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927B1 -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 Google Patents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927B1
KR101641927B1 KR1020150165900A KR20150165900A KR101641927B1 KR 101641927 B1 KR101641927 B1 KR 101641927B1 KR 1020150165900 A KR1020150165900 A KR 1020150165900A KR 20150165900 A KR20150165900 A KR 20150165900A KR 101641927 B1 KR101641927 B1 KR 101641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e
attractant
tree
composition
pin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5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웅
엄재상
최선희
김종익
오성윤
유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경상남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경상남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 아그로텍
Priority to KR1020150165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6Coniferophyta [gymnosperms], e.g. cypres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수염하늘소 및 북방수염하늘소와 같은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에 대한 유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로몬과 효과적인 유인제 성분의 조합을 통해 유인효과가 뛰어난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및 소나무재선충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은, 2-운데실옥시-1-에탄올 및 2-메틸-3부텐-2-올을 포함하는 페로몬 성분과, 알파-피넨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제1 유인제 성분과,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제2 유인제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이 선호하는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나 고사한 소나무의 정유성분에 착안하여 소나무의 특정 정유 성분들을 조합 구성함으로써 자연환경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극대화한 유인제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및 소나무재선충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Attracting agent composition for insect vector of pine wilt disease and method of controlling pine wilt disease using it}
본 발명은 솔수염하늘소 및 북방수염하늘소와 같은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에 대한 유인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페로몬과 효과적인 유인제 성분의 조합을 통해 유인효과가 뛰어난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을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및 소나무재선충병을 방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소나무재선충(Pine wood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은 나무 조직 내에 수분 및 양분의 이동통로를 막아 나무를 죽게 하는 유해 선충으로서, 소나무와 해송, 잣나무 등을 감염시켜 말라죽게 한다. 소나무재선충이 나무에 침입하면서 발병되는 식물병을 소나무재선충병(Pine Wilt Disease; 소나무시들음병) 이라고 하는데, 소나무재선충병에 감염된 나무는 잎이 처지고 시들기 시작하여 30일 후에는 잎이 급속하게 붉은 색으로 변색하면서 100% 고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ttp://www.kfri.go.kr/ 국립산림과학원).
소나무재선충은 스스로는 다른 소나무로 이동할 수 있는 능력이 없기 때문에 매개충인 하늘소 속 곤충들을 통해 나무와 나무 사이를 이동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중국, 대만은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ternatus)(Mamiya and Enda, 1972; Kishi, 1995)가 매개충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일본에서 북방수염하늘소(Monochamus saltuarius)도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Takizawa and Shoji, 1982), 비교적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중부지방의 소나무와 잣나무에 북방수염하늘소가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것이 밝혀졌다(Kwon et al., 2006; KFRI, 2007). 소나무재선충은 매개충인 하늘소에 붙어서 하늘소가 건전한 나뭇가지의 수피를 후식(後食)(Maturation feeding, adult feeding, 성충섭식) 할 때와 수피를 찢어서 산란할 때 생기는 상처를 통하여 건전한 나무로 옮겨진다(Wingfield and Blanchette, 1983; Edwards and linit, 1992). 솔수염하늘소의 유충과 번데기는 소나무 내에서 자라는데, 이 하늘소가 우화하여 소나무를 탈출할 때 소나무재선충을 체내에 보유하게 되고, 우화한 하늘소 성충이 다른 건강한 소나무의 1-2년생 신초를 갉아먹을 때(후식할 때) 소나무가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게 된다.
소나무재선충은 북미대륙의 토착종(Knowles et al., 1983; Dwinell, 1993)으로 미국, 캐나다, 멕시코 등의 자생 수종들은 대부분 소나무재선충에 대해 저항성을 가지고 있으나(Kim et al., 2003), 이외의 지역 수종들에는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일본의 경우 1900년대 초 피해가 확인된 이후 피해가 확산되면서 현재는 소나무와 해송이 거의 전멸된 상태이다(Mamiya, 1988; Kishi, 1995). 중국, 대만에서도 1980년대 최초 발견된 후 소나무, 해송, 마미송 등에 큰 피해를 주고 있다(Enda, 1997).
