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944B1 -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Google Patents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44944B1 KR101644944B1 KR1020140155332A KR20140155332A KR101644944B1 KR 101644944 B1 KR101644944 B1 KR 101644944B1 KR 1020140155332 A KR1020140155332 A KR 1020140155332A KR 20140155332 A KR20140155332 A KR 20140155332A KR 101644944 B1 KR101644944 B1 KR 1016449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watch body
- leds
- shaped
- 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Landscapes
- Electric Clock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에 관한 것으로, LED 빛에 의해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여 시간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은 물론,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가상의 시침과 분침이 구현되는 영역 전체를 간섭 없이 메모 등을 기재하기 위한 유용한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 빛에 의해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여 시간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은 물론,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가상의 시침과 분침이 구현되는 영역 전체를 간섭 없이 메모 등을 기재하기 위한 유용한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계는 각 가정이나 사무실 공장 및 공공장소에 설치되어 현재의 시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시계는 설치 장소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를 갖고 있으나, 무브먼트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축에 결합 되어 시간을 알려주기 위한 시계침(시침,분침,초침)과, 상기 시계침의 회전 위치에 따라 현재의 시와 분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숫자와 눈금은 어떠한 시계를 막론하고 동일하게 갖추어져 있게 마련이다.
상기와 같은 시계는 단순히 주변이 밝은 상태에서만 육안으로 확인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시계가 설치된 장소가 어두울 경우 또는 야간에는 불빛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확인을 할 수가 없어 최근에는 상기와 같이 어두운 장소 또는 야간에 불빛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도 현재의 시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장치가 갖추어진 시계가 소개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명 시계는 단순히 시계침과 숫자 및 눈금에 어두운 장소에서만 빛이 발광 될 수 있는 야광색소를 도포시켜 준 것과, 시계를 형성하는 외곽테의 내부 일측에 별도의 발광램프를 장착시켜 준 구성으로 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이들은 어두운 장소에 있는 사람이 순간적으로 시간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부족한 면이 있으며, 또한 어두운 곳에서 시간 파악을 위해 별도의 시계조명을 사람이 일일이 조작하기에는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이같은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 제2013-0109386호에는 LED의 발광 상태를 통해 현재 시간을 주야간 구분 없이 명확히 인식할 수 있으며 LED 발광으로 인해 조명등이나 무드등으로 활용이 가능한 'LED를 이용한 시계'가 개시된 바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LED를 이용한 시계는 다수의 LED 소자들이 설치되는 조명 설치판(11)과 해당 조명 설치판(11)과 면 결합되는 광 차단판(7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조명 설치판(11)의 LED 소자들은 시간 표시를 위한 시간 표시 LED(21)들과 분 표시를 위한 분 표시 LED(22)들로 구분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시간 표시 LED(21)들은 아날로그 바늘시계의 시간 표시 눈금 위치와 동일하게 12 방위에 각각 원형 배치되고 분 표시 LED(22)들 역시 아날로그 시계의 분 표시 눈금 위치와 동일하게 12 방위에 각각 원형 배치되게 된다.
