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9169B1 -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 Google Patents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9169B1
KR101639169B1 KR1020150162777A KR20150162777A KR101639169B1 KR 101639169 B1 KR101639169 B1 KR 101639169B1 KR 1020150162777 A KR1020150162777 A KR 1020150162777A KR 20150162777 A KR20150162777 A KR 20150162777A KR 101639169 B1 KR101639169 B1 KR 101639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 pressure
housing part
coupled
pressure pu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2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650542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63916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Priority to KR1020150162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9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9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9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1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 E01C23/12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taking-up, tearing-up, or full-depth breaking-up paving, e.g. sett extractor with hydroj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Abstract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주행수단의 전방에 장착부를 매개로 탈착되며, 하측면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부와, 고압호스를 통해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고압펌프에서 공급된 고압수가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고압 상태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고압펌프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상기 고압펌프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펌프가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동력발생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상기 고압펌프, 상기 동력발생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압펌프에서 생성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가 상기 주행수단 내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는 덮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ATTACHMENT DEVICE FOR CHIPPING}
본 발명은 로더나 트랙터와 같은 주행수단에 결합되어 콘크리트 표면의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 환경에 따라 용이하게 치핑 위치를 조절하고, 신속하고 정밀하게 선택된 영역의 치핑작업을 수행하며,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핑(Chipping)은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물체의 표면을 깎아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을 말하는데, 콘크리트의 경우 양생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형성되는 레이턴스(Laitance)나, 표면을 코팅하기 위해 도포되는 페인트는 부착력을 약하게 하고 수밀성(水密性, 물의 침투, 흡수, 투과를 막는 성질)을 나쁘게 하기 때문에, 이러한 불필요한 부분의 제거가 필히 수행되어야 했다.
특히, 노반(路盤)의 지지력약화로 인해 발생하는 펌핑현상이나 균열, 차량의 하중에 의한 소성변형 등과 같이 노면의 상태가 불량해진 경우, 기존의 불량한 노면을 깨서 걷어낸 후 그 위에 아스팔트나 시멘트 등으로 포장을 하게 되는데, 부착력 및 수밀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장에 앞서 워터젯 시스템을 이용한 치핑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워터젯 시스템은 초고압수를 생성시키는 파워팩과, 이 파워팩으로부터 초고압수를 전달하는 고압호스와, 이 고압호스를 통해 공급된 초고압수가 대상 면을 향해 분사되도록 하는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것으로, 진동 및 충격의 발생을 줄이고, 콘크리트에 배근된 철근의 손상을 방지하며, 보수가 필요한 부분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치핑 작업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 제10-07053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0489664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46856호, 한국등록특허 제10-1218573호 등을 통해 워터젯 시스템을 이용한 치핑 장치가 개시되었는데,
이 중에서, 한국등록특허 제10-0705356호는 고압수가 분사되는 한 쌍의 분사노즐(2)과 함께 파쇄된 잔재물의 회수 및 수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거용 회전날개(3,3a)가 구비되는 점에서 특징이 있는 것이나, 한 쌍의 분사노즐(2)은 분사되는 방향만 달리하고 있을 뿐, 커버(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어서 작업 범위의 조절이 불가능하고, 항상 동시 동작되는 것이어서 불필요한 파쇄작업으로 인해 오히려 노면이 불균일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제10-0489664호는 초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이 장착된 분사대와, 이 분사대의 이동을 안내하며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가이드 및 분사노즐의 교체가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점에서 특징이 있는 것이고, 한국등록특허 제10-1246856호는 초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부(23)와, 이 분사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0)를 구비하여, 분사부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점에서 특징이 있는 것이나, 상기한 기술에서는 분사노즐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에 의해 도로의 진행방향(작업해야하는 길이방향)의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치핑작업을 수행한 이후, 다음 작업 영역에 해당하는 만큼 전진하여 가로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치핑작업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작업 효율성의 저하로 인한 작업시간이 증대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 및 장비 운용비 등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한 종래의 기술들은 모두 물이 저장되도록 마련된 물탱크와, 이 물탱크에서 고압으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공급펌프에서 공급된 물을 분사노즐에 공급되도록 하는 고압호스가 필수적으로 준비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고압호스는 작업공간의 바닥면에 깔려있게 되어, 고압호스가 파손되거나 절단되는 경우 주변 작업자들은 고압수의 누출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한국등록특허 제10-1218573호는 도로포장에서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키고, 균열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포장의 표면에 줄눈부를 시공하기 위한 줄눈부 치핑용 차량에 관한 것으로, 고압펌프의 작동에 의해 고압수를 분사하도록 마련되어 차량의 후미에 설치되는 워터젯 장치와, 이 워터젯 장치에 고압수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에 