우리나라에서는 1988년 처음 발견된 이래 적극적인 방제 노력으로 2010년까지는 피해가 줄면서 주춤하였으나, 2011년 피해면적이 다시 증가하기 시작하여 계속 확대되면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기존 발생지역인 제주, 경남 등의 남부지역에서의 피해가 크고, 경기 양평ㆍ하남ㆍ연천ㆍ가평, 충북 충주, 전남과 광주에서 새롭게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2013년 산림병해충 발생예찰조사 연보, 국립산림과학원).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방제는 소나무재선충 자체에 대한 방제와 이를 매개하는 매개충에 대한 방제의 크게 2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인 방제 방법은 생물적 방제방법, 화학적 방제방법, 물리적 방제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생물적 방제방법으로는 감염목 진단법, 천적이용법, 곤충병원성 곰팡이 이용법, 저항성 품종 육성 등이 있고, 화학적 방제방법으로는 매개충의 생물적, 생태적 기초연구를 토대로 한 우화시기를 겨냥한 화학 살충제 방제법(지상살포, 항공살포), 벌채훈증법(생물소재 훈증물질 탐색 포함), 재선충 및 매개충 방제물질 선발 등이 있으며, 물리적 방제방법으로는 발병목 또는 고사목을 대상으로 한 벌채소각법, 벌채파쇄법, 지역격리법(소나무이동 감시)(KFRI, 2009) 등이 있다. 그러나 많은 시도와 시간, 비용의 투입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소나무재선충병을 방제하는 실효적인 방법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방제방법의 하나로 페로몬 등의 유인물을 이용하여 매개충인 하늘소를 유인하는 시도가 있다. 솔수염하늘소를 대상으로 벤젠(benzene), α-피넨(α-pinene), 테르펜틴(terpentine), 소나무 정유 등을 사용하여 유인 실험을 실시한 임업연구원의 「소나무재선충 종합방제 기술 개발」(2002년), 솔수염하늘소에 대해 유인제 주성분으로 α-피넨(약 86.7%)과 β-피넨(약 11.5%)을 사용한 국립산림과학원의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방법 연구」(2009년), 중국에서 솔수염하늘소에 대해 2-(운데실옥시)-1-에탄올, α-피넨 및 에탄올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실시한 실험(Teale, et al., 2011) 등이 있다.
관련특허로, EP 2,517,561호에서는 하늘소의 페로몬과 2-undecyloxy-1-ethanol 및 상기 하늘소 종을 유인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카이로몬을 포함하는 하늘소 유인제를 제시하고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0-0120430호에서는 캠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 자체를 직접 유인하는 유인용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이렇게 매개충인 하늘소의 페로몬 등을 사용하여 매개충을 유인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있어 왔으나, 대부분 방제방법으로 유효하게 이용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일정하게 제어되는 실험환경에서는 유인효과를 나타내는 경우에도 실제 자연환경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실험환경과 달리 자연환경에서는 제어되지 않는 다른 많은 요인들이 혼재하고 유인대상 곤충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후각요인들이 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8-0061309호 2.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0-0120430호 3.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4-0025665호 4.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67783호
본 발명은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대상으로 하는 유인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히 자연환경에서도 높은 유인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은 솔수염하늘소 또는 북방수염하늘소 또는 이 둘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에 대한 천연 소나무의 유인효과를 최대한 살릴 수 있는 소나무 정유 성분을 조합하여 이를 페로몬 성분과 함께 유인제 조성물로 이용하고자 한다. 특히, 본 발명자들은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나 고사한 소나무를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이 선호하는 것에 착안하여 이러한 소나무에서 많이 방출되는 정유 성분을 조합함으로써 자연환경에서도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에 대한 유인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유인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2-운데실옥시-1-에탄올 및 2-메틸-3부텐-2-올을 포함하는 페로몬 성분과,
