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262B1 -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262B1
KR101642262B1 KR1020150027102A KR20150027102A KR101642262B1 KR 101642262 B1 KR101642262 B1 KR 101642262B1 KR 1020150027102 A KR1020150027102 A KR 1020150027102A KR 20150027102 A KR20150027102 A KR 20150027102A KR 101642262 B1 KR101642262 B1 KR 10164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unit
mode
control unit
out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노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노벤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노벤트
Priority to KR102015002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26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 캔, 컵 등, 곡면 벽이 있는 사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소형화하고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연동하여서 다양한 모드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음원 컨텐트를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하거나 선택할 수 있는 등의 유연성을 갖는 오락 장치 및 이 오락 장치에 연동되는 외부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 출력부,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 제어부를 내장하며, 일면은 내측으로 곡률이 생기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곡면이 있는 사물의 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A gaming apparatus and an application use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각종 모임에서 각종 병, 캔, 컵 등의 곡면이 있는 사물에 부착하여 또는 테이블 위에 올려 놓고 사용가능한 오락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회식, 식사 등의 각종 모임에서는 대화 또는 음주를 하면서 게임 등을 한다. 그러나 주로 언어나 제스처 등을 이용한 단순한 게임만 하므로 지루하며, 모든 사람이 다 게임 내용을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가능한 게임 장치들이 몇 가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 특허등록 10-1274435(2013.6.6. 등록)의 "술집용 오락 장치 및 이를 사용한 게임방법"이 있다. 이 발명은 게임판과 주류용기를 구비한다. 게임판은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이 판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의 하면을 하판이 형성하고, 상기 하판 상에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판이 안착되어 하우징의 내부에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공간에는 기판이 설치되고, 상기 기판에는 광원과 마이크로프로세서가 설치된다. 상기 광원에서 나온 광은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획되어 형성된 게임필드, 미션필드, 주류용기필드를 조사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필드들에 조사된 광은 사용자가 주류용기를 이동시킬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도 한다.
또한, 국내 실용신안 공개 10-2014-0005043(2014.1.14.)의 "룰렛 게임기가 구비된 테이블"은 술집 등과 같은 요식업체 내에서 룰렛 게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함을 덜어주고, 회식 자리의 흥을 돋구도록 된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하부면에 다리부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모서리를 따라 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이 형성하는 오목부에는 다수의 LED들이 룰렛 형식의 원형으로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덮여져서 상기 LED로부터 발광된 빛을 상부측으로 확산시키는 광확산판; 상기 광확산판의 상부에서 룰렛 문양 및 각종 광고문양을 인쇄하여 광확산판에 탈착가능하도록 중첩되는 인쇄 시트지; 상기 인쇄 시트지의 상부에서 중첩하여 배치되는 강화유리판;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장착되고, 게임 스위치를 누르면 원형으로 배치된 상기 LED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고, 일정 회전수의 점등이 이루어지면, 어느 하나의 LED상에서 점등된 상태로 정지시킴으로써 룰렛 게임 효과를 얻는 콘트롤러를 포함하여, 음주 또는 회식을 하면서 룰렛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룰렛 게임기가 구비된 테이블을 제공한다.
