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0181B1 -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0181B1
KR101640181B1 KR1020150083870A KR20150083870A KR101640181B1 KR 101640181 B1 KR101640181 B1 KR 101640181B1 KR 1020150083870 A KR1020150083870 A KR 1020150083870A KR 20150083870 A KR20150083870 A KR 20150083870A KR 101640181 B1 KR101640181 B1 KR 10164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st
code
product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스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스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스웰
Priority to KR1020150083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01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으로서, 제품을 테스트하여 통계적으로 공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테스트 처리기;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을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생성한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며, 또한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여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저장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SPC 관리 서버; 및 상기 테스트 처리기 및 작업자 단말기와의 유선 통신을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Apparatus for Statistical Process Control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으로서, 제품을 테스트하여 통계적으로 공정을 관리하는 시스템 및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다양한 부품이 장착되는데, 장착되는 방식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 결합이나, 용접을 이용한 용접 접합 또는 리벳 접합 등이 있다.
그리고 부품 사이의 결합에 사용되는 볼트와 너트를 체결시키는 과정에서 필요한 경우에는 너트를 상기 부품의 체결 위치에 미리 고정시킬 필요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 너트를 부품의 체결 위치에 아크 용접 등을 이용하여 압입 접합하여 작업자가 너트를 체결 위치에 위치시키는 번거로움 없이 너트가 고정된 부분에 볼트만 결합할 수 있어 볼트 결합이 용이하게 진행된다.
상기 너트가 부품에 적절하게 용접 압입 접합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불량율을 줄이기 위한 작업으로서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종래에는 압입 상태를 시험하기 위해서 작업자가 부품에 용접 접합된 너트를 선택한 후에, 지그 위에 너트가 접합된 부품 모재를 안착시키고 너트 부분에 볼트 형태의 로드를 위치시킨 후에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너트를 모재로부터 하방으로 분리시키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하여 너트가 모재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에서 너트만 떨어지는 경우에는 불합격이고, 너트와 용접된 모재 일부분이 같이 떨어지는 경우에는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한편, 자동차에 통계적 공정 관리가 활용되고 있는데, 통계적 공정 관리(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란 공정에서 요구되는 품질이나 생산성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PDCA(Plan-Do-Check-Act) 사이클을 돌려가면서 통계적 방법으로 공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해나가는 관리 방법을 말한다.
통계적 분석기법의 도움을 받아서 공정의 품질 변동을 주는 원인과 공정의 능력 상태를 파악하여 주어진 품질 목표가 달성될 수 있도록 PDCA 사이클을 돌려가며 끊임없는 품질개선이 이루어지도록 관리해가는 활동을 의미한다.
도 1은 통계적 공정 관리(SPC)에 의해 제품 부품이 제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2는 제작된 부품을 측정하여 제품 규격의 분포를 나타낸 분포도이다.
통계적 공정 관리(SPC)의 목표는 공정의 활동 상태를 객관적 데이터에 의해 파악하고, 좋은 제품이 생산될 수 있도록 관리하여 불량률 0%를 실현하는 것이다. 설계품질에 명시되어 있는 품질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공정 감시와 불량 발생에 대한 예방 활동 공정에서의 분포의 크기를 파악하고, 품질 분포의 원인을 규명하며, 품질 변동을 감소시키는 활동 공정에 관한 의사 결정을 하기 쉽도록 객관적 정보를 제공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통계적 공정 관리(SPC)는 도 2에서 분포도에서 허용되지 않은 구간인 불량 구간을 파악하여, 이를 최소로 하는 기법이다. 그런데, 기존의 통계적 공정 관리는 측정값의 수치를 관리하는데 그칠 뿐이어서, 테스트 측정값만으로 품질을 평가하고 관리하는데 한계가 있다. 