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013B1 -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013B1
KR101642013B1 KR1020150124654A KR20150124654A KR101642013B1 KR 101642013 B1 KR101642013 B1 KR 101642013B1 KR 1020150124654 A KR1020150124654 A KR 1020150124654A KR 20150124654 A KR20150124654 A KR 20150124654A KR 101642013 B1 KR101642013 B1 KR 101642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guide
guide rail
roller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4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남기
Original Assignee
정남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남기 filed Critical 정남기
Priority to KR1020150124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05Y2201/212Buff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16Pi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원에 직결된 구동롤러로부터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구동하여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함은 물론 도어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을 제공하도록,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열도어와; 상기 방열도어의 상측에 대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열도어의 좌우 측 방향을 향한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면 접촉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단에 연결결합하여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방열도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Driving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of Electric Sliding Door}
본 발명은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원에 직결된 구동롤러로부터 도어를 슬라이딩 개폐구동하여 주변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함은 물론 도어의 이송을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한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동창고나 저온저장창고, 클린룸 등에는 다양한 제품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한 출입구를 형성하고, 출입구에는 도어를 장착하여 내부공간을 밀폐된 상태로 유지하면서 외부와의 열교환을 차단하기 위한 방열구조를 이루되 출입구의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는 슬라이딩 도어를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도어는 비교적 부피가 큰 제품들을 반입 또는 반출시키기 위한 출입구에 일반적인 도어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적용되므로 슬라이딩 도어에는 출입구를 안정적으로 개폐시킬 수 있게 구동하는 개폐 구동장치를 적용하여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기존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구동장치로는 대표적으로 회전모터에 연결된 체인기어와 체인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구동시키는 체인회전식 구동장치나, 회전모터의 축에 연결된 풀리와 고무벨트의 회전에 의하여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구동시키는 벨트회전식 구동장치를 적용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슬라이딩 도어 개폐구동장치 중 벨트회전식 구동장치가 적용된 슬라이딩 도어와 관련하여 개시되어 있었던 종래기술로써, 등록특허공보 제403402호(2003.10.15.)에는 공장 및 창고 도어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일측의 수지천이 결착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지천의 다른 일측이 결착되는 회전봉과, 상기 프레임을 좌우이동시키는 장치의 가이드박스와, 상기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지지하고 탄성에 의하여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스프링을 내장하고, 도어의 개방시 수지천이 내감되는 도어박스와, 상기 도어가 외압에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도어를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도어의 개폐를 결정하는 대물감지센서를 포함하고, 가이드박스는 도어가 외압으로부터 충분하게 견딜 수 있도록 지지대 일측은 도어의 중앙이 결착되고 다른 일측이 결착되는 롤러와 좌우 도어를 지지하는 롤러와 롤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과 동력에서 도어에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도어를 개폐시키는 벨트를 내장토록 구성함에 따라 도어의 자동 개폐를 도모하면서 순간적인 개폐작용으로 실내온도를 적정온도로 유지할 수 있는 고속 좌우 개폐용 도어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구동장치 중 체인회전식 구동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출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1)의 상단에 개폐구동장치를 구성하되 한쪽에 전동모터(M)를 구비하고, 좌우로 거리를 두고 한 쌍의 체인기어(G)를 구비하되 한쪽의 체인기어(G)에는 전동모터(M)가 연결되며, 한 쌍의 체인기어(G)는 하나의 체인(C)이 연결되어 구동하되 체인(C)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도어(1)와 연결된 체인브라켓(B)이 연결결합하여 전동모터(M)의 구동에 따른 체인(C)의 이동으로 양개형 도어(1)가 일괄 개폐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슬라이딩 도어의 개폐 구동장치는 벨트회전식 구동장치(등록특허공보 제403402호) 및 체인회전식 구동장치는 양자 모두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단가가 높으면서 현장에서의 설비가 어렵고, 좌우 2개의 도어에 대한 일괄구동만이 가능하기 때문에 냉동창고나 저온저장창고 등에 적용된 도어가 매번 필요 이상으로 개방됨에 따라 보온효율을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 중에서 등록특허공보 제403402호의 경우에는 구동장치의 주요구성에 벨트를 적용하기 때문에 도어의 지속적인 개폐작용에 따른 힘의 작용으로 벨트가 늘어나 정상적인 개폐구동이 어려우며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체인회전식 구동장치의 경우에는 도어를 개폐하는 과정에서 체인의 잔 소음이 발생하여 구동에 따른 악영향을 미치며, 체인기어와 체인 간에 원활한 회전작용을 위하여 윤활제를 사용하기 때문에 장기간 사용함에 따른 열화현상으로 윤활제의 낙하현상을 현상을 초래함은 물론 체인에 윤활제와 먼지 등의 오염원이 혼재하여 도어의 개폐구동에 악영향을 미치고, 이는 도어 주변의 오염으로 청결유지에 결함을 초래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제10-0403402호(2003.10.1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 개폐시 구동롤러의 구름마찰력을 작용시켜 도어가 직선이동하도록 구성하므로 도어 개폐를 위한 구동구조가 간단함은 물론 도어의 개폐구동에 따른 소음을 최소화하고, 구동장치에 별도 윤활제 등의 사용이 불필요하여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좌우로 배치된 양개형의 도어 중 개개의 도어마다 구동원을 적용토록 구성하므로 도어의 개별구동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탄력적인 개폐제어를 도모할 수 있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는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열도어와; 상기 방열도어의 상측에 대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열도어의 좌우 측 방향을 향한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면 