종래의 모임시 사용되는 오락 장치는 크고 고정식이므로 사용이 번거롭고 복잡하다. 또한 그 사용 모드가 단순하며 한 두 가지 정도로 고정되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병이나 컵 등, 곡면이 있는 사물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하고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 연동하여서 다양한 모드로 게임을 즐길 수 있으며 다양한 음원 컨텐트를 다운로드 또는 업데이트하거나 선택, 삭제 등 편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는 오락 장치 및 이 오락 장치에 연동되는 외부기기용 어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특징에 따른 오락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 출력부,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 제어부를 내장하며, 일면은 내측으로 곡률이 생기도록 곡면으로 형성되어 사물의 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구성에 추가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실행 모드가 둘 이상인 경우에, 사용자가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들을 선택하도록 조작하는 모드 선택 수단과, 사용자가 제어부로 하여금 선택된 모드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조작하는 시작 수단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 스위치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곡면에 설치되어 사물의 곡면 벽에 밀착시에 이를 감응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 버튼 스위치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반응하는 충격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 충격감지 센서가 충격을 감지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의 기울어짐에 반응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이 지자기 센서가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선택 사항으로서, 상기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 제어부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집적회로 패키지에 내장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파워다운 기능, 웨이크업 기능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특징에 따르면, 상기 오락 장치의 상기 통신부를 통해 통신하는 외부 기기, 즉, PC 또는 스마트폰 등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제안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오락 장치의 음원 저장부로 음원을 전송하여 다운로드받게 하고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음원 관리부, 상기 오락 장치의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의 선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오락 장치의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 또는 그 하부 기능을 시작하도록 하는 시작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음원 관리부는 상기 오락 장치의 음원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음원의 삭제, 추가, 편집을 수행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할 때 보다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식사시에 또는 음주시 등의 각종 모임 시에 각종 병, 캔, 컵 등의 곡면이 있는 사물에 부착하거나 테이블에 올려놓고 사용가능한 단순한 구조의 사용이 편리한 장치로써, 다수의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부수적인 준비물 없이도 분위기를 부드럽게 만들기 위한 오락 장치를 제공한다. 다수의 사람들이 모인 자리에서 그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의 기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의 하우징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의 하우징을 병에 부착한 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의 추가 구성도
도 5는 도 2의 하우징의 다른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오락 장치와 연동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의 개략 구성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그 구성을 보면,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10),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20), 적어도 하나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30), 시각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시각 출력부(40), PC나 스마트폰 등의 외부기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는 통신부(50), 그리고 상기 음원 저장부(10), 음원 출력부(20), 시각 정보 생성부(30), 시각 출력부(40)를 제어하여 내장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수행하고 통신부(50)를 통해 음원을 다운로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를 포함한다.
