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891B1 -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891B1
KR101642891B1 KR1020160037382A KR20160037382A KR101642891B1 KR 101642891 B1 KR101642891 B1 KR 101642891B1 KR 1020160037382 A KR1020160037382 A KR 1020160037382A KR 20160037382 A KR20160037382 A KR 20160037382A KR 101642891 B1 KR101642891 B1 KR 101642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pad
balls
metal balls
s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현우
황성원
Original Assignee
류현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현우 filed Critical 류현우
Priority to KR1020160037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8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7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002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11/00Resistance welding; Severing by resistance heating
    • B23K11/36Auxiliary equip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104Treads
    • E04F11/16Surfaces thereof; 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thereof
    • E04F11/163Protecting means for edges or co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nting Meth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금속 볼들을 상기 볼과 동질의 금속 패드 상에 적어도 일부 면적 부위에서 융착시키되, 금속 볼들이 완전 용융되지 않고 적어도 그 표면이 이웃하는 볼들 및 금속 패드와 융착됨으로써 금속 볼들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보존하여 미끄럼방지면을 형성하고, 동질의 볼들과 패드가 서로 융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탈락하지 않아 내구성을 크게 높인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 패드(30); 및 상기 금속 패드(30) 상의 적어도 일부 면적에 규칙적인 배열로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면(35);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패드(1)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면(35) 부분에는 상기 금속 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볼(20)들이 이웃하는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 상면에 용접 열융착부(W)가 형성되며 상호 고정되되, 각 금속 볼은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서 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금속 볼들과 금속패드 사이의 공극부(S)는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NONSLIP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을 가지는 금속 볼들을 상기 볼과 동질의 금속 패드 상에 적어도 일부 면적 부위에서 융착시키되, 금속 볼들이 완전 용융되지 않고 적어도 그 표면이 이웃하는 볼들 및 금속 패드와 융착됨으로써 금속 볼들의 형상을 거의 그대로 보존하여 미끄럼방지면을 형성하고, 동질의 볼들과 패드가 서로 융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외부 충격에도 탈락하지 않아 내구성을 크게 높인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계단의 모서리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패드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패드는 금속판을 절곡하여 요철을 준 형태로 제작되거나, 요철이 있는 고무 패드를 금속판에 설치한 형태로 제작되거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고경도의 입자들을 패드 상에 부착하는 형태로 제작되고 있다.
단순히 금속판을 절곡하여 요철을 준 형태의 미끄럼방지 패드는 그 위로 지속적인 하중이 가해짐에 따라 변형이 되거나 마모가 일어나기 쉽고, 변형과 마모에 의해 평평해져 버리게 되면 더 이상 미끄럼방지의 기능을 상실하고 오히려 더 미끄럽게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요철이 있는 고무패드의 경우에는 고무패드가 오래 견디지 못하고 금방 마모되어 버리기 때문에, 교체를 자주 해주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렇게 요철을 둔 경우에는, 요철의 틈으로 먼지나 오물이 끼워져 금방 더러워지기 때문에, 미관을 헤치게 된다.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경도의 입자들을 패드 상에 부착한 형태의 미끄럼방지 패드는, 부착되어 있는 고경도의 입자들의 끝부분이 날카롭기 때문에, 물건이나 사람이 이 부분에 직접 닿으며 마찰을 일으킬 때 물건에 스크래치가 생기고 피부가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고경도의 입자들은 가공이 까다로운 연유로 이를 날카롭지 않고 둥글둥글한 형태로 제작하는 자체가 매우 어렵고, 이렇게 제작한다손 치더라도 그 제작비용이 상당하기 때문에, 매우 비경제적이다.
게다가 고경도의 입자들은 그 자체로는 마모가 잘 일어나지 않아 내마모성이 뛰어날 수 있지만, 고경도의 입자들을 고정하고 있는 바인더가 약해지거나 파괴되는 순간, 아예 입자 자체가 탈락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다. 텅스텐 카바이드와 같은 초경 입자들을 활용한 기존의 미끄럼방지 패드들은 한결같이 이러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텅스텐 카바이드를 이질의 금속 패드 상에 직접 단단히 고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텅스텐 카바이드보다는 상대적으로 연질의 금속을 용융시켜 그 안에 텅스텐 카바이드와 같은 초경 입자들을 매립하는 방식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비롯된다. 즉 텅스텐 카바이드는 그 자체로 내마모성이 큰 초경 입자라는 점에서는 잦은 마찰에 노출되는 미끄럼방지 패드의 재질로 사용하기에 고무적이지만, 날카로운 면이 많아 위험하다는 점, 이를 잡아주는 구조가 약화되면 탈락해버린다는 점 등의 문제로 인해, 제품성의 한계를 갖는다.
