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407B1 -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407B1
KR101642407B1 KR1020150190719A KR20150190719A KR101642407B1 KR 101642407 B1 KR101642407 B1 KR 101642407B1 KR 1020150190719 A KR1020150190719 A KR 1020150190719A KR 20150190719 A KR20150190719 A KR 20150190719A KR 101642407 B1 KR101642407 B1 KR 101642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winding
state
sensing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영
Original Assignee
김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영 filed Critical 김찬영
Priority to KR10201501907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4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40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66C23/90Devices for indicating or limiting lifting mo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66D1/56Adaptations of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4Protection mea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는, 크레인의 붐(boom)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부재의 위치를 센싱하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와, 붐에 설치되며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센싱 신호를 송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송신부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수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이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OVER-HOISTING OF CRANE}
본 발명은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작동이 효율적으로 가능한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이란 일정한 하중에도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특정된 높이, 길이 및 회전반경을 유지하는 붐을 통해 고중량의 기계나 건축물을 이동시키거나 설치하는 중장비의 하나를 말한다.
크레인은 중량물(重量物)을 상승시키는 권상, 상승된 중량물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 횡행, 선회, 및 수평 방향으로 이동한 중량물을 하강시키는 권하 등의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중량물을 특정한 한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에는 중량물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설비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장치는, 후크가 설정 거리 이상으로 상승을 방지하는 권과방지장치로 설치될 수 있다.
권과방지장치는, 중량물이 후크부재에 와이어로프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와이어로프가 과다 권취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크와 붐이 충돌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권과방지장치의 권과 상태의 신호를 릴선을 이용하여 유선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릴선이 나뭇가지 또는 인접 설비 등에 접촉되어 단선되는 경우가 빈번하여, 권과방지장치의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10-2009-006982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레인의 붐(boom)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부재의 위치를 센싱하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와, 붐에 설치되며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센싱 신호를 송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와, 송신부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수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이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권과 감지 스위치부는, 붐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와, 일단은 스위치 바디의 내부로 돌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스위치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중량물에 연결되는 후크부재와, 후크부재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부재와, 마그네틱부재와의 사이 거리가 설정 거리를 초과하면 권과 센싱 신호를 송신부로 전송하는 리드 스위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는, 리드 스위치부재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전송받는 제1 컨트롤러와, 제1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와, 제1 컨트롤러 및 무선 송신기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재와, 배터리부재를 충전하는 태양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는, 권과 센싱 신호가 설정된 시간 동안 전송되지 않으면, 무선 송신 모듈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 무선 송신기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와, 무선 수신기로부터 무선 송신기의 송신 신호를 전송받는 제2 컨트롤러와, 제2 컨트롤러의 제어에 작동되어 크레인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부의 센싱 신호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권과 상태이면 작동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a) 권과 감지 스위치부를 통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의 상기 권과 감지 스위치부를 통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면 붐에 설치된 송신부를 이용하여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단계와, (c) 상기 (b) 단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권과 상태일 경우 제어부의 작동 제어에 의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단계와, (d) 상기 (c) 단계의 상기 크레인의 작동 정지 과정과 함께 작업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경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송신부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로부터 상기 권과 센싱 신호가 설정 시간 동안 미입력되는 경우 설정 전압 미만의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작동 신호의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권과방지 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는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리드 스위치를 이용하여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여, 작동 거리가 확대되는 것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작업중 충격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접 설비와의 간섭에 의한 권과 센싱 신호 전달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크레인의 권과 센싱 신호를 송수신하고 크레인의 권과 상태시 비상 제어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권과 방지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가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에 경고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가 크레인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일부분을 절개하여 내부를 도시한 요부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작동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100)는, 크레인의 붐(boom, 11)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부재(14)의 위치를 센싱하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10)와, 붐(11)에 설치되며 권과 감지 스위치부(10)의 센싱 신호를 송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20)와, 