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553B1 -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 Google Patents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553B1
KR101640553B1 KR1020150023555A KR20150023555A KR101640553B1 KR 101640553 B1 KR101640553 B1 KR 101640553B1 KR 1020150023555 A KR1020150023555 A KR 1020150023555A KR 20150023555 A KR20150023555 A KR 20150023555A KR 101640553 B1 KR101640553 B1 KR 1016405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body
winding roller
adhesive
fixing flange
cent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3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동
조재희
Original Assignee
신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기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3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553B1/ko
Priority to PCT/KR2015/003017 priority patent/WO201613323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5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5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31/18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1/121The active layers comprising only Group IV materials
    • H10F71/1221The active layers comprising only Group IV materials comprising polycrystalline silic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trap saw blades; of whee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5/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 B23D55/0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trap saw blades; of wheel mountings
    • B23D55/06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p saw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of drives for strap saw blades; of wheel mountings of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02Winding and traversing material on to reels, bobbins, tubes, or like package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18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7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1/78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or integrated circui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with subsequent division of the substrate into plural individual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99Apparatus for disconnect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잉곳을 얇은 두께로 절단하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 롤러의 외체를 카본으로 형성하여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를 접착제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된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외체(210); 상기 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보강날개(221)를 구비하는 중심축(220); 상기 외체(210)의 양측단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길이(L)로 길게 연장되어 내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231b)이 형성된 삽입부재(231)와, 외체(21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232), 및 중심축(220)이 끼워지는 축공(233)을 구비하는 고정플랜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WINDING ROLLER OF WIRE SAW}
본 발명은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잉곳을 얇은 두께로 절단하는 와이어가 감기는 권선 롤러의 외체를 카본으로 형성하여 가볍고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를 접착제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며, 그리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모래 등을 원료로 한 폴리 실리콘으로 기둥 모양의 잉곳을 만들고 이 잉곳을 얇게 잘라 판모양의 웨이퍼를 우선 생산해야 한다.
즉, 상기 잉곳의 성장(growing) 공정이 완료된 후에는 웨이퍼로 제조하기 위해 잉곳을 낱장 단위로 절단하는 슬라이싱 공정이 진행된다. 이러한 슬라이싱 공정은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그 대표적인 것은 챔버 내에서 다이아몬드 와이어 또는 고장력 와이어를 빠른 속도로 왕복 주행시키면서 그 위에 슬러리(slurry) 용액을 분사시켜 와이어에 묻은 슬러리와 단결정 잉곳의 마찰에 의해 절단하는 와이어 쏘(Wire Saw) 방식이다.
상기와 같은 와이어 쏘 방식은 잉곳을 동시에 여러 개의 웨이퍼로 절단할 수 있어 단위 시간당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현재 널리 쓰이고 있다. 이를 도 1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와이어 쏘에 의한 잉곳의 절단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와이어 쏘 방식은 권선 롤러(10)에 와이어(20)가 권선되어 권선 롤러(10)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20)가 고속 주행하게 된다.
