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404B1 -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 Google Patents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404B1
KR101643404B1 KR1020160023219A KR20160023219A KR101643404B1 KR 101643404 B1 KR101643404 B1 KR 101643404B1 KR 1020160023219 A KR1020160023219 A KR 1020160023219A KR 20160023219 A KR20160023219 A KR 20160023219A KR 101643404 B1 KR101643404 B1 KR 101643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ground
ground wire
groun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3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덕
Original Assignee
(주)광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광진 filed Critical (주)광진
Priority to KR1020160023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2Arrangements of earthing wires suspended between masthe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전선(20)이 연결된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보강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기설접지선(31) 부위의 연결을 끊는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및 상기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Earth electrode reinforcement construction method for telephone pole including ground wire}
본 발명은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히는 접지상태를 유지하며 전주내부에 접지선을 교체하거나, 접지선에 연결되고, 지중에 매설된 접지전극을 교체할 수 있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이다.
접지란 일반적으로 전자제품을 사용하면서 유도전류나 기타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누설전류에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지의 방법은 상기 누설전류를 무한히 큰 대전체인 지구에 흘려주는 것으로, 누설된 전기가 사람이 아닌 땅으로 흐르게 하여 감전을 막고, 전자제품의 이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일반적으로 휴대하는 전자제품이 아닌, 지면에 설치되는 전기시설의 경우 접지 공사를 의무적으로 하도록 규정되어 있으며, 원칙적으로는 다수의 동판과 접지저감제를 지하 깊이 매설하여 대지와 접촉시킨 후에 접지선을 배선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접지 공사는 노상에 흔히 설치되어 있는 전주에도 적용되는 것으로서, 통상 접지선이 전주의 내부를 통해 지면과 접촉하여 접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접지가 되어 있는 전주는 접지선에 연결된 접지전극의 저항이 변동되어 전극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이를 교체해야 하는 보강공사를 진행해야 했고, 종종 접지선이 불량인 경우에도 이를 교체해야하는 보강공사를 진행해야 했다. 이러한 종래 보강공사의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첫 번째는 굴착량 과다에 의한 전주의 파손이 우려되는 점이고, 두 번째는 굴착량 과다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이다. 보강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경우, 전주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 및 인출구로 빠져나온 접지선을 찾아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전주와 인접한 지면을 일정 깊이 이상으로 굴착해야 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굴착량이 과다해져 전주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고,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의 어려움 때문에 접지선을 전주의 내부로 넣지 않고, 전주의 외면을 따라 접지선을 설치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경기침체와 원자재 상승에 따라 이 접지선의 도난이 빈번하게 발생하여, 접지선을 전주 내측에 배치하는 방식의 보강공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종래 전주의 접지시공과 관련해서는 한국공개특허 제2003-0052460호("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2003.06.27.)에 개시되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52460호("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2003.06.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접지선이 내장된 전주의 접지전극 보강공사에 있어서, 전주의 파손 위험이 적고, 시공이 용이하며, 접지가 계속 유지된 상태로 접지전극을 교체 또는 보강하거나, 전주 내부에 위치한 접지선을 교체할 수 있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전선(20)이 연결된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보강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기설접지선(31) 부위의 연결을 끊는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및 상기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전선(20)이 연결된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보강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기설접지선(31) 부위의 연결을 끊는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및 상기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직전에, 보조연결봉(70)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전선(20)을 연결하는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및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과 기설접지전극(40)의 연결을 끊는 기설접지선 절단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가점퍼선 제거단계 후에 상기 보조연결봉(70)을 제거하는 보조연결봉 제거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상기 기설접지선 절단단계와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사이에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양끝단 중 하나에 신설접지선(32)을 연결하고, 반대쪽 끝단을 잡아당겨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전주(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해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하는 