송신부(20)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수신받아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이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크레인(13)은 직진신 크레인 특장차에 설치되어 중량물을 이동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건설 현장 등의 다양한 곳에서 사용되는 소정의 크레인으로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크레인(13)에는 윈치와 붐(11)과 와이어로프 및 후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붐(11)에는 크레인(13)의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를 센싱하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1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권과 감지 스위치부(10)가 설치되는 것은, 중량물을 견인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와이어로프가 과도하게 권취된 경우 후크부재(14)가 붐(11) 부분으로 과도하게 권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비 손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권과 감지 스위치부(10)는, 붐(11)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12)와, 스위치 바디(12)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크부재(14)와, 후크부재(14)에 설치되는 마그네틱부재(16)와, 마그네틱부재(16)와의 사이 거리가 설정 거리를 벗어나면 권과 센싱 신호를 송신부(20)로 전송하는 리드 스위치부재(18)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바디(12)는 크레인의 붐(11)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는 것으로, 그 내부에는 설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 바디(12)에는 후크부재(14)가 중량물의 무게에 대응하여 일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후크부재(14)는 일단은 스위치 바디(12)의 내부로 돌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스위치 바디(12)의 외부로 돌출되는 슬라이더 봉(14a)과, 슬라이더 봉(14a)의 타단에 형성되어 중량물이 와이어로프 등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걸림 고리(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재(14)의 슬라이더 봉(14a)에는 스위치 바디(12)의 내부에 위치한 일단에 너트부재(14c)가 돌출 고정된다. 그리고, 슬라이더 봉(14a)에는 너트부재(14c)와 후크부재(14)의 사이에는 스프링부재(17)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재(14)는 중량물을 견인하지 않는 최초 상태에서는 스프링부재(17)의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더 봉(14a)에는 마그네틱부재(16)가 설치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16)는 슬라이더 봉(14a)에 설치되어 슬라이더 봉(14a)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과 함께 스위치 바디(12)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마그네틱부재(16)는 너트부재(14c)의 하단에서 슬라이더 봉(14a)에 고정될 수 있다. 물론 마그네틱부재(16)는 너트부재(14c)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마그네틱부재(16)의 자력의 크기 또는 후술하는 리드 스위치부재(18)의 설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슬라이더 봉(14a)에 위치를 달리하여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마그네틱부재(16)가 슬라이더 봉(14a)에 설치되는 것은, 중량물의 하중에 따라 슬라이더 봉(14a)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리드 스위치부재(18)와 연동되어 권과 상태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이하에서 리드 스위치부재(18)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리드 스위치부재(18)는 스위치 바디(12)의 측면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 마그네틱부재(16)의 근접 상태 여부에 따라 접점 이동이 발생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부재(18)는 마그네틱부재(16)가 설정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지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후크부재(14)에 중량물이 걸린 상태에서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시에 마그네틱부재(16)가 리드 스위치부재(18)에 설정 거리 이내로 위치하면, 리드 스위치부재(18)는 권과 센싱 신호를 송신부(20)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종래 리미트 스위치는 작동 온(ON) 구간이 대략 5mm 정도이지만, 본 실시예의 리드 스위치부재(18)를 적용하는 경우, 작동 거리는 12 내지 15mm로 확대되는 것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작업중 충격에 의한 오작동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송신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20)는, 리드 스위치부재(18)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전송받는 제1 컨트롤러(21)와, 제1 컨트롤러(21)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재(23)와, 배터리부재(23)를 충전하는 태양 전지(25)와, 제1 컨트롤러(21)의 제어에 의해 작동되어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무선 송신기(2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21)는, 리드 스위치부재(18)를 통하여 권과 센싱 신호를 전송받아 크레인의 권과 상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컨트롤러는 마이크로 콘트롤 유닛(MCU)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컨트롤러(21)는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면 무선 송신기(27)를 제어하여 크레인의 제어부(30)로 크레인의 작동 정지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제어부(30)를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무선 송신기(27)는 RF 무선 송신기로 적용될 수 있다. 무선 송신기(27)는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제어부(30)로 무선으로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종래 릴 등을 이용한 유선 타입을 대체하여 릴 등이 나뭇가지 또는 인접 설비와 간섭되어 단선되어 신호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송신기(27) 및 제1 컨트롤러(21)는 배터리부재(23)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될 수 있다.
배터리부재(23)는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rechargeable battery)로 적용되어, 무선 송신기(27) 및 제1 컨트롤러(21)에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배터리부재(23)의 충전은 태양 전지(25)를 이용하여 충전될 수 있다.
태양 전지(25)는 크레인의 작업 시간 중에 배터리부재(23)를 효과적으로 충전하는 것이 가능하여, 배터리부재(23)가 방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효율적인 작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송신부(20)는 태양 전지(25)에 의해 충전된 배터리부재(23)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되며, 크레인의 와이어로프 권과 상태 여부의 권과 센싱 신호를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터리부재(23)는 태양 전지(25)의 충전 작용에 의해 충전된 상태로 항상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안정적으로 센싱하는 것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권과 상태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부재(23)는 태양 전지로 충전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스마트폰 등의 휴대기기의 충전을 위한 충전기기를 이용하여 충전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3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신부(20)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를 수신하여 과관 상태로 확인되면 크레인의 작동 정지시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는, 무선 송신기(27)의 송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31)와, 무선 수신기(31)로부터 무선 송신기(27)의 송신 신호를 전송받는 제2 컨트롤러(33)와, 제2 컨트롤러(33)의 제어에 작동되어 크레인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릴레이부재(3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수신기(31)는 크레인에 설치되어 송신부(20)로부터 크레인의 권과 상태 신호를 수신한다.