또한, 원형으로 배치되는 상기 시간 표시 LED(21)와 분 표시 LED(22)의 사이에는 원형의 제 1 격벽(12)이 설치되어 시간 표시를 위한 빛과 분 표시를 위한 빛이 상대의 영역을 침범하지 않도록 기능하며, 12 방위로 배치된 시간 표시 LED(21)와 분 표시 LED(22)의 각 개별 LED 소자들 사이에는 제 2 격벽(13)이 설치되어 이웃하는 LED 소자 간에 빛이 서로 침범하지 않도록 기능한다. 한편, 외부로 드러나는 광 차단판(70)의 시간 표시 관통공(71)과 분 표시 관통공(72)을 통해 사용자는 시간 표시 LED(21)와 분 표시 LED(22)의 점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 되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종래기술에 의한 LED를 이용한 시계는 사용자로 하여금 시간 표시 관통공(71)들 중 하나의 빛을 통해 현재 시간을 확인하고, 또한 상기 분 표시 관통공(72)들 중 하나의 빛을 통해 현재 분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의한 LED를 이용한 시계는 LED를 적극 이용함에도 불구하고 시침과 분침의 형태가 아예 사라지는 관계로 아날로그 시계의 기본 형태가 과도하게 파괴되어 있으므로 과거에 시침과 분침 형태에 익숙하던 사용자들이 직관적으로 시간을 확인하는데 어렵다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LED 빛에 의해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여 시간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한 것은 물론,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으며, 가상의 시침과 분침이 구현되는 영역 전체를 간섭 없이 메모 등을 기재하기 위한 유용한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는,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의 내측 영역에서 분침과 차별화된 바 형태의 시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침과 분침은 길이 또는 색상으로 차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침은,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분침을 구현하는 해당 제1LED가 최초 점등되었을 때 가장 길게 형성되었다가 시계방향으로 다음 차순의 제1LED가 점등되면서 새로운 분침을 형성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시간의 흐름이 인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상기 시침 및 분침을 형상화하기 위해 점등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제1LED 모두는 일정 시간대가 되면 시침 및 분침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의 절개부는 둘레방향을 12 등분한 12 방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의 전면에는 둘레방향을 12 등분한 12 방위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제2LED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2LED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점등되도록 하여 몇 시인지 인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 내부의 실장공간에는 다수의 제3LED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추가 설치되고, 상기 시계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은 상기 제3LED가 조사하는 빛의 일부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이 상기 제3LED가 조사하는 빛의 일부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은 상기 시계 본체의 외주면과 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를 부착시킬 수 있고 펜으로 메모가 가능한 메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판은 투명 재질의 것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에 덧대어지는 후면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조명 시계는 LED 빛에 의해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구현하여 시간을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하며 시간 변화에 따른 다채로운 시각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침과 분침이 구현되는 영역 전체를 간섭 없이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메모를 기재하는 등의 유용한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LED 외에도 시계 본체를 통해 은은하게 빛을 발산할 수 있는 LED들이 구비되어 요일마다 혹은 특정 시간대마다 차별화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는 무드등으로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후면판을 구비하는 구성에 의해 벽체나 메모판 등에 걸 수 있는 걸이용은 물론 탁상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후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측면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거나, 개략적인 구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여 도시한 것이다.
또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한편,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는 링 형태의 시계 본체(110)로부터 조사되는 LED 빛의 조사 강도 및 색상에 의해 다양한 형태 및 색상으로 시침(H)과 분침(M)이 구현되고, 시계 본체(110)는 다양한 색상의 무드등으로 은은한 빛을 발산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요일 및 시간에 따라 감각적이면서 다채로운 시각 효과를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10)가 부착되도록 함께 구비된 메모판(130)에는 사용자 서로 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를 남길 수 있는데, 특히 다른 영역보다 집중도가 가장 높다고 할 수 있는 영역인 시계 본체(110)의 내측 영역(Z)의 경우 LED 빛에 의해 가상의 시침(H)과 분침(M)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간섭받지 않고 전체 영역을 메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된다(도면에는 "사랑해 -엄마"가 기재되어 있음).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는 독창적인 구성에 의하여 감성이 공존하는 다양한 기능 및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전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후면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도 6의 I-I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동작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 본체(110)와, 제1LED(120a)와, 제3LED(120c)와, 메모판(130)과, 제어기(140)와, 내장시계(150)와, 충전지(160)와, 음향센서(170)와, 스위치(18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위에서 설명된 것처럼 현재 시각에 따라 제1LED(120a)가 빛을 조사하면서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110)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시침(H)과 분침(M)의 형태로 형상화되도록 하는 독특한 구성을 갖는다.
