용하여 교량을 긴장 시공하는 방법은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하는 긴장재 정착부를 교량(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거푸집(7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 단계(S200) 및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량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제3 단계(300)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tightening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긴장재 정착부를 이용한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에 있어서,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을 형성하는 관(200a), 관(200a)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 및 관(200a)과 보강철근(300)을 결합하는 제2 결합부재(400)를 포함하는 긴장재 정착부를 교량(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 거푸집(7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 단계(S200) 및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량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제3 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ensioning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comprising: a tube 200a forming a through
즉, 몸체(100)는 현장타설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긴장재 정착부는 관(200a), 보강철근(300) 및 제2 결합부재(400)만으로 형성되므로, 몸체(100)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하는 것에 비해 경량의 긴장재 정착부를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긴장재 정착부의 시공에 있어서 시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종래의 긴장재 정착부에 비교하여 몸체(100)를 보강하는 보강철근(300) 및 제2 결합부재(400)를 포함하고 있어, 단기간에 충분한 압축강도를 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In other words, the
여기서, 제1 단계(S100)는 긴장재 정착부를 하방 지지하는 내부 거푸집(5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4).
Here, the first step S100 may further include a step of installing an
본 발명에 따른 긴장 시공 방법은 특히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에 의해 교량을 시공하는 경우 효율적이다. The tense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a bridge is constructed by the FCM (Free Cantilever Method) method.
FCM(Free Cantilever Method) 공법이란 교각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거더 등의 세그먼트를 연속하여 연결 시공하는 방법으로, 세그먼트가 교각을 기준으로 캔틸레버 형태의 구조물로 연속적으로 연결 설치된다는 의미에서 프리 캔틸레버 교량 공법으로 지칭된다. The FCM (Free Cantilever Method) method is a method of continuously connecting segments such as girder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a pier. In the sense that the segments are continuously connected to a cantilever-type structure based on a pier, the free cantilever bridge method .
이러한 FCM 공법은 교각(1)을 기준으로 주두부로부터 좌우평형을 유지하면서 거더(10)를 순차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결 시공하는 공법으로, 동바리 설치가 어려운 계곡, 해상, 하천 등에 건설되는 장 경간의 교량 시공에 적합한 공법이다. This FCM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girders 10 are sequentially connec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maintaining a left-right balance from the head of the bridge 1 on the basis of the bridge pier 1, and a long-span bridge structure constructed in valleys, It is a suitable method for construction of bridges.
FCM 공법에 의해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 기 형성된 거더에 폼 트레블러(Form Traveller)를 설치하고, 폼 트레블러(600)에 의하여 거푸집(700)이 지지될 수 있도록 거푸집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긴장재를 인장하여 연결부의 시공을 이어나가게 된다(도 5). I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by the FCM method, a form traveler is installed in the preformed girder, a form is formed so that the
다만, 새로이 형성된 거더의 연결부에 폼 트레블러를 다시 설치하기 위해서는 연결부의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과 긴장재의 긴장으로 인한 프리스트레스의 도입 작업이 완료되어야 한다. However, in order to re-install the foam traveler in the connection part of the newly formed girder, the introduction work of the prestress due to the curing of the concrete at the connection part and the tensions of the cushion and the tension member should be completed.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을 위해서는 긴장재 정착부의 강도만이 충분히 발현되더라도 가능하지만, 종래의 시공방법에서는 전체 세그먼트와 긴장재 정착부가 일괄되어 타설되므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발현시까지 후속 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entire segment and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are laid together in a batc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sequent process is delayed until the strength of the poured concrete is manifested .
본 발명에 따른 긴장재 정착부는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제작되어 시공되므로, 충분한 강도 발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바로 시공이 가능토록 하고 있다. Since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anufactured and installed in a precast manner,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onstruction immediately after the sufficient strength is develop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긴장재 정착부의 강도 발현을 위한 기간을 대기함 없이 긴장재의 긴장 및 정착이 가능하므로 FCM 공법에 의한 교량의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ense and fix the tension member without waiting for a period for manifesting the strength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so that the construction period of the bridge by the FCM method can be shortened.