무선 수신기(31)는 RF 무선 수신기로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수신기(31)는 송신부(20)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는 것이 가능한 바, 크레인의 인접 설비에 간섭되지 않고 권과 센싱 신호를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컨트롤러(33)는 무선 수신기(31)에 수신된 권과 센싱 신호를 전달받아, 크레인의 권과 상태시에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컨트롤러(33)는 릴레이부재(35)를 제어하여 크레인의 선택적인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릴레이부재(35)는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는 경우, 크레인을 구동하는 윈치 등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정지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릴레이부재(35)의 작동에 따라 크레인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를 차단하여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릴레이부재(35)를 이용한 구동력의 선택적인 전달 작동은 공지된 것으로 그 구체적인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송신부(20) 및 제어부(30)는 권과 센싱 신호의 송수신이 설정된 시간 동안 입력되지 않으면,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 대기 상태는 송신부(20) 및 제어부(30)를 구동하는 최소한의 구동력을 보유한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서, 작동 대기 상태에서 전원의 소모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즉, 작동 대기 상태에서 송신부(20) 및 제어부(30)를 구동하는 구동 전력의 10% 미만의 저전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여, 배터리 소모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작동 대시 상태에서 송신부(20)의 권과 상태의 신호 전송은 대략 1분 이내의 설정된 시간 동안 제어부(30)로 전송하고, 이후에는 배터리부재(23)의 배터리 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무선 송신기(27)의 전원을 차단하고 제1 컨트롤러(21)를 슬립(sleep) 상태 즉 최저 전압만을 유지한 상태로 작동 대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송신부(20) 및 제어부(30)는 권과 센싱 신호의 미입력시에 저전압 대기 상태를 유지하고, 권과 센싱 신호의 재입력시에는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부재를 통하여 재차 입력 받아 정상 전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20) 및 제어부(30)를 구동하는 배터리부재(23)의 방전 시간을 확대하여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여, 구동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100)는,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접 설비와의 간섭에 의한 권과 센싱 신호 전달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크레인의 권과 센싱 신호를 송수신하고 크레인의 권과 상태시 비상 제어하는 과정에서 배터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효율적인 권과 방지 장치의 작동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에 경고부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는, 송신부(20)의 센싱 신호에 따라 크레인의 권과 상태이면 작동 이상을 경보하는 경보기(110)가 설치된다.
경보기(110)는 제어부(30)에 의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면, 작업자가 확인가능한 경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기(110)는 작업자가 청각적으로 경보음을 확인하는 스피커 또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경보 상태를 확인하는 엘이디 조명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경보기(110)는 송신부(20)의 전압이 설정 전압 보다 낮은 상태로 확인되면, 배터리 부족 등의 저전압 경보를 발하여 작업자가 저전압 상태를 인지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의 권과 방지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권과 감지 스위치부(10)를 통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 여부를 확인한다(S10). (S10) 단계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10)에서 상승 또는 하강되는 후크부재(14)에 설치된 마그네틱부재(16)와, 마그네틱부재(16)와의 사이 거리가 설정 거리를 초과하면 권과 센싱 신호를 송신부(20)로 전송하는 리드 스위치부재(18)의 작동에 의해 권과 상태 여부의 확인이 가능하다.
다음, (S10) 단계의 권과 감지 스위치부(10)를 통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면 붐(11)에 설치된 송신부(20)를 이용하여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한다(S20). (S20) 단계에 의해 크레인의 권과 상태를 무선으로 송수신하는 것이 가능하여 인접 설비와의 간섭에 의한 권과 센싱 신호 전달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S20) 단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으로 수신하여 권과 상태일 경우 제어부(30)의 작동 제어에 의해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S30). (S30) 단계는 릴레이부재의 작동에 따라 크레인에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차단하여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다음, 크레인의 작동 정지 과정과 함께 작업자가 확인 가능하도록 경보할 수 있다(S40). (S40) 단계는 크레인의 권과 상태로 확인되면 경보기(110)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확인가능한 경보 신호를 발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경보기(110)는 작업자가 청각적으로 경보음을 확인하는 스피커 또는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경보 상태를 확인하는 엘이디 조명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송신부(20)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10)로부터 권과 센싱 신호가 설정 시간 동안 미입력되는 경우 설정 전압 미만의 작동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송신부(20)의 배터리 효율의 향상이 가능하여 크레인의 효율적인 권과 방지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권과 감지 스위치부 11...붐
12...스위치 바디 13...크레인
14...후크부재 14a..슬라이더봉
14b..걸림 고리 14c..너트부재
16...마그네틱부재 17...스프링부재