알파-피넨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제1 유인제 성분과,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제2 유인제 성분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테르피넨; 알파-테르피놀렌; 테르피넨-1-올; 비사이클로[2,2,1]헵탄-2-올; 2-프로판올; 엔도보르닐 아세테이트 중 3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소나무 정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나무 정유는, 특히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또는 소나무 고사목의 솔잎과 소나무 가지로부터 얻은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나무 정유는 솔잎과 소나무 가지를 물로 추출한 후 증류하여 얻으며, 구체적으로 솔잎과 소나무 가지의 파쇄물에 5~15배의 물을 가한 후, 70~95℃로 10~30시간 가열하여 물 추출물을 얻고, 그런 다음 상기 물 추출물을 95℃ 이하로 증류하여 얻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솔수염하늘소 또는 북방수염하늘소를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의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솔수염하늘소가 선호하는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나 고사한 소나무의 정유성분에 착안하여 소나무의 특정 정유 성분들을 조합 구성함으로써 자연환경에서도 솔수염하늘소에 대한 유인효과를 극대화한 유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은, 종래 유인에 의한 포획이 용이하지 않았던 바닷가 등의 복잡한 환경요인을 가진 자연환경에서도 뛰어난 유인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인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의 방제 및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가 가능해진다.
도 1은 페로몬 성분이 PE 바이알에 주입된 후 소켓에 담기는 사진이고,
도 2는 페로몬 성분이 필라멘트에 흡수되어 PE 재질의 루어에 담기는 사진이고,
도 3은 각각 알파-피넨, 에탄올, 제2 유인제 성분이 담긴 PE통과 페로몬 성분이 담긴 소켓 사진이다.
도 4는 페로몬 성분과 제1 및 제2 유인제 성분들이 도 2와 같이 포장된 후 구멍이 있는 하나의 플라스틱 통에 담긴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이 설치된 망 트랩의 사진이다.
도 6은 포획용 연속 깔때기 트랩의 일 예이며,
도 7은 예찰용 연속 깔때기 트랩의 일 예이다.
도 8은 트랩에 포획된 솔수염하늘소의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본 발명의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은 페로몬 성분과 함께 유인효과를 높이는 제1 유인제 성분과 제2 유인제 성분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페로몬 성분 1 중량부에 대하여 제1 유인제 성분 100~250 중량부와 제2 유인제 성분 50~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페로몬 성분은 2-운데실옥시-1-에탄올(2-uncecyloxy-1-ethanol) 및 2-메틸-3부텐-2-올(2-Methyl-3-buten-2-ol)을 포함한다. 2-운데실옥시-1-에탄올과 2-메틸-3부텐-2-올은 모두 공지된 페로몬 성분으로, 상품화되어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직접 합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운데실옥시-1-에탄올의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합성하여 사용하였다. 2-운데실옥시-1-에탄올과 2-메틸-3부텐-2-올은 1: 0.5~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운데실옥시-1-에탄올의 합성
출발물질인 Ethylene glycol에 한쪽만 보호기(OTHP)를 합성하고 다른 한쪽은 OH인 물질을 합성한다. NaH를 이용하여 알콕시화 소듐을 만든 후 좋은 이탈기인 tosyl화합물(undecanol을 tosyl chloride를 이용하여 합성)을 이용하여 에테르 반응 후 PPTs를 이용하여 최종물질인 2-undecyloxy ethanol을 얻는다. 제조공정을 아래 반응식 1로 표시할 수 있다.