아래에서는 상기 각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시계 본체(110)는 내부가 빈 실장공간(110s)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110c)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111)가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상기 절개부(111)가 시계 본체(110) 둘레 전체를 12 등분한 12 방위 위치에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시계 기능보다는 인테리어 개념에 초점을 맞춘다면 4방위, 16방위, 24방위, 36방위 등 4의 배수로 등분한 방위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10)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원형의 링 형태가 적당하지만 독창성 있는 시각효과를 위해 삼각, 사각 혹은 그 외 다각형의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능적으로는 다르지 않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10)의 내부 실장공간(110s)에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제어기(140)와 내장시계(150)가 집적된 PCB(121)를 비롯하여 제1LED(120a), 제2LED(120b) 및 제3LED(120c)가 설치되고, 도시되지 않은 음향센서(170) 및 스위치(180)가 내장된다.
그리고 상기 시계 본체(110)의 전면(110a)이나 후면(110b), 혹은 전면(110a)과 후면(110b) 모두는 상기 제3LED(120c)가 조사하는 빛을 내부에서 산란시키면서 그 중 일부만 외부로 투과시켜 발산되도록 하는 정도의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시계 본체(110) 후면(110b)의 경우 일부 빛이 투과되는 재질로 이루어진 부위는 시계 본체(110)의 외주면(110d)과 만나는 일부로만 한정되게 하고 그 부위는 메모판(130)이나 실내 벽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제3LED(120c)의 빛이 둘레 외측방향으로 투과되어 나갈 수 있도록 곡면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계 본체(110)의 후면 중 이렇게 곡면처리된 부위는 도 7에서 도면부호 110b2로 그렇지 않은 부위는 110b1로 구분하여 표기되었다.) 이로써, 상기 제3LED(120c)가 점등되면 조사되는 빛이 시계 본체(110)의 벽체를 투과하여 외부에서 은은하게 발산되면서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킬 수 있는 무드등으로서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시계 본체(110)의 후면(110b) 상단에는 실내 벽체에 박힌 걸이못이나 볼트 등을 삽입하여 걸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116)이 구비된다.
상기 제1LED(120a)는 시계의 시침(H)과 분침(M)을 형상화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LED(120a)는 시계 본체(110)의 내부 실장공간(110s)에서 12 방위로 형성된 절개부(111)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111)를 통하여 시계 본체(110)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1LED(120a)는 삼색 LED로 구비되어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기능적으로나 다채로운 시각효과를 연출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로써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다수의 제1LED(120a)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110)의 내측 영역에서 시침(H)의 형태로 형상화된다. 또한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다수의 제1LED(120a)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110)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분침(M)의 형태로 형상화된다. 다만, 상기 시침(H)과 분침(M)이 겹쳐지는 시각인 경우에는 시침(H)과 분침(M) 중 어느 하나에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우선순위가 부여된 하나만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중복을 피한다. 여기서 상기 시침(H)과 분침(M)의 구분은 제1LED(120a)의 조사강도에 따른 길이나 색상의 차이에 의해 표현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이 둘을 혼합하는 방법으로 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로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일반 바늘시계와 같이 시침(H)보다 분침(M)의 길이를 길게 하여 구분되도록 하였으며 여기에 더해 서로 다른 색상을 갖도록 차별화한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침(M)의 경우 제1LED(120a)가 최초 점등되었을 때 가장 높은 강도로 길게 형성되었다가 다음 차순의 제1LED(120a)가 점등되면서 새로운 분침(M)을 구현할 때까지 시간 배분에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시간의 흐름이 인지되도록 한다. 