음원 출력부(20)에는 음원 신호를 음향으로 변환하는 발성 장치(가령, 스피커)가 연결되고, 시각 출력부(40)에는 시각 정보를 광으로 변환하는 발광 소자(가령, LED)가 연결된다.
통신부(50)는 외부 기기(PC, 스마트폰 등)와 유선(USB 등) 또는 무선(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되어 제어부(60)의 작용에 의해서 외부 기기로부터 음원을 다운로드하고 필요시에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을 하는 데 이용된다.
이 밖에, 상기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회로(가령, 건전지, 충전배터리 등)가 추가된다. 물론, 전원 온/오프 스위치도 추가될 수 있다. 그러나 전원 온/오프 스위치를 두는 대신에, 상기 제어부(60)가 정상 동작 상태에서 일정 시간(가령, 10초) 동안 이벤트가 없으면 파워다운 상태로 진입하도록 하는 파워다운 기능과, 이 파워다운 상태에서 특정 수단을 누르면 다시 동작 상태로 깨어나게 하는 웨이크업 기능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원 저장부(10), 음원 출력부(20), 시각 정보 생성부(30), 시각 출력부(40), 통신부(50), 그리고 제어부(60) 중 적어도 일부는 하나의 집적회로 패키지에 내장되도록 구현가능하다. 물론, 전체를 다 하나의 패키지로 집적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상기 음원 저장부(10), 음원 출력부(20), 시각 정보 생성부(30), 시각 출력부(40), 통신부(50), 제어부(60)가 내장되는 하우징(100)을 나타낸다. 이 하우징의 배면은 내측으로 곡률이 생기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곡면 배면(110)으로서, 병, 캔, 컵 등 사물의 곡면 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하우징(100)의 곡면 배면(110)의 반대쪽 면인 전면에는 시각 출력부로서 LED가 설치되어 있고 음원 출력부로서 라우드스피커 SP가 설치되어 있다. LED와 SP의 설치 형태, 수량, 유형 등은 임의적이다. 즉, 도 2에 나타낸 것은 하나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벽에 도 2의 하우징(100)을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하우징(100)을 일시적으로 떼었다 붙였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곡면 배면(110)의 표면에는 공지의 점착패드가 부착되거나 형성되어 있다. 점착패드는 점착성 젤로 형성된 패드 등의 재료를 이용한 것으로서 자체의 표면장력에 의해 사물에 비교적 견고하게 부착되며 또 손쉽게 떼어낼 수 있는 소재로서 최근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기본 구성에 모드 선택 수단(70)과 시작 수단(80)이 추가된 구성도이다. 모드 선택 수단(70)은 내장 프로그램의 실행 모드가 둘 이상인 경우에, 제어부(60)로 하여금 실행 모드들을 선택하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수단이고, 시작 수단(80)은 모드 선택 수단(70)에 의해 선택된 모드 또는 해당 모드 중의 특정 기능을 실행하는 내장 프로그램을 제어부(60)가 제어하도록 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수단이다. 모드 선택 수단(70)과 시작 수단(80)은 택트 스위치나 멤브레인 스위치 등으로 실시 가능하지만,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서 광학식, 접촉식 센서 등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드 선택 수단(70)으로는 일반적인 스위치(버튼)를 하우징(100)에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서, 도 5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면 또는 측면에 버튼 스위치(72)를 설치하여서 이 버튼 스위치(72)를 누르면 제어부(60)에서 프로그램을 특정 모드로 전환하거나 선택하는 기능이 수행되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우징(100)의 곡면 배면(110)이 도 3에서와 같이 병이나 캔 등의 사물의 곡면 벽에 밀착시에 이를 감응하여 자동으로 모드 변환 내지는 선택을 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곡면 배면(110)이 다른 곡면 벽에 밀착되는 것을 감응하는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예를 들어, 포토센서를 사용하거나 압력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시작 수단(80)으로는 도 5에서와 같이 하우징(100)의 전면의 중앙부에 넓은 면적으로 시작 버튼(82)를 설치하여 손바닥이나 손가락 등으로 터치할 수 있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방식으로는 시작 수단(80)으로서 충격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특정 실행 모드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테이블에 올려 놓고 테이블을 손으로 탁 침으로써 실행 모드를 실행시킬 수 있다. 또다른 방식으로, 시작 수단을 자이로 센서, G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의 지자기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본 발명의 장치를 기울였을 때에 실행 모드가 시작될 수 있다. 장치의 기울임을 감지하여 특정 실행 모드를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는 차후에 설명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오락 장치를 활용한 실행 모드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는 본 발명의 오락 장치를 활용한 실행 모드를 '게임 모드'와 '권주 모드'의 두 가지로 예시하는데, 이는 본 발명의 오락 장치의 대표적인 활용 예를 나타내는 것일 뿐 본 발명의 장치를 이들 두 모드로만 활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이하의 게임 모드와 권주 모드는 본 발명의 장치를 활용하기 위하여 내장 프로그램을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른 것으로서, 당업자에 의해 수요에 맞게 다양한 방식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다.