특히, 자동차 부품의 용접 관련 품질 테스트의 측정값만을 데이터로 관리할 경우, 테스트 결과인 테스트 측정값만 SPC 관리 서버에 전송되어 관리될 뿐이지, 테스트 시의 용접 환경, 용접 아크 불꽃 세기, 용접봉 상태 등의 다양한 용접 테스트 환경 정보들은 SPC 관리 서버에서 저장되지 않아 효율적인 품질 관리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품과 제품을 연관하여 통계적 공정 관리를 할 필요가 있는 경우, 이러한 제품에 관련된 다른 제품들에 대한 품질 결과를 작업자들이 열람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10-2008-0031665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통계적 공정 관리 시에 측정값이외에 테스트 시의 주변 환경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테스트된 제품뿐만 아니라 해당 제품에 연관된 다른 제품들의 테스트 관련 사항들을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테스트 처리기;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을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생성한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며, 또한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여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저장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SPC 관리 서버; 및 상기 테스트 처리기 및 작업자 단말기와의 유선 통신을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처리기는, 제작된 제품을 테스트하여 테스트 측정값을 출력하는 테스트 모듈; 테스트가 이루어질 때의 테스트되는 제품을 촬영하여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는 테스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QR코드를 스티커로 출력하는 스티커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PC 관리 서버는,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서로 다른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테스트 판정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상기 QR코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QR코드,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할당하여 테스트 결과 테이블로서 저장한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통계 처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은, 상기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 이외에,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연관되는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는 QR코드 판독 모듈; 상기 판독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 모듈;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표시한 테스트 결과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구성 모듈;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을 통해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스트리밍 재생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은,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가 표시된 식별정보 표시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표시된 테스트 측정값 표시 필드, 테스트 동영상의 재생 아이콘이 포함된 테스트 동영상 재생 아이콘,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표시된 테스트 합격 여부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통신 모듈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연관QR코드를 상기 SPC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은, 상기 연관QR코드가 표시된 연관QR코드 표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재생 모듈은, 작업자로부터 상기 연관QR코드 표시 필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테스트 처리기가,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판정한 테스트 합격 여부를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상기 QR코드를 상기 테스트 처리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처리기가, 상기 QR코드를 스티커로 출력하여 제품에 부착하는 과정; 작업자 단말기가, 제품에 표시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테스트 결과 화면 표시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에서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테스트 동영상을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 및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를 포함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제품의 식별정보에 연관된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가 포함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은,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상기 연관QR코드를 추출하여 함께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상기 연관QR코드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연관QR코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테스트되는 제품의 테스트 동영상을 열람할 수 있어, 측정 수치로 판단하기 힘든 테스트될 때의 환경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제1제품의 테스트 동영상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지하고 있지 않지만 제1제품과 연관된 제2제품의 테스트 동영상도 열람할 수 있다.