설치되는 물탱크와, 워터젯 장치에 의해 파쇄된 파쇄물을 흡입하는 흡입장치와, 차량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칩핑용 엔진 및 각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로 구성함으로써, 고압호스의 파손 및 절단위험을 줄여 작업자들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한 줄눈부 치핑용 차량은 물탱크를 설치하기 위한 탑재공간을 별도로 마련하여야 함에 따라 차량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었고, 물탱크를 탑재한 상태로 이동해야 함에 따라 불필요한 연료소모 증대되었으며, 이 물탱크의 물이 모두 소비되어 물탱크 내에 다시 물을 채우는 경우에는 물탱크 내에 물이 채워지는 시간 동안 작업 공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작업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차량에 탑재된 물탱크에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며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물탱크 비용, 물탱크를 설치할 수 있는 차량 마련 비용, 차량에 탑재된 물탱크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준비하는 비용 등이 모두 불필요한 것이 되어, 효용성은 없으면서도 과도하게 비용을 낭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705356호(2007.04.09.공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0489664호(2005.05.17.공고,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246856호(2013.03.25.공고, 워터젯 분사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칩핑장치) 한국등록특허 제10-1218573호(2013.01.04.공고,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로더 또는 트랙터와 같은 주행수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파쇄기 및 면삭기 등의 장비들과 용이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다수 개 구비하되, 분사노즐의 작업 영역 및 분사노즐에서 고압수가 분사되는 여부를 조절되도록 함에 따라, 설정된 작업 영역의 치핑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물탱크에 연결된 공급튜브를 통해 저압상태의 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되고, 저압상태로 공급된 물을 치핑 작업에 적합한 고압상태로 압축 및 분사노즐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에 연결된 공급튜브가 파손 및 절단되더라도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분사노즐이 결합된 어태치먼트 장치를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는 별개로 분사노즐의 높이를 별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대상면의 상태에 따라 효율적으로 치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주행수단을 통해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모두 치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분사노즐이 회전하며 고압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수의 분사노즐로도 넓은 면적을 치핑할 수 있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에는 승강수단이 구비된 주행수단의 전방에 장착부를 매개로 탈착되며, 하측면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부와, 상기 하우징부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된 끝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좌우 양측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며 이동되게 마련된 좌우이동수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에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상단은 고압호스를 통해 상기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고압펌프에서 공급된 고압수가 상기 하우징부의 하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사노즐과,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공급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고압 상태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고압펌프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상기 고압펌프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펌프가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동력발생부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에 상기 고압펌프, 상기 동력발생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압펌프에서 생성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가 상기 주행수단 내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는 덮개부와, 상기 주행수단 내에 설치되며, 상기 동력발생부, 상기 고압펌프, 상기 좌우이동수단, 상기 승강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이 하나 이상 결합되며, 상기 좌우이동수단은 분할된 상기 슬라이딩부 각각의 이동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분할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압펌프에는 설정된 압력의 고압수가 상기 분사노즐 각각에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조절하는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고압호스와 결합되되 상기 고압호스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노즐축과, 상기 노즐축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공급된 고압수가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된 분배관과, 상기 분배관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지면을 향해 고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분사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노즐축은 상기 슬라이딩부에 설치된 노즐회동수단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노즐회동수단은 구동모터 및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기어 결합되어 상기 노즐축이 회전되도록 마련된 구동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부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이 상기 하우징부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의 양측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지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상측 후면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로드의 왕복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실린더와, 상기 지지판에 상기 로드의 길이가 신축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레일에 삽입 및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판을 승강시키는 유동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좌우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동되게 결합되는 지지축과, 상기 실린더의 로드 끝단, 상기 유동부재의 끝단 및 상기 지지축의 끝단이 각각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지지판의 후방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보조레일과, 상기 안내보조레일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의 측면 후방측에 