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898B1 -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898B1
KR101638898B1 KR1020150016377A KR20150016377A KR101638898B1 KR 101638898 B1 KR101638898 B1 KR 101638898B1 KR 1020150016377 A KR1020150016377 A KR 1020150016377A KR 20150016377 A KR20150016377 A KR 20150016377A KR 101638898 B1 KR101638898 B1 KR 101638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ess
mixing
loess powder
seaweed
water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1730A (ko
Inventor
박남여
김칠웅
Original Assignee
박남여
김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여, 김칠웅 filed Critical 박남여
Publication of KR20160041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1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04Clay; Kaoli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02Preparing or treating the raw materials individually or as batches
    • C04B33/13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Oxide Ceramics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입자크기가 서로 다른 영역대인 0.000005 내지 0.001 밀리미터인 제1황토분말과 입자크기가 0.005 내지 0.1 밀리미터인 제2황토분말을 혼합하는 황토분말혼합단계,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해초류진액을 혼합하는 해초류진액혼합단계,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볼의 형태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며, 우수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LOESS COMPOSITION IMPROVED WATER-PROOF AND MECHANICAL PROPERTY}
본 발명은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며, 우수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황토는 반 건조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지표면의 10%를 덮고 있다. 이러한 황토내에는 다양한 효소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효소들은 각기 독소제거, 분해력, 비료요소 및 정화작용등의 역할을 수행 하고 있는데, 황토의 가장 근본적인 효능은 황토에서 파장되는 원적외선으로, 원적외선은 세포의 생리작용을 활발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열 에너지를 발생시켜 유해물질을 방출하는 광전효과가 있는데, 가열하지 않은 상태의 황토는 일반 흙과 비슷하나 일단 가열(60℃ 이상)하면 원적외선 방사(5~15㎛)가 월등하여 인체에 가장 유익한 에너지 곡선에 근접, 인체의 중심 부분이 35℃의 체온을 유지, 혈류량을 증가시켜 신진 대사의 촉진으로 피로를 풀어주는 역할을 돕는다.
이러한 황토의 성질을 이용하여 근래에는 황토를 일정한 크기로 제작하여 보행자가 다니는 보도, 산책로등에 분포시키기도 한다.
또한, 황토는 고운 입자와 많은 산소를 함유하고, 뛰어난 정화능력과 탈취, 탈지의 성질이 있는데, 이러한 황토의 기능과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토목 및 건축자재로는 물론, 각종 건강기구 및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한편, 황토볼은 황토분말을 볼의 형태로 성형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볼의 형태로 제조된 황토볼은 토목 및 건축자재로 활용될 경우엔 바닥 또는 벽면의 마감처리시 마감재와 혼합돼 이용될 수 있으며, 건강기구 및 각종 식품 등에 활용할 수 있는데, 종래에 황토볼은 황토분말을 화학접착제로 결속시키거나, 황토분말과 함께 세라믹분말을 혼합하거나 별도의 열처리 공정을 거쳐 제조되었는데,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는 황토볼은 내수성 및 내충격성과 같은 기계적 강도가 약하고, 인체유해물질이 방출되거나 제조비용이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380593호(2003.04.03). 한국특허등록 제10-1202356호(2012.11.12).