이같은 시간 흐름에 따른 변화를 도 8의 (a) 내지 (f)를 통하여 살펴볼 수 있다. 즉, 도 8의 (a)를 살펴보면 시침(H)이 3시 방향을 향하고 있고 분침(M)은 12시 방향을 향하고 있는데, 이 때 분침(M)의 길이가 가장 길게 형상화되어 있어서 3시 정각임을 인지할 수 있다. 이후 분침(M)을 형상화하고 있는 12시 방향의 제1LED(120a)에서 빛을 조사하는 강도가 점차 약해지면서 분침(M)의 길이도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b) ~ (e)에는 3시 1분부터 3시 4분까지 분침(M)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이후 5분이 되면 점진적으로 길이가 줄어들던 분침(M)이 자리를 옮겨 시계방향으로 이웃해 있는 다음 차순의 제1LED(120a)에 의해 형상화된다. 이에 따라 도 8의 (f)는 3시 5분을 가리키고 있다. 단, 위에서는 시간이 갈수록 분침(M)의 길이가 줄어들도록 제어되는 방식을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시간이 갈수록 분침(M)의 길이가 점진적으로 길어지는 방식도 가능하다. 예컨대, 도 8을 비교하여 설명하면, 3시 정각인 경우 시침(H)이 3시 방향의 제1LED(120a)가 점등되어 형상화되고, 분침(M)은 (e)와 같이 짧게 형상화되었다가 5분 되기 직전까지 점진적으로 길어져서 3시 5분이 되면 분침(M)이 5분을 가리키는 1시 방향으로 옮겨간 후 다시 길어진다. 이처럼 분침(M)의 길이변화를 통해 5분 미만의 세부적인 시간의 변화를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처럼 현재 시각이 일반적인 바늘시계의 시침(H)과 분침(M)과 같이 바 형태로 형상화되면 남녀를 불문하고 이전 바늘시계에 익숙해있던 누구나가 현재 시각을 보다 쉽게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이처럼 제1LED(120a)에 의해 시침(H)과 분침(M)을 형상화하면서도 보다 다양한 시각적 효과를 연출할 수 있다. 즉, 상기 시침(H)과 분침(M)의 색상은 차별화하는 가운데 요일마다 혹은 특정 시간대마다 시침(H)과 분침(M)의 색상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오전 6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간에는 다수의 제1LED(120a) 중 시침(H)과 분침(M)을 형상화하는 것을 제외하고 나머지는 소등된 상태를 유지하지만 오후 6시부터 그 다음날 오전 6시까지 야간에는 다수의 제1LED(120a) 중 시침(H)과 분침(M)을 형상화하는 것을 제외한 나머지까지 시침(H) 및 분침(M)과 차별화된 백색광 등의 다른 색상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하는 등 다채로운 효과를 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상기 제1LED(120a)의 점등 및 소등, 색상의 선택 등의 제어는 제어기(140)를 통해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제2LED(120b) 및 제3LED(120c)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어기(140)를 통해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3LED(120c)는 상기 시계 본체(110) 내부의 실장공간(110s)에서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설치되되, 격벽 역할을 하는 PCB(121)을 중심으로 전측과 후측에 설치되어 시계 본체(110)의 전면(110a)과 후면(110b)으로 일부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은은하게 발산되도록 한다. 참고로 도면에서는 상기 제3LED(120c)가 시계 본체(110)의 전측과 후측으로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PCB(121)을 중심으로 양편 모두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전측과 후측 중 어느 한편으로만 빛을 투과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구성 및 운용도 가능하다. 이처럼 제3LED(120c)를 구비하는 구성에 의하여 상기 제3LED(120c)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일부가 시계 본체(110)의 벽체를 통해 투과되어 은은하게 발산되면서 시계 본체(110)가 아름다운 링 형태의 무드등이 된다. 나아가 상기 제3LED(120c)의 경우에도 제1LED(120a)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색상의 빛을 조사할 수 있는 삼색 LED로 구비되고 제어기(140)를 통해 요일마다 혹은 특정 시간대마다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시계 본체(110) 내부에는 제1LED, 제2LED, 제3LED로부터 조사되는 빛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격벽(112,113)이 구비된다.
