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078B1 - Transformer - Google Patents

Transform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078B1
KR101642078B1 KR1020120008778A KR20120008778A KR101642078B1 KR 101642078 B1 KR101642078 B1 KR 101642078B1 KR 1020120008778 A KR1020120008778 A KR 1020120008778A KR 20120008778 A KR20120008778 A KR 20120008778A KR 101642078 B1 KR101642078 B1 KR 101642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flange portion
coil
present
external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08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20031029A (en
Inventor
박근영
서상준
김덕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루엠
Priority to KR1020120008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78B1/en
Publication of KR20120031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02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7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nsulating Of Coils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ㅊ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보빈부는 외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내측 보빈과 포함하고, 내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type transformer that can be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an LED display device, and the like.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outward from both ends of a tubular body portion body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a flan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nd a plurality of bobbins having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re fastened,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coil portion wound around the plurality of bobbins, And the bobbin portion includes an inner bobbi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bores of the out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of the inner bobbi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Figure R1020120008778
Figure R1020120008778

Description

트랜스포머{Transformer}Transformer

본 발명은 LCD 디스플레이 장치, LED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될 수 있는 박형 트랜스포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in type transformer that can be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such as an LCD display device, an LED display device, and the like.

최근, 디스플레이 산업에서는, CRT(Cathode Ray Tube)를 대신하여, 고해상도와 대형화면 등의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적합한 신기술의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가 주목을 받고 있다.Recently, in the display industry, a flat panel display (FPD) of a new technology suitable for a multimedia system such as a high resolution and a large screen has attracted attention in place of a CRT (Cathode Ray Tube).

특히, 대형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V나 PDP(Plasma Display Panel) TV와 같은 박형 디스플레이가 주목받고 있으며, 향후 가격과 시장성 측면에서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Particularly, in the case of large-sized displays, thin-type displays such as liquid crystal display (LCD) TVs and plasma display panel (PDP) television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y are expected to be continuously attracted attention in terms of price and marketability.

이 중, LCD TV는 백라이트(backlight) 광원으로 냉음극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사용되어 왔었지만, 최근에는 전력소모, 수명 및 친환경성 등과 같은 다양한 장점으로 인해 점차적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의 채용이 늘어나고 있다.Among them, LCD TV has been used as a backlight source of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 Recently, however, due to various advantages such as power consumption, life span and environment friendliness, Emitting Diodes) are increasingly being adopted.

LED를 이용함에 따라,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이 소형화 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평판 TV(Flat TV)의 두께도 점차 얇아지고 있다. 그리고, 평판 TV의 내부 파워 공급 모듈도 함께 슬림(SLIM)화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With the use of LEDs, the backlight unit is becoming smaller and the thickness of flat TVs is becoming thinner. In addition, the internal power supply module of a flat panel TV is also required to be slim (SLIM).

한편 종래의 트랜스포머는 그 생산에 매우 많은 노동력이 투입되고 있다. 즉 생산 공정 중 많은 부분이 수작업을 통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생산성을 증대하거나 품질을 확보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 transformers are putting much labor into their production. Much of the production process is done manually. Therefore, there is a limitation in increasing productivity or securing quality.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서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박형의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hin-type transformer that can be easily used in a thin display device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동 생산이 가능한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capable of being automatically produc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 상이 용이하게 실장될 수 있는 트랜스포머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ormer in which a substrate surface can be easily mounted.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몸체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보빈부는 외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내측 보빈을 포함하고, 내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ange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outward from both ends of a tubular body portion body having a through hole therei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a flan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 core portion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coil portion wound around each of the plurality of bobbins, the coil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bobbins having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re fastened, And the bobbin portion includes an inner bobbi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bores of the out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and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of the inner bobbi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of the inner bobbin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flange width of the outer bobbi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보빈은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와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obbin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bobbin so as to be coupled with the outer bobbin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bobbin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다수의 보빈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랜지부의 폭이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obbins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is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각각 구비되는 단자 체결부는, 각각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인출 홈을 구비하며, 코일은 인출 홈을 경유하여 보빈부의 하부로 인출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s provided on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respectively have lead grooves formed in spaces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coils are led ou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portion via the lead- .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내측 보빈은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외측 보빈과 결합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bobbin can be combined with the outer bobbin such that the outer connecting terminals of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connecting terminals of the outer bobbin are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단자 체결부는 하부면에 외부 접속 단자의 돌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돌출되는 안내 돌기를 구비하며, 코일의 리드선이 안내 돌기를 따라 배치되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has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in parallel with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dispos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ha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의 리드선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안내 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ad wire of the coil may be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guide proje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안내 돌기와 내측 보빈 사이에서 안내 돌기의 배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격 블록을 구비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of the outer bobbin may include a spacing block protruding between the guide boss and the inner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guide protrusion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코일부는 내측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외측 보빈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며, 1차 코일 또는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il portion includes a primary coil wound on an inner bobbin and a secondary coil wound on an outer bobb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has a plurality of Coil.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보빈부는 외측 보빈과 내측 보빈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보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bbin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intermediate bobbin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bobbin and the inner bobbin.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lurality of bobbins (for example, an inner bobbin and an outer bobbin)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se bobbins are coupled. Therefore, after each individual bobbin winding is performed, the transformer can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individual bobbins wound with coils,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autom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와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트랜스포커가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되므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Further, when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are combined, the flang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bobbin are positioned on the same plane. Therefore, since the transflector keeps a flat flat as a whole, it can be easily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or the lik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가 외측 보빈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와의 절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를 기판에 실장 시 보다 용이하게 실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Further,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inner bobbin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further secure the insulation between the outer bobbi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transformer on the board more easily when mounting it.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내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외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보빈을 C-C'에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A and 1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bbin portio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b. Fig.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A according to A-A ';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ner bobbi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ion B of Fig. 4 in an enlarged scale;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uter bobbi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 FIG.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bobbin shown in FIG. 6 taken along C-C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Prior to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preliminary meaning, and the inventor may designate his own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defined as a concept of a term to describe it.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elements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shown, and the size of each element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b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보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a에 도시된 트랜스포머를 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obbin portio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B, FIG. 3 is a cross- -A 'in FIG.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내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논 도 4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다른 각도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의 외측 보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외측 보빈을 C-C'에 따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inner bobbin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1, and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part of the transformer shown in FIG. 7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outer bobbin shown in Fig. 6 along C-C '. Fig.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보빈부(10), 코일부(50), 및 코어(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S. 1 to 7, a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bbin portion 10, a coil portion 50, and a core 40.