도 1은 통계적 공정 관리에 의해 제품 부품이 제작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2는 제작된 부품을 측정하여 제품 규격의 분포를 나타낸 분포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처리기의 구성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C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QR코드가 표시된 스티커의 예시 그림.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표시 화면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공정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입 테스트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하기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 블록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처리기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SPC 관리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업자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통계적 공정 관리(SPC;Statistical Process Control)는 기업 내 생산 공정을 감시하고 관리함으로써 효율성을 극대화하기 위한 품질 관리 방식이다. 이하 설명에서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은, 자동차 부품의 용접된 제품의의 압입 테스트 모듈을 예를 들어서 설명할 것이나, 토크 테스트 모듈(110) 등과 같이 자동차 부품의 용접 관련 품질 테스트를 통한 통계적 공정에 적용할 가능할 것이다. 이밖에 자동차 부품의 용접 관련 품질 테스트 이외에도 다양한 제품의 품질 테스트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400), 테스트 처리기(100), 작업자 단말기(300), 및 SPC 관리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망(400)은, 테스트 처리기(100), 작업자 단말기(300), 및 SPC 관리 서버(200)를 각각 유무선 통신 연결시켜주는 네트워크 통신망이다. 이러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으로 이루어진 3G, 4G 등의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4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이 사용되어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테스트 처리기(100)는,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테스트 동영상이 아니더라도 테스트하는 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테스트 처리기(100)는, 테스트 측정값 이외에 테스트가 진행될 시의 용접 환경, 용접 아크 불꽃 세기, 용접봉 상태 등의 다양한 용접 테스트 환경 정보들을 알 수 있는 테스트 동영상을 추가로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테스트 처리기(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스트 모듈(110), 카메라(120), 및 테스트 송수신 모듈(140), 및 스티커 출력 모듈(130)을 포함할 수 있다.
테스트 모듈(110)은, 제작된 제품을 테스트하여 테스트 측정값을 출력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어, 용접 품질 검사 장치인 압입 테스트 모듈의 경우, 변압기의 출력측에 구비되어 용접전류와 용접전압을 검출하는 전류센서 및 전압센서와, 공압실린더의 출력측에 구비되어 가압력을 검출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한다.
카메라(120)는 테스트가 이루어질 때의 테스트되는 제품을 촬영하여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한다. 따라서 압입 테스트가 진행될 경우 용접전류와 용접전압이 인가될 때의 테스트 모습을 카메라(120)를 통해 촬영하여 테스트 동영상으로서 생성한다. 테스트 동영상은 MP4, AVI 등의 다양한 압축 동영상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으로서, 영상뿐만 아니라 음성 오디오도 포함된 동영상으로서, 따라서 테스트가 이루어질 때의 환경을 알 수 있게 하는 멀티미디어 정보이다.
참고로, 카메라(120)는 렌즈 어셈블리, 필터, 광전 변환 모듈, 및 아날로그 디지털 변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어셈블리는 줌 렌즈, 포커스 렌즈 및 보상 렌즈를 포함한다. 포커스 모터(MF)의 제어에 따라 렌즈의 촛점 거리가 이동될 수 있다. 필터는,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와.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적 저역통과필터(Optical Low Pass Filter)로서 고주파 성분의 광학적 노이즈를 제거하며, 적외선 차단 필터(Infra-Red cut Filter)는 입사되는 빛의 적외선 성분을 차단한다. 광전 변환 모듈은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등의 촬상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모듈(미도시)은 광전 변환부(OEC)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하여, 그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진폭을 조정한 후,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킨다.
참고로, 도 11은 본 발명의 테스트 모듈의 예로서 압입 테스터 모듈의 전방 일부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접촉부재(1101)와 인접한 양측부분으로 카메라(120)가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120)는 피스톤로드(1102)가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시험편(1103)에 근접하게 되며, 시험편(1103)의 너트(1104)가 모재로부터 이탈되는 상황을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여 제어유닛에 전송하며, 제어유닛은 SPC 관리 서버(200)로 전달하여 SPC 관리 서버(200)에서 저장된다. SPC 관리 서버(200)에서 형성된 분석 프로그램에 의해 너트(1104)가 모재에서 분리되기 전의 사진과 너트(1104)가 모재에서 분리된 후 사진을 비교 분석할 수 있다. 분석결과 모재로부터 너트(1104)만 분리된 것으로 평가된 경우에는 불량으로 기록하고, 모재로부터 모재 일부와 너트(1104)가 함께 분리된 것으로 평가된 경우에는 합격으로 기록한다. 이러한 압입 테스터 결과는 일정 주기로 기록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되며, 추후 불량 문제 해결에 활용될 수 있다.