등록특허공보 제144210호 공개특허공보 제1997-6921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6108호 등록특허공보 제77865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날카롭지 않으면서도 충분한 경도를 가지는 작은 직경의 금속 볼들을 직접 동질의 금속 패드 상에 융착 고정함으로써 탈락에서 자유롭고 날카롭지 않으면서도 오랜 기간 사용할 수 있는 미끄럼방지 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철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 패드(30); 및 상기 금속 패드(30) 상의 적어도 일부 면적에 규칙적인 배열로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면(35);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패드(1)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면(35) 부분에는 상기 금속 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볼(20)들이 이웃하는 금속 패드 상면과 금속 볼들에 열융착부(W)가 형성되며 상호 고정되되, 각 금속 볼은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서 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열 융착 부분(w)에 의해,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는 일부분이 겹쳐지게 되며, 상호 열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볼들과 금속패드 사이에는 공극부(S)가 마련되어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를 제공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는 상기 금속 볼(20)들이 0.5 mm 내지 1.2 mm 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는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사이의 표면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사이의 표면으로부터 열 융착에 의해 겹쳐지게 되는 부분(w)의 깊이는 0.02mm 내지 0.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는 적어도 상기 미끄럼방지면의 표면이 열 융착 후 방청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금속 패드(3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 패드(30) 상에서 미끄럼방지면(35)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 부위에 바인더(4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40)가 도포된 상기 금속 패드(30) 상에 상기 금속 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볼(20)들을 부어 바인더(40)가 도포된 부위에 금속 볼(20)들이 조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40)를 제거하면서 상기 바인더(40)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20) 들을 더욱 조밀하게 모으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볼(20)들과 금속 패드가 그들의 접점에서 열 융착되도록 저항 용접하되,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열 융착 부분(w)에 의해,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는 일부분이 겹쳐지게 되며, 상호 열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볼들과 금속패드 사이에는 공극부(S)가 마련되어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용접 단계는, 상기 금속 볼(20) 들을 상부에서 가압하며 금속 볼의 상부에 제1전극을, 상기 미끄럼방지면(35)과 대향하는 금속 패드의 저면에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통전하여 이웃하는 금속 볼(20)들과 금속 패드면을 용접으로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인더를 제거해가는 단계는 상기 바인더(40)를 가열함으로써 휘발 또는 연소시켜 바인더의 제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접에 의한 열 융착 단계 후 미끄럼방지면(35)을 방청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들이 서로 밀집해 있는 형태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면이 미끄럼방지 패드 상에 형성됨으로써 날카롭지 않으면서도 미끄럼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미끄럼방지면을 이루는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를 동질의 재질로 구성하고 상호 용접하여 열 융착하므로, 미끄럼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금속 볼들이 매우 견고히 고정되어 있어 미끄럼방지면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형태와 크기가 상대적으로 균일한 금속 볼들을 상호 접점에서 용접하므로, 용접 개소가 균일하게 분포됨은 물론 용접 개소의 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미끄럼방지면을 이루는 금속 볼의 결합력을 크게 높일 수 있다.