보빈부(10)는 외측 보빈(30)과 적어도 하나의 내측 보빈(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bobbin part (10) comprises an outer bobbin (30) and at least one inner bobbin (20).

내측 보빈(2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중심에 관통공(2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22)와, 몸체부(22)의 양단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으로 수직하게 확장되어 형성되는 플랜지부(23), 및 외부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외부 접속 단자(26), 및 외부 접속 단자(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를 구비한다. 4 and 5, the inner bobbin 20 has a tubular body portion 22 having a through hole 21 formed at an inner center thereof and a body portion 22 at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22, A flange portion 23 formed to extend vertically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outer connecting terminal 26 and an outer connecting terminal 26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nnected to the outside and a terminal connecting portion 24 to which the outer connecting terminal 26 is fastened Respectively.

몸체부(2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은 후술되는 코어(40)의 일부가 삽입되는 통로로 이용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21)의 단면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이는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관통공(21)에 삽입되는 코어(40)의 형상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의 관통공(21)을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body portion 22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a part of a core 40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 this embodiment, the cross-section of the through hole 21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e inner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configuration and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the core 4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various types of through holes 21 corresponding thereto.

플랜지부(23)는 형성 위치에 따라 상부 플랜지부(23a)와 하부 플랜지부(23b)로 구분된다. 또한 몸체부(22)의 외주면, 상부 플랜지부(23a), 및 하부 플랜지부(23b)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내측 권선부(20a)로 이용된다. 따라서 플랜지부(23)는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을 양측면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 코일(50)을 보호하고, 외부와 코일(50) 간의 절연성을 확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flange portion 23 is divided into an upper flange portion 23a and a lower flange portion 23b depending on the formed position.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22 and the upper flange portion 23a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is used as an inner winding portion 20a in which a coil 50 to be described below is wound. The flange portion 23 serves to support the coil 50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from both sides and protects the coil 50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insula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coil 50 .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23)의 내부면(즉 내측 권선부를 형성하는 면)을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부(23)는 외경 방향으로 갈수록 그 두께가 얇게 형성된다. 도 7에 이러한 플랜지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도 7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를 도시하고 있으나, 플랜지부(22, 33)의 내부면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구성은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33)에 모두 동일하게 적용된다. On the other h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at is, the surface on which the inner coil portion is formed) is inclined so that the flange portion 23 is formed thinner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Fig. 7 shows the construction of such a flange portion. 7 shows a flange portion 33 of the outer bobbin 30 but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ner surfaces of the flange portions 22 and 33 are formed to be inclined i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The same applies to the branch portions 23 and 33, respectively.

이러한 구성은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10, 또는 외측 보빈)의 내측 권선부(20a)의 깊이가 종래의 트랜스포머 보빈보다 매우 깊게 형성되기 때문에, 보빈부(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금형으로부터 보빈부(10)가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구성이다. This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since the depth of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of the inner bobbin 10 (or the outer bobbi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uch deepe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ransformer bobbin, And the bobbin part 10 is not easily separated.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플랜지부(23)의 폭이 보빈부(10, 즉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가 박형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도출되는 형상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그 두께가 매우 얇은 박형의 트랜스포머(100)이며, 예를 들어 외부 접속 단자(26, 36)를 포함한 트랜스포머(100)의 전체 수직 두께가 약 12mm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23 is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bobbin portion 10 (i.e., the body portion). This is a shape derived from the fact that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thin shape. That is,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hin type transformer 100 having a very thin thickness. For exampl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the total vertical thickness of the transformer 100 including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26, .

이처럼 얇은 두께의 트랜스포머(100)에서 출력 전압을 확보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코일(50)이 권선되는 내측 권선부(20a)의 깊이가 깊게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몸체부(22)의 두께보다 플랜지부(23)의 폭이 더 길게 형성된다(이는 외측 보빈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플랜지부(23)의 폭은 몸체부(22)의 관통공(21) 내주연에서 플랜지부(23)의 외주연에 이르는 수평 거리를 의미한다.The inner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deep inner coil portion 20a where the coil 50 is wound in order to secure an output voltage in the transformer 100 having such a small thickness. In other words, the inner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to have a longer flange portion 23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22 (which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outer bobbin). The width of the flange portion 23 here means the horizontal distance from the inner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body portion 22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3. [

내측 보빈(20)의 하부 플랜지부(23b) 일 측면에는 외부 접속 단자(2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다. 단자 체결부(24)는 하부 플랜지부(23b)에서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인출되는 인출 홈(25)을 구비할 수 있다.A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to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is fastened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of the inner bobbin 20.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may have a lead groove 25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and leading out a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inner coil portion 20a .

외부 접속 단자(26)는 단자 체결부(24)에서 몸체부(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24)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26)는 하부 플랜지부(23b)의 외주연을 따라 단자 체결부(24)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is fastened to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so as to protrude from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2. Particularly,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astened to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한편, 박형의 트랜스포머(100)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플랜지부(23)의 두께도 최대한 얇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은 절연성 재질인 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이로 인해 플랜지부(23)가 너무 얇게 형성되는 경우 플랜지부(23)가 그 형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휘어져 버리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부(23)는 두께가 플랜지부(23)의 외경방향으로 갈수록 감소하도록 구성되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화된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orm the thin transformer 100,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23 provided on the inner bobbin 20 is also made as thin as possible. However, since the inner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made of a resin material, which is an insulating material, when the flange portion 23 is formed too thin, the flange portion 23 can not maintain its shape and is bent Lt; / RTI > The flange portion 2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tructured such that its thickness decreases toward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flange portion 23, and this problem is further exacerbate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플랜지부(23)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랜지부(2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플랜지부(23)의 외부면에 절연 리브(27)가 구비된다. 절연 리브(27)는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두 개의 플랜지부(23) 외부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어느 한쪽에만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the insulating rib 27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in order to prevent the flange portion 23 from being bent and to reinforce the rigidity of the flange portion 23. [ The insulating ribs 27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s of the two flange portions 23 provided on the inner bobbin 20, and may be selectively formed on only one of the flanges 23 as needed.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박형으로 형성되므로, 절연 리브(27)가 과도하게 플랜지부(23)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없다.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의 외주면을 따라 외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며 플랜지부(23)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이와 같은 절연 리브(27)의 형상으로 인해 절연 리브(27)의 돌출 거리를 최소화하면서도 플랜지부(23)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in a thin shape, the insulating rib 27 can not be formed so as to protrude excessively from the flange portion 23. The insulating rib 2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so as to protrude vertically outward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and to protrude with a thickness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flange portion 23.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secure the rigidity of the flange portion 23 while minimizing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ulating rib 27 due to the shape of the insulating rib 27. [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의 절연 리브(37)와 같이 연면 거리에 대응하여 돌출 거리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setting the protrusion distance corresponding to the creepage distance as the insulation rib 37 of the outer bobbin 30 described later can be applied.