결합되는 유동보조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이 상기 하우징부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제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면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사각조절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각조절수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삽입지지공과,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 전방측이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지지공에 삽입되는 회동지지부재와,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 후방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지지부재와 체결부재를 통해 결합되는 각도조절지지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부의 후면에는 수치로 표시되어 상기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가 이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안내부와, 상기 경사각조절수단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가 회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각도표시부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의 외면에는 상기 로드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인출길이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는 로더 또는 트랙터와 같은 주행수단에 착탈이 가능하게 마련됨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증대됨은 물론 파쇄기 및 면삭기 등의 장비들과 용이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고, 고압수가 분사되는 분사노즐을 다수 개 구비하되, 분사노즐의 작업 영역 및 분사노즐에서 고압수가 분사되는 여부를 조절되도록 함에 따라, 설정된 작업 영역의 치핑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탱크에 연결된 공급튜브를 통해 저압상태의 물이 공급되도록 연결되고, 저압상태로 공급된 물을 치핑 작업에 적합한 고압상태로 압축 및 분사노즐에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에 연결된 공급튜브가 파손 및 절단되더라도 작업자의 부상위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노즐이 결합된 어태치먼트 장치를 노면의 경사도에 따라 상승 및 하강할 수 있도록 하고, 좌·우 양측으로 회동하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이와는 별개로 분사노즐이 지면에 이격되는 높이를 별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 대상면의 상태에 맞게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치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주행수단을 통해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모두 치핑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 이와 동시에 분사노즐이 회전하며 고압수가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수의 분사노즐로도 넓은 면적을 치핑할 수 있고, 분사노즐이 전후로 동작하며 치핑하는 것과 같이 동일 작업 부위에 반복적으로 고압수가 분사되어, 작업시간 감소에 따른 작업의 효율성 및 편의성이 증대되고,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의 하우징부를 발췌하여 나타낸 후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좌우이동수단에 의해 슬라이딩부 및 분사노즐이 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노즐회동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발췌하여 나타낸 부분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에 고압펌프, 동력발생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덮개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에서 높이조절수단을 확대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조절수단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사각조절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사각조절수단에 의해 하우징부가 회동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 1 내지 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는 크게 하우징부(100), 슬라이딩부(200), 분사노즐(300), 고압펌프(400), 동력발생부(500), 덮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부(100)는 도 2와 같이 주행수단(20)의 전방에 장착부(110)를 매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측면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 원통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제1실시예에 따른 하우징부(100)는 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주행수단(20)은 도 1과 같이 엔진의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로더 또는 트랙터인 것으로, 그 일측에는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호스(12)의 끝단과 연결 설치되는 연결호스(21)와, 공급호스(12)를 통해 공급된 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는 여과수단(22)이 각각 구비된다.
또한, 주행수단(20)에는 장착부(110) 및 하우징부(100)가 설정된 높이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하는 승강수단(23)이 구비되는 것으로, 이러한 승강수단(23)은 고중량을 안정적이고 원활하게 승강시키기 위해 유압식 실린더(71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부(200)는 도 3과 같이 하우징부(100)의 후방측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0)에 삽입되어, 가이드홈(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하우징부(100)의 후면에는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부(200)의 하중을 지지하여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보강프레임(13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딩부(200)는 도 4와 같이 좌우이동수단(250)을 통해 가이드홈(120)을 따라 하우징부(100)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좌우이동수단(250)은 가이드홈(120)에 삽입되어 돌출된 끝단면이 결합되는 이동몸체(251)와, 이동몸체(251)의 중심축에 삽입되어 길이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된 이동로드(2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이동로드(252)의 양 끝단은 하우징부(100)의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고정판(140)에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설치되며,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좌우이동수단(250)은 주행수단(20)에 구비된 유압에 의해 길이가 양축의 길이가 각각 조절되도록 마련된 양축실린더(710)인 것으로 설명한다.
