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651B1 -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651B1
KR101641651B1 KR1020150104113A KR20150104113A KR101641651B1 KR 101641651 B1 KR101641651 B1 KR 101641651B1 KR 1020150104113 A KR1020150104113 A KR 1020150104113A KR 20150104113 A KR20150104113 A KR 20150104113A KR 101641651 B1 KR101641651 B1 KR 1016416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file
image storage
storage folder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4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훈
김택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501041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1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6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6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 연결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화 파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영상 녹화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시스템의 녹화 장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VIDEO MONITOR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공 및 산업 시설과 개인의 재산 보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설치가 빈번해지고 있다. 비디오 감시 시스템은 시스템에 연결된 다수의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제공받아서 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저장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특정 사건 후 상황 확인과 범죄 예방에 기여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불안정, 카메라 오작동, 서버 시스템의 오류 등의 원인으로 인해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영상이 녹화되지 않는 녹화 장애 사고가 종종 발생한다. 녹화 장애 사고가 발생할 경우 해당 시점의 녹화 영상을 확인할 수 없어 특정 사건 후 상황 확인이 불가능하여 시스템의 감시 능력과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2682호에서는 다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감시 시스템의 장애 감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카메라로부터 영상 신호 입력 여부를 모니터링하여 영상 입력 신호가 없으면 카메라의 이상 상태를 판단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2003-0072682호에서 개시된 구성에 의하면 카메라 자체의 장애가 있는 경우는 대응이 가능하나 카메라 및 네트워크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서 저장부에 오류가 발생한 경우는 대응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한편 종래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영상 녹화 상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사용자가 직접 녹화파일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매 순간 시스템의 녹화파일을 직접 확인하는 것은 너무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다. 더구나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규모가 커져 연결된 카메라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동향을 감안할 때 사용자가 시스템에 연결된 모든 카메라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저장되고 있는지 확인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서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자동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상기 비디오 감시 시스템에 연결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기준 시점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까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으로 나눈 개수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와 비교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 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저장 시간과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으로 구해지는 기준 녹화 파일 크기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녹화 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상기한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녹화 파일을 주기적으로 확인하여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영상 녹화 상태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어 시스템의 녹화 장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별 영상 저장 폴더가 생성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파일이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은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 제어부(120), 저장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는 감시가 필요한 장소에 각각 설치되어 영상을 촬영한다. 그리고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는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제어부(1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는 유무선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저장부(12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녹화 파일을 저장하며, 하드 디스크와 같은 영상 저장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녹화 파일은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각각 나누어서 저장된다. 그리고 녹화 파일은 녹화 일시별로 구분되게 파일명이 부여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별 영상 저장 폴더가 생성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서는 n 개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 각각에 대응하는 n 개의 영상 저장 폴더(Camera_a, Camera_b, Camera_c, …, Camera_n)가 저장부(120)에 생성된 것으로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녹화 파일이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경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에 예시한 것과 같이 감시 카메라(110a)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의 녹화 파일은 해당 감시 카메라에 대해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Camera_a)에 저장된다. 그리고 녹화 파일의 파일명은 "녹화연도월일_녹화시작시간분초_녹화종료시간분초" 형태로 파일명이 부여될 수 있다. 도 3에서 "20150527_190000_192959.dat"의 파일명을 가지는 녹화 파일은 2015년 5월 27일 19시00분00초에 녹화가 시작되어, 19시29분59초에 녹화가 종료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파일명을 살펴보면 감시 카메라(110a)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30분 단위로 구분되어 저장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예시한 것과 다른 형태로 파일명이 부여될 수도 있으며, 녹화 파일의 녹화 일시를 알 수 있는 소정의 규칙에 따라 부여되면 된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녹화 파일을 재생하는 화면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LCD 모니터, OLED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40)는 도 2나 도 3에서 예시한 것과 같은 화면을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가 저장부()에 저장된 녹화 파일을 확인하고 선택하여 재생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에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부(120)에 녹화 파일로 저장되게 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40)에 재생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에 설치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저장부(130)에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해당 감시 카메라의 영상 저장 폴더에 녹화 파일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모니터링 주기마다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카메라별 녹화 상태를 판단한다고 하는 것은 해당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가 녹화 파일로 저장부()에 정상적으로 기록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어부(12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각각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되는 녹화 파일의 개수는 감시 카메라 녹화 시간을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으로 나눈 개수로 정해질 수 있다. 