[반응식 1]
Figure 112015115345739-pat00001
상기 제1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및 에탄올을 포함한다. 알파-피넨은 하늘소 속의 곤충에 대해 유인제로 사용되는 물질로, 소나무 정유에도 존재하는데, 통상 단일 물질로 상품화되어 있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에탄올 또한 유인제로 작용하는데, 특히 페로몬 및 다른 유인제의 확산에 영향을 주어 유인효과를 향상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과 에탄올을 1: 0.5~2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0.8~1.5의 중량비로 포함한다.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한다. 이 제2 유인제 성분은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또는 소나무 고사목의 효과를 내기 위해 조합된 구성으로, 이중 알파-피넨 등은 단독으로 유인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여러 성분이 혼합될 때 비로소 천연 소나무 향을 극대화한 유인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알파-피넨(alpha-pinene)은 상기 제1 유인제 성분으로도 사용되는 물질로 소나무과의 정유인 테레빈유의 주성분이다. 캄펜(comphene)은 소나무 잎의 정유에 주로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 알파-피넨과 함께 적정 비율로 혼합되어 소나무 향을 내는 것으로 생각된다. dl-리모넨(dl-limonene)은 오렌지오일 등에 함유되어 있는 성분이다. 3-시클로헥센-1-메탄올(3-cyclohexene-1-methanol)은 오렌지유, 네틀리 유 등의 식물잎의 정유에 존재하며 향을 갖고 있다.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1 중량부에 대해 캄펜 0.5~2 중량부, dl-리모넨 0.2~2 중량부; 아세트산 0.2~4 중량부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 0.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의 다섯 가지 성분의 향이 혼합되어 천연 소나무, 특히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및 소나무 고사목의 솔향과 유사한 유인효과를 갖게 된다.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알파-테르피넨(alpha-terpinene); 알파-테르피놀렌(alpha-terpinolene); 테르피넨-1-올(terpinene-1-ol); 비사이클로[2,2,1]헵탄-2-올(bicyclo[2,2,1]heptan-2-ol); 2-프로판올(2-propanol); 엔도보르닐 아세테이트(bornyl acetate) 중 3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파-피넨 1 중량부에 대해 각각 0.1~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성분들이 단일 성분으로 판매되므로, 이들을 구입하여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소나무 정유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소나무의 솔잎과 소나무 가지를 특정 조건으로 추출 및 증류하여 상기 성분들이 포함된 상태의 소나무 정유를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나무 정유는 바람직하게는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또는 소나무 고사목의 솔잎과 소나무 가지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성분들을 모두 포함할 수 있도록 물 추출 후 증류시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나무 정유를 얻는 바람직한 방법은 아래와 같다.
소나무 정유의 제조
소나무 정유는 솔잎과 소나무 가지의 파쇄물에 5~15 부피배의 물을 가한 후, 70~95℃로 10~30시간 가열하여 물 추출물을 얻고, 그런 다음 상기 물 추출물을 95℃ 이하로 증류하여 얻는다. 솔잎과 소나무 가지는 바람직하게는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또는 소나무 고사목으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적당한 크기로 파쇄한 것을 사용한다. 파쇄는 1~3㎝ 정도면 적당하며 이 보다 작게 파쇄하여 사용하는 것도 좋다. 솔잎과 소나무 가지는 1 : 0.5~2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솔잎과 소나무 가지의 혼합 파쇄물에 물을 가한 후 100℃ 미만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70~95℃ 정도로 10~30시간 정도 가열하여 물 추출물을 얻는다. 100℃ 이상의 온도에서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고 70℃ 이하의 온도에서는 추출시간이 오래 걸리며 충분한 추출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때 솔잎이나 소나무 가지로부터 유효성분이 휘발되지 않도록 폐쇄된 용기 내에서 가열하여 물 추출물을 얻는 것이 좋다. 