또한, 도면에서는 내측 보빈(20)에 하나의 절연 리브(27)만이 플랜지부(23)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플랜지부(23)의 강성을 더욱 확보하거나, 연면 거리의 확보를 위해 절연 리브(27)를 추가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추가적으로 형성되는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의 형상을 따라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only one insulating rib 27 is formed on the inner bobbin 20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23 in the figure,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the rigidity of the flange 23, An insulating rib 27 may be additionally formed for securing it. In this case, the additional insulating rib 27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shape of a ring along the shape of the flange 23.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절연 리브(27)는 내측 보빈(20)이 후술되는 코어(40)와 접하지 않는 부분에만 형성된다. 즉, 절연 리브(27)는 코어(4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23)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다. 이는 보빈과 코어(40) 간에 밀착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절연 리브(27)는 플랜지부(23)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코어(40)의 외부로 노출되는 플랜지부(23)에는 절연 리브(27)를 많이 돌출시키고 코어(40)와 접하는 플랜지부(23)는 절연 리브(27)를 적게 돌출시키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The insulating rib 27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only on th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20 which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re 40 described later. That is, the insulating ribs 27 are form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2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re 40. This is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bobbin and the core 4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insulating rib 27 may be formed on the entire flange portion 23.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flange portion 2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re 40 and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flange portion 23 in contact with the core 40 protrude the insulating rib 27 slightly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30)과 결합되며, 이를 위해 플랜지부(23)의 외주연에 적어도 하나의 끼움 돌기(28)와 지지턱(29)을 구비한다.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inner bobbin 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engaged with the outer bobbin 30 to be described later. To this end, at least one fitting protrusion 28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lange portion 23, And a jaw (29).

끼움 돌기(28)는 상부 플랜지부(23a)의 외주연 상에 형성되며, 외주연 중 최대한 이격되는 양단에서 각각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끼움 돌기(28)는 절연 리브(27)에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fitting projections 28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upper flange portion 23a and are formed so as to protrude radially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outer peripheral edge,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28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from the insulating rib 27.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되며, 끼움 돌기(28)가 형성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된 절연 리브(27)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단자 체결부(24)가 지지턱(29)의 역할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지지턱(29)은 하부 플랜지부(23b) 중 단자 체결부(24)가 없는 일 측에만 형성된다.The supporting jaw 29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and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fitting projections 28 are formed. More specifically, the support jaw 29 is formed by protruding from the insulating rib 27 formed in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terminal fastening part 24 is also configured to serve as the supporting step 29. [ Therefore, the support step 29 is formed only on one sid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on which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is not provided.

이처럼 끼움 돌기(28)와 지지턱(29)이 상부 플랜지부(23a)와 하부 플랜지부(23b)에 형성됨에 따라, 내측 보빈(20)은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에 결합될 때, 외측 보빈(3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외측 보빈(30)에 대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When the inner bobbin 20 is engaged with the outer bobbin 3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tting protrusion 28 and the supporting jaw 29 are formed in the upper flange portion 23a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It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bobbin 30. The outer bobbin 30 will be described later in more detail.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끼움 돌기(28)는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끼움 돌기(28)가 플랜지부(23)의 외주연 상의 다양한 위치에서 2개 이상 다수 개가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The fitting protrusion 28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be configured to have two or more fitting protrusions 28 at various positions on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flange portion 23, This is possible.

외측 보빈(30)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0)과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측 보빈(20)의 두께와 유사한 두께로 형성되며, 그 크기에 있어서 차이를 갖는다. The outer bobbin 30 is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inner bobbin 20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imilar to the thickness of the inner bobbin 20, and has a difference in size.

외측 보빈(30)은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내부 중심에 관통공(31)이 형성되는 관 형상의 몸체부(32), 플랜지부(33), 단자 체결부(34), 및 외부 접속 단자(36)를 구비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0)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고 내측 보빈(20)과 구별되는 구성들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uter bobbin 30 has a tubular body portion 32, a flange portion 33,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and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4, which have through holes 31 formed at the inner center thereof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bobbin 20, (36).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configuration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inner bobbin 20, and the configurations that are different from the inner bobbin 20 will be omitted.

몸체부(32)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31)은 내측 보빈(20)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공간으로 이용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30)에 형성된 관통공(31)은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33) 외주연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The through hole 31 formed in the body 32 is used as a space in which the inner bobbin 20 is inserted. The through hole 31 formed in the outer bobbin 30 is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33 of the inner bobbin 20. [

또한 외측 보빈(30)의 몸체부(32)의 외주면과 플랜지부(3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후술되는 코일(50)이 권선되는 외측 권선부(30a)로 이용된다.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32 of the outer bobbin 30 and the flange portion 33 is used as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in which the coil 50 is wound.

하부 플랜지부(33b)에는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일 측면에 외부 접속 단자(36)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34)가 형성된다. The lower flange portion 33b is formed with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to whic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is fastened on one side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bobbin 20.

단자 체결부(34)는 하부 플랜지부(33b)에서 몸체부(32)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안내 돌기(34a)와, 인출 홈(35), 및 이격 블록(34b)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is protruded from the lower flange portion 33b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32 and includes a guide protrusion 34a, a lead groove 35 and a spacing block 34b.

안내 돌기(34a)는 단자 체결부(34)의 하부면에서 몸체부(32)의 하측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내 돌기(34a)는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36)에 용이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 돌기(34a)가 코일(50)을 견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 돌기(34a)가 코일(50)의 리드선 직경 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protrusions 34a are formed by projecting a plurality of the guide protrusions 34a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portion 32 in parallel. The guide protrusion 34a is for guiding the lead wire so that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can be easily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rotrusion 34a protrudes at a distance of not less than the diameter of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34a can firmly guide the coil 50. [

인출 홈(35)은 안내 돌기(34a)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상기한 단자 체결부(34)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The lead groove 35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34a and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 coil portion 30a moves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engaging portion 34 .

이러한 단자 체결부(34)의 구성에 따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은 인출 홈(35)을 경유하여 외측 보빈(3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인접하게 배치된 안내 돌기(34a)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uter bobbin 30 via the lead groove 35 in accordance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through a spac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34a.

