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430B1 - 유량 제어 앵글밸브 - Google Patents

유량 제어 앵글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430B1
KR101640430B1 KR1020150166327A KR20150166327A KR101640430B1 KR 101640430 B1 KR101640430 B1 KR 101640430B1 KR 1020150166327 A KR1020150166327 A KR 1020150166327A KR 20150166327 A KR20150166327 A KR 20150166327A KR 101640430 B1 KR101640430 B1 KR 1016404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fluid
fluid inlet
fluid outlet
angl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6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화동
Original Assignee
(주)씨디씨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씨디씨뉴매틱 filed Critical (주)씨디씨뉴매틱
Priority to KR1020150166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4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0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 F16K1/04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screw-spindle with a cut-off member rigid with the spindle, e.g. main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42Valve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t Valv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는, 일측에 유체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부에 유체배출구(12)가 구비되며, 상부에 니들결합구(13)가 구비되고,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T"자형으로 된 앵글밸브 몸체(10); 하부에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21)와, 상하로 관통된 암나사(22)가 형성된 바디(20); 하부가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가 만나는 부위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구비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서로 차단시키며 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연통시키는 원추(31)와, 상기 원추(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결합구(13)를 밀폐시켜 상기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니들결합구(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32)와, 상기 실링부(32)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20)의 암나사(22)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33)가 형성되는 니들(30); 상기 니들(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니들(30)을 전후진되도록 하는 핸들(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유체배출구(12) 상부에는 상기 원추(31)가 안착되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되도록 하는 원추안착부(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량 제어 앵글밸브{Flow Control Angle Valve}
본 발명은 원추형 니들의 전후 이동에 의해 유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며 유체의 이송방향을 일정각도로 변환하여 유체를 이송되도록 하는 유량 제어 앵글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량 제어 밸브는 밸브의 개폐에 의해 유량을 제어하는 밸브이다.
종래의 유량 제어 밸브는 대부분 볼 밸브로 되어 있으며, 밸브의 볼의 회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게 되므로 미세한 유량 조절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볼밸브는 밸브몸체의 유체 통로 상에 관통된 구멍을 갖는 구형의 볼이 내설되어 있고, 이 볼은 유체통로에 배치된 볼 지지링에 밀착됨과 동시에 스템에 연결되어 회전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스템의 조작방향에 따라 볼이 실링 사이에서 회전 운동하면서 유체통로를 개폐한다.
종래의 유량 제어 밸브의 일예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614804호(발명의 명칭: 유량조절밸브)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이를 도 1에 도시하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유량조절캡(110)을 회전시켜 이와 나사결합된 가이드부재(120)를 따라 전후진 이동되면 유량조절캡(110)에 고정된 샤프트(130)가 스프링(140)의 장력에 의해 전후진되는 형태로 되어 있으며, 샤프트(130)의 단부에 구비된 개폐플레이트(150)가 전후진됨으로써 유체유로(160)를 개방 및 폐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량조절밸브는 잦은 사용에 따라 스프링(140)의 장력이 저하되면 밸브의 개폐가 원활하게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체유로(160)가 S자형으로 되어 있어 유체의 유량손실이 크고, 밸브의 개폐를 외부에서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량의 미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체의 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하며, 밸브의 개방 및 폐쇄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는, 일측에 유체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부에 유체배출구(12)가 구비되며, 상부에 니들결합구(13)가 구비되고,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T"자형으로 된 앵글밸브 몸체(10); 하부에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21)와, 상하로 관통된 암나사(22)가 형성된 바디(20); 하부가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가 만나는 부위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구비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서로 차단시키며 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연통시키는 원추(31)와, 상기 원추(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결합구(13)를 밀폐시켜 상기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니들결합구(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32)와, 상기 실링부(32)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20)의 암나사(22)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33)가 형성되는 니들(30); 상기 니들(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니들(30)을 전후진되도록 하는 