접촉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단에 연결결합하여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방열도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내부 양쪽 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이송력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의 이탈 및 접촉충격을 완충하는 스토퍼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메인구동유닛에는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연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구름 접촉하고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패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롤러 간에는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구동에 따른 상기 방열도어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에는 외주연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구동롤러를 수용하되 상기 구동롤러가 접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랙 기어가 형성되는 구동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롤러에는 외주연 상에 상기 구동레일의 랙 기어에 맞물리는 피니언기어를 형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에 의하면 도어 개폐시 구동수단의 회전축에 직결된 구동롤러의 구름 접촉으로 방열도어를 슬라이딩 이송시키도록 구성하므로, 항시 일정한 개폐구동력을 유지하면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구동소음을 제거하면서 장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구동장치 자체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관리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는 개개의 도어마다 구동유닛을 적용하여 개별구동하므로 사용자로부터 개폐구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제어하여 냉동창고나 저온저장창고 내의 보온효율을 증진시키고, 장치의 간단한 구조로부터 제작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는 가이드레일과 가이드롤러 간에 도어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성하므로, 개폐구동시 도어의 기울어짐을 방지한 채 항시 직진성을 유지하여 도어의 이송구동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에 의하면 도어의 이송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구동유닛에 대하여 상호 맞물린 기어구조 및 별도의 구동레일을 구성하므로, 항시 안정적인 구동상태를 유지하며 구동이송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체인회전식 개폐구동장치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구동롤러 제1실시예가 적용된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에서 구동롤러의 제2실시예를 적용된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열도어와; 상기 방열도어의 상측에 대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열도어의 좌우 측 방향을 향한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면 접촉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단에 연결결합하여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방열도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보통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고, 도면에서 나타내는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의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방열도어(10)와, 가이드레일(20)과, 메인구동유닛(30)과, 가이드롤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방열도어(10)는 냉동창고나 저온저장창고, 클린룸 등과 같이 일정한 목적을 갖고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에 장착되고, 작업자는 물론 지게차나 소형차량의 진입이 가능하도록 출입구를 개폐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방열도어(10)는 직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으며, 외부표면이 금속제(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등) 또는 금속도금되어 구성하고, 내측에는 단열재(예를 들면, 우레탄 폼 등)가 내장된 구조로 구성한다.
도면에서는 상기 방열도어(10)를 양쪽으로 개폐가능한 구조로서 출입구에 2개의 방열도어(10)가 좌우로 대칭되게 적용된 구조를 갖는 양개형으로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출입구의 크기 및 적용용도에 따라 하나의 방열도어(10)만이 적용된 구조를 갖는 편개형을 포함한다.
상기 방열도어(10)에는 작업자가 수동으로도 개폐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손잡이를 구성하거나, 상기 방열도어(10)의 폐쇄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잠금수단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방열도어(10)의 상측에 대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열도어(10)의 개폐동작에 따른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메인구동유닛(30) 및 상기 가이드롤러(40)가 접촉가능한 구조를 이루도록 수용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은 상기 방열도어(10)가 유동가능한 이동경로를 이루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하여 상기 방열도어(10)의 좌우 측 방향을 향한 슬라이딩운동을 안내가능하게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내부 양쪽 측단에 스토퍼부재(25)를 구비토록 구성한다.
상기 스토퍼부재(25)는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접촉가능하게 대응하여 위치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의 이송력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이탈 및 접촉충격을 완충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은 상기 방열도어(10)를 개폐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상기 방열도어(10)의 개폐시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좌우로 직선이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을 따라 구름 접촉하여 이동가능한 구동롤러(31)와, 상기 구동롤러(31)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3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롤러(31)는 상기 가이드레일(20)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도어(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구동롤러(31)는 상기 방열도어(10)의 상단에 브라켓을 구비하여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20) 상에 면 접촉가능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구동롤러(31)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측 바닥면에 면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구성하고,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구동롤러(31)의 외면이 구름 접촉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상기 방열도어(10)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면과 상기 구동롤러(31)의 외면 간에 면 접촉으로 상기 구동수단(35)에 따른 상기 구동롤러(31)의 구름작용이 적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구동롤러(31)는 소정의 강성을 갖는 금속재질이나 경도가 큰 실리콘재질을 사용하여 구성한다.