이격 블록(34b)은 외부 접속 단자(36)와 내측 보빈(20) 간의 연면 거리가 확보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를 위해 이격 블록(34b)은 안내 돌기(34a)의 배치 방향과 와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 돌기(34a)와 내측 보빈(20) 사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The spacing block 34b is used to secure a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and the inner bobbin 20. To this end, the spacing block 34b is formed so as to protrud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34a and the inner bobbin 20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guide protrusion 34a.

외부 접속 단자(36)는 단자 체결부(34)의 끝단에서 몸체부(3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34)에 체결된다.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is fastened to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4 so as to protrude from the terminal end of the terminal fastening part 34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32.

또한, 내측 보빈(20)과 마찬가지로, 외측 보빈(30)도 몸체부(32)의 두께보다 플랜지부(33)의 폭이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부(33)에는 플랜지부(33)가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플랜지부(33)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절연 리브(37)가 구비된다.In addition, like the inner bobbin 20, the outer bobbin 30 is formed to have a larger flange portion 33 than the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32. The flange portion 33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insulating rib 37 for preventing the flange portion 33 from being bent and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flange portion 33. [

여기서, 외측 보빈(30)에 형성되는 절연 리브(37)는 내측 보빈(20)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리브(37)의 돌출 거리는 플랜지부(33)의 강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코일(50) 간에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거리로 형성된다. A plurality of the insulating ribs 37 formed on the outer bobbin 30 may b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bobbin 20.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ulating ribs 37 maintains the rigidity of the flange 33 At the same time, it is formed at a distance that can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outer bobbin 30 and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inner bobbin 20.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되는 경우,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1차 코일(50a)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2차 코일(50b) 간의 연면 거리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 외부면을 따라 형성된다. 3, when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primary coil 50a wound on the outer bobbin 30 and the secondary coil wound on the inner bobbin 20 50b are formed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portion 33 of the outer bobbin 30.

이에,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측 보빈(30)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해 절연 리브(37)를 이용한다. 즉, 절연 리브(37)의 개수와, 절연 리브(37)의 돌출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 내측 보빈(20)에 권선된 코일(50) 간에 연면 거리를 확보한다. Thus,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ses the insulating rib 37 to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outer bobbin 30. That is, by adjusting the number of the insulating ribs 37 and the protruding distance of the insulating ribs 37,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outer bobbin 30 and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inner bobbin 20 Secure the distance.

이때,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가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있다면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된 1차 코일(50a)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30)의 내주면 사이에는 일정 간격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 간의 거리를 더욱 확보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절연 리브(37)만을 구비하더라도 연면 거리의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가 충분히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t this time, if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inner bobbin 20 is extended long enough, there is a gap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primary coil 50a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bobbin 30 An empty space can be formed. Therefore,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50a and the secondary coil 50b can be further secured, so that the creepage distance can be ensured even if only one insulating rib 37 is provided. This is equally applicable to the case where the flange portion 33 of the outer bobbin 30 is formed to extend sufficiently long.

반면에 내측 보빈(20) 또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33)가 짧게 형성되어 플랜지부(23, 33)의 길이 만으로 연면 거리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에 추가적으로 절연 리브(27)를 형성함으로써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flange portions 23 and 33 of the inner bobbin 20 or the outer bobbin 30 are formed to be short and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only by the length of the flange portions 23 and 33, 100 can further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by forming the insulating ribs 27 in the flange portion 33 of the outer bobbin 30.

따라서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면, 외측 보빈(3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절연 리브(37)들은 각각 돌출되는 거리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외측 보빈(30)에 다수의 절연 리브(37)가 형성되는 경우, 각 절연 리브(37)들의 돌출 거리는 각각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insulating ribs 37 formed on the outer bobbin 30 may have different protruding distances from each other and a plurality of insulating ribs 37 may be formed on the outer bobbin 30 The protruding distances of the respective insulating ribs 37 may be configured differently.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30)은 관통공(3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내측 보빈(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 홈(38)을 구비한다. The outer bobbi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t least one coupling groove 38 to which the inner bobbin 20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 can be fixed.

결합 홈(38)은 내측 보빈(20)에 형성된 끼움 돌기(28)의 개수와 형성 위치, 형상에 대응하여 형성된다. The coupling grooves 38 are formed corresponding to the number, formation positions, and shapes of the fitting projections 28 formed on the inner bobbin 20.

본 실시예의 경우, 끼움 돌기(28)가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 외주연 상에서 최대한 이격되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결합 홈(38)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주면에서 가장 이격되는 양단에 각각 형성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fitting projections 28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inner bobbin 20 at the maximum distance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flange portion 23,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upling grooves 38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uter bobbin 30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 respectively.

특히 결합 홈(38)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주면에서 일정한 폭으로 수직하게 관통공(21)을 가로지르며 형성되며, 끼움 홈(38a)과 안내 홈(38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Particularly, the coupling groove 38 is formed to cross the through hole 21 with a predetermined width perpendicular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nd includes the fitting groove 38a and the guide groove 38b .

끼움 홈(38a)은 외측 보빈(30)의 상단면에서 끼움 돌기(28)의 형상에 대응하는 홈으로 형성된다. 끼움 홈(38a)은 내측 보빈(20)의 끼움 돌기(28)가 끼워는 홈으로,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된다. 따라서 끼움 돌기(28)가 끼움 홈(38a)에 삽입되면, 내측 보빈(20)은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 내에 완전하게 삽입되며, 이에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은 일체가 된다.The fitting groove 38a is formed as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itting projection 28 in the upper end surface of the outer bobbin 30. [ The fitting groove 38a is a groove in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28 of the inner bobbin 20 is fitted so that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are finally combined. Therefore, when the fitting projection 28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8a, the inner bobbin 20 is completely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nd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 Are integrated.

안내 홈(38b)은 외측 보빈(30)의 하단면에서 끼움 홈(38a)의 하단부까지 형성되며, 안내 홈(38b)의 바닥면은 경사지도록 형성된다. 즉, 안내 홈(38b)은 몸체부(22)의 하단면 부분에서 깊이가 가장 깊고, 끼움 홈(38a)과 인접한 위치에서는 깊이가 낮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 홈(38b)은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에 결합될 때, 끼움 돌기(28)가 이동하는 통로로 이용된다. The guide groove 38b is formed from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bobbin 30 to the lower end of the fitting groove 38a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guide groove 38b is formed to be inclined. That is, the depth of the guide groove 38b is the deepest at the lower end 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 and the depth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tting groove 38a. The guide groove 38b is used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tting protrusion 28 moves when the inner bobbin 20 is engaged with the outer bobbin 30.