그리고, 잉곳(30)을 고정하는 고정유닛(40)이 하강하면서 고속 주행하는 와이어(20)에 의해 잉곳(30)이 절단하게 되며 이때, 탄화규소와 냉각수(coolant) 등을 섞어 만든 화학용 액체인 슬러리(slurry)를 와이어(20)에 의해 절단되는 잉곳(30)에 공급하여 와이어(20)에 묻은 슬러리와 단결정 잉곳(30)의 마찰에 의해 절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잉곳(30)을 절단한 와이어(20)는 그 상태에 따라 와이어 공급 릴로부터 새로운 와이어(20)를 권선 롤러(10)에 공급하거나 또는 잉곳 절단에 사용된 와이어(20)를 회수 롤러(50)로 회수하여 다시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슬러리를 와이어(20)와 잉곳(30)에 공급해 절단하는 방식은 잉곳(30)을 절단할 때 많은 시간이 걸리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슬러리는 연마제를 섞은 화학용 액체이기 때문에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슬러리를 이용한 와이어 쏘 방식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이아몬드 입자가 포함된 와이어로 잉곳을 절단하는 방식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러한 다이아몬드 절단방식은 웨이퍼 표면 손상 정도(damage depth)나 표면 이물질이 현저하게 낮아 양질의 웨이퍼를 생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슬러리 또는 다이아몬드에 의해 잉곳을 절단하는 와이어 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권선 롤러(10)에 와이어(20)가 권선되어 권선 롤러(10)의 회전으로 인해 와이어가 고속 주행하여 잉곳(30)을 절단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쏘에 대한 내용은 하기 특허문헌인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064875호에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권선 롤러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가 권선 롤러와 축 결합하게 되어, 구동모터의 회전 속도 및 회전 방향에 따라 잉곳을 절단하게 된다. 특히, 상기 권선 롤러는 외경의 지름이 330mm 이상이고, 그 길이가 930mm 이상인 매우 큰 부피와 하중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권선 롤러의 외경으로 와이어가 권선될 때 와이어를 보호하기 위한 우레탄 수지가 권선 롤러의 외경에 상당한 두께로 형성되기 때문에 권선 롤러의 하중을 더욱 가중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권선 롤러가 상당한 하중을 갖게 되면, 권선 롤러를 원활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모터의 회전력도 권선 롤러의 하중에 비례하게 커져야 하며 특히, 권선 롤러의 가속과 감속 및 회전방향 전환을 위해 구동모터가 큰 힘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이와 같이, 권선 롤러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면 이에 따라 구동모터가 발휘할 수 있는 회전력도 커져야 하기 때문에 구동모터의 효율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권선 롤러의 하중이 증가하게 되면, 권선 롤러의 고속 회전시 편심이 발생하게 되어 권선 롤러에 감기는 와이어가 균일하게 권선 롤러에 감기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와이어의 단선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켜 와이어를 재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종래의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는 외체와 고정플랜지가 모두 금속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권선 롤러의 하중을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고정플랜지가 외체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후에는 상기 고정플랜지와 외체가 접하는 부분을 용접으로 고정하였기 때문에 용접작업으로 인한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으며, 그리고 용접작업으로 인하여 조립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 등록특허공보 제10-1064875호(등록일자 : 2011.09.07)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와이어가 권선되는 권선 롤러의 외체를 카본으로 형성하여 최대한 가볍게 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권선 롤러가 고속 회전하여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권선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에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를 접착제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으로 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된 외체를 경량이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강한 카본으로 형성하고; 상기 외체의 내부에 다수의 보강날개가 구비된 중심축을 설치하며; 상기 외체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플랜지에는 외체의 내경으로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외체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 및 중심축이 끼워지는 축공을 형성한 것이다.
상기 외체의 양측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플랜지에는 외체의 내경으로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는 삽입부재와, 외체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 및 중심축이 끼워지는 축공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랜지에 구비된 삽입부재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채워지도록 적정 간격을 두고 다수의 접착홈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삽입부재의 접착홈은 직각삼각형이나 브이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중심축에 구비된 보강날개의 양측에는 보강리브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랜지에 구비된 축공의 내부에는 중심축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턱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측에 보조플랜지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보조플랜지에는 고정플랜지의 걸림부재에 밀착되는 연결부재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재와 연결부재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홈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플랜지의 외면에는 축을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플랜지의 내면에는 축이 끼워지는 축공을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에 따르면, 와이어가 권선되는 권선 롤러의 외체가 카본으로 형성되어 최대한 가볍게 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 롤러가 고속 회전하여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고, 권선 롤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에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가 접착제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용접작업이 삭제되어 구조가 간단해지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와이어 쏘에 의한 잉곳의 절단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a,5b,5c는 본 발명에 따른 접착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정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20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된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외체(210); 상기 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보강날개(221)를 구비하는 중심축(220); 상기 외체(210)의 양측단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길이(L)로 길게 연장되어 내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231b)이 형성된 삽입부재(231)와, 외체(21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232), 및 중심축(220)이 끼워지는 축공(233)을 구비하는 고정플랜지(23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권선 롤러(200)는 잉곳을 얇은 두께로 절단하는 와이어를 권선하는 것으로, 이러한 권선 롤러(200)는 외체(210)와 중심축(220) 및 고정플랜지(230)로 이루어지고, 이들이 조립되었을 때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므로 하중을 감소시키면서 고속 회전에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강도를 갖게 된다.