따라서 감시 카메라(110a)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30분 단위로 나누어 녹화 파일로 저장되게 설정된 경우, 감시 카메라(110a)의 녹화 시간이 8시간이면 영상 저장 폴더(Camera_a)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는 16개가 되어야 하며, 이와 다른 경우 녹화 상태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저장 장치의 저장 용량 등을 고려하여 먼저 녹화된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녹화된 파일을 저장하도록 설정된 경우도 있다. 따라서 녹화 파일의 개수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N = T1/TR
N: 녹화 상태 판단 시점에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되는 녹화 파일의 개수
T1: 기준 시점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까지의 시간
TR: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
기준 시점은 해당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 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을 기준으로 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에서는 가장 먼저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인 2015년 5월 27일 19시를 기준 시점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 상태 판단 시점은 녹화 상태를 판단하고 있는 현재 시각으로 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수학식 1에 의해 구해진 녹화 파일의 개수(N)를 영상 저장 폴더에 실제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와 비교하여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TR)과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W)으로 구해지는 기준 녹화 파일 크기(S)를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크기와 비교하여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수학식 2]
S = W × TR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과 파일 녹화 시간의 곱을 수학식 2와 같이 구하면 영상 저장 폴더에 정상적으로 저장되는 녹화 파일의 기준 녹화 파일 크기(S)를 구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 영상 대역폭이 4Mbps이고, 녹화 파일이 30분 단위로 녹화되는 경우 기준 녹화 파일의 크기는 4Mbits × 60초 × 30분 = 900Mbytes 로 결정된다. 따라서 영상 저장 폴더에 900Mbytes의 크기를 가지지 않는 녹화 파일이 있는 경우 녹화 상태에 오류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주기가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보다 짧은 경우 수학식 2를 활용하면 현재 녹화 중인 파일의 기준 녹화 파일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TR) 대신에 '현재 녹화 중인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Ts)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Tm)까지의 시간(Tm-Ts)'을 이용하면 된다. 'W × (Tm-Ts)' 을 구하면 녹화 중인 파일의 기준 녹화 파일 크기가 구해지고, 이를 현재 녹화 중인 파일의 실제 파일 크기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녹화 중인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Ts)은 바로 직전에 녹화가 종료된 녹화 파일의 녹화 종료 시간에 대응하므로, 제어부(120)는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 중에서 가장 늦게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종료 시각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까지 시간과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의 곱을 현재 녹화중인 파일의 크기와 비교하여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녹화 상태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이용하는 정보 통신 단말, 예컨대 스마트폰 등으로 녹화 상태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 통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감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먼저 제어부(120)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에 설치된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저장부(130)에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할 수 있다(S410). 영상 저장 폴더의 생성은 비디오 감시 시스템(100)에 감시 카메라가 추가로 설치될 때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해당 감시 카메라의 영상 저장 폴더에 녹화 파일로 저장되게 할 수 있다(S420). 단계(S420)에서 녹화 파일 저장은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정해진 녹화 시간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녹화 시간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이후 제어부(120)는 필요할 때마다 단계(S410)를 수행하여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거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촬영되어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녹화 파일로 저장하는 동작을 수행하면서 미리 정해진 모니터링 주기마다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S430).
단계(S430)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120)는 복수의 감시 카메라(110a, 110b, 110c, …, 110n)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각각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먼저 제어부(120)는 녹화 파일의 개수가 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S431). 단계(S431)에서 녹화 파일의 개수가 정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학식 1을 이용해서 정해지는 녹화 파일의 개수(N)와 영상 저장 폴더에 실제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를 비교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단계(S431)에서 녹화 파일의 개수가 정상인 경우, 녹화 파일 크기가 정상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433). 단계(S433)에서 녹화 파일의 크기가 정상인지 판단하는 것은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수학식 2를 이용해서 정해지는 기준 녹화 파일 크기(S)와 영상 저장 폴더에 실제 저장된 녹화 파일의 크기를 비교하여 정상 녹화 상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모니터링 주기가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보다 짧은 경우 수학식 2에서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TR) 대신에 '현재 녹화 중인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Ts)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Tm)까지의 시간(Tm-Ts)'을 이용하면 된다. 'W × (Tm-Ts)' 을 구하면 녹화 중인 파일의 기준 녹화 파일 크기가 구해지고, 이를 현재 녹화 중인 파일의 실제 파일 크기와 비교하여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녹화 파일 개수가 정상이 아니거나(S431-N), 녹화 파일 크기가 정상이 아닌 경우(S433-N), 녹화 상태가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37).