카메라(120)가 지지로드에 형성되는 이유는 시험편(1103)에 가장 근접해서 촬영할 수 있어 정확한 촬영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카메라(120)가 접촉부재(1101)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이유는 카메라가 모재로부터 너트(1104)가 분리되는 상황을 접촉부재(1101)의 위치인 시험편(1103)의 수직 상방 위치에서 촬영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파악이 안 되는 상황을 보완하기 위함이다.
즉, 접촉부재(1101)의 양측에 카메라(120)를 각각 장착함으로써 접촉부재(1101)를 중심으로 시험편(1103)을 양측에서 촬영할 수 있어서 촬영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테스트 송수신 모듈(140)은,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함께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전류센서와 전압센서 및 압력 센서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를 증폭하고 신호 처리를 한 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을 하고 미리 규정되어 있는 형태로 변환을 하여 메모리에 저장을 하며, 그 저장된 데이터를 시리얼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을 하여 전송한다. 따라서 테스트를 통해 측정한 테스트 측정값을 촬영한 동영상과 함께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밖에 테스트 송수신 모듈(140)은 테스트 측정값의 측정 대상체에 할당된 QR코드를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예를 들어, 압입 테스트를 거쳐 측정된 테스트 측정값이 SPC 서버로 전송되면, SPC 서버는 해당 압입 테스트를 받은 제품에 대한 QR코드를 생성하는데, 테스트 송수신 모듈(140)은, 해당 QR코드를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다.
스티커 출력 모듈(130)은,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를 스티커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압입 테스트를 거쳐 측정된 테스트 측정값이 SPC 서버로 전송되면, 해당 압입 테스트를 받은 제품에 대한 QR코드를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게 되는데, 이렇게 수신한 QR코드가 인쇄된 QR코드 스티커를 인쇄물로서 출력되는 것이다. 이렇게 출력된 QR코드 스티커는 기계적 장치에 의해 테스트를 받은 제품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작업자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참고로 QR코드 스티커의 예를 도 7에 도시하였는데, QR코드 스티커에는, 코드 넘버(A), 작업자 단말기 번호(D), 검사일(C), 제품의 식별정보(B), QR코드(E)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QR코드가 인쇄된 QR코드 스티커를 예로서 설명하고 있으나, 바코드가 인쇄된 바코드 스티커가 사용될 수도 있다.
SPC 관리 서버(200)는, 테스트 처리기(10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을 수신하고,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여 테스트 처리기(10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을 저장한다. 그리고,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테스트 측정값을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산출하고 제품의 식별 정보별로 저장한다.
또한 작업자 단말기(300)가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여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 경우, SPC 관리 서버(200)는,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작업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SPC 관리 서버(2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 생성부(210), 테스트 판정부(220),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230), 통계 처리부(240), 및 서버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QR코드 생성부(210)는,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서로 다른 QR코드(Quick Response Code)를 생성한다. QR코드는, 흑백 격자무늬 패턴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매트릭스 형식의 바코드로, 기존의 바코드가 용량 제한에 따라 가격과 상품명 등 한정된 정보만 담는 데 비해 QR코드는 넉넉한 용량을 강점으로 3차원적인 다양한 정보를 담을 수 있다. 따라서 QR코드의 고유의 패턴마다, 코드 넘버, 작업자 단말기 번호, 검사 일자, 제품의 식별정보가 할당되어 저장된다. 여기서 코드 넘버는 QR코드가 일련 번호이며, 작업자 단말기 번호는 텍스트 측정값을 전송하는 작업자 단말기(300)의 고유 식별 번호이며, 검사일자는 테스트가 이루어진 날짜이며, 제품의 식별정보는 작업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이다.
테스트 처리기(10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용접 품질 검사 장치인 압입 테스트 모듈(110)의 경우, 공압실린더의 출력측에 측정되는 측정 가압력이, 미리 등록된 기준 압력의 허용 범위 내에 있는 경우에는 테스트 합격으로 판정하며, 허용 범위 밖에 있는 경우에는 테스트 불합격으로 판정한다.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230)는,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 생성부(210)를 통해 생성된 QR코드, 테스트 처리기(10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할당하여 테스트 결과 테이블로서 저장한다. 하기의 [표 1]은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도시한 예시 테이블이다.