또한 금속 볼들을 그 접점에서 서로 용접함에 있어서 볼들이 실질적으로 구 형태이기 때문에 금속 볼들 사이의 공극부를 확보함으로써 금속 재질이 열에 의해 변형될 때 이러한 변형을 공극부에서 충분히 흡수해줄 수 있어, 열 변형에 의해 접점 부분의 결합력이 약화되거나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복잡한 공정 없이 비교적 간단한 공정만으로도 미끄럼방지 패드를 제작할 수 있어 생산성이 매우 높고 가격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행하는 바인더 제거 과정에서 가열하는 절차가 후행하는 저항 용접의 가공성을 높여주므로 공수를 더 줄일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패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금속 패드 상에서 미끄럼방지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 부위에 바인더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금속 패드 상에 복수 개의 금속 볼을 올려 놓아 바인더 상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바인더를 금속 패드를 가열하여 바인더가 기화하면서 바인더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들이 더 가까이 밀착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금속 볼들을 금속 패드면 및 미끄럼방지면의 중앙부로 가압하며 순간적으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서로 접촉하고 있던 금속 볼들의 표면 및 금속 패드 상면이 열 융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패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2의 일부분을 더 크게 도시한 부분이 되므로 도 7 역시 함께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패드(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패드(30) 상의 소정 위치에 미끄럼 방지면(35)이 마련된 형태이다. 미끄럼 방지면(35)은 금속 패드 상의 전체 면적에 걸쳐 마련될 수도 있지만, 사람이 계단을 오르내릴 때 미끄러지지 않게 하기 위한 정도라면 도시된 바와 같이 부분적으로 여러 개소에 미끄럼방지면을 형성함으로써, 사람이 미끄럼방지 패드를 밟고 있을 때 사람의 발 면적에 적어도 3개소 이상의 미끄럼방지면이 포함되도록 하여 미끄럼 방지 효과를 충분히 내도록 하는 것이 제조 단가 면이나 외관 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패드(30)의 재질은 예를 들면 철 또는 스테인리스일 수 있다. 그리고 금속 패드(30)에 있어서 미끄럼방지면(35)이 되는 면적 부분에는 복수 개의 금속 볼(20)이 서로 밀집된 형태로 상호 고정되어 있다.
금속 볼(20)은 상기 금속 패드(30)와 용접되었을 때 충분한 융착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일 예로서 금속 패드(30)와 동질의 재질일 수 있다. 금속 볼(20)과 금속 패드(30) 간, 그리고 이웃하는 금속 볼(20)들 간에는 그 접점에서 상호 용접 결합되어 있다.
특히 금속 볼(20)들은 모두 볼 형태이므로 이웃하는 금속 볼들 사이의 접점의 면적은 미시적인 관점에서는 꽤 넓게 되어 있어, 상호간의 결합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두 균일한 볼 형태의 금속 볼이 서로 밀집된 형태로 이웃하여 있으면서 그 접점들에서 상호 용접되어 있으므로, 하나의 금속 볼 입장에서 보았을 때에는 최소 3개소의 위치에서 인접하는 다른 금속 볼이나 금속 패드와 용접되어 있다. 특히 하나의 금속 볼이 많게는 10개소 이상의 위치에서 용접이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금속 패드 위에 고정된 금속 볼들이 상호 긴밀하게 서로 연결 고정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작은 직경의 금속 볼들이 밀집 고정된 형태이기 때문에, 미끄럼방지면(35)의 상부면은 굉장히 울퉁불퉁한 형태가 되고, 이는 미끄럼 방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물론 각각의 돌기 부분은 둥글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날카롭지 않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금속 볼들을 서로 밀집시킨 상태에서 접점마다 용접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웃하는 볼들 간의 용접 개소의 개수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미끄럼방지면이 날카롭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는 후술할 공극부(S)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반면 굉장히 불규칙한 형태와 크기의 금속 파편들을 사용한다면, 이들의 접점에서 이들을 상호 용접한다고 하더라도 모든 금속 파편들이 상호 긴밀하게 고정된다는 것을 보장받기 어려울 뿐더러, 날카로운 부분이 미끄럼방지면 상부로 노출되어 위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 사이의 접점에서 이들을 상호 용접 부착하기 때문에, 볼 사이에 공극부(S)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 볼들 사이, 그리고 금속 볼과 금속 패드 사이에 생기는 이러한 공극부(S)는 밀폐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즉 공극부(S)로는 공기가 통하는 구조가 되므로 공극부에 존재하는 수분이 쉽게 건조됨으로써 미끄럼방지면에 물이 고여 녹이 발생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계절의 변화에 따른 기온의 변화에 따라 금속 볼들이 미세하게 팽창하거나 수축하는 일을 반복하게 되는데, 공극부(S)는 이러한 팽창이나 수축의 버퍼 역할을 함으로써 열 변형으로 인해 금속 볼들의 접점에서의 결합이 약해지거나 파괴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앞서 비교했던 것처럼, 불규칙한 형태의 금속 파편들을 사용하면 이러한 공극부(S)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불규칙한 형태를 따라 열변형되는 길이가 그 변형 방향에 따라 달라지므로 열변형에 의한 결합력 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금속 볼(20)의 직경은 모두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0.5 mm 에서 1.2 mm 범위 내에서 직경을 가지는 볼들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금속 볼의 직경이 0.5mm보다 작은 경우에는 미끄럼방지면을 구성하는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의 전체적인 접점의 면적이 너무 넓게 되어 저항 용접이 잘 발생하지 아니할뿐더러, 미끄럼방지면 상부로 돌출되는 굴곡이 너무 작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효과가 약해지게 된다. 