제어부(120)는 녹화 파일 개수가 정상이고(S431-Y), 녹화 파일 크기가 정상이면(S433-Y), 녹화 상태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35).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 파일 개수를 녹화 파일 크기보다 먼저 판단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는 반대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한편 제어부(120)는 녹화 상태가 비정상적인 것으로 판단된 감시 카메라에 대한 정보를 관리자에게 디스플레이부(140)를 통해 출력하거나 관리자의 유무선 단말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비디오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비디오 감시 시스템
110a, 110b, 110c, …, 110n: 복수의 감시 카메라
120: 제어부
130: 저장부
140: 디스플레이부

Claims (11)

  1.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기준 시점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까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으로 나눈 개수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와 비교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서,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 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인 비디오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
  4. 제 1 항에서,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과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으로 구해지는 기준 녹화 파일 크기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
  5. 제 1 항에서,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녹화 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제어 방법.
  6. 컴퓨터에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7. 복수의 감시 카메라,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그리고
    상기 저장부에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영상 저장 폴더를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생성된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 녹화 파일의 크기 및 녹화 파일명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 시점부터 녹화 상태 판단 시점까지 시간을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녹화 시간으로 나눈 개수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개수와 비교하여 상기 감시 카메라별로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8. 삭제
  9. 제 7 항에서,
    상기 기준 시점은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 중에서 가장 먼저 저장된 녹화 파일의 녹화 시작 시각인 비디오 감시 시스템.
  10. 제 7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미리 설정된 녹화 파일당 저장 시간과 감시 카메라 영상 대역폭으로 구해지는 기준 녹화 파일 크기를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의 크기와 비교하여 상기 녹화 상태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11. 제 7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저장 폴더에 저장된 녹화 파일명을 이용하여 상기 녹화 상태의 오류 여부를 판단하는 비디오 감시 시스템.
KR1020150104113A 2015-07-23 2015-07-23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16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13A KR101641651B1 (ko) 2015-07-23 2015-07-23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4113A KR101641651B1 (ko) 2015-07-23 2015-07-23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1651B1 true KR101641651B1 (ko) 2016-07-21

Family

ID=56680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4113A KR101641651B1 (ko) 2015-07-23 2015-07-23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6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480A (ko) * 2006-03-31 2007-10-0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감시 시스템, 감시 영상의 이상 검출 방법 및 감시영상의 이상 검출 프로그램
KR20080020441A (ko) * 2006-08-30 2008-03-05 (주)로직아이텍 객체식별이 가능한 영상처리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00094517A (ko) * 2007-12-18 2010-08-26 톰슨 라이센싱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들을 통한 파일 사이즈 추정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480A (ko) * 2006-03-31 2007-10-05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감시 시스템, 감시 영상의 이상 검출 방법 및 감시영상의 이상 검출 프로그램
KR20080020441A (ko) * 2006-08-30 2008-03-05 (주)로직아이텍 객체식별이 가능한 영상처리 감시시스템 및 감시방법
KR20100094517A (ko) * 2007-12-18 2010-08-26 톰슨 라이센싱 브로드캐스트 네트워크들을 통한 파일 사이즈 추정 장치 및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DirectX 기반 다채널 영상 감시 시스템 구현 및 성능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05년 제5권제1호(2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730836A (zh) 用於大量編修記錄資料的系統及方法
RU2693188C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блок для переносных устройств хранения и носитель хранения
US7036041B2 (en) Method, program and system for managing operation
JP6190862B2 (ja) 監視システムとその監視制御装置
CN114003439A (zh) 数据备份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064957B (zh) 设备状态监控方法及装置
EP2940540B1 (en) Power system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JP674454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20040146282A1 (en)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of data to be deleted in digital video recorder
KR100482835B1 (ko)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백업 제어방법
KR101641651B1 (ko) 비디오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09471753A (zh) 服务器数据保护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7317285A (ja) 画像記録装置
CN109766816A (zh) 监控方法、装置与存储介质
JP2007104518A (ja) 画像管理システム
KR101236831B1 (ko) 네트워크 시스템 간의 파일 백업 장치 및 방법
CN111860283B (zh) 一种视频识别中违章行为证据采集系统及方法
KR100849130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보호 장치 및 방법
JP4667979B2 (ja) 警備装置および警備方法
KR101119846B1 (ko) 원격 비디오 시스템의 저장 공간 장애 판별 장치 및 방법
JP2004187167A (ja) オペレーション監視システム
JP2009282735A (ja) 情報記録システム及び情報記録方法
KR100482836B1 (ko)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데이터 파일 검색방법
CN101454835B (zh) 图像记录再现装置
JP2008158634A (ja) 情報処理装置、ソフトウェアトレースデータ記録方法及びソフトウェアトレースデータ記録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