제품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
테이블 필드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테스트
합격여부
테이블 필드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

제1제품

12A-DG32B

24-56-3822

10[kPa]

제1동영상

합격

14B-DB31A

제2제품

14B-DB31A

21-24-4589

6[kPa]

제2동영상

불합격

17A-BE41G

제N제품
...
...
...
...
...
...
...
...
...
...
...
...
...
...
...
...
...
...
상기의 [표 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테스트 결과 테이블은,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의 코드 넘버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가 포함된다.
이밖에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연관되는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부품과 B부품이 용접되어 12A-DB32B의 식별정보를 가지는 제1제품이 제작되어 테스트될 때, 제1제품의 구동시에 제2제품이 관련된다고 할 때, 제1제품과 연관된 제2제품의 식별정보인 14B-DB31A가 제1제품의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에 저장된다.
참고로,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230)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통계 처리부(240)는, 작업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작업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의 코드 넘버가 '24-56-3822'인 경우, [표 1]에 기재한 테스트 결과 테이블에서 '24-56-3822'의 QR코드를 가지는 제1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여 작업자 단말기(300)에 전송한다.
서버 통신부(미도시)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 3G/4G 무선이동통신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고로, 상기에서 상술한 QR코드 생성부(210), 테스트 판정부(220),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230), 통계 처리부(240), 및 서버 통신부(미도시)의 각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SPC 관리 서버(2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b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 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300)는,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여,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본 발명의 작업자 단말기(300)의 예시로서 도면에서는 스마트폰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스마트폰만 아니라 데스크탑 PC(desktop PC), 태블릿 PC(tablet PC), 슬레이트 PC(slate PC),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이 적용 가능한 단말기는 상술한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외부 장치와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참고로, 여기서 스마트폰(smart phone)이라 함은 휴대전화에 인터넷 통신과 정보검색 등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휴대폰과 개인휴대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의 장점을 결합한 것으로, 휴대폰 기능에 일정관리, 팩스 송·수신 및 인터넷 접속 등의 데이터 통신기능을 통합시킨 것이다. 무선인터넷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휴대폰과는 달리 수백여 종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응용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설치하고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직접 제작할 수도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자신에게 알맞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30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 판독 모듈(320), 단말기 통신 모듈(340), 화면 구성 모듈(310), 표시 모듈(350), 및 스트리밍 재생 모듈(330)을 포함할 수 있다.
QR코드 판독 모듈(320)은, 제품에 부착된 도 7에 도시된 스티커에 표시된 QR코드를 판독한다. QR코드는 고유의 격자 패턴을 가지고 있어, 스티커가 부착된 제품마다 서로 다른 QR코드가 표시되어 있다. 따라서 QR코드 판독 모듈(320)은 QR코드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기를 구비하여 제품에 표시된 QR코드를 판독한다.
단말기 통신부는, 판독된 QR코드를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 또한 단말기 통신부는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수신한다. 이를 위해 단말기 통신부는, 이더넷(Ethernet),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직렬통신(serial communication) 및 병렬 통신(parallel communication)과 같은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SPC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적외선 통신(Infrared Radiation), 블루투스(Bluetooth), 홈 RF(Radio Frequency) 및 무선 랜(Wireless LAN)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되어 SPC 관리 서버(200)와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화면 구성 모듈(310)은,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표시한 테스트 결과 화면을 생성한다. 테스트 결과 화면의 예시를 도 8에 도시하였는데, 테스트 결과 화면은,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가 표시된 식별정보 표시 필드, 테스트 측정값이 표시된 테스트 측정값 표시 필드, 테스트 동영상의 재생 아이콘이 포함된 테스트 동영상 재생 아이콘, 테스트 합격 여부가 표시된 테스트 합격 여부 표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모듈(350)은, 테스트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모듈로서, 터치 스크린 패널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 패널로 구현되는 경우, 자판 배열 키보드가 그래픽 형태로 작업 화면에 오버랩(overlap)되어 표시된다. 