이상에서 설명한 끼움 돌기(28)와 결합 홈(38)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process of joining the fitting protrusion 28 and the coupling groove 38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내측 보빈(20)을 외측 보빈(30)에 결합하는 경우, 먼저 내측 보빈(20) 중 지지턱(29)이 형성된 측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에 삽입한다. 이때, 내측 보빈(20)의 끼움 돌기(28)가 외측 보빈(30)의 결합 홈(38, 즉 끼움 홈)에 살짝 끼워지도록 결합된다. When the inner bobbin 20 is coupled to the outer bobbin 30, the side of the inner bobbin 20 on which the supporting jaw 29 is formed is first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28 of the inner bobbin 20 is engaged with the fitting groove 38 (i.e., the fitting groove) of the outer bobbin 30 so as to be slightly fitted.

이어서 내측 보빈(20)의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측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측의 끼움 돌기(28)는 외측 보빈(30)의 몸체부(32)의 하단면을 통해 안내 홈(38b)으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안내 홈(38b)은 몸체부(22)의 하단면 부분의 깊이가 가장 깊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끼움 돌기(28)는 용이하게 안내 홈(38b)으로 삽입될 수 있다. The side of the inner bobbin 20 on which the terminal securing portion 24 is formed is pushed in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t this time, the fitting protrusion 28 on the side where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is formed enters the guide groove 38b through the lower end face of the body portion 32 of the outer bobbin 30. Since the depth of the lower end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 is the deepest in the guide groove 38b as described above, the fitting protrusion 28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8b.

내측 보빈(20)을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으로 밀어 넣음에 따라, 끼움 돌기(28)는 안내 홈(38b)을 따라 외측 보빈(30)의 몸체부(22)의 상측으로 이동하여 끼움 홈(38a)에 삽입된다. 이때, 내측 보빈(20)의 단자 체결부(24)는 외측 보빈(30)의 하단면과 접촉하며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의 상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fitting protrusion 28 is moved upward along the guide groove 38b to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22 of the outer bobbin 30 as the inner bobbin 20 is pushed in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nd is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38a. At this time,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of the inner bobbin 20 contacts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bobbin 30 to prevent the inner bobbin 20 from moving to the upper side of the outer bobbin 30.

이에 따라, 내측 보빈(20)은 끼움 홈(38a)에 끼워진 끼움 돌기(28)가 안내 홈(38b)과 끼움 홈(38a)을 구분하는 단턱에 걸리게 되어 하측으로의 이동이 억제된다. 또한 지지턱(29)과 단자 체결부(24)가 외측 보빈(30)의 하단면을 지지하게 되어 상측으로의 이동도 억제된다. 따라서 외측 보빈(30)과 결합이 완료된 내측 보빈(20)은 외측 보빈(30)으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Thus, the inner bobbin 20 is prevented from moving downward because the fitting protrusion 28 fitted in the fitting groove 38a is caught by the step separating the guide groove 38b and the fitting groove 38a. Also, the support jaw 29 and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support the lower end surface of the outer bobbin 30, and the upward movement is also suppressed. Therefore, the inner bobbin 20, which has been coupled with the outer bobbin 30, can not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outer bobbin 30.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은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6)와 외측 보빈(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내측 보빈(20)이 외측 보빈(30)과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은 단자 체결부(24)가 형성된 부분이 외측 보빈(30)의 단자 체결부(34)가 형성된 부분이 아닌, 반대되는 방향에 위치되도록 외측 보빈(30)에 결합된다.The bobbin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provided on the inner bobbin 2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provided on the outer bobbin 30 are spaced apart as far as possible. When the inner bobbin 20 is coupled with the outer bobbin 30, th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20 where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24 is formed is the portion where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of the outer bobbin 30 is formed The outer bobbin 30 is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이에 따라 외측 보빈(30)의 외부 접속 단자(26)와 내측 보빈(20)의 외부 접속 단자(36)는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의 외부 접속 단자(26)들 사이가 충분히 이격되므로 1, 2차 간의 절연 거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of the external bobbin 3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of the internal bobbin 20 are arranged so as to protrude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Therefor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sufficiently spaced between the primary coil 50a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26 of the secondary coil 50b, so that the insulation distance between the primary coil 50a and the secondary coil 50b can be easily secured have.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는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의 몸체부(22)를 통해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절연성을 확보한다. 따라서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과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되는 코일(50)이 최대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through the body portion 22 of the inner bobbin 20 when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are engaged The insulation of the coil 50 wound on the coil 50 and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is ensured. Therefore,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and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can be arranged as close as possible.

그러나, 트랜스포머(100)의 출력 특성이나 절연 거리를 확보하기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되는 코일(50)의 외부면과 외측 보빈(30)의 관통공(21) 내주면과의 거리가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istan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oil 50 wound around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hrough hole 21 of the outer bobbin 30 for ensuring the output characteristics and insulation distance of the transformer 100 is set at a constant interval It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는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될 때, 내측 보빈(20)의 플랜지부(23)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33)가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된다. 즉, 내측 보빈(20)과 외측 보빈(30)이 결합된 보빈부(10)는 절연 리브(27, 37)나 단자 체결부(24, 34)가 형성된 부분에서만 일부 돌출되는 부분이 존재할 뿐, 전체적으로 편평한 박형을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 등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inner bobbin 20 and the flange portion 33 of the outer bobbin 3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re located on the same plane. That is, the bobbin portion 10, in which the inner bobbin 20 and the outer bobbin 30 are coupled, is only partially protruded from only the portion where the insulating ribs 27 and 37 or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s 24 and 34 are formed. Thereby maintaining a generally flat thin shape. Therefore, it can be easily employed in a thin display device or the like.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보빈부(10)가 외측 보빈(30)과 하나의 내측 보빈(20)으로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하나의 외측 보빈(30) 내에 다수의 보빈이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측 보빈(30)의 관통공(31)에 외측 보빈(30)과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별도의 보빈(이하 중간 보빈)이 삽입되고, 중간 보빈의 관통공(21)에 내측 보빈(20)이 삽입되도록 보빈부(10)를 구성하고, 내측 보빈(20)의 관통공(21)에 코어(40)가 삽입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ase where the bobbin portion 10 is composed of the outer bobbin 30 and the inner bobbin 20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a plurality of bobbins may be inserted into one outer bobbin 30. For example, a separate bobbi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iddle bobbin) formed in a shape similar to the outer bobbin 3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31 of the outer bobbin 30, And the core 40 may b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of the inner bobbin 20. In this case,

이러한 경우, 1차 코일(50a, 또는 2차 코일)은 최대 2개의 개별 보빈(내측 보빈, 중간 보빈, 및 외측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primary coil (50a, or secondary coil) can be wound on up to two individual bobbins (inner bobbin, middle bobbin, and outer bobbin).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사출 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프레스 가공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보빈부(10)의 개별 보빈들(20, 30)은 절연성의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내열성과 고내전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보빈들(20, 30)을 형성하는 재질로는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액정폴리에스테르(LCP),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및 페놀계 수지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individual bobbins 20 and 30 of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be easily manufactured by injection mold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obbins 20 and 30 may be manufactur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pressing have. The individual bobbins 20 and 30 of the bobbin 1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preferably made of an insulating resin material and preferably made of a material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high withstand voltage. As the material for forming the individual bobbins 20 and 30, polyphenylene sulfide (PPS), liquid crystal polyester (LCP), 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an be used.