물 추출물이 얻어지면 여과하여 고형분을 제거하고 물 추출물을 분리한다. 분리된 물 추출물을 95℃ 이하로 증류하여 목적하는 소나무 정유를 얻는다. 이때 증류 온도는 낮은 온도에서는 증류시간이 오래 소요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게는 70~95℃에서 증류하는 것이 좋다. 95℃를 넘는 온도에서는 유효성분이 파괴될 수 있으며, 70℃ 미만에서는 증류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증류 자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은 여러 가지 형태로 하나의 패키지를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성분이 통합된 하나의 용기 내에 담길 수 있으며, 각 성분이 섞이지 않도록 구획된 용기 내에 각각 분리되어 담기거나 개별 용기에 담길 수도 있다. 개별 용기를 사용할 경우 각 성분별로 포장될 수 있고, 또한 페로몬과 제1 및 제2 유인제 별로 또는 다양한 1 이상의 조합으로 나뉘어 포장될 수 있다. 또, 개별 용기에 포장된 후 통합된 큰 용기에 함께 포장될 수도 있으며, 개별 용기 그대로 인접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조성물"은 각 성분들이 혼합되어 하나의 상태를 형성하는 경우는 물론 위와 같은 여러 형태의 포장으로 하나의 패키지를 구성하는 경우 및 개별(또는 2 이상으로) 포장된 후 인접하여 설치되는 형태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2. 유인제 조성물을 이용한 방제방법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포획함으로써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방제할 수 있다. 또한,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포획 제거함으로써 문제가 되는 소나무재선충병을 방제할 수 있다. 이때 방제는 다른 지역으로의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및 소나무재선충병의 확산 방지와 예방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한 방제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유인제 조성물을 방제하고자 하는 지역의 소나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조성물 중 페로몬 성분은 별도로 폴리에틸렌(PE) 재질의 바이알에 주입하여 소켓에 넣거나, 필라멘트 등의 흡수제에 페로몬을 흡수시킨 후 PE 재질의 방출기(루어) 속에 넣고 밀봉한다. 도 1은 페로몬 성분이 PE 바이알에 주입된 후 소켓에 담기는 사진이며, 도 2는 페로몬 성분이 필라멘트에 흡수되어 PE 재질의 루어에 담기는 사진이다. 제1 유인제 성분과 제2 유인제 성분은 혼합하여 또는 각각 별도로 시럽병과 같은 형태의 PE통에 주입할 수 있다. 이때 제1 유인제 성분인 알파-피넨과 에탄올을 각각 별도로 PE통에 주입할 수도 있다. 도 3은 각각 알파-피넨, 에탄올, 제2 유인제 성분이 담긴 PE통과 페로몬 성분이 담긴 소켓 사진이다. 이렇게 페로몬 성분과 유인제 성분이 담긴 소켓(또는 루어)과 PE통은 그대로 각각 트랩에 설치되거나, 또는 도 4와 같이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통에 함께 담아 트랩에 설치할 수 있으며, 트랩에 설치하지 않고 트랩에 인근한 나뭇가지 등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트랩은 해충 포집에 통상 사용되는 연속 깔때기 트랩(multi funnel trap; lindgren trap)이나 도 5와 같이 밑 부분이 망으로 된 망 트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연속 깔때기 트랩을 사용할 경우 포획용의 경우는 깔때기를 6개 이상으로 바람직하게는 7~8개 정도로 구성하는 것이 좋으며, 예찰용의 경우는 깔때기를 3개 이상으로 구성해도 좋다. 도 6은 포획용 연속 깔때기 트랩의 일 예이며, 도 7은 예찰용 연속 깔때기 트랩의 일 예이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의 제조
아래 표 1의 함량으로 본 발명의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의 각 성분을 준비하고, 표 1의 기재에 따라 방출용기에 담았다. 각 성분이 담긴 방출용기를 도 4와 같이 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통에 담아 하나의 포장 패키지로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을 만들었다.
[표 1]
Figure 112015115345739-pat00002
표 1에서 제2 유인제의 각 성분비는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3-시클로헥센-1-메탄올이 7.61: 6.77: 7.48: 17.36: 8.03 중량비율이다.