자판 배열 입력창의 위치 및 투명도는 사용자에 의해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작성자는 자판 배열 키보드의 자판을 누름으로써, 필요한 문자나 기호를 입력할 수 있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이라 함은, 화면 표시 수단일 뿐만 아니라 터치펜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하여 터치를 감지하는 입력 수단이다. 참고로,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저항막 방식, 정전 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스트리밍 재생 모듈(330)은, 테스트 결과 화면을 통해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테스트 동영상을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한다. 사용자가 테스트 결과 화면의 테스트 동영상 재생 아이콘을 클릭한 경우, 스트리밍 재생 모듈(330)은 해당 제품의 테스트 시의 동영상을 스트리밍 또는 다운로드받아 재생한다.
한편, 테스트 결과 화면은 상기에서 설명한 식별정보 표시 필드, 테스트 측정값 표시 필드, 테스트 동영상 재생 아이콘, 테스트 합격 여부 표시 필드이외에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관QR코드 표시 필드가 표시될 수 있다. 판독된 QR코드에 할당된 연관QR코드를 단말기 통신 모듈(340)이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면, 연관QR코드가 표시된 연관QR코드 표시 필드를 테스트 결과 화면에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리밍 재생 모듈(330)은, 작업자로부터 연관QR코드 표시 필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제품의 테스트 결과 화면이 작업자 단말기(300)에 표시될 때 제1제품과 연관된 제2제품의 연관QR코드가 함께 표시된 경우, 사용자가 연관QR코드 표시 필드를 선택하면 제1제품이 아닌 제2제품의 테스트 동영상이 재생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계적 공정 관리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우선, 테스트 처리기(100)가,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를 수행(S902)하고, 테스트 측정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한다(S904).
SPC 관리 서버(200)는,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테스트 처리기(100)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판정한 테스트 합격 여부를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S906)을 가진다.
이러한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을 도 10의 플로차트와 함께 상술하면,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S9062)을 가진다. 각 QR코드는 공지된 생성 알고리즘에 따라 각각 고유한 패턴으로서 생성된다. 그 후,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S9064)을 가진다. 그리고,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를 포함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상기의 [표 1]과 같이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S9068)을 가진다.
나아가,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기 전에, 제품의 식별정보에 연관된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를 추출하는 과정(S9066)을 더 포함하며,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가 포함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할 수 있다. 연관QR코드를 추출하는 것은, 미리 각 제품마다 연관된 제품의 QR코드를 할당하여 데이터베이스로 마련해 놓은 후, 제품마다 연관 제품의 QR코드를 추출하여 연관QR코드로서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에 기록할 수 있다.
한편,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S906)이 완료된 후, SPC 관리 서버(200)가, QR코드를 테스트 처리기(100)에 전송하는 과정(S908)을 가진다. 테스트 처리기(100)가, QR코드를 스티커로 출력하여 제품에 부착하여 표시(S910)하는 과정을 가진다. 스티커의 부착은 스티커 부착 기계에 의해 제품에 부착될 수 있으며, 또는 작업자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또는 테스트 처리기(100)는 스티커 형태가 아닌 인쇄 방식으로 제품에 인쇄 표시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300)가, 제품에 표시된 QR코드를 판독(S912)하여 판독한 QR코드를 SPC 관리 서버(200)에 전송하는 과정(S914)을 가진다.
SPC 관리 서버(200)가, 작업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S916)하여 작업자 단말기(300)에 전송하는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S918)을 가진다.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S918)은, SPC 관리 서버(200)가,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연관QR코드를 추출하여 함께 상기 작업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작업자 단말기(300)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테스트 결과 화면 표시 과정(S920)을 가진다. 이때 작업자 단말기(300)는,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상기 연관QR코드도 함께 표시한다.
사용자로부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에서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작업자 단말기(300)는,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테스트 동영상을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S922)을 가진다.
또한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S922)은, 작업자로부터 연관QR코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SPC 관리 서버(200)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통해 자신이 소지하고 있는 제1제품의 테스트 동영상뿐만 아니라 자신이 소지하고 있지 않지만 제1제품과 연관된 제2제품의 테스트 동영상도 열람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100:테스트 처리기
200:SPC 관리 서버
300:작업자 단말기
110:테스트 모듈
120:카메라
130:스티커 출력 모듈
140:테스트 송수신 모듈