코일(50)부(50)는 1차 코일(50a)과 2차 코일(50b)을 포함한다. The coil 50 portion 50 includes a primary coil 50a and a secondary coil 50b.

1차 코일(50a)은 내측 보빈(20)에 형성된 내측 권선부(20a)에 권선된다. The primary coil 50a is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formed on the inner bobbin 20.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1차 코일(50a)은 하나의 내측 권선부(20a) 내에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수의 코일(50)로 1차 코일(50a)을 구성하여 다양한 전압을 인가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2차 코일(50b)을 통해 다양한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imary coil 5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ound with a plurality of coils 50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in one inner winding portion 20a. In other words,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constitute the primary coil 50a with a plurality of coils 50 to apply various voltages. In response to this, various voltages are drawn out through the secondary coil 50b can do.

이를 위해 1차 코일(50a)을 구성하는 각각의 코일(50)들은 두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으며, 권선 수가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1차 코일(50a)은 한 가닥의 와이어가 이용될 수 있으며, 여러가닥을 꼬아 형성한 리쯔와이어(Ritz Wire)가 이용될 수도 있다. For this purpose, the coils 50 constituting the primary coil 50a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and the number of windings may be different. The primary coil 50a may be a single stranded wire or may be a Ritz Wire formed by twisting a plurality of strands.

이러한 1차 코일(50a)은 리드선이 내측 보빈(2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26)에 연결된다.The lead wire of the primary coil 50a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6 provided on the inner bobbin 20.

2차 코일(50b)은 외측 보빈(30)에 형성된 외측 권선부(30a)에 권선된다. The secondary coil 50b is wound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formed on the outer bobbin 30. [

2차 코일(50b)도 전술한 1차 코일(50a)과 마찬가지로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개의 코일(50)이 권선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예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2차 코일(50b)의 리드선은 외측 보빈(30)에 구비되는 외부 접속 단자(36)에 연결된다.The secondary coil 50b may be wound with a plurality of coils 50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like the primary coil 50a described above, and an example thereof is shown in FIG. The lead wire of the secondary coil 50b is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provided on the outer bobbin 30.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내측 권선부(20a)에 1차 코일(50a)이 권선되고, 외측 권선부(30a)에 2차 코일(50b)이 권선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외측 권선부(30a)에 1차 코일(50b)을 권선하고, 내측 권선부(20a)에 2차 코일(50a)을 권선하여 이용하는 등 사용자가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is embodiment, the primary coil 50a is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and the secondary coil 50b is wound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as described abov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it is possible to draw out a voltage desired by the user, for example, by winding the primary coil 50b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30a and winding the secondary coil 50a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20a If so, a variety of applications are possible.

코어(40, core)는 내측 보빈(20)의 내부에 형성되는 관통공(21)에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어(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며, 내측 보빈(20)의 관통공(21)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서로 마주 접하며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40)로는 'EE' 코어(40), 'EI' 코어(4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core 40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1 formed in the inner bobbin 20. The core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re formed as a pair and inserted through the through holes 21 of the inner bobbin 2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be fastened together. The core 40 may be an EE core 40, an EI core 40, or the like.

또한 코어(40)는 다른 재질에 비해 고투자율, 저손실, 높은 포화자속밀도, 안정성 및 낮은 생산 비용을 갖는 Mn-Zn계 페라이트(ferrite)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코어(40)의 형태나 재질에 대해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The core 40 may also be formed of Mn-Zn ferrite having a high permeability, low loss, high saturation magnetic flux density, stability, and low production cost compared to other materials. However,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core 40 are not limite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전술한 실시예의 트랜스포머(도 1의 100)와 유사하게 구성되며,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있어서만 차이를 갖는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며,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8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imilarly to the transformer 100 of FIG. 1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has a difference only in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of the inner bobbin 120. FIG. Therefore, the description of the elements that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will be omitted,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fastening part 124 of the inner bobbin 120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보빈(120)의 단자 체결부(124)는 하부 플랜지부(123b)에서 몸체부(122)의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33b) 외주면에 대응하는 길이로 돌출된다. 8,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of the inner bobbin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truded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122 from the lower flange portion 123b, and the outer bobbin 30, Of the lower flange portion 33b.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보빈(30)은 하부 플랜지부(33b)에 절연 리브가 형성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내측 보빈(120)은 단자 체결부(124)의 상부면이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33b)의 하부면과 접하며 외측 보빈(30)에 결합된다. 이를 통해 트랜스포머(100)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outer bobbin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formed as a whole flat without forming the insulating ribs in the lower flange portion 33b. The inner bobbin 120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flange portion 33b of the outer bobbin 30 and is joined to the outer bobbin 30 by the upper surface of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 Thus, the thickness of the transformer 100 can be minimized.

이러한 단자 체결부(124)는 외측 보빈(30)의 단자 체결부(34)와 유사하게 안내 돌기(124a)와 인출 홈(125)을 포함한다.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includes a guide protrusion 124a and a lead-out groove 125 similar to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34 of the outer bobbin 30. [

안내 돌기(124a)는 단자 체결부(124)의 하부면에서 몸체부(122)의 하측으로 다수 개가 나란하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안내 돌기(124a)는 외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150)의 리드선이 외부 접속 단자(126)와 용이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리드선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안내 돌기(134a)가 코일(50)을 견고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안내 돌기(134a)가 코일(50)의 리드선 직경 이상의 거리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guide protrusions 124a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fastening part 124 to a lower side of the body part 122 in parallel. The guide protrusion 124a is for guiding the lead wire so that the lead wire of the coil 150 wound on the outer winding portion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 It is preferable that the guide protrusion 134a protrudes at a distance of the lead wire diameter or more of the coil 50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134a can firmly guide the coil 50. [

인출 홈(125)은 안내 돌기(124a)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며, 외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이 상기한 단자 체결부(124)의 하부면으로 이동하는 경로로 이용된다. The lead groove 125 is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guide protrusions 124a and is used as a path for moving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 coil portio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terminal coupling portion 124 .