본 발명의 목적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며, 우수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황토와 해초류진액으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이며, 세라믹의 혼합이나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저렴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입자크기가 서로 다른 영역대를 가지는, 0.000005 내지 0.001 밀리미터인 제1황토분말과 입자크기가 0.005 내지 0.1 밀리미터인 제2황토분말을 혼합하는 황토분말혼합단계,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해초류진액을 혼합하는 해초류진액혼합단계,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볼의 형태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는 상기 제1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제2황토분말 140 내지 1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는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는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해초류 진액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해초류는 다시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압출성형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회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는 회전교반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교반단계는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를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높은 온도로 가열하지 않고 제조하기에 황토 본연의 기능성이 그대로 발현되는 것으로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며, 우수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황토와 해초류진액으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이며, 세라믹의 혼합이나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저렴한 제조비용으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입자크기가 서로 다른 영역대를 가지는 제1황토분말과 제2황토분말을 준비하는 것으로 0.000005 내지 0.001 밀리미터인 제1황토분말과 입자크기가 0.005 내지 0.1 밀리미터인 제2황토분말을 혼합하는 황토분말혼합단계(S101),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해초류진액을 혼합하는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볼의 형태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S105)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S101)는 입자크기가 0.000005 내지 0.001 밀리미터인 제1황토분말과 입자크기가 0.005 내지 0.1 밀리미터인 제2황토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제1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제2황토분말 140 내지 1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와 같이 입자크기가 다른 황토분말을 혼합하게 되면, 입자크기가 큰 제2황토분말 사이 공간이 제1황토분말의 입자로 채워져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생황토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황토분말은 자연 상태에서 채취된 황토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극이 0.001 밀리미터인 고운 체로 5 내지 10회 채거름하여 0.001 밀리미터인 고운 체를 통과한 황토 분말 입자를 다시 공극이 0.000005 밀리미터인 고운 체에 통과시켜 통과되지 않은 황토 분말 입자들로 제조되며, 상기 제2황토분말은 자연 상태에서 채취된 황토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공극이 0.1 밀리미터인 고운 체로 5 내지 10회 채거름한 황토 분말 입자를 다시 공극이 0.005 밀리미터인 고운 체에 통과시켜 통과되지 않은 황토 분말 입자들로 제조된다.
이때, 상기 제2황토분말의 함량이 140 중량부 미만이거나 16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제1황토분말과 상기 제2황토분말의 입자간 뭉침성이 저하되고 입자간 공극이 과다하여 결합력이 떨어지므로 생황토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며, 수분 흡수율이 증가하여 내수성이 저하된다.
이때, 상기 제1황토분말과 상기 제2황토분말은 100 : 150의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는 제1황토분말과 상기 제2황토분말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교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는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해초류진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해초류 진액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고 300 내지 500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교반하여 이루어지는데, 해초류 진액이 혼합되면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의 결속력이 향상되어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생황토 조성물이 제조된다.
이때, 상기 해초류는 다시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다시마 20 내지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90 내지 95℃의 온도에서 10 내지 30분 동안 가열하여 해초류 진액을 제조한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되는 해초류 진액에는 점액질 성분이 다량함유되어 있으며, 상기의 점액질 성분으로 인해 황토분말의 결속력이 더욱 향상되며, 상기 점액질 성분은 물에 잘 용해되지 않기 때문에 내수성이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해초류 진액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상기의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해초류 진액의 함량이 1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진액에 비해 황토분말의 함량이 지나치게 낮아 생황토 조성물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는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볼의 형태로 성형하는 단계로,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고 압출로를 통해 압출한 후에 일정크기로 절단하는 단계다.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S103)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기의 피스톤에 의해 압착하는 힘(0.5 내지 5㎏/mm2의 압력)으로 단면이 원형인 길다란 압출로(직경이 0.5 내지 1.5 센티미터)를 통해 압출하면서 출구에서 회전 칼날에 의해 주기적으로 소정 길이만큼 절단하여 황토볼의 형태로 압출하여 이루어지는데, 압출로의 모양에 따라 다각블록, 선형, 평판형 및 타원형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압출할 수 있으며, 압출되는 형태에 따라 각종 베게, 방석, 이블 및 목침 등과 같은 생활용품이나 인테리어 재료, 외부 벽돌 및 조각재와 같은 건축자재 등에 적용가능하다.