Claims (12)

  1.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테스트 처리기;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여,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하는 작업자 단말기;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을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생성한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며, 또한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여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저장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SPC 관리 서버; 및
    상기 테스트 처리기 및 작업자 단말기와의 유선 통신을 제공하거나, 또는 무선 통신을 제공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포함하며,
    상기 SPC 관리 서버는,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서로 다른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 생성부;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테스트 판정부; 및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상기 QR코드 생성부를 통해 생성된 QR코드,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할당하여 테스트 결과 테이블로서 저장한 테스트 결과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은 상기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 이외에,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연관되는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제품에 부착된 QR코드를 판독하는 QR코드 판독 모듈; 상기 판독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수신하는 단말기 통신 모듈;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표시한 테스트 결과 화면을 생성하는 화면 구성 모듈;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을 표시하는 표시 모듈; 및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을 통해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스트리밍 재생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단말기 통신 모듈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연관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은 상기 연관QR코드가 표시된 연관QR코드 표시 필드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리밍 재생 모듈은 작업자로부터 상기 연관QR코드 표시 필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처리기는,
    제작된 제품을 테스트하여 테스트 측정값을 출력하는 테스트 모듈;
    테스트가 이루어질 때의 테스트되는 제품을 촬영하여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는 카메라;
    상기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QR코드를 수신하는 테스트 송수신 모듈; 및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QR코드를 스티커로 출력하는 스티커 출력 모듈;
    를 포함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은,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제품의 식별정보가 표시된 식별정보 표시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표시된 테스트 측정값 표시 필드, 테스트 동영상의 재생 아이콘이 포함된 테스트 동영상 재생 아이콘,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표시된 테스트 합격 여부 표시 필드를 포함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제1항, 제2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으로서,
    테스트 처리기가, 제작되는 제품의 테스트에 의한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시에 촬영된 테스트 동영상을 생성하여, 테스트되는 제품의 식별정보와 함께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여 상기 테스트 처리기로부터 수신한 테스트 측정값 및 테스트 동영상과,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판정한 테스트 합격 여부를 QR코드와 함께 저장하는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상기 QR코드를 상기 테스트 처리기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처리기가, 상기 QR코드를 스티커로 출력하여 제품에 부착하는 과정;
    작업자 단말기가, 제품에 표시된 QR코드를 판독하여 판독한 QR코드를 상기 SPC 관리 서버에 전송하는 과정;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상기 작업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를 추출하여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를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테스트 결과 화면으로서 표시하는 테스트 결과 화면 표시 과정;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에서 테스트 동영상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작업자 단말기는,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테스트 동영상을 스트리밍받아 재생하는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 저장 과정은,
    제품의 식별정보마다 QR코드를 생성하는 과정; 상기 테스트 측정값을 미리 등록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테스트 합격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 및 제품의 식별정보가 기록되는 식별정보 테이블 필드, QR코드가 기록되는 QR코드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측정값이 기록되는 테스트 측정값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동영상이 기록되는 테스트 동영상 테이블 필드, 상기 테스트 합격 여부가 기록되는 테스트 합격 여부 테이블 필드를 포함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여 저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
  9. 삭제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기 전에,
    상기 제품의 식별정보에 연관된 제품의 QR코드인 연관QR코드를 추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하는 것은, 상기 연관QR코드가 기록되는 연관QR코드 테이블 필드가 포함된 테스트 결과 테이블을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결과 전송 과정은, 상기 SPC 관리 서버가,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상기 연관QR코드를 추출하여 함께 상기 작업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테스트 결과 화면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 단말기가, 상기 QR코드에 할당된 제품의 식별정보, 테스트 측정값, 테스트 동영상, 및 테스트 합격 여부 이외에 상기 연관QR코드도 함께 표시하며,
    상기 테스트 동영상 표시 과정은, 상기 작업자로부터 상기 연관QR코드의 선택이 있는 경우, 상기 연관QR코드에 할당된 테스트 동영상을 상기 SPC 관리 서버로부터 스트리밍받아 재생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계적 공정 관리 방법.
  12. 삭제
KR1020150083870A 2015-06-15 2015-06-15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164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0A KR101640181B1 (ko) 2015-06-15 2015-06-15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870A KR101640181B1 (ko) 2015-06-15 2015-06-15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0181B1 true KR101640181B1 (ko) 2016-07-18