반면 금속 볼의 직경이 1.2mm보다 크게 되면 미끄럼방지면의 단위면적당 용접 개소의 수가 적어지는 반면 하나의 금속 볼의 크기는 커지기 때문에, 하나의 금속 볼에 외부로부터의 충격력이 집중될 가능성이 높아짐은 물론 그렇게 충격력이 집중되었을 때 금속 볼이 탈락해버릴 우려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사이의 표면 및 상기 금속 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 사이의 표면으로부터의 열 융착 깊이는 0.02mm 내지 0.15mm 정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두 표면이 상호 융착될 때 융착되며 서로 겹쳐지게 되는 부분(즉 도 7의 w 부분)의 두께가 0.02mm 내지 0.15mm 정도가 된다. 융착 깊이가 0.02mm 이하로 너무 낮으면 접점의 면적을 확보하기 어려워 결합력이 낮아지게 되고, 융착 깊이가 0.15mm 이상으로 너무 깊으면 미끄럼방지면 상부로 돌출되는 굴곡이 약화되고 공극부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융착 깊이는 후술할 저항 용접에 인가되는 전류량 등을 조절하여 제어 가능하다.
아울러 이러한 미끄럼방지면(35) 부분은 방청 처리될 수도 있다. 가령 금속의 재질로서 스테인리스를 적용하는 경우 녹 등의 부식이 발생하지 않지만, 미끄럼 방지면 부분은 용접 부위 등에서 일부 녹이 시작될 우려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방청 처리를 함으로써 녹이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함으로써, 금속 볼의 결합력이 약해져 탈락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상기 미끄럼방지 패드의 제조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금속 패드 상에서 미끄럼방지면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 부위에 바인더를 도포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금속 패드 상에 복수 개의 금속 볼을 올려 놓아 바인더 상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바인더를 금속 패드를 가열하여 바인더가 기화하면서 바인더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들이 더 가까이 밀착되어 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금속 볼들을 금속 패드면 및 미끄럼방지면의 중앙부로 가압하며 순간적으로 전류를 통과시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그리고 도 7은 서로 접촉하고 있던 금속 볼들의 표면 및 금속 패드 상면이 열 융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패드(30)를 준비하고, 상기 금속 패드(30) 상에서 미끄럼방지면(35)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 부위에 바인더(40)를 도포한다. 바인더(40)는 어느 정도 점성이 있어 도포된 위치에서 주변으로 흘러나오거나 번지지 않으며, 금속 볼(20)을 임시적으로 부착 지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바인더(40)가 도포된 금속 패드(30) 상에 금속 볼(20)들을 부어 바인더(40)가 도포된 부위에 금속 볼(20)들이 조밀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즉 도 3과 같은 금속 패드(30) 상에 금속 볼(20)들을 두텁게 쏟아 붇고 금속 볼(20)들을 상부에서 눌러주게 되면 미끄럼망지면(35) 부분에서는 일정 두께 내에서 금속 볼(20)들이 바인더(40)에 의해 점착 지지된다. 이렇게 바인더(40) 부분에 금속 볼(20)을 부착한 상태에서 나머지 금속 볼들을 제거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 바인더(40)를 제거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바인더(40)를 제거한다는 의미는 바인더(40)를 단순히 걷어낸다는 의미가 아니라, 바인더(40)에서 금속 볼의 점착에 관여하는 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휘발시키거나 연소시켜 제거한다는 것이다. 가령 휘발성 바인더(40)를 사용할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바인더(40)의 체적이 점점 줄어들면서 바인더(40)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20) 들이 더욱 조밀하게 모이게 된다(도 5 참조). 또한 바인더(40)를 가열 연소하는 방식으로도 바인더(40)의 체적을 줄여가면서 바인더(40)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20)들을 더욱 조밀하게 모으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휘발 특성에 의해서든 연소에 의해서든 관계 없이 바인더(40) 부분을 가열할 때에는 그 주변의 금속 볼(20)과 금속 패드(30)의 온도도 상당히 상승하게 된다. 이는 저항 용접이 더 잘 일어나도록 해준다. 즉 금속의 온도가 오르게 되면 그만큼 저항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인 경향인데, 상술한 가열 프로세스는 바인더를 제거하여 줄뿐만 아니라 바로 뒤에 이루어질 저항 용접이 더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주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가 그들의 접점에서 열 융착되도록 저항 용접한다. 