상기 메모판(130)은 상기 시계 본체(110)를 부착시킬 수 있고 마카펜이나 야광펜으로 메모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같은 메모판(130)이 구비되면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들 서로 간에 전달하고자 하는 메모를 남길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 시침(H)과 분침(M)이 LED 빛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다른 영역보다 집중도가 높다고 할 수 있는 시계 본체(110)의 내측 영역(Z) 전체를 간섭받지 않고 메모할 수 있는 영역으로 온전히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도면에는 "사랑해 -엄마"가 기재되어 있음). 물론 그 외 영역을 메모할 수 있는 영역으로 활용할 수 있다(도면에는 "아빠도 사랑^^"이 기재되어 있음).
여기서, 상기 메모판(130)은 표면 색상을 일반적인 화이트나 야광글자를 기재하기 위한 블랙 등으로 할 수 있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투명 재질의 것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모판(130)이 투명 재질의 것으로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시계 본체(110)의 발휘하는 대부분의 기능 및 시각적 효과를 메모판(130)의 후측에서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커다란 장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시계 본체(110)를 실내 벽체가 아닌 메모판(130)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걸이공을 이용하여 거는 것보다는 시계 본체(110) 내부에 자석을 구비토록 하고 메모판(130) 내부를 철판으로 구성하여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14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LED(120a) 및 제3LED(120c)와, 내장시계(150)와, 충전지(160)와, 음향센서(170)와, 스위치(180)를 중앙에서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기(140)의 경우 시계 본체(110)의 후면(110b)이나 리모컨(미도시됨)으로 마련된 제어패널(미도시됨)과 연결되며, 사용자는 상기 제어패널을 통해 각 구성요소들과 관련된 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내장시계(150)는 상기 제어기(140)에 시각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제어기(140)가 제1LED(120a)를 통해 시침(H)과 분침(M)을 정확하게 형상화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내장시계(150)는 정전시나 외부 전원이 연결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충전지(160)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고 지속적으로 시각 정보를 관리하기 때문에 항상 정확한 시각 정보를 제어기(14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음향센서(170)는 음파를 통하여 사용자가 인근 영역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어기(140)에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제1LED(120a) 및 제3LED(120c)가 점등되지 않은 상태로 동작하는 절전모드에서 제1LED(120a) 및 제3LED(120c)가 점등되는 정상모드로 변환할 수 있도록 한다. 이같은 음향센서(170)가 구비되면 주택의 현관에 설치되는 웰컴등과 같이 사람이 인근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일정 시간동안 제1LED(120a) 및 제3LED(120c)가 점등되어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음향센서(170)는 외부로부터 음파를 전달받기 용이하도록 시계 본체(110)의 외측 일부나 실장공간(110s) 중 절개부(111)가 형성된 인근에 설치된다.
상기 스위치(180)는 시계 본체(110)의 전면과 연동되는 터치식 스위치(180)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명 시계가 절전모드로 동작하다가 사용자가 시계 본체(110)의 전면을 터치하면 제1LED(120a) 및 제3LED(120c)가 일시에 점등되는 정상모드로 변환하여 동작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변형실시예들에 의한 조명 시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내부 구성을 간략히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기능을 위한 내부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변형실시예는 제1LED(120a)가 시침(H)을 형상화하도록 하는 대신 시계 본체(110)의 전면 12 방위에 각각 제2LED(120b)가 설치되고 이 중 하나가 점등되는 방식으로 현재 몇 시인지 인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이같은 제1변형실시예에서도 분침(M)의 경우에는 변형 전과 같이 동일한 방식으로 형상화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시침(H)과 분침(M) 모두 LED에 의해 바 형태로 형상화되는 것은 아니므로 직관성은 다소 떨어지지만 시와 분을 표시하는 방식을 보다 차별화함으로써 양자 간을 혼용할 수 있는 우려가 사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로 도 9는 12시 정각임을 표시한 것이고, 도 10은 2시 5분임을 표시한 것이다.