신설접지선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후에 진행되는 단계에서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굴착단계는 상기 전주(10)의 인근지역을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굴착하는 제1굴착단계 및 상기 제1굴착단계 후 상기 전주(10)에 인접한 지면을 스크류형 굴착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구(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굴착단계에서 굴착한 면적보다 좁게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을 진행하는데 있어서, 굴착량이 적어 전주의 파손 위험이 적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사용되던 접지전극을 재활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접지상태가 유지된 상태에서 보강공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누설전류에 대해 안전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기설접지선을 신설접지선으로 용이하게 교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굴착단계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조가점퍼선 설치단계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조가점퍼선 설치단계의 다른 상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조가점퍼선 제거단계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보조연결봉 설치단계의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신설접지선 설치단계의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전선의 접지 자체가 끊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접지선이 기설된 전주에서 이미 연결된 접지전극을 다른 접지전극으로 교체 또는 접지선을 새것으로 교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도 1는 전주의 접지전극 보강공법중 굴착단계를 먼저 진행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고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세 가지 실시예를 각각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의 제1실시예는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교체하는 전주내부 접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굴착단계,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및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실시예는 기설접지선(31)이 여유장이 있을 경우로, 여유장이 없을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할 제2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상기 굴착단계는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단계로, 제1굴착단계 및 제2굴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굴착단계는 상기 전주(10)의 인근지역을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굴착하는 단계로, 도 1에 도시된 굴착된 부분 중 상측에 위치한 넓은 부분이 상기 제1굴착단계로 굴착한 부분이다. 상기 제1굴착단계는 상술한대로 시공시 필요한 장비와 작업자가 활동하기 위한 공간 확보를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굴착단계에서 굴착하는 깊이는 따로 정해지지 않았으나, 통상적으로 상기 인출구(13)가 위치하는 깊이가 1.0~1.2미터이므로, 이 절반가량인 40~60센티미터 가량을 굴착한다. 즉 상기 제1굴착단계는 장비의 운용 및 작업자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한으로 확보하는 단계인 것이다.
상기 제2굴착단계는 상기 제1굴착단계 후 상기 전주(10)에 인접한 지면을 스크류형 굴착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구(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굴착단계에서 굴착한 면적보다 좁게 굴착하는 단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부분 중, 상기 제2굴착단계에서 굴착된 부분은 상기 전주(10)에 인접하고, 좁고 깊게 굴착된 부분으로, 상기 인출구(13)가 위치하는 부분인 지중 1.0~1.2m까지 굴착한다. 상기 제2굴착단계에서 사용하는 상기 스크류형 굴착비트는 수동 또는 전동으로 작동하여 굴착하는 장비로, 소형화되기 때문에 좁고 깊게 굴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적합하다. 종래에는 상기 인출구(13)까지 넓게 굴착하는 경우가 많아 상기 전주(10)가 안정적이지 못해 파손 위험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경우 스크류형 굴착비트를 이용하여 좁은 범위를 파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고 전주가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2굴착단계를 진행할 때, 스크류 굴착비트에 의해서 굴착할 때, 상기 기설접지선(31)이 손상될 수 있는데, 이를 유의하며 진행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가점퍼선 설치단계는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전선(20)의 기존 연결을 끊는 단계이다. 상기 조가점퍼선(60)은 상기 전선(20)과 상기 기설접지선(31)을 임시로 연결하여 접지가 되도록 유지하고, 상기 기설접지선(31)을 작업자가 하측에서 끌어내릴 수 있도록 길이의 여유를 갖기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도 2의 점 부분은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조가점퍼선(60)의 연결을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조가점퍼선 연결단계를 거친 후, 상기 기설접지선(31)을 하측에서 잡아당긴 상황을 도시한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은 여유장이 있어 작업자가 쉽게 잡을 수 있는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상기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는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이는 도 4에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상기 신설접지전극(41)이 상기 기설접지선(31)에 서로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접지전극이 하던 역할을 함께 수행하게 되어 효율이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설접지전극(40) 및 신설접지전극(41)을 함께 사용하지 않고, 상기 신설접지전극(41)만을 사용하고, 상기 기설접지전극(40)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신설접지전극(41)을 상기 기설접지선(31)에 연결한 후,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기설접지선(31)의 연결을 끊은 후 상기 기설접지전극(40)을 폐기한다.