저항 용접은 전류가 흐르면서 저항이 집중되는 부위에 고온의 열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열의 발생량은 흐르는 전류량이 많고 저항이 클수록 더 많아지게 된다. 그런데 앞서 단계에서 바인더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가 어느 정도 가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한 바인더가 인접하는 금속 볼들 사이의 전기저항을 높여주기 때문에, 금속 볼들과 금속 패드 사이에 접점의 개소가 많더라도 저항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금속 볼(20) 들을 상부에서 가압하되, 금속 패드 면을 향해, 그리고 금속 볼들이 미끄럼방지면의 중심으로 모이는 방향을 향해 가압되도록 하기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극 통전 가압부재(61)는 오목부를 구비하되 그 테두리가 만곡면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처럼 제1극 통전 가압부재(61)를 통해 금속 볼의 상부에 제1전극(+)을, 그리고 제2극 통전부재(62)를 통해 상기 미끄럼방지면(35)과 대향하는 금속 패드의 저면에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통전하면, 상대적으로 저항이 높게 되는 금속 볼(20)들과 금속 패드(30)의 접점부에서 고온의 열이 발생하여 이들이 상호 용접 내지 열 융착된다.
앞서 이미 설명한 바 있듯이, 본 발명의 미끄럼방지 패드는 미끄럼 방지면에서 실질적으로 균일한 직경과 형태의 볼들을 서로 밀착시키면서 용접하기 때문에, 하나의 볼(20)의 입자에서는 적어도 서로 다른 3개소의 위치에서 용접이 된 상태가 되고, 공극부(S)도 어느 정도 확보할 수 있게 된다(도 7 참조).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용접 작업 후 미끄럼방지면(35)을 방청 처리하는 작업을 더 진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미끄럼방지 패드
20: 금속 볼
30: 금속 패드
35: 미끄럼방지면
40: 바인더
61: 제1극 통전 가압부재
62: 제2극 통전부재
S: 공극부
W: 열융착부

Claims (8)

  1. 철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 패드(30); 및 상기 금속 패드(30) 상의 적어도 일부 면적에 규칙적인 배열로 마련되는 미끄럼 방지면(35);을 구비하는 미끄럼방지 패드(1)로서,
    상기 미끄럼 방지면(35) 부분에는 상기 금속 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볼(20)들이 이웃하는 금속 패드 상면과 금속 볼들에 열융착부(W)가 형성되며 상호 고정되되, 각 금속 볼은 적어도 3개소 이상의 위치에서 열융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열 융착 부분(w)에 의해,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는 일부분이 겹쳐지게 되며,
    상호 열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볼들과 금속패드 사이에는 공극부(S)가 마련되어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볼(20)들은 0.5 mm 내지 1.2 mm 의 직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사이의 표면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사이의 표면으로부터 열 융착에 의해 겹쳐지게 되는 부분(w)의 깊이는 0.02mm 내지 0.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미끄럼방지면의 표면은 열 융착 후 방청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의 미끄럼방지 패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철 또는 스테인리스 금속 패드(30)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금속 패드(30) 상에서 미끄럼방지면(35)을 형성하고자 하는 면적 부위에 바인더(40)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40)가 도포된 상기 금속 패드(30) 상에 상기 금속 패드와 동일한 재질의 금속 볼(20)들을 부어 바인더(40)가 도포된 부위에 금속 볼(20)들이 조밀하게 부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바인더(40)를 제거하면서 상기 바인더(40)에 부착되어 있던 금속 볼(20) 들을 더욱 조밀하게 모으는 단계; 및
    상기 금속 볼(20)들과 금속 패드가 그들의 접점에서 열 융착되도록 저항 용접하되, 상기 열 융착되는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의 열 융착 부분(w)에 의해, 이웃하는 금속 볼들 및 상기 금속볼들과 이에 접하는 상기 금속 패드는 일부분이 겹쳐지게 되며, 상호 열융착된 상태에서 상기 금속 볼들과 금속패드 사이에는 공극부(S)가 마련되어 밀폐되지 않은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제조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용접 단계는, 상기 금속 볼(20) 들을 상부에서 가압하며 금속 볼의 상부에 제1전극을, 상기 미끄럼방지면(35)과 대향하는 금속 패드의 저면에 제2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통전하여 이웃하는 금속 볼(20)들과 금속 패드면을 용접으로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제조 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40)를 가열함으로써 휘발 또는 연소시켜 바인더의 제거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제조 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열융착 후 미끄럼방지면(35)을 방청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패드 제조 방법.