상기 구동수단(35)은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31)의 일단에 연결결합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구동롤러(31)에 회전력을 인가한다. 즉 상기 구동롤러(31)는 상기 구동수단(35)에 직결되게 구성하여 상기 구동수단(35)의 동력이 상기 구동롤러(31)에 직접적으로 전달되게 이루어진다.
도면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이 구동함에는 작업자의 조작에 따른 별도의 스위치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을 제어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작업자의 진입을 자동으로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장착하고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메인구동유닛(30)에 제어신호를 인가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에서 감지센서를 구성하여 작업자나 물품을 자동감지할 경우 진입부피 범위를 동시에 감지할 수 있게 구성하여 상기 방열도어(10)의 개폐 정도를 자동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메인구동유닛(30)에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31)의 외주연 상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면에 구름 접촉가능하게 형성되는 접촉패드부재(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패드부재(50)는 상기 구동롤러(31) 상에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구동롤러(31)로부터 분리가능한 구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패드부재(50)는 경도가 큰 실리콘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가이드레일(20)과의 지속적인 접촉에 따른 변형이나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접촉패드부재(50)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면, 구동에 따른 마찰음을 보다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접촉패드부재(50)만을 교체함에 따른 작업이 용이하며 장치의 전반적인 수명을 보다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방열도어(10)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20)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도록 구비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0)에 있어서도 상기 구동롤러(31)와 마찬가지로 상기 방열도어(10) 상에 브라켓을 사용하여 설치된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롤러(40)는 상기 메인구동유닛(30)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처럼 2개의 상기 가이드롤러(40)가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의 좌우로 간격을 두고 위치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30)에 따른 상기 방열도어(10)의 안정적인 이동을 도모할 수 있게 구성한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에 의하면, 도어 개폐시 구동수단(35)의 회전축에 직결된 구동롤러(31)의 구름 접촉으로 방열도어(10)를 슬라이딩 이송시키도록 구성하므로, 항시 일정한 개폐구동력을 유지하면서 장치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장치의 구동소음을 제거하면서 장치 주변을 청결하게 유지하여 우수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며 구동장치 자체의 오염원을 제거하여 관리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장치의 수명을 연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개개의 도어마다 구동유닛을 적용하여 개별구동하므로 사용자로부터 개폐구동 범위를 탄력적으로 제어하여 냉동창고나 저온저장창고 내의 보온효율을 증진시키고, 장치의 간단한 구조로부터 제작단가를 낮춰 가격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롤러(40) 간에는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의 구동에 따른 상기 방열도어(10)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6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수단(60)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면에 형성되는 가이드홈(61)과, 상기 가이드롤러(40)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돌기(65)로 구성한다.
상기 가이드홈(61)은 상기 가이드레일(20)의 내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돌기(65)가 내삽가능한 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가이드레일(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돌기(65)는 상기 가이드홈(61)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외주연 상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에서 가이드홈(61) 및 가이드돌기(65)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사각형 및 삼각형,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가이드레일(20)과 가이드롤러(40) 간에 도어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므로, 개폐구동시 도어의 기울어짐을 방지한 채 항시 직진성을 유지하여 도어의 이송구동효율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레일(20)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메인구동유닛(30)의 구동롤러(31)를 수용하는 구동레일(7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레일(70)은 상기 가이드레일(20)과는 구분된 안내경로를 갖게 구비된 구성으로서, 상기 구동롤러(31)가 접하는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랙 기어(71)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롤러(31)에는 외주연 상에 상기 구동레일(70)의 랙 기어(71)에 맞물리는 구조의 피니언기어(75)를 형성한다.