상기 외체(210)는 권선 롤러(200)의 외부코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외체(210)는 내부가 중공으로 된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외체(210)는 경량이면서도 강도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카본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체(210)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원통 기둥의 형상을 갖되 그 내부가 빈 중공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외체(210)는 카본으로 이루어지며 양측단이 개방되어 상기 양측단을 통해 중심축(220)이 삽입되어 외체(210)의 내부에 중심축(220)이 위치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220)은 권선 롤러(200)의 내부코어를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중심축(220)은 외체(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중심축(220)은 내부가 중공으로 된 원통형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되며, 상기 중심축(220)에는 다수의 보강날개(221)가 형성된다.
상기 중심축(22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는데, 상기 중심축(220)에는 보강날개(221)가 중심축(220)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220)은 그 내부가 빈 중공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중심축(220)은 외형이 원형, 사각, 다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내부가 중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축(220)의 외형을 원형이 아닌 다각으로 할 경우 보강날개(221)의 결합 단면적이 넓게 형성되므로 회전시 내구성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중심축(220)은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210)와는 달리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심축(220)의 외주면에는 보강날개(221)가 형성되는데, 상기 보강날개(221)는 권선 롤러(200)의 구조가 더욱 견고할 수 있도록 보강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보강날개(221)는 외체(210)의 내주면에 보강날개(221)가 밀착되도록 보강날개(221)가 조합되었을 때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중심축(220)의 외주면과 외체(210)의 내주면 사이까지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처럼, 상기 외체(210)와 중심축(220)이 중공된 형상을 갖게 되면, 외체(210)와 중심축(220)의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게 되어 조립된 권선 롤러(200)의 전체 하중을 가볍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강날개(221)가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권선 롤러(200)의 구조를 견고히 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이 외체(210)의 내부가 중공될 때 중심축(220)의 외주면에서 보강날개(221)가 외체(210)의 내주면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권선 롤러(200)가 고속 회전할 때 휘어지거나 외체(210)의 일부분에 편심이 발생하지 않는 충분한 강도를 갖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중심축(220)에 구비된 보강날개(221)의 양측에는 보강리브(22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강날개(221)에 형성된 보강리브(221a)는 중심축(220)의 중량을 줄이면서도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고정플랜지(230)는 권선 롤러(200)의 커플링을 구성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플랜지(230)는 외체(210)의 양측단에 각각 끼워져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랜지(23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플랜지(230)에는 외체(210)의 내경으로 끼워져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되는 삽입부재(231)와, 상기 외체(21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232), 및 상기 중심축(220)이 끼워지는 축공(2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30)는 외체(21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고정플랜지(230)는 대략 링의 형상을 갖고 외체(210)의 축선과 동심원을 이루는 삽입부재(231)가 형성된다. 즉, 상기 외체(210)의 측단과 대면하는 부분은 외체(210)의 내주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외체(210)의 내경 지름과 같거나 이보다 작은 지름을 가지는 삽입부재(23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재(231)가 끝나는 지점에는 걸림부재(232)가 형성된다.