이때, 압착기의 피스톤에 의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구성하는 입자가 상호 압착 결합되고, 입자크기가 큰 제2황토분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제1황토분말이 투입된 상태에서 해초류 진액에 의해 서로 엉겨서 압착됨으로 인해 황토 자체의 유용한 미생물 및 효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결합력이 극대화되고 내수성이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건조단계(S107)는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로,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자연건조하거나, 건조기에 투입하고 15 내지 30℃의 온도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건조단계(S107)를 거치면, 황토 성형물이 단단하게 굳어져 기계적 물성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와 상기 건조단계(S107) 사이에는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회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는 회전교반단계(S106)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의 회전교반단계(S106)는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회전교반단계(S106)를 거치면 상기 압출성형단계(S105)를 통해 압출성형된 성형물 다수가 상기 회전식 교반기 내에서 함께 회전하는 과정에서 성형물이 서로 마찰하거나 누르는 힘이 발생하여 성형물의 기계적 강도를 더욱 향상시키며, 성형물의 표면에 둥글게 다듬어지기 때문에 상품성이 우수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의 물성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입자크기가 0.001 밀리미터인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입자크기가 0.01 밀리미터인 황토분말 150 중량부를 혼합하고 750rpm의 속도로 90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에 다시마 진액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rpm의 속도로 45분 동안 교반하고, 다시마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장치에 투입하고 2.5㎏/mm2의 압력으로 직경이 1센티미터인 압출로로 압출한 후에 절단하여 직경이 1센티미터인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자연건조하여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입자크기가 0.,001 밀리미터인 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다시마 진액 10 중량부를 혼합하고 400rpm의 속도로 45분 동안 교반하고, 다시마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성형장치에 투입하고 2.5㎏/mm2의 압력으로 직경이 1센티미터인 압출로로 압출한 후에 절단하여 직경이 1센티미터인 성형물을 제조하고, 제조된 성형물을 60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열처리하여 생황토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한국특허등록 제10-0380593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제조된 황토볼.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출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단, 생황토 조성물의 원적외선 방출량은 한국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측정하였다.)
<표 1>
Figure 112015011275129-pat00001
위에 표 1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은 황토가 주성분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원적외선 방출량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의 내수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단, 내수성의 측정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을 정제수에 30분간 함침한 후에, 손가락으로 압력을 가해 변형되는지의 여부로 판단하였다.}
<표 2>
Figure 112015011275129-pat00002
위에 표 2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은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내수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 및 비교예 2의 황토볼의 피로 완화, 관절통증 완화 및 내구성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단, 피로해소, 관절통증은 침구류를 일주일간 사용한 사용자들 100 명을 대상으로 10점 척도법(10점이 가장우수, 5점은 보통 및 1점 효과없음)으로 나타내도록 하였으며, 내구성은 침구류의 사용 중에 황토 분말의 발생 유무로 확인하였다.}
<표 3>
Figure 112015011275129-pat00003
위에 표 3에 나타낸 것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통해 제조된 생황토 조성물은 비교예 2를 통해 제조된 황토볼에 비해 황토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원적외선이 다량 방출되어 피로 완화 및 관절통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며, 입자크기가 다른 두종류의 황토를 배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기계적 물성이 우수하여 침구류에 적용해 사용하는 과정에서 황토분말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원적외선이나 음이온 등과 같이 인체에 유익한 물질이 방출되며, 우수한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 및 산업에 적용할 수 있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을 제공하며, 황토와 해초류진액으로 이루어져 친환경적일 뿐만 아니라, 세라믹의 혼합이나 열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기 때문에 미생물이 살아있으며, 황토 본연의 기능성이 그대로 보존되어 발현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생황토 조성물은 황토볼의 형태나 황토블럭, 황토선재 등 다양한 다면체, 구형체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조가능하며, 다양한 목재, 고무, 합성수지재, 섬유재 등의 재료들과 함께 섞여서 베게, 이불, 침낭과 같은 침구류, 방석, 목침 등의 내부 속재료로서 활용되어 다양한 생활용품, 수족관용 자갈, 식생용 흙 대체용 소자, 인테리어 또는 익스테리어용 건축자재 등 각종 산업자재로 활용될 수 있다.