분사노즐(300)은 슬라이딩부(200)가 이동되는 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단은 후술할 고압펌프(400)에 연결된 고압호스(410)가 결합되고, 이 고압펌프(400)에서 공급된 고압수가 하우징부(100)의 개구된 하측면을 통해 지면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분사노즐(300)은 설치된 방향을 따라 고정되어 고압수를 배출하는 고정식노즐 또는 끝단부가 원형으로 회전하며 고압수를 배출하는 유동식노즐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펌프(400)는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어 공급호스(12)에 연결 설치된 연결호스(21)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된 고압수를 분사노즐(300)에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압펌프(400)에는 설정된 압력의 고압수가 다수 개의 분사노즐(300) 중 선택된 일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개폐밸브(42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력발생부(500)는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고압펌프(400)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며, 고압펌프(400)가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특히 고압펌프(400)가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후술할 분사노즐(30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유압식 모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덮개부(600)는 하우징부(100)의 상측에 설치되어 고압펌프(400) 및 동력발생부(5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고압펌프(400)에서 생성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610)와, 외부공기가 유입되어 배출될 수 있는 송풍구(6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압력게이지(610)는 주행수단(20) 내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고, 송풍구(620)는 원활한 공기의 순환을 위해 두 개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동력발생부(500), 고압펌프(400), 개폐밸브(420), 좌우이동수단(250)의 작동은 주행수단(20) 내에 설치된 제어부(24)를 통해 각각 제어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슬라이딩부(200)는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고, 분할된 상태의 슬라이딩부(200)에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300)이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의 좌우이동수단(250)은 슬라이딩부(200)의 분할된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마련되어 분할된 슬라이딩부(200)의 이동위치가 각각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좌우이동수단(250)이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한 고정판(140)과 같이 이동로드(252)이 끝단이 지지될 수 있는 고정편(253)들이 하우징부(100)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분사노즐(300)은 슬라이딩부(200)에 결합된 면을 따라 회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슬라이딩부(200)가 분할된 상태이거나 분할되지 않은 상태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분사노즐(300)은 좌우 양측의 슬라이딩부(200)에 각각 결합되는 각도를 서로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를 통해 분사노즐(300)이 회동되는 동안 고압수가 상호 충돌되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분사노즐(300)을 통해 배출되는 고압수가 설정된 압력으로 지면에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분사노즐(300)은 고압호스(410)와 결합되되 고압호스(4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노즐축(310)과, 노즐축(310)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공급된 고압수가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된 분배관(320)과, 분배관(320)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지면을 향해 고압수가 배출(분사)되도록 마련된 분사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노즐축(310)은 슬라이딩부(200)에 설치된 노즐회동수단(350)에 의해 회전되도록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때의 노즐회동수단(350)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모터(351)와, 구동모터(351)의 구동축과 기어 결합되어 노즐축(310)이 회전되도록 마련된 구동기어(35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모터(351)와 구동기어(353) 사이에는 구동모터(351)의 속도를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감속모터(352)가 더 구비되어 이 감속모터(352)의 회전축에 구동기어(353)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노즐축(310)의 외면이 지지되는 부위에는 노즐축(310)을 지지한 상태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베어링(311)이 삽입되어야 할 것이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노즐회동수단(350)은 구동기어(353)가 한 쌍의 베벨기어와 한 쌍의 평기어로 구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구동모터(351)의 동작에 의해 분사노즐(300)이 적정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일 뿐이며, 이와는 달리 기어의 형성 개수에 따른 기어비와 이를 통해 얻어지는 회전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의 기어가 적정 개수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분배관(320)은 분사관(330)을 통해 배출되는 고압수가 보다 용이하게 지면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그 끝단부가 지면을 향해 일정 기울기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분사관(330) 역시도 분배관(320)의 중심축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그 끝단면이 지면을 향해 일정한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분사관(330)이 분배관(320)의 중심축과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분배관(320)의 외면을 따라 회전하며 고압수를 분사하는 경우에는, 분사된 고압수가 지면방향으로 고루 분사될 수 있도록 분배관(320) 끝단부의 기울기를 알맞게 조절하여야 할 것이다.
본 제1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부(200)는 두 개가 좌우측으로 각각 분리되어 구성되며, 이처럼 분리된 각각의 슬라이딩부(200)에는 노즐축(310), 분배관(320) 및 분사관(330)으로 구성된 분사노즐(300)이 하나씩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한편, 하우징부(100)의 양측 외면에는 하우징부(10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고, 그 하단이 하우징부(100)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어, 하단면이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며, 하우징부(100)의 양측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7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지지판(1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높이조절수단(700)은 도 8과 같이 하우징부(100)의 상측 후면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로드의 왕복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실린더(710)와, 지지판(150)에 로드의 길이가 신축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레일(721)에 삽입되어 안내레일(721)에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며 지지판(150)을 승강시키는 유동부재(720)와,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좌우 양측방향으로 회동되게 결합되는 지지축(730)과, 실린더(710)의 로드 끝단, 상기 유동부재(720) 및 상기 지지축(730)의 끝단이 각각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740)로 구성된다.