이렇게 고정플랜지(230)에 삽입부재(231)와 걸림부재(232)를 형성하게 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플랜지(230)의 외주면으로 계단 형상의 단차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삽입부재(231)가 외체(210)의 내경에 삽입되어 걸림부재(232)의 일측이 외체(210)의 측면과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플랜지(230)가 외체(210)의 양측단에 각각 설치된 후에는 상기 고정플랜지(130)의 삽입부재(231)와 외체(110)가 접하는 부분이 접착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고정플랜지(230)는 외체(210)의 내경에 끼워지는 삽입부재(231)와 외체(210)의 양단과 대응되도록 걸림부재(232)를 형성하되 삽입부재(231)의 내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231b)을 형성함으로서 중량을 줄이는 동시에 회전시 불필요한 원심력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때, 상기 삽입부재(231)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이(L)로 길게 연장되어 접착제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30)와 외체(210)의 결합시 삽입부재(231)의 외주면과 외체(210)의 내주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이 상태에서 삽입부재(231)를 외체(210)의 내경으로 압입시키면 접착제에 의해 고정플랜지(230)와 외체(210)는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고정플랜지(230)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결합홈(234)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34)의 둘레에는 연결플랜지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235)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랜지(230)에 구비된 삽입부재(231)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채워지도록 다수의 접착홈(2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착홈(231a)은 삽입부재(231)를 외체(210)의 내경으로 압입할 때, 접착제가 밀리는 현상을 방지하여 접착제가 유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외체(210)의 내경으로 고정플랜지(230)의 삽입부재(231)를 밀어 끼울 때, 접착제가 외부로 밀려 빠져나가지 않고, 삽입부재(231)의 접착홈(231a)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접착홈(231a)에 채워져 접착제가 유지되기 때문에, 접착력과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고정플랜지(230)를 한층 더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착홈(231a)은 직각삼각형이나 브이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홈(231a)은 일측 경사면과 타측 수직면을 가지는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a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홈(231a)은 양측 경사면을 가지는 브이형으로 형성되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홈(231a)은 양측 수직면과 수평바닥면을 가지는 사각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5c에서와 같이 상기 접착홈(231a)은 일측 만곡면과 타측 수직면을 가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축공(233)의 내부에는 중심축(22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턱(23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233a)은 중심축(220)의 유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플랜지(230)의 외측에 보조플랜지(240)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보조플랜지(240)에는 고정플랜지(230)의 걸림부재(232)에 밀착되는 연결부재(24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재(232)와 연결부재(241)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홈(232a)(241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플랜지(230)의 외면에는 축(236)을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플랜지(240)의 내면에는 축(236)이 끼워지는 축공(2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보조플랜지(24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보조플랜지(240)와 고정플랜지(230)는 체결홈(232a)(241a)을 통해 나사체결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한편 상기 보조플랜지(240)에는 구동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는 연결플랜지가 삽입되는 결합홈(243)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43)의 둘레에는 연결플랜지를 체결 고정하기 위한 체결홈(244)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플랜지(230)가 외체(210)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교체시 분리가 어려우나, 상기 고정플랜지(230)의 외측으로 보조플랜지(240)가 체결홈(232a)(241a)을 통해 나사체결로 분리가능하게 장착되기 때문에 교체시 고정플랜지(230)와 보조플랜지(24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은 와이어가 권선되는 권선 롤러(200)의 외체(210)가 카본으로 형성되어 최대한 가볍게 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권선 롤러(200)가 고속 회전하여도 편심이 발생하지 않아 권선 롤러(200)에 감기는 와이어가 단선되지 않게 되고, 권선 롤러(200)의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하중이 걸리더라도 권선 롤러(200)가 휘어지지 않는 강도를 갖게 되며, 권선 롤러(200)의 전체 하중이 가벼워진 만큼 권선 롤러(20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에 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모터에 무리를 주지 않아 과부하에 따른 구동모터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은 카본으로 이루어진 외체(210)와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플랜지(230)가 접착제로 간단하고도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그리고 용접작업이 삭제되므로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경제적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00 : 권선 롤러 210 : 외체