< 실험예 1>
실시예 1에서 얻은 본 발명의 유인제 조성물(도 4)을 도 5와 같은 망 트랩(트랩A) 및 도 6과 같은 포획용 연속 깔때기 트랩(트랩B)에 설치한 후 표 2 및 3과 같은 조건으로 각각의 트랩을 소나무재선충병 방제가 요구되는 지역에 설치하였다. 포항의 흥해면에 4대, 기계면에 2대를 2015년 6월 12일 설치하고, 8월 19일까지 포획된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흥해면에 설치한 4개의 트랩에서 각각 5, 6, 11, 17 마리의 하늘소가 포획된 것이 확인되었고, 기계면에 설치한 2개의 트랩에서는 각각 4, 7 마리의 하늘소가 포획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 8은 트랩에 포획된 솔수염하늘소의 사진이다. 이러한 포획결과는 페로몬을 이용한 현장 포획실험의 결과로서는 매우 높은 유인효과를 보여주는 것이다.
[표 2]
Figure 112015115345739-pat00003
[표 3]
Figure 112015115345739-pat00004

Claims (11)

  1. 2-운데실옥시-1-에탄올 및 2-메틸-3부텐-2-올을 포함하는 페로몬 성분 1 중량부와,
    알파-피넨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제1 유인제 성분 100~250 중량부와,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제2 유인제 성분 50~2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과 에탄올이 1: 0.5~2의 중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1 중량부에 대해 캄펜 0.5~2 중량부, dl-리모넨 0.2~2 중량부; 아세트산 0.2~4 중량부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 0.1~2.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인제 성분은 알파-피넨; 캄펜; dl-리모넨; 아세트산 및 3-시클로헥센-1-메탄올을 포함하는 소나무 정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정유는 수세가 쇠약한 소나무 또는 소나무 고사목의 솔잎과 소나무 가지로부터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정유는 솔잎과 소나무 가지를 물로 추출한 후 증류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 정유는 솔잎과 소나무 가지의 파쇄물에 5~15 부피배의 물을 가한 후, 70~95℃로 10~30시간 가열하여 물 추출물을 얻고, 그런 다음 상기 물 추출물을 95℃ 이하로 증류하여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10. 제1항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솔수염하늘소 또는 북방수염하늘소를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의 방제방법.
  11. 제1항의 유인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을 포획하는 것을 포함하는,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KR1020150165900A 2015-11-25 2015-11-25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KR101641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900A KR101641927B1 (ko) 2015-11-25 2015-11-25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5900A KR101641927B1 (ko) 2015-11-25 2015-11-25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927B1 true KR101641927B1 (ko) 2016-07-25

Family

ID=56616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5900A KR101641927B1 (ko) 2015-11-25 2015-11-25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92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67425A (zh) * 2018-08-31 2018-12-11 广西瑶瑶生物科技有限公司 松墨天牛引诱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93013A (zh) * 2019-02-02 2019-05-24 杭州科森农化有限公司 一种鞘翅目昆虫引诱剂
KR20190080060A (ko) 2017-12-28 2019-07-08 이호동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산림병해충 의심목 선별 시스템
CN111034744A (zh) * 2019-12-25 2020-04-21 菏泽学院 亚油酸乙酯在松材线虫病防治中的应用
KR20210051249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에이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하늘소용 유인제와 살충제의 혼합 사용을 통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CN114317116A (zh) * 2021-12-22 2022-04-12 中科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超临界萃取法提取芍药籽精油的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83B1 (ko) 2006-07-26 2007-10-17 김종현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KR20080061309A (ko) 2006-12-27 2008-07-02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수목 기생성 유해생물 방제 조성물
KR20100120430A (ko) 2009-05-06 2010-1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캠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 유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검정용 키트