이러한 단자 체결부(124)의 구성에 따라 내측 권선부에 권선되는 코일(50)의 리드선은 인출 홈(125)을 경유하여 내측 보빈(120)의 하부로 이동한 후, 안내 돌기(124a)들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 접속 단자(126)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 lead wire of the coil 50 wound on the inner winding portion mov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ner bobbin 120 through the lead groove 125 and then the lead projections 124a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through a space between the terminals.

외부 접속 단자(126)는 단자 체결부(124)에서 몸체부(122)의 외경 방향 또는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단자 체결부(124)에 체결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접속 단자(126)는 외측 보빈(30)의 하부 플랜지부(23b) 외주연에 대응하는 형태로 단자 체결부(124)에 체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보빈(120)의 외부 접속 단자(126)와 외측 보빈(30)에 권선된 코일(50)과의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단자 체결부(124)가 외측 보빈(30)의 플랜지부(23) 외주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구성하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is fastened to the terminal fastening part 124 so as to protrud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or the downward direction of the body part 122 from the terminal fastening part 124. Particularly,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fastened to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lower flange portion 23b of the outer bobbin 3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124 may be formed on the outer bobbin 30 to secure the insulation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of the inner bobbin 120 and the coil 50 wound on the outer bobbin 30 30 and the flange portion 23 of the flange portion 23, respectively.

이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내측 보빈(120)의 외부 접속 단자(126)가 외측 보빈(3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외측 보빈(30)의 외부 접속 단자(26)와의 절연성을 더욱 확보할 수 있으며, 트랜스포머(200)를 기판(도시되지 않음)에 실장 시 보다 용이하게 실장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of the inner bobbin 12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outer bobbin 30, The insulating property can be further secured and the transformer 200 can be mounted more easily when mounted on a substrate (not shown).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의 구성은 내측 보빈(120)을 2개 이상 구비하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외측 보빈(30)의 내부에 중간 보빈이 삽입되고, 중간 보빈의 내부에 또 내측 보빈(120)이 삽입되도록 보빈부(10)가 구성되는 경우, 1차 코일(또는 2차 코일)은 최대 2개의 개별 보빈에 권선될 수 있다. The structure of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applied to the case where two or more inner bobbins 120 are provided. That is, when the bobbin portion 10 is constructed so that the middle bobbin is inserted into the inner bobbin 30 and the inner bobbin 120 is inserted into the middle bobbin, Car coils) can be wound on up to two individual bobbins.

이처럼 1차 코일(또는 2차 코일)이 2개의 개별 보빈에 권선된 경우에는 해당 개별 보빈들의 외부 접속 단자는 모두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200)는 1차 코일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126)와 2차 코일이 연결되는 외부 접속 단자(36)가 최대한 이격되도록 배치하지만, 서로 다른 개별 보빈(즉 중간 보빈)에 동일한 1차 코일이 권선되는 경우, 해당 개별 보빈의 외부 접속 단자는 1차 코일이 권선된 내측 보빈(120)과 동일한 방향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When the primary coil (or the secondary coil) is wound on two separate bobbins like thi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of the individual bobbins may be formed so as to be all arranged in the same direction. That is, in the transforme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26 to which the primary coil is connected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36 to which the secondary coil is connected are disposed as far as possible, The outer connecting terminals of the individual bobbins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rimary coils are dispos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inner bobbin 120 to which the primary coils are wound.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개별적으로 분리되는 복수의 보빈(예컨대, 내측 보빈 및 외측 보빈)을 구비하고, 이러한 보빈들이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각각 개별 보빈들 별로 권선을 수행한 후, 코일이 권선된 개별 보빈들을 결합함으로써 트랜스포머를 완성할 수 있으므로, 생산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has a plurality of bobbins (for example, an inner bobbin and an outer bobbin) which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se bobbins are coupled. Therefore, after each individual bobbin winding is performed, the transformer can be completed by combining the individual bobbins wound with coils, which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process can be autom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매우 얇은 박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박형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용이하게 채용될 수 있다. Further,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to a very thin and thin shape. Therefore, it can be easily adopted in a thin display device.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절연 리브의 개수와, 돌출 거리 등을 토대로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에 권선된 코일들 간의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포머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creepage distance between the coils wound on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the insulating ribs, the protruding distance, etc., insulation can be secured while minimizing the size of the transformer .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끼움 돌기와 결합 홈을 이용하여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간의 결합력을 확보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내측 보빈의 외주연이나 외즉 보빈의 내주연에 지지부가 돌출되도록 형성하고, 이러한 지지부에 의해 내측 보빈 또는 외측 보빈을 지지하며 결합력을 확보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내측 보빈과 외측 보빈의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ous applications are possible. For exampl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engaging force between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is secured by using the fitting protrusions and the engaging groov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but the supporting portion may protrude from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inner bobbin or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bobbin And the inner bobbin or the outer bobbin can be supported by the support portion to secure the bonding force. That is, 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in various configurations as long as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can be ensured.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끼움 돌기가 내측 보빈에 형성되고, 결합 홈이 외측 보빈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으나, 반대로 끼움 돌기를 외측 보빈의 관통공 내주면에 형성하고, 결합 홈을 내측 보빈의 외주연에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In the above embodiments, the fitt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inner bobbin and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on the outer bobbin. However, the fitt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hrough bore of the outer bobbin, As shown in Fig.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에서는 보빈이 모서리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형 또는 타원형 등 원하는 전압을 인출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case where the bobbin is formed into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curved edge is taken as an example.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s long as a desired voltage such as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can be drawn.

더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채용되는 트랜스포머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일과, 코일의 리드선이 결선되는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트랜스포머나 전자 기기라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the transformer employed in the display device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widely applied to a transformer or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coil and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o which a lead wire of a coil is connected.