또한, 지지판(150)이 높이조절수단(700)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도록, 높이조절수단(700)에는 지지판(150)의 후방측 즉, 하우징부(100)의 후면에 인접한 부위에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보조레일(751)을 통해 하우징부(100)의 측면 후방측에 결합되는 유동보조부재(750)와, 하우징부(10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지지판(150)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판(150)이 하우징부(100)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제한부재(7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판(150) 및 높이조절수단(700)은 주행수단(20)에 구비된 승강수단(23)과 함께 하우징부(100) 및 분사노즐(300)이 지면에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높이조절수단(700)에 의해 하우징부(100) 양측의 지지판(150)이 상승하게 되면, 하우징부(100)는 지지판(150)이 상승한 만큼 승강수단(23)에 의해 지면에 더욱 가깝게 하강할 수 있게 되므로, 이를 통해 분사노즐(300)이 지면에 이격되는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지지판(150)을 하우징부(100)의 하단보다 길게 형성한 이유는 지면의 불필요한 부분이 분사노즐(300)에 의해 파쇄되었을 때, 주행수단(20)이 주행방향이 아닌 양 측방향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주변 작업자가 파쇄된 이물질에 의해 부상을 입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지지판(150)의 하단은 그 전방측 또는 후방측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이는 주행수단(20)이 전진 또는 후진하며 이동하는 동안 지지판(150)의 전·후방측 끝단부가 지면의 요철부나 경사면에 걸려 구부러지거나 파손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이동의 편의성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지지판(150) 및 하우징부(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에 더해, 하우징부(100)의 후방에는 지지판(150)의 하단면이 지지되는 지면의 구배(句配)에 따라 하우징부(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사각이 가변되도록 하는 경사각조절수단(800)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경사각조절수단(800)은 도 10과 같이 하우징부(100)의 후면 하측에 관통 형성된 삽입지지공(810)과, 하우징부(100)의 후면 전방에서 삽입지지공(810)에 삽입되는 회동지지부재(820)와, 하우징부(100)의 후면 후방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회동지지부재(820)의 끝단면과 체결부재(B)를 통해 결합되고 좌우이동수단(250) 및 슬라이딩부(200)가 회전하는 범위만큼 절개면이 형성된 각도조절지지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경사각조절수단(800)은 하우징부(100)와 회동지지부재(820) 사이에 설치되는 지지프레임(840)과, 하우징부(100)의 후면 상측에 회전되는 각도에 범위만큼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호형으로 관통된 각도조절레일(850)과, 각도조절레일(850)에 삽입 및 지지되도록 각도조절지지판(830)에 마련되는 각도안내부재(831)를 더 구비하여, 하우징부(100)가 적정 범위 내에서 회동되도록 각도를 제한하면서도, 안정적인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하우징부(100)의 후면에는 좌우이동수단(250)에 의해 슬라이딩부(200)가 이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부(200)가 이동되는 가로방향을 따라 수치가 표시된 위치안내부(160)와, 경사각조절수단(800)에 의해 하우징부(100)가 회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각도표시부(170)가 각각 마련되고, 실린더(710)의 외면에는 로드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인출길이표시부(711)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에 대한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물탱크(10) 내에 저장된 물은 공급호스(12)를 거쳐, 공급호스(12)와 연결된 연결호스(21)를 통해 고압펌프(400)로 공급되는데, 공급호스(12)와 연결호스(21)의 결합면 또는 연결호스(21) 사이에구비된 여과수단(22)을 통해 이물질이 걸러진 상태로 고압펌프(400)에 공급되므로, 고압펌프(400)의 오작동 및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10)에는 주행수단(20)의 이동거리에 따라 자동으로 공급호스(12)가 길게 배출되거나 감길 수 있는 권취수단(11)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작업공간 내에 공급호스(12)가 길게 배출된 상태로 지면에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급호스(12)에 걸려 넘어져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배출된 공급호스(12)를 다시 감기위한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이처럼, 물탱크(10)에 설치된 공급호스(12)와 주행수단(20)에 마련된 연결호스(21)를 연결한 상태에서 주행수단(20)을 이동할 준비가 완료되면, 승강수단(23)을 통해 하우징부(100)가 지면에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분사노즐(300)은 슬라이딩부(200)와 함께 하우징부(100)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일 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아니므로, 분사노즐(300)이 지면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승강수단(23)을 통해 하우징부(100)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야 한다.
또한, 지지판(150)은 그 하단이 하우징부(100)보다 하측에 위치하므로, 승강수단(23)을 통해 하우징부(100)를 지면에 인접되게 하강시키는 경우에는, 높이조절수단(700)에 의해 지지판(150)을 상승시키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지지판(150)은 도 9와 같이 실린더(710)의 로드가 인출되면 각도조절부재(740)가 지지축(73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됨과 동시에, 유동부재(720)가 안내레일(721)에 지지된 상태로 하우징부(100)의 후방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이며, 또한 하우징부(100)의 측면에 유동보조부재(750)가 결합되어 있어 안내보조레일(751)이 유동보조부재(750)를 따라 이동하게 됨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전후로 유동되지 않으며 자연스럽게 상승되는 것이다.