핸들(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유체배출구(12) 상부에는 상기 원추(31)가 안착되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되도록 하는 원추안착부(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추(31)의 외주연에는 상기 니들(30)의 전진에 의한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할 때 상기 원추(31)가 상기 원추안착부(12a)에 밀착되도록 탄성이 있는 실링(34)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바디(20)는, 상기 바디(20)의 상기 삽입부(21)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20)를 고정하기 위한 바디삽입공(1a)이 형성된 플레이트(1)에 상기 바디(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걸림턱(23)과, 상기 걸림턱(23)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24)와, 상기 나사부(24)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가 상기 플레이트(1)의 바디삽입공(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턱(23)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20)를 상기 플레이트(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바디(20)의 상부와 상기 핸들(4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30)의 수나사(33)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너트(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니들(30)의 원추(31) 외주연은 아크나 유선형으로 된 오목부(31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니들(30) 전후진의 경로상에 위치한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상기 니들(30)의 전후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는 니들에 구비된 원추가 유체유로를 개방 및 폐쇄시킬 때 핸들의 회전에 의해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사 피치에 의한 니들의 전후진에 의해 유량이 제어되므로 미세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원추를 아크나 유선형으로 된 오목부를 구비되도록 하여 유량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니들(9)의 전후 경로상에 위치한 앵글밸브 몸체(12)의 내부에 감지센서를 구비하고 감지센서의 감지시 니들의 원추가 완전폐쇄 또는 완전개폐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락너트의 고정에 의해 핸들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니들의 원추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유량조절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유량 제어 앵글밸브(100)는, 앵글밸브 몸체(10)와, 바디(20)와, 니들(30) 및 핸들(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앵글밸브 몸체(10)는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 및 니들결합구(13)가 구비되고,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T"자형으로 된다.
상기 유체유입구(11)는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일측에 구비되며, 유체가 유입되게 된다.
상기 유체배출구(12)는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유체가 배출되게 된다.
상기 니들결합구(13)는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바디(20) 및 니들(3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바디(20)는 삽입부(21)와 암나사(22)로 이루어진다.
상기 삽입부(21)는 상기 바디(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에 고정되게 된다.
상기 암나사(22)는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되게 된다. 상기 암나사(22)에는 니들(30)이 결합되게 된다.
상기 바디(20)의 삽입부(21) 외주연에는 돌기부(21a)가 형성되고, 니들결합구(13) 내주연에는 상기 돌기부(21a)가 삽입결합되어 상기 바디(20)의 삽입부(21)가 상기 앵글밸브 몸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부 삽입홈(13a)이 형성된다.
상기 니들(30)은 하부가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가 만나는 부위로 삽입된다. 상기 니들(30)은 원추(31)와, 실링부(32)와, 수나사(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추(31)는 하단부에 구비되고, 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서로 차단시키며, 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연통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원추(31)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차단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유체배출구(12) 상부에는 상기 원추(31)가 안착되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되도록 하는 원추안착부(12a)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32)는 상기 원추(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결합구(13)를 밀폐시켜 상기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니들결합구(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나사(33)는 상기 실링부(32)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20)의 암나사(22)에 나사체결된다.
상기 핸들(40)은 상기 니들(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니들(30)을 전후진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핸들(40)의 회전에 의해 나사피치에 의해 니들(30)을 전후진되도록 함으로써 유량의 미세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원추(31)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차단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상기 니들(30)의 원추(31)가 상기 원추 안착부(12a)에 밀착되어 차단하게 되는데, 상기 핸들(40)의 회전에 의한 니들(30)의 전진시에 상기 원추(31)가 원추안착부(12a)에 밀착되게 될 때 상기 핸들(40)을 과도하게 회전시키면 원추(31) 또는 원추안착부(12a)가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원추(31)의 외주연에는 상기 니들(30)의 전진에 의한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할 때 상기 원추(31)가 상기 원추안착부(12a)에 밀착되도록 탄성이 있는 실링(34)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플레이트(1)에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량 제어 앵글밸브를 플레이트(1)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바디(20)를 상기 플레이트(1)에 고정되도록 한다(도 2 참조).