220 : 중심축 221 : 보강날개
221a : 보강리브 230 : 고정플랜지
231 : 삽입부재 231a : 접착홈
231b : 경사면 232 : 걸림부재
232a : 체결홈 233 : 축공
233a : 걸림턱 236 : 축
240 : 보조플랜지 241 : 연결부재
241a : 체결홈 242 : 축공

Claims (6)

  1. 내부가 중공된 원통의 형상을 갖고 양측단이 개방된 카본으로 이루어지는 외체(210); 상기 외체(210)의 내부에 설치되고 다수의 보강날개(221)를 구비하는 중심축(220); 상기 외체(210)의 양측단에 끼워져 접착제로 고정되도록 길이(L)로 길게 연장되어 내주면에 내측에서 외측으로 경사면(231b)이 형성된 삽입부재(231)와, 외체(21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부재(232), 및 중심축(220)이 끼워지는 축공(233)을 구비하는 고정플랜지(230)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재(231)의 외주면에는 접착제가 채워지도록 다수의 접착홈(23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홈(231a)은 직각삼각형이나 브이형 또는 사각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공(233)의 내부에는 중심축(220)의 측면과 밀착되는 걸림턱(23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플랜지(230)의 외측에 보조플랜지(240)를 분리가능하게 장착하되, 상기 보조플랜지(240)에는 고정플랜지(230)의 걸림부재(232)에 밀착되는 연결부재(241)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재(232)와 연결부재(241)에는 서로 마주하는 체결홈(232a)(241a)을 각각 형성하며, 상기 고정플랜지(230)의 외면에는 축(236)을 돌출시키고, 상기 보조플랜지(240)의 내면에는 축(236)이 끼워지는 축공(24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KR1020150023555A 2015-02-16 2015-02-16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KR1016405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55A KR101640553B1 (ko) 2015-02-16 2015-02-16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PCT/KR2015/003017 WO2016133239A1 (ko) 2015-02-16 2015-03-27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3555A KR101640553B1 (ko) 2015-02-16 2015-02-16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553B1 true KR101640553B1 (ko) 2016-07-18

Family

ID=5667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3555A KR101640553B1 (ko) 2015-02-16 2015-02-16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40553B1 (ko)
WO (1) WO201613323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75B1 (ko) 2011-02-08 2011-09-16 오성엘에스티(주) 와이어-쏘 시스템용 권취롤러
JP2013146848A (ja) * 2012-01-23 2013-08-01 Nippon Steel & Sumikin Materials Co Ltd 太陽電池製造に使用するワイヤソー用メインロール
KR101368310B1 (ko) * 2012-10-18 2014-02-26 신기산업 주식회사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875B1 (ko) 2011-02-08 2011-09-16 오성엘에스티(주) 와이어-쏘 시스템용 권취롤러
JP2013146848A (ja) * 2012-01-23 2013-08-01 Nippon Steel & Sumikin Materials Co Ltd 太陽電池製造に使用するワイヤソー用メインロール
KR101368310B1 (ko) * 2012-10-18 2014-02-26 신기산업 주식회사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33239A1 (ko) 2016-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0737B2 (ja) ワイヤソー用メインローラー、そのローラー本体及び製造方法
CN1260624A (zh) 外转子型无刷电机的转子结构
KR20050067148A (ko) 화학적 및 기계적 폴리싱장치의 반도체 웨이퍼 유지용고정링
KR101384961B1 (ko) 다이아몬드 와이어쏘
JP5556172B2 (ja) ドリルビット
US20150129699A1 (en) Milling head for an underwater granulating installation
KR101640553B1 (ko)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KR100746272B1 (ko) 그루빙기계용 절삭날
WO2005073129A1 (ja) 鋳型及びその形成方法、並びにその鋳型を用いた多結晶シリコン基板の製造方法
ITMO20100053A1 (it) Inserto ventilante per utensili abrasivi.
KR101368310B1 (ko)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CN101022872A (zh) 聚合物风扇
KR20120026127A (ko) 디캔터 원심분리기 및 스크루 컨베이어
KR20150049578A (ko)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CN103113018B (zh) 玻璃制造过程中使用的牵拉辊与采用其的玻璃制造工艺
KR101195996B1 (ko) 와이어 쏘의 권선 롤러
CN217135249U (zh) 一种外转子电机的磁钢片安装结构以及辅助工具
CN107839266B (zh) 鼓瓦及胎面鼓
JP5873342B2 (ja) 太陽電池製造に使用するワイヤソー用メインロール
CN213928873U (zh) 一种离心风机多翼叶轮
CN208895304U (zh) 一种可防止刀头脱落的金刚石锯片
CN217761436U (zh) 一种轴芯埋置镶件的离心风扇叶
JP2021104561A (ja) ブラシユニット、ブラシユニット体及び研磨ブラシ
CN211492320U (zh) 一种晶圆切割机用切割刀具
CN105014803A (zh) 用于线锯装置的可快速安装的滑轮、线锯装置,以及滑轮的使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