다만, 각도조절부재(740)는 지지축(730)을 중심으로 호형을 이루며 회전하는 것인 만큼, 안내레일(721) 및 안내보조레일(751) 역시도 각도조절부재(740)의 회전 각도를 고려하여 완만한 호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승강수단(23) 및 높이조절수단(700)은 주행수단(20)이 정지한 상태는 물론 이동하는 과정에서도 조절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므로, 지면의 상태 및 경사도에 따라 용이하게 변경하여 작업의 편의성 및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준비가 완료된 상태에서 제어부(24)를 통해 동력발생부(500)를 구동하면, 연결호스(21)를 통해 고압펌프(400) 내로 공급된 물은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되며, 이러한 고압수는 고압호스(410)를 거쳐 분사노즐(300)로 공급된다.
여기서, 고압수가 이동하는 공간은 고압호스(410) 및 이 고압호스(410)의 양 끝단이 결합되는 고압펌프(400) 및 분사노즐(300)인데, 이러한 공간이 하우징부(100) 및 덮개부(600)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감싸진 상태이므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동안 파손, 절단 또는 이탈되더라도 주변 작업자가 피해를 입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물탱크(10)로부터 고압펌프(400) 사이에 연결된 공급호스(12) 및 연결호스(21)에는 물탱크(10)로부터 저압상태로 공급된 물이 이동하게 되므로, 설령 공급호스(12), 연결호스(21) 및 이들 각각의 결합부위가 파손, 절단 또는 이탈되어 주변작업자에게 직접 분사되더라도 부상을 입지 않을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좌우이동수단(250)은 하우징부(100)의 좌우측 방향으로 나란하게 두 개가 설치되어 있고, 분사노즐(300)이 결합된 슬라이딩부(200)는 이 좌우조절수단의 이동몸체(251)에 각각 결합되어 있으므로, 하우징부(100) 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켜 설정된 범위의 치핑작업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양측 중 어느 일측만을 치핑하는 경우에는 타측의 동력발생부(500)가 동작되지 않도록 전원을 차단하거나, 개폐밸브(420)를 통해 고압호스(410)에서 고압펌프(400)로 고압수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분사노즐(300)은 주행수단(20)이 동작함에 따라 노즐회동수단(350)에 의해 회동되는 것이므로, 분사노즐(300)이 전후로 동작하며 치핑하는 것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어 보다 효율적인 치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인 치핑 작업을 위해서 분사노즐(300)이 회전되는 방향은 고압수의 배출압력에 의해 뒤로 밀려나는 쪽으로 회전되는 것이 아닌 고압수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된다.
여기서, 노즐회동수단(350)을 통해 분사노즐(300)이 회동하는 속도는 주행수단(20)이 이동하는 속도와 상호 대응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주행수단(20)의 이동 속도가 증가하거나 감소되는 경우 분사노즐(300)의 회전속도도 함께 빨라지거나 느려지게 함으로써, 항시 균일한 치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울러, 도 11a 및 11b와 같이 경사각조절수단(800)을 통해 지면의 경사진 정도에 따라 하우징부(100)의 기울기가 용이하게 가변되므로, 평면 뿐만 아니라 경사면에서도 균일한 치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로더 또는 트랙터와 같은 주행수단(20)은 종래에 공지된 로더 또는 트랙터에 설치되는 파쇄기 및 면삭기 등의 장비들과 용이하게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므로, 하나의 주행수단(20)으로 파쇄, 치핑, 면삭 등의 작업에 해당하는 어태치먼트 장치를 탈거 및 장착할 수 있어, 각각의 장비를 동원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를 통한 작업공간 내에 다수의 작업 차량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하면서도, 신속하게 해당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 물탱크 11 : 권취수단
12 : 공급호스 20 : 주행수단
21 : 연결호스 22 : 여과수단
23 : 승강수단 24 : 제어부
100 : 하우징부 110 : 장착부
120 : 가이드홈 130 : 보강프레임
140 : 고정판 150 : 지지판
160 : 위치안내부 170 : 각도표시부
200 : 슬라이딩부 250 : 좌우이동수단
251 : 이동몸체 252 : 이동로드
253 : 고정편
300 : 분사노즐 310 : 노즐축
311 : 베어링 320 : 분배관
330 : 분사관 350 : 노즐회동수단
351 : 구동모터 352 : 감속모터
353 : 구동기어
400 : 고압펌프
410 : 고압호스 420 : 개폐밸브
500 : 동력발생부
600 : 덮개부
610 : 압력게이지 620 : 송풍구
700 : 높이조절수단 710 : 실린더
711 : 인출길이표시부 720 : 유동부재
721 : 안내레일 730 : 지지축
740 : 각도조절부재 750 : 유동보조부재
751 : 안내보조레일 760 : 회동제한부재
800 : 경사각조절수단 810 : 삽입지지공
820 : 회동지지부재 830 : 각도조절지지판
831 : 각도안내부재 840 : 지지프레임
850 : 각도조절레일 B : 체결부재

Claims (10)

  1. 물탱크(10)에 저장된 물이 공급되는 공급호스(12)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고 전방에는 승강수단(23)이 구비된 주행수단(20)의 전방에 장착부(110)를 매개로 탈착되며, 하측면은 개구되고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하우징부(100);
    상기 하우징부(100) 내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부(100)의 후면에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20)에 삽입되고, 상기 가이드홈(120)에 삽입된 끝단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좌우 양측에 지지된 상태로 길이가 조절되며 이동되게 마련된 좌우이동수단(250)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홈(1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마련된 슬라이딩부(200);