상기에서 가이드레일(20) 및 상기 구동레일(70)이 서로 전후로 구분하여 배치됨에 따라 상기 구동롤러(31) 및 상기 가이드롤러(40)의 안정적인 구동회전작용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면, 도어의 이송구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구동유닛(30)에 대하여 상호 맞물린 기어구조 및 별도의 구동레일(70)을 구성하므로, 항시 안정적인 구동상태를 유지하며 구동이송력을 보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등록청구범위와 명세서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 방열도어 20 : 가이드레일
25 : 스토퍼부재 30 : 메인구동유닛 31 : 구동롤러
35 : 구동수단 40 : 가이드롤러 50 : 접촉패드부재
60 : 가이드수단 61 : 가이드홈 65 : 가이드돌기
70 : 구동레일 71 : 랙 기어 75 : 피니언기어

Claims (5)

  1. 외부로부터 폐쇄된 공간의 출입구를 개폐가능하게 장착되는 방열도어와;
    상기 방열도어의 상측에 대응하여 고정설치되고 상기 방열도어의 좌우 측 방향을 향한 슬라이딩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상기 방열도어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면 접촉하되 상기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름 접촉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일단에 연결결합하여 회전력을 인가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인구동유닛과;
    상기 방열도어의 상단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레일에 대응하여 구름 접촉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적어도 하나 이상을 구비토록 구성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롤러의 외주연 상에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구름 접촉하고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는 접촉패드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롤러 간에는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구동에 따른 상기 방열도어의 직선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가이드레일의 내면에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에는 외주연 상에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기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되 사각형, 삼각형 또는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레일에는 내부 양쪽 측단에 설치되고 상기 메인구동유닛의 이송력에 따른 상기 가이드롤러의 이탈 및 접촉충격을 완충하는 스토퍼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24654A 2015-09-03 2015-09-03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KR101642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54A KR101642013B1 (ko) 2015-09-03 2015-09-03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4654A KR101642013B1 (ko) 2015-09-03 2015-09-03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2013B1 true KR101642013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4654A KR101642013B1 (ko) 2015-09-03 2015-09-03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0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711A (ko) 2019-01-15 2020-07-23 김중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KR102168537B1 (ko) 2019-08-14 2020-10-21 주식회사 삼흥정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US20220195798A1 (en) * 2017-09-06 2022-06-23 Tok, Inc. Opening/closing direction restriction mechanism for manual shutter device and opening/closing direction restriction mechanism for suspended sliding door
US11993983B2 (en) * 2022-03-13 2024-05-28 Tok, Inc. Restriction mechanism for suspended sliding door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02B1 (ko) 1999-09-11 2003-11-01 추성실 고속 좌.우 개폐용 도어
KR20100040086A (ko) * 2008-10-09 2010-04-19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20100054324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402B1 (ko) 1999-09-11 2003-11-01 추성실 고속 좌.우 개폐용 도어
KR20100040086A (ko) * 2008-10-09 2010-04-19 (주)삼성판넬플랜트 자동 및 수동 슬라이딩 도어 레일 구조
KR20100054324A (ko) * 2008-11-14 2010-05-25 이두현 창문개폐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95798A1 (en) * 2017-09-06 2022-06-23 Tok, Inc. Opening/closing direction restriction mechanism for manual shutter device and opening/closing direction restriction mechanism for suspended sliding door
KR20200088711A (ko) 2019-01-15 2020-07-23 김중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도어 구동장치
KR102168537B1 (ko) 2019-08-14 2020-10-21 주식회사 삼흥정밀 개스스프링과 움직도르래를 이용한 반자동식 슬라이딩 도어
US11993983B2 (en) * 2022-03-13 2024-05-28 Tok, Inc. Restriction mechanism for suspended sliding door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2013B1 (ko)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US9573773B2 (en) Conveyor for transporting objects
KR101222841B1 (ko) 회전벨트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미닫이 창호의 연동장치
KR101447944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US3682113A (en) Deal drawer
ATE535899T1 (de) Mehrseitige anzeigevorrichtung
US20230067843A1 (en) Linear motor conveyor system for clean/aseptic environments
US11326685B2 (en) Linear modu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5138725B2 (ja) 自動ドア装置
JP6611462B2 (ja) ホームドア
KR101498641B1 (ko) 연동형 행거도어 이송장치
KR101627552B1 (ko) 개별 구동가능한 전동 슬라이딩 도어 개폐 구동장치
US9469481B2 (en) Carousel conveyor drive module
ZA200802978B (en) Coke oven operating device for cleaning an oven door stop
EP3461798A1 (en) Rollers cleaning device
CN106567668B (zh) 一种用于窗户架侧边框双内壁的自动清理装置
JP2007100450A (ja) 横移動式シャッター装置
KR20170017052A (ko) 마사지모듈 이송용 이중롤러 가이드장치
JP4334432B2 (ja) 往復式回転駆動機構
KR101548132B1 (ko) 자중분산식 구조를 갖는 난간형 스크린도어
KR102148798B1 (ko) 순환형 이송장치
JP4282564B2 (ja) 往復移動機構
JP2011062773A (ja) 引戸式片開き2枚扉装置
US20180128423A1 (en) Protective housing for a testing, measuring or production device
JP7371304B2 (ja) 扉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