상기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는 상기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먼저 연결한 후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것은 접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면, 상기 전선(20)은 상기 기설접지선(31)을 통해 상기 기설접지전극(40) 또는 신설접지전극(41)과 항상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누설전류에 대해 안전한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와 달리,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여유장이 없을 경우에 대한 방법으로, 상기 제1실시예에 진행되는 단계 외에 몇몇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의 제2실시예는 굴착단계,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기설접지선 절단단계,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조가점퍼선 제거단계 및 보조연결봉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굴착단계 및 조가점퍼선 설치단계는 제1실시예와 같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보조연결봉 설치단계는 보조연결봉(70)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전선(20)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도 5는 상기 보조연결봉(70)을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조연결봉(70)과 기설접지전극(40)이 서로 연결되어 접지상태를 이루고 있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보조연결봉 설치단계를 진행한 직후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기설접지전극(40)이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선(20)의 접지상태는 상기 보조연결봉(70)과 기설접지선(31)을 통한 두 가지이다. 이 두 가지 접지상태는 서로 병렬상태이므로 즉 보조연결봉(70)은 상기 기설접지선(31)을 교체하기 위해 임시로 접지를 상기 전주(10) 외부에 연결한 것이다. 상기한 두 접지상태는 어느 한 쪽을 절단해도 접지상태가 변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후에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과 기설접지전극(40)의 연결을 끊는 상기 기설접지선 절단단계를 수행하며, 이 상태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는 상기 기설접지선 절단단계 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단계이다.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의 차이점은, 상기 제1실시예는 상기 기설접지선(31)이 단선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신설접지전극(41)과 연결되는 것이고,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설접지선(31)이 단선이 된 상태에서 상기 신설접지전극(41)과 연결된다는 것이다.
상기 조가점퍼선 제거단계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보조연결봉 제거단계는 상기 보조연결봉(70)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상기한 모든 단계를 거친 2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설접지전극(40)은 활용되지 못할 수 있으나, 상기 보조연결봉 제거단계 이후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기설접지선(31)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신설접지전극(41)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제3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실시예는 제2실시예를 응용하여, 상기 기설접지선(31)을 신설접지선(32)으로 교체하는 단계가 추가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의 제3실시예는 굴착단계,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기설접지선 절단단계,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조가점퍼선 제거단계 및 보조연결봉 제거단계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는 상기 굴착단계,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및 기설접지선 절단단계는 제2실시예와 동일하고,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설접지선(31)이 신설접지선(32)으로 대체되는 것 이외에는 동일하므로,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만을 설명한다.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는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양끝단 중 하나에 신설접지선(32)을 연결하고,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양끝단을 잡아당겨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한 후 상기 기설접지선(31)을 제거하는 단계이다.
도 6은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 끝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을 잡아당기면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 대신 상기 전주(10)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 끝단에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연결될 수 도 있다.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 끝단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조가점퍼선(60)은 미리 제거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상기 기설접지선(31)을 상기 인출구(13)쪽에서 당겨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전주(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설접지선(31) 대신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사용되며, 나머지 과정은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다.
상기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에 포함된 상기 조가점퍼선 설치단계와 굴착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꿔서 시공해도 관계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전주
11 : 내부공간
12 : 인입구
13 : 인출구
20 : 전선
30 : 접지선
31 : 기설접지선
32 : 신설접지선
40 : 기설접지전극
41 : 신설접지전극
60 : 조가점퍼선
70 : 보조연결봉

Claims (5)

  1. 전선(20)이 연결된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보강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기설접지선(31) 부위의 연결을 끊는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보조연결봉(70)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전선(20)을 연결하는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과 기설접지전극(40)의 연결을 끊는 기설접지선 절단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위치한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조가점퍼선 제거단계; 및