이를 위하여, 상기 바디(20)를 걸림턱(23)과, 나사부(24)와, 고정너트(25)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걸림턱(23)은 상기 바디(20)의 상기 삽입부(21)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20)를 고정하기 위한 바디삽입공(1a)이 형성된 플레이트(1)에 상기 바디(20)가 삽입되어 안착된다.
상기 나사부(24)는 상기 걸림턱(23)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다.
상기 고정너트(25)는 상기 나사부(24)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가 상기 플레이트(1)의 바디삽입공(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턱(23)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20)를 상기 플레이트(1)에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니들(30)의 전후진에 의해 유량 제어가 세팅되면 상기 핸들(40)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락너트(50)를 사용한다.
상기 락너트(50)는 상기 바디(20)의 상부와 상기 핸들(4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30)의 수나사(33)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40)이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락너트(50)의 고정에 의해 핸들(40)의 회전을 구속함으로써 니들(30)의 원추(31) 위치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유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니들(30)의 원추와 충돌하여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게 되는데, 원추(31)에 충돌되는 유체는 압력손실을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유체의 압력손실을 줄이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니들(30)의 원추(31) 외주연은,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아크나 유선형으로 된 오목부(31a)가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니들(30)의 원추(31) 외주연에 아크나 유선형으로 된 오목부(31a)가 형성하게 되면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오목부(31a)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어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게 되므로 유체의 압력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밸브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감지센서(14)를 구비하도록 한다.
상기 감지센서(14)는 상기 니들(30) 전후진의 경로상에 위치한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상기 니들(30)의 전후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의 개폐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감지선세(14)의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등(미도시됨)을 상기 바디(20)의 외주연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감지센서(14)를 구비하게 되면 핸들(40)의 회전에 의한 니들(30)의 위치에 따른 밸브의 개폐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 플레이트 1a : 바디삽입공
10 : 앵글밸브 몸체 11 : 유체유입구
12 : 유체배출구 12a: 원추안착부
13 : 니들결합구 14 : 감지센서
20 : 바디 21 : 삽입부
22 : 암나사 23 : 걸림턱
24 : 나사부 25 : 고정너트
30 : 니들 31 : 원추
32 : 실링부 33 : 수나사
34 : 실링 40 : 핸들
50 : 락너트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일측에 유체유입구(11)가 구비되고,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직각을 이루도록 하부에 유체배출구(12)가 구비되며, 상부에 니들결합구(13)가 구비되고, 이들이 서로 연통되도록 내부가 중공되며, "T"자형으로 된 앵글밸브 몸체(10);
    하부에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삽입결합되는 삽입부(21)와, 상하로 관통된 암나사(22)가 형성된 바디(20);
    하부가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가 만나는 부위로 삽입되며,
    하단부에 구비되며 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유체배출구(12)를 서로 차단시키며 후진에 의해 상기 유체유입구(11)로부터 유입된 유체가 상기 유체배출구(12)로 배출되도록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연통시키는 원추(31)와,
    상기 원추(31)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니들결합구(13)를 밀폐시켜 상기 유체유입구(11)로 유입된 유체가 상기 니들결합구(13)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부(32)와,
    상기 실링부(32)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바디(20)의 암나사(22)에 나사체결되는 수나사(33)가 형성되는 니들(30);
    상기 니들(30)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회전에 의해 상기 니들(30)을 전후진되도록 하는 핸들(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앵글밸브 몸체(10)의 유체배출구(12) 상부에는 상기 원추(31)가 안착되어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되도록 하는 원추안착부(12a)가 구비되고,
    상기 원추(31)의 외주연에는 상기 니들(30)의 전진에 의한 상기 유체유입구(11)와 상기 유체배출구(12)를 차단할 때 상기 원추(31)가 상기 원추안착부(12a)에 밀착되도록 탄성이 있는 실링(34)이 결합되며,
    상기 바디(20)는,
    상기 바디(20)의 상기 삽입부(21) 상부 외측에 형성되며, 상기 바디(20)를 고정하기 위한 바디삽입공(1a)이 형성된 플레이트(1)에 상기 바디(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걸림턱(23)과,
    상기 걸림턱(23)의 상부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부(24)와,
    상기 나사부(24)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가 상기 플레이트(1)의 바디삽입공(1a)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걸림턱(23)과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바디(20)를 상기 플레이트(1)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너트(25)가 구비되고,
    상기 바디(20)의 상부와 상기 핸들(40)의 하부 사이에는 상기 니들(30)의 수나사(33)에 결합되며 상기 바디(20)의 상단부에 밀착되어 상기 핸들(40)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너트(50)가 구비되며,
    상기 니들(30)의 원추(31) 외주연은 아크나 유선형으로 된 오목부(31a)가 형성되고,
    상기 니들(30) 전후진의 경로상에 위치한 앵글밸브 몸체(10)의 니들결합구(13)에 상기 니들(30)의 전후이동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밸브의 개폐를 감지하는 감지센서(14)가 구비되며,
    상기 바디(20)의 외주연에는 상기 감지센서(14)의 감지에 의해 작동되는 경고등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량 제어 앵글밸브.