KR1020160037382A 2016-03-29 2016-03-29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642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82A KR101642891B1 (ko) 2016-03-29 2016-03-29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382A KR101642891B1 (ko) 2016-03-29 2016-03-29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891B1 true KR101642891B1 (ko) 2016-07-26

Family

ID=56681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382A KR101642891B1 (ko) 2016-03-29 2016-03-29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89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9218A (ko) 1997-08-01 1997-11-07 이금형 텅스텐 미세입자로 co_2 용접에 의한 초경합금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KR0144210B1 (ko) 1995-01-20 1998-07-01 장금석 욕실바닥용 미끄럼방지 시이트의 무늬착색 방법
KR100196108B1 (ko) 1994-12-15 1999-06-15 아이다 켄지 세제 증강제,그 조성방법, 및 상기 세제 증강제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AU4062699A (en) * 1998-05-23 1999-12-13 Myungki Youn Differential gear device
KR100778652B1 (ko) 2007-03-29 2007-11-22 이창엽 고경도 금속입자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계단턱 부재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108B1 (ko) 1994-12-15 1999-06-15 아이다 켄지 세제 증강제,그 조성방법, 및 상기 세제 증강제를 함유하는 세제 조성물
KR0144210B1 (ko) 1995-01-20 1998-07-01 장금석 욕실바닥용 미끄럼방지 시이트의 무늬착색 방법
KR970069218A (ko) 1997-08-01 1997-11-07 이금형 텅스텐 미세입자로 co_2 용접에 의한 초경합금층을 형성시키는 방법 및 그 장치
AU4062699A (en) * 1998-05-23 1999-12-13 Myungki Youn Differential gear device
KR100778652B1 (ko) 2007-03-29 2007-11-22 이창엽 고경도 금속입자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용 계단턱 부재의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39955A1 (en) Torsion sonotrode and ultrasonic welding process using a torsion sonotrode
KR101642892B1 (ko)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ES2314678T3 (es) Procedimiento para unir por lo menos un hilo conductor con un elemento de contacto.
KR101642891B1 (ko)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05280B1 (ko) 미끄럼방지 패드 및 그 제조방법
TWI616041B (zh) 鋁電線之連接構造
TW200518865A (en) Friction welding structure of golf club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WO2009087303A3 (fr) Procédé de rechargement par soudage d'une pièce, avec incorporation de particules céramiques dans la soudure
JP5303102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
US6765171B1 (en) Projection welding of flanged weld nut
US4855561A (en) Resistance weld pin and method of welding
KR20110092824A (ko) 미끄럼 방지 기능을 구비한 스텝볼트
JP6631387B2 (ja) 異種金属部材の摩擦攪拌接合方法
RU2278009C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зоны образования соединения металлопокрытия с основой при электроконтактной наплавке
JP2798825B2 (ja) 抵抗溶接用電極
WO2015015323A1 (en) Method for 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bodies made of spheroidal cast iron; back plate for dies for aluminium die casting made with said method
KR101597398B1 (ko) 용접 소재
KR101957829B1 (ko) 간격 유지 연장선을 포함하는 전열장치 시설체
KR101164435B1 (ko) 진공 브레이징용 간극 형성 부재
JP2009174201A (ja) 断熱材固定用ピン
JP2000210793A (ja) 導電性を有する溶接用耐火物製裏当材
US2021004656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rd facing a substrate
RU2000131816A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верхностей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JP4235471B2 (ja) 金属管への金属部品ろう付方法
JPH1034351A (ja) スポット溶接ガンの電極チップ構造およびその電極チップ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