    상기 보조연결봉(70)을 제거하는 보조연결봉 제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2. 전선(20)이 연결된 전주(10) 내부에 설치된 기설접지선(31) 또는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연결된 기설접지전극(40)을 보강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에 관한 것으로,
    조가점퍼선(60)을 이용하여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노출된 상기 기설접지선(31)과 상기 전선(20)을 병렬로 연결하고, 병렬로 연결된 상기 기설접지선(31) 부위의 연결을 끊는 조가점퍼선 설치단계;
    상기 전주(10)의 하측에 위치한 인출구(13)와 기설접지선(31)이 노출되도록 지표면을 굴착하는 굴착단계;
    보조연결봉(70)을 이용하여 상기 기설접지전극(40)과 전선(20)을 연결하는 보조연결봉 설치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과 기설접지전극(40)의 연결을 끊는 기설접지선 절단단계;
    상기 인출구(13)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하측과 신설접지전극(41)을 연결하는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상기 전주(10)의 상측에 위치한 인입구(12)로 빠져나온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상측과 상기 전선(20)을 연결하고, 상기 조가점퍼선(60)을 제거하는 조가점퍼선 제거단계; 및
    상기 보조연결봉(70)을 제거하는 보조연결봉 제거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은
    상기 기설접지선 절단단계와 신설접지전극 연결단계 사이에
    상기 기설접지선(31)의 양끝단 중 하나에 신설접지선(32)을 연결하고, 반대쪽 끝단을 잡아당겨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전주(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해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하는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신설접지선 설치단계 후에 진행되는 단계에서 상기 신설접지선(32)이 상기 기설접지선(31)을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5. 제 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착단계는
    상기 전주(10)의 인근지역을 미리 정해진 깊이까지 굴착하는 제1굴착단계 및
    상기 제1굴착단계 후 상기 전주(10)에 인접한 지면을 스크류형 굴착비트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구(13)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굴착단계에서 굴착한 면적보다 좁게 굴착하는 제2굴착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KR1020160023219A 2016-02-26 2016-02-26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KR101643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19A KR101643404B1 (ko) 2016-02-26 2016-02-26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3219A KR101643404B1 (ko) 2016-02-26 2016-02-26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404B1 true KR101643404B1 (ko) 2016-07-27

Family

ID=56617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3219A KR101643404B1 (ko) 2016-02-26 2016-02-26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4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69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 배전선로 접지공법
KR20030052460A (ko) 2001-12-21 2003-06-27 안치정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KR200332726Y1 (ko) * 2003-07-30 2003-11-10 한국전력공사 스틱분리형 cos점퍼 케이블
JP2009033951A (ja) * 2007-07-30 2009-02-12 Daewon Electric Co Ltd オーガークレーン用拡張型掘削ユニットを利用した架空線路用円弧状電柱根枷の施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569A (ko) * 2001-11-30 2003-06-09 주식회사 디엠테크 배전선로 접지공법
KR20030052460A (ko) 2001-12-21 2003-06-27 안치정 전주의 접지시공방법과 그 장치
KR200332726Y1 (ko) * 2003-07-30 2003-11-10 한국전력공사 스틱분리형 cos점퍼 케이블
JP2009033951A (ja) * 2007-07-30 2009-02-12 Daewon Electric Co Ltd オーガークレーン用拡張型掘削ユニットを利用した架空線路用円弧状電柱根枷の施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401B1 (ko)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US6135209A (en) Method for installing a water well pump
KR101367099B1 (ko) 지하매설물 확인용 카메라를 갖는 오거크레인 및 백호우용 굴착 스크류
CN107780850A (zh) 一种连续油管内置电缆的方法
KR101643404B1 (ko) 접지선 전주내부 보강공법
KR100928719B1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시공방법
EP2654144A2 (en) Smart bonding method for equipment including a remote control panel and a control panel having a metal case for underground wells
US20180115141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w Cable Provisioning Using Applied Physical Process
US103383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cable expansion
RU2569333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извлечения сердцевины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кабеля, заключенного в оболочку
KR101743664B1 (ko) 자성을 이용한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공법 및 접지선 전주내부 설치를 위한 공구세트
KR20100112510A (ko) 보링접지용 고강도 접지봉 및 그 시공방법
KR102587412B1 (ko) 전력 설비의 고장 복구 방법 및 장치
US6418036B1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having a break away shielding structure
JP2004300833A (ja) 管体設置方法
KR20200111474A (ko) 접지극 삽입공법
KR101347532B1 (ko) 보조 접지전극으로 사용 가능한 철근 콘크리트 전주를 이용한 접지보강 방법
KR20220003348A (ko) 지중접지장치 및 지중접지장치를 이용한 지중접지방법
TWI402415B (zh) 使用可延伸之液壓開挖螺桿建構高強度接地線下支撐的方法
CN215165925U (zh) 工程机械
KR102479371B1 (ko) 배전 선로용 리드레스 접지장치의 시공방법
KR20090088988A (ko) 전주의 접지봉 시공방법 및 그 장치
JP4370102B2 (ja) 地中に埋設された既設管の引抜撤去方法
JP4930902B2 (ja) 送電線用l型終端接続部の解体工法と、送電線用l型終端接続部の解体工法に用いられる養生シート・解体用治具
JP2019183387A (ja) パワーショベル用アタッチメントの取り換えに使用するダミーピン、およびそれを用いた取り換え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