1. 게임 모드
게임 모드의 진입은 모드 선택 수단(70)을 조작하여 진입할 수도 있고(버튼 스위치 등으로 구현된 경우), 병이나 캔 등의 사물의 곡면 벽에 본 발명의 장치의 곡면 배면(110)가 부착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 모드로서 게임 모드가 되도록(곡면 배면(110)의 밀착 감응 센서로 구현된 경우) 정해 놓을 수도 있다. 어떠한 방식이든, 게임 모드로 진입하면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은 다수의 LED가 차례로 돌아가서면서 수회(예를 들어 3회) 깜빡인다. 전체 LED가 수회 돌아가면서 깜빡이는 시간은 수초(예를 들어 1초)이다. 다수의 LED가 차례로 돌아가면서 수회 깜빡이는 중에 시작 수단, 즉, 도 5의 시작 버튼(82)을 누르면 다수의 LED 중 일부(예를 들어 한 개)가 켜지고 나머지는 꺼진다. 이 일부의 LED는 수초(예를 들어 약 2초) 동안 지속해서 점등된다. 이와 함께 게임 모드에 지정된 음원이 랜덤으로 스피커 SP를 통해 출력된다. 게임 모드에서 출력되는 음원은 게임 패배에 대한 벌칙을 지정하는 멘트일 수도 있다. 게임 모드에서는 본 오락 장치를 병이나 캔 등의 사물의 곡면 벽에 부착하지 않고 테이블에 올려놓고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시작 버튼(82)을 손바닥으로 터치하는 식으로 본 발명의 장치의 실행 모드를 시작할 수 있다. 또는,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충격감지 센서를 이용하여 시작 수단(80)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본 게임 모드에서 본 발명의 장치를 테이블에 올려 놓고 테이블을 손으로 탁 침으로써 게임 모드를 실행하고 특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2. 권주 모드
모드 선택 수단(70)을 조작하여서, 또는 병이나 캔 등의 사물의 곡면 벽에 본 발명의 장치의 곡면 배면(110)을 부착하면 자동으로 이를 감응하여서 권주 모드로 진입하게 된다. 권주 모드에서는 게임 모드와 다른 형태로 LED가 점등되며 음원이 출력된다. 가령, 권주 모드에 진입시에 다수의 LED가 게임 모드일 경우와 달리 1회만 약 0.5초 동안 동시에 켜지고, 시작 수단(80)이 눌릴 때마다 음원 저장부(10)에 저장되어 있는 권주 모드에 지정된 음원들이 하나씩 랜덤으로 출력된다. 예를 들어, 술 따르는 소리, 술 권하는 소리, 권주 관련 노래, 유머 등이 재생된다.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도 5 참조), 하우징(100)의 전면의 중앙부에 넓은 면적으로 시작 버튼(82)를 설치한 경우에는 하우징(100)을 술병에 부착한 후 병을 손으로 쥐고 술을 따를 때에 손바닥으로 이 시작 버튼(82)을 터치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시작 수단(80)을 지자기 센서로 구현한 경우에는 술을 따를 때에 술병이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여 자동으로 본 발명의 장치는 권주 모드에서의 특정 기능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오락 장치는 그 통신부(50)를 통해 외부 기기(PC, 스마트폰 등)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의 무선 통신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것과 같이 스마트폰(200)에는 본 발명의 오락 장치(100)와 블루투스 등의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교환을 하는 어플리케이션(210)(일명, 앱)이 설치된다. 이 어플리케이션은 특정의 매체(스마트폰(200) 또는 각종 기록매체)에 저장되어어서, 외부 기기, 즉, 스마트폰(200)이 본 발명의 장치(100)의 음원 저장부(10)로 음원을 전송하여 다운로드받게 하고 음원 저장부(10)에 액세스하여 음원의 삭제, 추가, 편집 등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음원 관리부(211), 본 발명의 장치(100)의 제어부(60)로 하여금 실행 모드의 선택 기능을 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212), 본 발명의 장치(100)의 제어부(60)로 하여금 실행 모드 또는 그 하부 기능을 실행하도록 하는 시작부(213)의 기능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오락 장치(100)를 스마트폰(200)에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면, 본 발명의 장치(100)를 게임 모드 또는 권주 모드에서 사용시에 그 효용을 한층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수동적인 오락 장치(100)를 사용자 지향적인 능동 장치로 전환해주는 효과를 얻게 된다. 예를 들어서, 본 발명의 오락 장치(100)를 권주 모드에서 실행시에 술을 따르면서 나오는 음원을 술을 받는 상대방에 따라 다른 음원을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의 음원 관리부(211)에서 원하는대로 변경하여서 한층 더 음주의 분위기를 고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오락 장치와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정해진다.