이같은 제2LED(120b)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도 11과 같이 시계 본체(110) 전면에 제2LED(120b)가 위치할 수 있는 통공(114)이 형성되고 상기 제2LED(120b)는 도 12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다른 제1LED(120a) 제3LED(120c)와 마찬가지로 제어기(140)와 연결되어 제어를 받는다.
나아가, 몇 시인지를 표시하기 위한 제2LED(120b)가 구비되는 구성에 의하면 야간과 주간을 구분하여 주간에는 다수의 제2LED(120b) 중 시를 표시하기 위한 것만 점등되고 나머지 제2LED(120b)는 소등된 상태가 되지만, 야간에는 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되는 제2LED(120b)를 제외한 나머지 제2LED(120b)의 경우에도 백색광과 같이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여 시각적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 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2변형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한 조명 시계는 시계 본체(110)의 후면에 덧대어지는 후면판(19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처럼 후면판(190)이 구비되면 제1LED(120a)의 빛이 조사된 후 상기 후면판(190)에 맺히면서 실내 벽체나 메모판(130)의 도움을 받지 않더라도 시침(H)과 분침(M)이 선명하게 형상화 된다. 여기서 상기 후면판(190)의 외형은 상기 시계 본체(110)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고(도면에서는 원판형), 실내 벽체에 걸 수 있도록 걸이용 통공(191)을 구비한다. 또한, 본 제2변형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면판(190)의 전면에 끼움돌기(192)가 형성되고 상기 시계 본체(110)의 후면에는 상기 끼움돌기(192)가 대응하여 끼워지는 끼움홈(119)이 형성되어 양자 간에 착탈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같이 후면판(190)이 구비되는 구성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명 시계를 걸이용은 물론 탁상용 받침대를 사용하여 탁상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110 : 시계 본체 111 : 절개부
120a : 제1LED 120b : 제2LED
120c : 제3LED 130 : 메모판
140 : 제어기 150 : 내장시계
160 : 충전지 170 : 음향센서
180 : 스위치
120a : 제1LED 120b : 제2LED
120c : 제3LED 130 : 메모판
140 : 제어기 150 : 내장시계
160 : 충전지 170 : 음향센서
180 : 스위치
Claims (12)
-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의 내측 영역에서 분침과 차별화된 바 형태의 시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시침과 분침은 길이 또는 색상으로 차별화되며, 상기 분침은,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분침을 구현하는 해당 제1LED가 최초 점등되었을 때 가장 길게 형성되었다가 시계방향으로 다음 차순의 제1LED가 점등되면서 새로운 분침을 형성할 때까지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하여 시간의 흐름이 인지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삭제
- 삭제
- 삭제
-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기는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의 내측 영역에서 분침과 차별화된 바 형태의 시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상기 시침 및 분침을 형상화하기 위해 점등된 것을 제외한 나머지 제1LED 모두는 일정 시간대가 되면 시침 및 분침과 다른 색상의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절개부는 둘레방향을 12 등분한 12 방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시계 본체의 전면에는 둘레방향을 12 등분한 12 방위에 각각 배치된 다수의 제2LED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는 현재 시각 중 몇 시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2LED 중 해당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점등되도록 하여 몇 시인지 인지 가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내부가 빈 실장공간으로 형성된 링 형태의 몸체로 이루어지고,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중심부를 향하여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된 시계 본체와; 상기 시계 본체의 내부 실장공간에서 각각의 절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시계 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한 다수의 제1LED와; 현재 시각 중 몇 분인가에 따라 상기 다수의 제1LED 중 해당하는 방위에 위치한 하나가 빛을 조사하도록 하여 그 조사된 빛이 상기 시계 본체에 의해 둘러싸인 내측 영역에서 바 형태의 분침으로 형상화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며,