S101 ; 황토분말혼합단계
S103 ; 해초류진액혼합단계
S105 ; 압출성형단계
S106 ; 회전교반단계
S107 ; 건조단계

Claims (11)

  1. 입자크기가 서로 다른 영역대를 가지는 제1황토분말과 제2황토분말을 혼합하는 황토분말혼합단계;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해초류진액을 혼합하는 해초류진액혼합단계;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를 통해 해초류 진액이 혼합된 혼합물을 압출하여 볼의 형태로 성형하는 압출성형단계; 및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볼의 형태로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건조하는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황토분말의 입자크기는 0.000005 내지 0.001 밀리미터이며, 상기 제2황토분말의 입자크기는 0.005 내지 0.1 밀리미터이고,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는 상기 제1황토분말 100 중량부에 상기 제2황토분말 140 내지 16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는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1 내지 2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해초류진액혼합단계는 상기 황토분말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해초류 진액 5 내지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해초류는 다시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단계와 상기 건조단계 사이에는 상기 압출성형단계를 통해 압출성형된 성형물을 회전식 교반기에 투입하고 교반하는 회전교반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회전교반단계는 500 내지 1000rpm의 속도로 30 내지 6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9. 청구항 1, 4 내지 8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
  10. 청구항 9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구류.
  11. 청구항 9에 따른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자재.
KR1020150016377A 2014-10-07 2015-02-02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38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35378 2014-10-07
KR1020140135378 201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730A KR20160041730A (ko) 2016-04-18
KR101638898B1 true KR101638898B1 (ko) 2016-07-22

Family

ID=55916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377A KR101638898B1 (ko) 2014-10-07 2015-02-02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8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226B1 (ko) * 2017-03-14 2018-07-17 강경내 칠보석이 함유된 황토볼의 제조방법
KR102494254B1 (ko) * 2022-05-25 2023-02-06 충청남도 액젓 폐기물을 이용한 해조류 양식 황백화 및 패류 양식 영양결핍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12B1 (ko) 2007-11-12 2008-06-03 김성태 황토보드의 제조 방법
KR101418231B1 (ko) 2014-04-29 2014-07-10 김순복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0593B1 (ko) * 2000-06-15 2003-04-18 보은군 황토볼의 제조방법
KR100784343B1 (ko) * 2006-01-24 2007-12-13 황승국 한방황토볼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한방황토볼
KR101202356B1 (ko) 2012-03-28 2012-11-16 에코텍 주식회사 다공성 황토볼을 이용한 흙 포장 도로 및 다공성 황토볼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512B1 (ko) 2007-11-12 2008-06-03 김성태 황토보드의 제조 방법
KR101418231B1 (ko) 2014-04-29 2014-07-10 김순복 건축용 친환경 황토보드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1730A (ko) 2016-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8898B1 (ko) 내수성 및 기계적 강도가 향상된 생황토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39767B1 (ko) 현무암가루를 이용한 굳지않는 점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865B1 (ko) 은나노 입자가 함침된 은나노 유무기 복합수지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생물성 상수도관
AU2015323611A1 (en) Method for preparing a powder of brown microalgae by blending and method for producing rigid objects from said powder
KR101879226B1 (ko) 칠보석이 함유된 황토볼의 제조방법
KR100598694B1 (ko) 기능성 세라믹볼 및 그 제조방법
KR101638909B1 (ko) 편백분말 및 생황토 분말을 이용한 조형물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959512B1 (ko) 가수소성 황토액과 이를 이용한 천연 황토 코팅액 및모르타르용 천연 황토 혼합제
KR102173648B1 (ko) 칠보석 및 황토가 혼합된 원적외선 방출볼이 내장된 전기매트
KR101706344B1 (ko) 천일염을 함유하는 건축용 미장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KR101727304B1 (ko) 견운모를 이용한 합성수지 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11037654A (ja) 遠赤外線放射鉱物質ボ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1154814B1 (ko) 패각을 함유하는 인조 목재 조성물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조 목재
KR20210004743A (ko) 다공성 분말과 백금을 사용해서 만든 기능성 백토 세라믹볼과 그 제조방법
KR20160149521A (ko) 건축 마감용 황토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069808B1 (ko) 황토 벽돌
KR100529699B1 (ko) 생황토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20090103474A (ko) 기공을 살린 운모편 및 그 제조방법
US78327A (en)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stone
US335707A (en) Gustav liliebthal
KR100982354B1 (ko) 수질정화용 황토볼 제작방법과 황토볼
KR101639766B1 (ko) 현무암가루를 이용한 굳지않는 점토 및 그 제조방법
JP6539368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1205B1 (ko) 그래핀 원단으로 마감된 침대용 참숯 보료
KR20060007214A (ko) 황토 타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