100, 200.....트랜스포머 10.....보빈부
20, 120.....내측 보빈 30.....외측 보빈
20a.....내측 권선부 30a.....외측 권선부
21, 31.....관통공 22, 32, 122.....몸체부
23, 33.....플랜지부 23a, 33a.....상부 플랜지부
23b, 33b, 123b.....하부 플랜지부
24, 34, 124.....단자 체결부
25, 35, 125.....인출 홈
26, 36, 126.....외부 접속 단자
27, 37.....절연 리브 28.....끼움 돌기
29.....지지 턱
34a, 124a.....안내 돌기 34b.....이격 블록
38.....결합 홈
38a.....끼움 홈 38b.....안내 홈
40.....코어 50.....코일
50a.....1차 코일 50b.....2차 코일
100, 200 ..... Transformer 10 ..... bobbin
20, 120 ..... inner bobbin 30 ..... outer bobbin
20a ..... Inner winding portion 30a ..... Outer winding portion
21, 31 ..... through holes 22, 32, 122 ..... body portion
23, 33 ..... flange portions 23a, 33a ..... upper flange portion
23b, 33b, 123b,
24, 34, 124 ..... terminal fastening part
25, 35, 125 ..... Draw-out groove
26, 36, 126 .....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27, 37 ..... insulation rib 28 ..... fitting projection
29 ..... Support chin
34a, 124a ..... guide protrusion 34b ..... spacing block
38 ..... coupling groove
38a ..... fitting groove 38b ..... guide groove
40 ..... coil 50 ..... coil
50a ..... primary coil 50b ..... secondary coil

Claims (11)

내부에 관통공이 구비된 관 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양단에서 수직하게 외부로 돌출되는 플랜지부, 및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된 상기 플랜지부(이하, 하부 플랜지부)의 일측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며 외부 접속 단자가 체결되는 단자 체결부를 구비하는 다수의 보빈으로 구성되는 보빈부;
상기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자로를 형성하는 코어; 및
상기 다수의 보빈에 각각 권선되는 코일을 구비하는 코일부;
를 포함하며 구성되며,
상기 보빈부는 외측 보빈 및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며 결합되는 내측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외경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보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랜지부의 폭이 상기 몸체부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A flange portion protruding vertically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body portion and a flange port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flange por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lower flange portion)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A bobbin portion including a plurality of bobbins having a terminal fastening portion to which a connection terminal is fastened;
A co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to form a magnetic path; And
A coil part having a coil wound on each of the plurality of bobbins;
Respectively,
Wherein the bobbin portion includes an outer bobbin and an inner bobbin inserted and coupled to the through bores of the outer bobbi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of the inner bobbin is formed to protrude in the outer diameter direc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bobbins is formed such that a width of the flange portion is longer than a thickness of the body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의 단자 체결부는,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플랜지부보다 더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outer bobbin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bobbi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플랜지부와 상기 외측 보빈의 플랜지부가 동일한 평면상에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 보빈의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lang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bobbin are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of the outer bobbin so as to be coupled to the outer bobbin so that the flange portion of the inner bobbin and the flange portion of the outer bobbin are disposed on the same plan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과 상기 외측 보빈에 각각 구비되는 상기 단자 체결부는,
각각 상기 외부 접속 단자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는 인출 홈을 구비하며, 상기 코일은 상기 인출 홈을 경유하여 상기 보빈부의 하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s of the inner bobbin and the outer bobbin, respectively,
Wherein the coil has a lead-out groov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s, and the coil is drawn to a lower portion of the bobbin via the lead-out groov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보빈은,
상기 내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외부 접속 단자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외측 보빈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6.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5,
And the external bobbin is coupled with the external bobbin such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inner bobbin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of the external bobbin are disposed in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체결부는,
하부면에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돌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어 돌출되는 안내 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코일의 리드선이 상기 안내 돌기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The connector according to claim 5,
And a guid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 connection terminal in parallel to the protruding direction of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and the lead wire of the coil is disposed along the guide protrusion and is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리드선은,
인접하게 배치된 두 개의 상기 안내 돌기 사이의 공간을 통해 상기 외부 접속 단자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The coi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lead wire of the coil
And is fasten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space between two adjacent guiding projections.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보빈의 상기 단자 체결부는,
상기 안내 돌기와 상기 내측 보빈 사이에서 상기 안내 돌기의 배치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이격 블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8. The bobbin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erminal fastening portion of the outer bobbin comprises:
And a spacing block protruding between the guide protrusion and the inner bobb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arrangement of the guide protrusion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부는,
상기 내측 보빈에 권선되는 1차 코일 및 상기 외측 보빈에 권선되는 2차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1차 코일 또는 상기 2차 코일 중 적어도 하나는 상호간에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다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primary coil wound around the inner bobbin and a secondary coil wound around the outer bobbi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includes a plurality of coil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부는,
상기 외측 보빈과 상기 내측 보빈 사이에 개재되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보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머.
The bobbin part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one intermediate bobbin interposed between the outer bobbin and the inner bobbin.
KR1020120008778A 2012-01-30 2012-01-30 Transformer KR10164207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778A KR101642078B1 (en) 2012-01-30 2012-01-30 Transform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08778A KR101642078B1 (en) 2012-01-30 2012-01-30 Transformer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2703A Division KR101133315B1 (en) 2010-07-02 2010-09-20 Transfor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029A KR20120031029A (en) 2012-03-29
KR101642078B1 true KR101642078B1 (en) 2016-07-22

Family

ID=46134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08778A KR101642078B1 (en) 2012-01-30 2012-01-30 Transform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78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91A (en) 2021-07-27 2023-02-03 (주) 트랜스온 Transformer assembled by rota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430A (en) 2019-07-04 2021-01-13 이향숙 Sofa that constitutes an electric heating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728A (en) * 2001-08-08 2003-02-28 Tamura Seisakusho Co Ltd Coil bobbin
JP2005158927A (en) * 2003-11-25 2005-06-16 Sumida Corporation Leakage transform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04033A (en) * 1992-04-24 1993-11-16 Toko Inc High-frequency step-up transformer
JPH07106158A (en) * 1993-09-29 1995-04-21 Mitsubishi Electric Corp Transform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9728A (en) * 2001-08-08 2003-02-28 Tamura Seisakusho Co Ltd Coil bobbin
JP2005158927A (en) * 2003-11-25 2005-06-16 Sumida Corporation Leakage transform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6991A (en) 2021-07-27 2023-02-03 (주) 트랜스온 Transformer assembled by ro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029A (en) 2012-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98586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24147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JP5777005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8742878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8698587B2 (en) Transformer
US8698588B2 (en) Transformer
KR101642078B1 (en) Transformer
KR101133294B1 (en) Transformer
KR101620060B1 (en) Transformer
KR101124046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US20120001716A1 (en) Transformer
JP5949841B2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101141337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US20220277888A1 (en) Transformer having reverse structure, power supply,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133315B1 (en) Transformer
KR101642079B1 (en) Transformer
KR101133366B1 (en) Transformer
KR101133338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1171640B1 (en)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