Claims (9)

  1. 적어도 하나의 음원을 저장하는 음원 저장부;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을 출력하는 음원 출력부; 적어도 하나의 시각 정보를 생성하는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다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시각 출력부; 상기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의 적어도 하나의 실행 모드를 사용자가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들을 선택하도록 조작하는 모드 선택 수단; 사용자가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선택된 실행 모드의 프로그램을 시작하도록 조작하는 시작 수단; 상기 음원 저장부, 음원 출력부, 시각 정보 생성부, 시각 출력부, 제어부를 내장하며, 일면은 내측으로 곡률이 생기도록 형성된 곡면을 포함하여 이 곡면이 사물의 곡면 벽에 부착되도록 구성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오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수행하는 실행 모드는
    상기 시각 출력부의 다수의 발광소자가 차례로 돌아가면서 적어도 1회 점멸하고, 다수의 발광소자의 점멸 중에 상기 시작 수단이 눌리면 다수의 발광소자 중 일부만 점등되고 나머지는 소등되며,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음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1모드와; 상기 시각 출력부의 다수의 발광소자들이 사전 설정된 시간동안 동시에 점등하고, 상기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들이 상기 시작 수단이 눌릴 때마다 하나씩 상기 음원 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제2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모드와 제2모드는 상기 모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락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 스위치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오락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선택 수단은 상기 하우징의 곡면에 설치되어 사물의 곡면 벽에 밀착시에 이를 감응하여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오락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에 설치된 버튼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 버튼 스위치가 작동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오락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에 반응하는 충격감지 센서를 포함하여, 이 충격감지 센서가 충격을 감지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오락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작 수단은 하우징의 기울어짐에 반응하는 지자기 센서를 포함하여, 이 지자기 센서가 하우징의 기울어짐을 감지할 때에 상기 제어부로 하여금 상기 프로그램을 제어하여 시작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오락 장치.
  8. 청구항 1의 오락 장치와 통신하는 외부 기기를
    상기 오락 장치의 음원 저장부로 음원을 전송하여 다운로드받게 하고 음원 저장부에 저장된 음원의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음원 관리부;
    상기 오락 장치의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의 선택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모드 선택부;
    상기 오락 장치의 제어부로 하여금 실행 모드 및 그 기능을 시작하도록 하는 시작부로서 기능시키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관리부는 상기 오락 장치의 음원 저장부에 액세스하여 음원의 삭제, 추가, 및 편집을 수행하는 기능을 하도록 하는 매체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KR1020150027102A 2015-02-26 2015-02-26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KR101642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02A KR101642262B1 (ko) 2015-02-26 2015-02-26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102A KR101642262B1 (ko) 2015-02-26 2015-02-26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262B1 true KR101642262B1 (ko) 2016-07-25

Family

ID=56616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102A KR101642262B1 (ko) 2015-02-26 2015-02-26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2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12A (ko) * 2000-02-21 2000-09-05 서문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US20100182518A1 (en) * 2009-01-16 2010-07-22 Kirmse Noel J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system
KR20130131578A (ko) * 2012-05-24 2013-12-04 임재희 휴대용 무인 레크리에이션 게임 진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진행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3712A (ko) * 2000-02-21 2000-09-05 서문환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완구장치
US20100182518A1 (en) * 2009-01-16 2010-07-22 Kirmse Noel J System and method for a display system
KR20130131578A (ko) * 2012-05-24 2013-12-04 임재희 휴대용 무인 레크리에이션 게임 진행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게임 진행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7919B2 (ja) 遊技機
JP3138453U (ja) 携帯型電子装置
JP6041716B2 (ja) 遊技機
US1043442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achieving improved usability,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encoded with program readable by computer of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CN212347411U (zh) 具有远程锁定机构的多功能睡眠训练设备
MY130442A (en)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hierarchical menu system and a dynamic menu
KR20040030964A (ko) 정보전달장치, 정보전달방법 및 모니터장치
JP2004525675A5 (ko)
WO2018180051A1 (ja) プログラミング装置及び記録媒体、プログラミング方法
US20230032698A1 (en) Dynamic Pedal and Display
CN110187765A (zh) 可穿戴设备控制方法、可穿戴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2309292A (zh) 交互装置
JP2014176472A (ja) 遊技機
US20130181907A1 (en) Flexible electronic floor mat with key switches, optional pointing device and overlays selected by jumping or hopping
JP6041714B2 (ja) 遊技機
JP5848614B2 (ja) パチンコ機
KR101642262B1 (ko) 오락 장치 및 이에 연동되는 어플리케이션
EP3318310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2016193299A (ja) 遊技機
KR20120016698A (ko) 오아이디 코드가 인쇄된 매트를 매개로 한 음성출력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604591B1 (ko) 사운드 스텝들
KR101171920B1 (ko) 다자간 카드 게임 장치
JP6312272B2 (ja) 遊技機
JP2014215516A (ja) 指輪型録音機
CN208541779U (zh) 游戏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