긴장재 정착부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폼 트레블러에 별도의 고정부를 마련하고, 고정부에 연결부재를 사용하여 긴장재 정착부를 이동 및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도 5).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nstruction of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parate fixing portion in the form traveler and to move and install the tension member fixing portion by using a connecting member to the fixing portion (FIG. 5).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몸체
200 : 관통홀
300 : 보강철근
400 : 결합부재
500 : 내부 거푸집100: Body
200: Through hole
300: Rebar
400: coupling member
500: inner die
Claims (13)
상기 긴장재 정착부는,
교량(1)에 긴장력을 도입하기 위한 긴장재의 일단이 정착되는 긴장재 정착부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형성된 몸체(100);
상기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가 삽입되는 관통홀(200); 및
상기 몸체(100) 내부에 포함됨과 아울러, 상기 관통홀(200) 외측을 둘러싸는 보강철근(30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철근(300)은 "ㄷ"형강 또는 "ㅁ"형강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가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관통홀(200)은 상기 몸체(100)에 삽입된 관(200a)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관(200a)과 상기 보강철근(300)을 결합하는 결합부재(4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 외부로 노출된 상기 보강철근(300)의 일부에는 스터드(310)가 형성되며,
상기 긴장재 정착부를 교량(1)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700)에 설치하는 제1 단계(S10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단계(S100)는,
상기 긴장재 정착부를 폼 트레블러(600)의 전방 형성된 고정부(610)에 연결부재(620)를 사용하여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긴장재 정착부를 하방 지지하는 내부 거푸집(50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
In a tensioning method of a bridge using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Wherein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comprises:
In a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which one end of a tension member for fixing a tension to the bridge 1 is fixed,
A body 100 formed in a precast manner;
A through hole 200 formed through the body 100 and into which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And
And a reinforcing steel (300) contained in the body (100) and surrounding the through hole (200)
The reinforcing bar 300 is formed of "c" or "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 30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The through hole 200 is formed by a tube 200a inserted into the body 100,
Further comprising a coupling member (400) for coupling the tube (200a) and the reinforcing bar (300)
A stud 310 is formed on a part of the reinforcing bar 300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ody 100,
And a first step (S100) of installing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in the formwork (700) for forming the bridge (1)
In the first step S100,
Connecting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to the fixing unit 610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form traveler 600 using the connecting member 620; And
And installing an inner mold (500) for supporting the tension member fixing unit downward.
상기 제1 단계(S100) 이후에,
상기 거푸집(700)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하는 제2 단계(S200); 및
상기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량에 긴장력을 도입하는 제3 단계(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fter the first step S100,
A second step S200 of placing and curing concrete in the mold 700; And
A third step 300 of tensing the tension material to introduce a tension force into the bridge;
Wherein the bridge comprises a plurality of bridges.
상기 보강철근(300)은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긴장 시공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30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dy (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758A KR101674103B1 (en) | 2014-06-16 | 2014-06-16 |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758A KR101674103B1 (en) | 2014-06-16 | 2014-06-16 |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4385A KR20150144385A (en) | 2015-12-28 |
KR101674103B1 true KR101674103B1 (en) | 2016-11-09 |
Family
ID=5508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2758A KR101674103B1 (en) | 2014-06-16 | 2014-06-16 |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410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7207B1 (en) * | 2018-08-02 | 2019-03-12 | 서하건설 주식회사 | Apparatus for prestressing a PSC girder and method of making a PSC girder using the sam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7174A (en) * | 2004-01-26 | 2005-08-04 | Taisei Corp | Reinforcement structure of anchorage part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
KR101196874B1 (en) * | 2011-04-01 | 2012-11-0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Girder making methos for precast end seggement using end mold and girder therewith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69839A (en) * | 2008-12-17 | 2010-06-25 |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 Precast anchorage block and prestressed concrete member with the same |
-
2014
- 2014-06-16 KR KR1020140072758A patent/KR10167410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207174A (en) * | 2004-01-26 | 2005-08-04 | Taisei Corp | Reinforcement structure of anchorage part of prestressed concrete structure |
KR101196874B1 (en) * | 2011-04-01 | 2012-11-01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Girder making methos for precast end seggement using end mold and girder therewit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4385A (en) | 2015-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25673B1 (en) | Structure of a precast diaphragm for mak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making the girder thereof | |
KR100682794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 |
KR101585594B1 (en) | Dual-prestressing composite beam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
KR100727114B1 (en) | Precast segment for constructing through bridges and the constructing method using it | |
KR100500156B1 (en) | Prestress composite bea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952449B2 (en) | Bridge superstructure | |
KR101674103B1 (en) | Anchorage zon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fcm bridge using the same | |
JP3877995B2 (en) | How to build a string string bridge | |
KR101067717B1 (en) | Process for produc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concrete girder structure | |
KR102140167B1 (en) | Strengthening method of concrete structures by pretensioning | |
KR101339367B1 (en) | Fabrication and reinforcing method for pre-flex girder | |
JP4035027B2 (en) | Bridge girder structure and bridge girder construction method | |
KR101397131B1 (en) | Prestress concrete bridge and building method thereof | |
KR101734304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Efficient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s using such Composite Girder, and Continuous Bridges constructed by such Method | |
KR20190094644A (en) | Prestressed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 |
JP7144341B2 (en) | Concrete floor slab joint structure and concrete floor slab joint method | |
CN109881777B (en) | Assembled high-toughness cement-based composite material beam column joint | |
KR101402620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lab type rahmen birdge using Half-PC slab for slab bridge | |
JP3910976B2 (en) | Concrete member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member | |
KR101151666B1 (en) | Beam construction method using represtressing of joint, beam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by | |
KR20160078150A (en) | Segmental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 |
KR101819326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 |
KR20160080869A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0913161B1 (en) |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 |
JP7428170B2 (en) | brid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