18...리드 스위치부재 20...송신부
21...제1 컨트롤러 23...배터리부재
25...태양 전지 27...무선 송신기
30...제어부 31...무선 수신기
33...제2 컨트롤러 35...릴레이부재
110..경보기

Claims (5)

  1. 크레인의 붐(boom)에 설치되며 와이어로프에 연결된 후크부재의 위치를 센싱하는 권과 감지 스위치부;
    상기 붐에 설치되며 상기 권과 감지 스위치부의 센싱 신호를 송신받아,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과 센싱 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 상기 권과 센싱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와이어로프의 권과 상태이면, 상기 크레인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과 감지 스위치부는,
    상기 붐의 선단 부분에 설치되는 스위치 바디와,
    일단은 상기 스위치 바디의 내부로 돌출되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외부로 돌출되어 중량물에 연결되는 후크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에 설치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후크부재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후크부재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과 함께 스위치 바디의 내부에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되는 마그네틱부재와,
    상기 스위치 바디의 측면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마그네틱부재의 근접 상태 여부에 따라 자력에 의해 접점 이동이 발생되어 선택적으로 작동되되, 상기 마그네틱부재와의 사이 거리가 설정 거리를 초과하면 권과 센싱 신호를 상기 송신부로 전송하는 리드 스위치부재를 포함하는,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90719A 2015-12-31 2015-12-31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642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19A KR101642407B1 (ko) 2015-12-31 2015-12-31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719A KR101642407B1 (ko) 2015-12-31 2015-12-31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407B1 true KR101642407B1 (ko) 2016-07-25

Family

ID=5661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719A Active KR101642407B1 (ko) 2015-12-31 2015-12-31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40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726A (zh) * 2022-04-28 2022-07-01 江西中天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塔吊带钢丝绳检测系统的起重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267Y1 (ko) * 1994-07-05 1997-04-14 김재한 와이어(Wire)식 펜스(Fence)감지기
KR20010044401A (ko) * 2001-02-16 2001-06-05 김종선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KR20090069823A (ko) 2007-12-26 2009-07-01 김종건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KR20100118762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JP2011084403A (ja) * 2009-10-16 2011-04-28 Liebherr Werk Ehingen Gmbh 巻上リミットスイッチ及び巻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267Y1 (ko) * 1994-07-05 1997-04-14 김재한 와이어(Wire)식 펜스(Fence)감지기
KR20010044401A (ko) * 2001-02-16 2001-06-05 김종선 타워 크레인의 무선 영상감시장치
KR20090069823A (ko) 2007-12-26 2009-07-01 김종건 로울러형 하중검출장치를 이용한 크레인의 안전제어시스템
KR20100118762A (ko) * 2009-04-29 2010-11-08 주식회사수산중공업 크레인
JP2011084403A (ja) * 2009-10-16 2011-04-28 Liebherr Werk Ehingen Gmbh 巻上リミットスイッチ及び巻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84726A (zh) * 2022-04-28 2022-07-01 江西中天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塔吊带钢丝绳检测系统的起重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6469B2 (en) Electric fiel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CN102219154B (zh) 用于无线防滑车撞击系统的电力和控制
KR20150048064A (ko) 지게차 관리 장치
CN111108058A (zh) 用于提升和/或降下尤其是起重机的升降机的负载装卸机构的方法及其升降机
JP6146472B2 (ja) 天井搬送車および天井搬送車の制御方法
US11313106B2 (en) Electrical protection apparatus
KR101626856B1 (ko) 고소작업차의 안전벨트 착용 감지장치 및 감지시스템
KR101642407B1 (ko) 크레인의 권과 방지 장치 및 방법
JP2012246129A (ja) クレーンフック部における充電システム
KR102586620B1 (ko) 알람기능을 갖는 승강장 도어키
CN204022324U (zh) 一种轮胎式起重机吊钩限位控制系统和轮胎式起重机
JP2017218264A (ja) エレベーターのかご位置検出システム
KR20230039093A (ko) 안전고리 체결감지시스템
CN203333181U (zh) 触地检测装置及具有该装置的塔机吊钩防触地检测系统
CN209052316U (zh) 非接触式起重机过卷保护装置
KR101389342B1 (ko) 충전기능이 구비된 전자척 시스템
JP2006290487A (ja) 作業機の無線操縦装置
KR101304526B1 (ko) 사다리차 운반대의 이동제어장치
KR20130088970A (ko) 크레인의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CN202193530U (zh) 一种矿车离位检测装置
KR20170036259A (ko) 부유식 lng 생산 설비의 계류 시스템
KR101581246B1 (ko) 크레인용 권과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크레인용 권과 방지 장치
CN105444712A (zh) 用于悬挂电缆状态的检测装置和悬挂电缆
JP6593570B2 (ja) 遠隔操作端末の置き忘れ防止装置、遠隔操作端末、および遠隔操作端末の置き忘れ防止システム
KR20140126010A (ko) 크레인용 권과 센서 유닛 및 이를 이용한 크레인용 권과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4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4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71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6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2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41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