KR1020150166327A 2015-11-26 2015-11-26 유량 제어 앵글밸브 KR101640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27A KR101640430B1 (ko) 2015-11-26 2015-11-26 유량 제어 앵글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6327A KR101640430B1 (ko) 2015-11-26 2015-11-26 유량 제어 앵글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430B1 true KR101640430B1 (ko) 2016-07-22

Family

ID=5668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6327A KR101640430B1 (ko) 2015-11-26 2015-11-26 유량 제어 앵글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53B1 (ko) * 2023-03-20 2024-04-25 박주양 유량 조절이 가능한 개폐밸브 및 그 조립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818A (ko) * 1998-03-25 1999-10-15 윤종용 위치 검출 기능을 갖는 전자팽창밸브
KR200319361Y1 (ko) * 2003-01-21 2003-07-10 박춘웅 중간 밸브
KR20060129998A (ko) * 2006-11-28 2006-12-18 이순안 관붙이 앵글밸브
JP2011241895A (ja) * 2010-05-18 2011-12-01 Asoh Kk 流量調節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818A (ko) * 1998-03-25 1999-10-15 윤종용 위치 검출 기능을 갖는 전자팽창밸브
KR200319361Y1 (ko) * 2003-01-21 2003-07-10 박춘웅 중간 밸브
KR20060129998A (ko) * 2006-11-28 2006-12-18 이순안 관붙이 앵글밸브
JP2011241895A (ja) * 2010-05-18 2011-12-01 Asoh Kk 流量調節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353B1 (ko) * 2023-03-20 2024-04-25 박주양 유량 조절이 가능한 개폐밸브 및 그 조립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0874B2 (en) Handheld shower head with adjustable flow rate
US3645493A (en) Faucet valve
EP2896759B1 (en) Water dispensing device with spray head, particularly for sinks or similar hygienic-sanitary fixtures, with improved manoeuverability
ES2799424T3 (es) Válvula reductora de presión
US8672289B2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with floating buoyant ball valve and activation rod
US9081390B2 (en) Back pressure valve
US20150000769A1 (en) Anti-shake flow-limiting cutoff valve
KR101640430B1 (ko) 유량 제어 앵글밸브
CA2759415A1 (en) Domestic water tap or faucet
KR20140137298A (ko) 유량 조절 장치
KR200482682Y1 (ko) 업소용 가스렌지
JP2018025033A (ja) ボール式消火栓
CN216200805U (zh) 一种自动切换阀
KR200493492Y1 (ko) 미세 조절이 가능한 볼 밸브
KR102050257B1 (ko) 샤워기 헤드
CN215172319U (zh) 一种漏斗型阀门
KR101520923B1 (ko) 밴조니들밸브
JP2013076268A (ja) 湯水混合水栓
KR200493900Y1 (ko) 다방향 가로꼭지
CN212251142U (zh) 一种活动阀芯流量调节装置
JP7117004B2 (ja) ガス検圧プラグ
JP2019105569A (ja) 漏水検知装置
JP6779526B2 (ja) 止水構造
KR200280252Y1 (ko) 정수기용 밸브 구조
KR200478098Y1 (ko) 지수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