KR101230388B1 (ko) * 2012-01-18 2013-02-05 박옥희 소나무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추출한 소나무 정유
KR20140025665A (ko)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하늘소의 방제방법
KR101530827B1 (ko) * 2014-08-19 2015-06-24 박영식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발생예찰 및 대량포획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783B1 (ko) 2006-07-26 2007-10-17 김종현 소나무재선충 방제방법
KR20080061309A (ko) 2006-12-27 2008-07-02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수목 기생성 유해생물 방제 조성물
KR20100120430A (ko) 2009-05-06 2010-11-16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캠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나무재선충 유인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검정용 키트
KR101230388B1 (ko) * 2012-01-18 2013-02-05 박옥희 소나무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추출한 소나무 정유
KR20140025665A (ko) 2012-08-22 2014-03-05 주식회사 에스엠바이오비전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소나무재선충을 매개하는 하늘소의 방제방법
KR101530827B1 (ko) * 2014-08-19 2015-06-24 박영식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의 발생예찰 및 대량포획에 의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 Entamologia Experimentalis et Applicata (2013)* *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0060A (ko) 2017-12-28 2019-07-08 이호동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산림병해충 의심목 선별 시스템
CN108967425A (zh) * 2018-08-31 2018-12-11 广西瑶瑶生物科技有限公司 松墨天牛引诱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967425B (zh) * 2018-08-31 2020-12-01 广西瑶瑶生物科技有限公司 松墨天牛引诱棒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9793013A (zh) * 2019-02-02 2019-05-24 杭州科森农化有限公司 一种鞘翅目昆虫引诱剂
KR20210051249A (ko)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에이디 소나무재선충병 매개하늘소용 유인제와 살충제의 혼합 사용을 통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CN111034744A (zh) * 2019-12-25 2020-04-21 菏泽学院 亚油酸乙酯在松材线虫病防治中的应用
CN111034744B (zh) * 2019-12-25 2021-08-27 菏泽学院 亚油酸乙酯在松材线虫病防治中的应用
CN114317116A (zh) * 2021-12-22 2022-04-12 中科农林科技有限公司 一种超临界萃取法提取芍药籽精油的方法
CN114317116B (zh) * 2021-12-22 2024-05-28 深圳丽颖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超临界萃取法提取芍药籽精油的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927B1 (ko) 소나무재선충병 매개충 유인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방법
JP5560499B2 (ja) マツノマダラカミキリの防除剤及び防除方法
WO2013070441A1 (en) Combination animal repellents
CN105994213B (zh) 一种昆虫诱杀装置及诱杀昆虫的方法
JP2013249278A5 (ko)
US9198435B2 (en) Natural pesticide composition and method of producing
GB2496741A (en) Rodent and insect repellent comprising essential oils
CN103493845A (zh) 一种蓟马的引诱剂
KR101239417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버섯파리 방제용 조성물
CN102308797A (zh) 液体蝇香
Khanahmadi et al. Fumigant toxicity of Artemisia haussknechtii essential oil and its nano-encapsulated form
CN110384113A (zh) 一种防治蚊蝇杀虫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303885C (zh) 橙萜烯植物源增效杀虫剂
KR101805981B1 (ko) 한국산 솔수염하늘소로부터 분리 정제된 집합페로몬 2-(도데실옥시)에탄올을 포함하는 신규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4757025B (zh) 一种广谱驱杀虫植物及农药制品
US20150072030A1 (en) Biocompatible tea tree oil compositions
CN102308844A (zh) 一种杀虫雾化剂的配制和应用
CN103039533B (zh) 一种吸果夜蛾的缓释引诱剂
CN102308785A (zh) 液体蟑香
Pandey et al. Anti-Termite Efficacy of Various Plant Essential Oils with Special Reference to Family Rutaceae
CN106577804B (zh) 一种驱避天敌昆虫和蜜蜂的屏蔽保护型杀虫剂
KR20090105484A (ko) 솔잎혹파리 유충 방제용 제제 및 그 제조방법
KR101822252B1 (ko) 솔수염하늘소 포획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방법
KR101963576B1 (ko) 목재 추출물 유래 정유와 송진을 포함한 식물성 살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075753A (ja) 植物害虫防除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