상기 시계 본체 내부의 실장공간에는 다수의 제3LED가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추가 설치되고, 상기 시계 본체의 전면 또는 후면은 상기 제3LED가 조사하는 빛의 일부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이 상기 제3LED가 조사하는 빛의 일부가 투과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은 상기 시계 본체의 외주면과 접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외측 방향으로 빛이 발산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제1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를 부착시킬 수 있고 펜으로 메모가 가능한 메모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판은 투명 재질의 것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제1항, 제5항, 제7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계 본체의 후면에 덧대어지는 후면판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시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332A KR101644944B1 (ko) | 2014-11-10 | 2014-11-10 |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5332A KR101644944B1 (ko) | 2014-11-10 | 2014-11-10 |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475A KR20160055475A (ko) | 2016-05-18 |
KR101644944B1 true KR101644944B1 (ko) | 2016-08-02 |
Family
ID=56113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5332A KR101644944B1 (ko) | 2014-11-10 | 2014-11-10 |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4494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3883B1 (ko) * | 2017-06-23 | 2019-11-12 | 안재열 | 간접조명 시계 |
KR102066667B1 (ko) * | 2018-06-11 | 2020-01-15 | 최하나 | 엘이디 시계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413307Y (zh) * | 1999-12-02 | 2001-01-03 | 李致华 | 石英光显钟 |
KR200256687Y1 (ko) * | 2001-08-14 | 2001-12-24 | 김혜정 | 시,분,초표시부에 발광부가 내설된 시계 |
JP3123608U (ja) * | 2005-05-17 | 2006-07-20 | 炬▲きん▼科技股▲ふん▼有限公司 | 時刻表示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3102Y2 (ja) * | 1990-03-30 | 1996-10-02 | 野村精機株式会社 | 自動盤のロッキング刃物台 |
KR20130109386A (ko) | 2012-03-27 | 2013-10-08 | 김재현 | Led를 이용한 시계 |
-
2014
- 2014-11-10 KR KR1020140155332A patent/KR1016449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413307Y (zh) * | 1999-12-02 | 2001-01-03 | 李致华 | 石英光显钟 |
KR200256687Y1 (ko) * | 2001-08-14 | 2001-12-24 | 김혜정 | 시,분,초표시부에 발광부가 내설된 시계 |
JP3123608U (ja) * | 2005-05-17 | 2006-07-20 | 炬▲きん▼科技股▲ふん▼有限公司 | 時刻表示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55475A (ko) | 2016-05-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795970B (zh) | 包含发光模组的家用电器 | |
JP6004489B2 (ja) | 照明付き時計装置 | |
KR101644944B1 (ko) | 가상의 시침과 분침을 형상화하는 빛을 이용한 조명 시계 | |
EP2063169B1 (en) | Lighting means | |
JP2004164893A (ja) | 発光式センサースイッチ構造 | |
JP7402914B2 (ja) | 局所的照光を行う計時器 | |
KR101963017B1 (ko) | 엘이디 무드 시계 | |
US3609960A (en) | Timepiece dial | |
KR20130109386A (ko) | Led를 이용한 시계 | |
KR200410703Y1 (ko) | 조명시계의 조명장치 | |
US20040212988A1 (en) | Illumination devices using LEDs | |
JP6369779B2 (ja) | 照明器具 | |
KR102043883B1 (ko) | 간접조명 시계 | |
KR102066667B1 (ko) | 엘이디 시계 | |
KR101541692B1 (ko) | Led 조명 시계 | |
JP2000292558A (ja) | 目覚まし時計の表示装置 | |
KR20170100365A (ko) | 조명기구 및 그를 갖는 재배기 | |
KR200445921Y1 (ko) | 시계 | |
KR100786309B1 (ko) | 시간의 식별이 용이한 시계 | |
JP2006164672A (ja) | 発光表示式検知装置 | |
US3164953A (en) | Clock | |
KR200303073Y1 (ko) | 비상구 표시등 | |
KR101555624B1 (ko) | 빛 확산 기능을 이용한 문자 조명 시계 | |
KR200266108Y1 (ko) | 유/무인 표시장치 | |
KR101486251B1 (ko) | 시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