    상기 슬라이딩부(200)에 좌우방향으로 복수 개가 결합되며, 상단은 고압호스(410)를 통해 고압펌프(400)와 연결되어 상기 고압펌프(400)에서 공급된 고압수가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측면으로 분사되도록 마련된 분사노즐(3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공급호스(12)를 통해 공급된 물을 설정된 압력으로 압축하여 고압 상태로 공급하도록 마련된 고압펌프(400);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상기 고압펌프(400)와 대응되는 개수로 설치되며, 상기 고압펌프(400)가 작동할 수 있는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된 동력발생부(500); 및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측에 상기 고압펌프(400), 상기 동력발생부(500)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결합되며, 상기 고압펌프(400)에서 생성된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게이지(610)가 상기 주행수단(20) 내에서 식별할 수 있는 위치에 결합되는 덮개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탱크(10) 내에 저장된 물은 공급호스(12)를 거쳐, 공급호스(12)와 연결된 연결호스(21)를 통해 고압펌프(40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호스(12)와 상기 연결호스(21)의 결합면 또는 연결호스(21) 사이에 여과수단(22)이 구비되며,
    상기 주행수단(20)은 로더 또는 트랙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수단(250)은 상기 슬라이딩부(200)가 결합되는 이동몸체(251)와, 상기 이동몸체(251)의 중심축에 길이가 조절되게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결합된 고정판(140)에 양 끝단이 고정 설치되는 이동로드(25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0)는 하나 이상의 영역으로 분할 형성되어 상기 분사노즐(300)이 하나 이상 결합되며, 상기 좌우이동수단(250)은 분할된 상기 슬라이딩부(200) 각각의 이동위치가 개별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슬라이딩부(200)의 분할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00)은 상기 고압호스(410)와 결합되되 상기 고압호스(410)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마련된 노즐축(310)과, 상기 노즐축(310)의 끝단에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공급된 고압수가 두 개 이상의 영역으로 분배되어 공급되도록 마련된 분배관(320)과, 상기 분배관(320)의 끝단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되어 지면을 향해 고압수가 배출되도록 마련된 분사관(3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축(310)은 상기 슬라이딩부(200)에 설치된 노즐회동수단(350)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노즐회동수단(350)은 구동모터(351) 및 상기 구동모터(351)의 구동축과 기어 결합되어 상기 노즐축(310)이 회전되도록 마련된 구동기어(35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양측 외면에는 상기 하우징부(100)의 높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하단이 상기 하우징부(100)의 하단보다 아래쪽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부(100)의 양측에 구비된 높이조절수단(700)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며 높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지지판(1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70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측 후면에 회동되게 결합되며 로드의 왕복 이동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도록 마련된 실린더(710)와, 상기 지지판(150)에 상기 로드의 길이가 신축되는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레일(721)에 삽입 및 지지된 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지지판(150)을 승강시키는 유동부재(720)와, 상기 하우징부(100)의 상면에 좌우 양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회동되게 결합되는 지지축(730)과, 상기 실린더(710)의 로드 끝단, 상기 유동부재(720)의 끝단 및 상기 지지축(730)의 끝단이 각각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결합되는 각도조절부재(7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700)은 상기 지지판(150)의 후방측에 상·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안내보조레일(751)과, 상기 안내보조레일(751)을 통해 상기 하우징부(100)의 측면 후방측에 결합되는 유동보조부재(750)와, 상기 하우징부(100)의 전방측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50)이 기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150)이 상기 하우징부(100)에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회동제한부재(7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에는 상기 지지판(150)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면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하우징부(10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경사각조절수단(800)이 구비되며, 상기 경사각조절수단(800)은 상기 하우징부(100)의 후면에 관통 형성된 삽입지지공(810)과, 상기 하우징부(100)의 후면 전방측이 밀착 지지되도록 상기 삽입지지공(810)에 삽입되는 회동지지부재(820)와, 상기 하우징부(100)의 후면 후방에 밀착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동지지부재(820)와 체결부재(B)를 통해 결합되는 