Family

ID=56679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870A KR101640181B1 (ko) 2015-06-15 2015-06-15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018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84A1 (ko) * 2019-09-05 2021-03-11 김영남 Qr 코드 마킹을 이용한 제품 이력추적 방법
WO2021194015A1 (ko) * 2020-03-26 2021-09-30 전자부품연구원 연속생산 공정에서의 공정 진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665A1 (en) 2004-03-23 2008-02-07 Fujifilm Corporation Memory element moun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119911A (ko) * 2009-05-04 2010-11-12 (주)링크제니시스 테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테스트 자동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7348A (ko) * 2010-11-02 2012-05-14 (주)진성하이텍 통계적 품질 검사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27967A (ko) * 2011-09-08 2013-03-18 송시우 반도체 제조 공정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1201A (ko) * 2013-02-08 2014-08-19 주식회사 차후 반도체 공정 파이프관리 시스템과 파이프 관리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31665A1 (en) 2004-03-23 2008-02-07 Fujifilm Corporation Memory element mount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20100119911A (ko) * 2009-05-04 2010-11-12 (주)링크제니시스 테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테스트 자동화 장치, 이를 포함하는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20047348A (ko) * 2010-11-02 2012-05-14 (주)진성하이텍 통계적 품질 검사 및 관리 시스템
KR20130027967A (ko) * 2011-09-08 2013-03-18 송시우 반도체 제조 공정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20140101201A (ko) * 2013-02-08 2014-08-19 주식회사 차후 반도체 공정 파이프관리 시스템과 파이프 관리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45284A1 (ko) * 2019-09-05 2021-03-11 김영남 Qr 코드 마킹을 이용한 제품 이력추적 방법
KR20210029317A (ko) * 2019-09-05 2021-03-16 김영남 Qr 코드 마킹을 이용한 제품 이력추적 방법
KR102268732B1 (ko) 2019-09-05 2021-06-25 김영남 Qr 코드 마킹을 이용한 제품 이력추적 방법
WO2021194015A1 (ko) * 2020-03-26 2021-09-30 전자부품연구원 연속생산 공정에서의 공정 진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29445B2 (en) Mobility product traceability building system and production line operation controlling method
JP6101288B2 (ja) 熱画像装置および熱画像標準撮影方法
TWI566579B (zh) 顯示器的檢測裝置及其檢測方法
KR101640181B1 (ko) 통계적 공정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US20130147910A1 (en) Mobile device and image capturing method
de Oliveira et al. Robotized inspection of power lines with infrared vision
CN105205517A (zh) 一种工厂运行设备的智能巡检系统及方法
CN111951225A (zh) 一种pcb焊接异常检测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5862177A (zh) 设备巡检方法及装置
CN108693839B (zh) 智能加工调变系统及方法
JP2018128729A (ja) 工程監視装置、工程監視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6056693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热成像图片数据的在线巡检方法与系统
CN102695075A (zh) 检测显示屏上无视频信号的方法和设备及其系统
CN108344511B (zh) 辐射率控制装置和辐射率控制方法
CN111815552A (zh) 一种工件检测方法、装置、可读存储介质及终端设备
WO2022044637A1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228369B (zh) 防雷产品的敷铜焊接工艺
JP2019080159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プログラム
CN112307882A (zh) 图像判断装置及图像判断系统
CN112116283B (zh) 一种物流信息采集方法、视频搜索方法、装置及电子设备
TWM528432U (zh) 熱源檢測裝置及其系統
JPH1114552A (ja) 検査システム及びプリント回路板の外観検査システム並びにプリント回路板の外観検査端末装置
CN113923450A (zh) 图像自动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I579581B (zh) 熱源檢測裝置、系統及其方法
CN104580844A (zh) 生成空气质量信息的影像摄取装置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