각도조절지지판(8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100)의 후면에는 수치로 표시되어 상기 좌우이동수단(250)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부(200)가 이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위치안내부(160)와, 상기 경사각조절수단(800)에 의해 상기 하우징부(100)가 회동된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각도표시부(170)가 각각 마련되고, 상기 실린더(710)의 외면에는 상기 로드의 길이가 가변된 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인출길이표시부(711)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20150162777A 2015-11-19 2015-11-19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1639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77A KR101639169B1 (ko) 2015-11-19 2015-11-19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2777A KR101639169B1 (ko) 2015-11-19 2015-11-19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5043A Division KR20170058835A (ko) 2016-07-05 2016-07-05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9169B1 true KR101639169B1 (ko) 2016-07-12

Family

ID=56505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2777A KR101639169B1 (ko) 2015-11-19 2015-11-19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91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848B1 (ko) * 2017-01-19 2017-08-10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가변형 치핑 어태치먼트 장치
CN108411755A (zh) * 2018-05-09 2018-08-17 河南伯淼水处理有限公司 一种水力破除路面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223A (ja) * 1997-07-18 1999-02-09 Niigata Eng Co Ltd 路面切削機
JPH1161729A (ja) * 1997-08-20 1999-03-05 Nippon Road Co Ltd:The 路面処理作業機
KR100489664B1 (ko) 2004-08-31 2005-05-17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KR100705356B1 (ko)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KR101218573B1 (ko) 2011-01-31 2013-01-04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KR101246856B1 (ko) 2011-01-13 2013-03-25 (주)건우기술 워터젯 분사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칩핑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6223A (ja) * 1997-07-18 1999-02-09 Niigata Eng Co Ltd 路面切削機
JPH1161729A (ja) * 1997-08-20 1999-03-05 Nippon Road Co Ltd:The 路面処理作業機
KR100489664B1 (ko) 2004-08-31 2005-05-17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KR100705356B1 (ko) 2006-12-14 2007-04-09 (주)건우기술 워터젯 시스템의 칩핑장치
KR101246856B1 (ko) 2011-01-13 2013-03-25 (주)건우기술 워터젯 분사유니트 및 이를 구비한 콘크리트 칩핑장치
KR101218573B1 (ko) 2011-01-31 2013-01-04 (주)삼우아이엠씨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848B1 (ko) * 2017-01-19 2017-08-10 주식회사 대경기술산업 가변형 치핑 어태치먼트 장치
CN108411755A (zh) * 2018-05-09 2018-08-17 河南伯淼水处理有限公司 一种水力破除路面设备
CN108411755B (zh) * 2018-05-09 2023-12-22 河南伯淼水处理有限公司 一种水力破除路面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573B1 (ko) 콘크리트 노면의 줄눈부 칩핑용 차량
CA2731731C (en) Vacuum-operated material transfer system and method
KR101639169B1 (ko)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0965935B1 (ko) 맨홀보수용 노면 절단장치
KR101192245B1 (ko) 노면 표시선 제거장치
KR101080868B1 (ko) 친환경 콘크리트 포장도로 실링재 제거 장치
CN112176838A (zh) 一种公路美缝方法及美缝用罐缝机
KR101943726B1 (ko)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KR20170058835A (ko) 치핑용 어태치먼트 장치
KR101357953B1 (ko)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포장 도로 및 활주로의 줄눈 보수 방법
KR200477980Y1 (ko) 콘크리트 몰탈 공급장치
KR101077827B1 (ko) 콘크리트 노면 칩핑용 차량
KR102266422B1 (ko) 맨홀보수용 워터젯 절단장치
KR101883392B1 (ko) 워터젯을 이용한 맨홀보수용 노면절삭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맨홀보수공법
US10227741B1 (en) Milling machine including auxiliary fluid tank
KR101317185B1 (ko) 물 분사 조절 가능한 차량용 살수기
JP2022070082A (ja) コンクリート斫り装置及びコンクリート斫り方法
KR101765848B1 (ko) 가변형 치핑 어태치먼트 장치
CN108405585A (zh) 一种用于土壤污染治理的高效率自动化设备
CN210919080U (zh) 一种隧道管壁裂缝填补装置
CN211256609U (zh) 预制块坑槽修补车
KR101914276B1 (ko) 치핑장치
KR20110085012A (ko) 노면표시 제거시스템
KR20180085655A (ko) 가변형 치핑 어태치먼트 장치
CN219195955U (zh) 可降低水泥粉尘的喷砼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