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750B1 - 조경용 바람개비 - Google Patents

조경용 바람개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750B1
KR101638750B1 KR1020150173073A KR20150173073A KR101638750B1 KR 101638750 B1 KR101638750 B1 KR 101638750B1 KR 1020150173073 A KR1020150173073 A KR 1020150173073A KR 20150173073 A KR20150173073 A KR 20150173073A KR 101638750 B1 KR101638750 B1 KR 101638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rotation
support
wind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30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환
Original Assignee
진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환 filed Critical 진승환
Priority to KR10201501730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7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0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the axis being vert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3/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3/06Rotors
    • F03D3/061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e.g. aerofoil prof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2/00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C32/04Bea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magnetic or electric supporting means
    • F16C32/0406Magnetic bearings
    • F16C32/0408Passive magnetic bearings
    • F16C32/0423Passive magnetic bearings with permanent magnets on both parts repelling each other
    • F16C32/0425Passive magnetic bearings with permanent magnets on both parts repelling each other for radial load mai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21Rotors for wind turbines
    • F05B2240/211Rotors for wind turbines with vertical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50Bearings
    • F05B2240/51Bearings magnetic
    • F05B2240/511Bearings magnetic with permanent mag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31Wind mo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4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perpendicular to the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에 있어서: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지주대(11)와, 지주대(11)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봉(15)과, 상기 지주대(11)와 회전봉(15) 내부에 삽설하여 회전봉(15)을 지지하는 지주봉(13)을 구비하는 기둥(10); 상기 기둥(10)의 지주봉(13) 상에 회전봉(15)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수단(30)을 구비하고, 회전봉(15)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끝단에 바람(W)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날개(22)를 구비하되, 지지대(21)가 회전봉(15)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시 심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켜 회전봉(15)에 바람(W)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0); 및 상기 회전봉(15)의 끝단에 회전수단(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로 고정하여 회전 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자력의 부상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력을 얻는 동시에 마찰을 줄여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경용 바람개비{The structure of a pinwheel for landscape}
본 발명은 조경용 바람개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로 고정하여 회전 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자력의 부상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력을 얻는 동시에 마찰을 줄여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조경용 바람개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람개비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구비하면서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풍량계, 풍력발전기 등으로 활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바, 풍량계의 경우 풍속을 측정하는 역할과 함께 풍력발전기의 경우 날개를 이용하여 자연의 바람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바람개비는 바람에 회전되는 날개에 의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어 도로, 건물,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조경용으로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439호에 따르면, ‘바람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유도편과; 상기 유도편의 전단이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에 연결되며 상기 유도편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회동축과; 그리고,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및 날개를 구비하되; 한쌍의 상기 유도편은 하단이 서로 결합되고 상단은 개방되며,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풍향계.’를 제시한다.
이러한, 조경용 풍향계는 조경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강한 바람이 발생할 경우 빠른 회전력을 통해 풍향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어 수리 및 교체 등의 문제가 항상 발생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439호 “조경용 풍향계”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로 고정하여 회전 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자력의 부상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력을 얻는 동시에 마찰을 줄여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조경용 바람개비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에 있어서: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지주대와, 지주대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봉과, 상기 지주대와 회전봉 내부에 삽설하여 회전봉을 지지하는 지주봉을 구비하는 기둥; 상기 기둥의 지주봉 상에 회전봉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수단을 구비하고, 회전봉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의 끝단에 바람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날개를 구비하되, 지지대가 회전봉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시 심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켜 회전봉에 바람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날개; 및 상기 회전봉의 끝단에 회전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회전수단은 지주봉의 상부에 안착하여 상하 분할 형성되는 자력대와, 자력대의 내부에 수용되어 서로 상극으로 밀착하여 부상되는 자석과, 자력대의 상부와 회전봉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주봉으로부터 회전봉이 회전되게 구비하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로 고정하여 회전 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자력의 부상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력을 얻는 동시에 마찰을 줄여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분해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전체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분해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결합된 형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에 관련되며, 기둥(10), 회전날개(20), 회전수단(30), 고정구(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10)은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지주대(11)와, 지주대(11)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봉(15)과, 상기 지주대(11)와 회전봉(15) 내부에 삽설하여 회전봉(15)을 지지하는 지주봉(13)을 구비한다. 기둥(10)은 도로, 건물, 공원 등 다양한 장소의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지주대(11)가 고정된다. 이러한, 지주대(11)의 상부로 회전봉(15)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주대(11)와 회전봉(15)의 내부에 각각 삽설되는 지주봉(13)이 형성된다. 지주봉(13)은 고정된 지주대(11) 상에 회전봉(15)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후 회전수단(30)과 연동됨에 따라 이는 후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지주봉(13)은 지주대(11)와 회전봉(15)보다 작은 원주로 형성되어 하부는 지주대(11)에 삽설되어 고정되고, 상부는 회전봉(15)에 삽설되어 상기 회전봉(15)이 지주대(11)에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날개(20)는 상기 기둥(10)의 지주봉(13) 상에 회전봉(15)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수단(30)을 구비하고, 회전봉(15)에 바람(W)을 통해 회전한다. 회전날개(20)는 회전봉(15) 상에 일체로 삽설 고정되어 회전봉(15)이 바람(W)과 회전수단(30)을 통해 회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회전날개(20)는 회전봉(15)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끝단에 바람(W)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날개(22)를 구비하되, 지지대(21)가 회전봉(15)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시 심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날개(20)는 회전봉(15)에 고정되기 위하여 일자 형태의 지지대(21)가 형성되고, 지지대(21)의 끝단에는 날개(22)가 형성되는데 날개(22)는 바람(W)의 압력에 의해 원활한 회전과 회전 방향을 설정하도록 절곡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지지대(21)는 회전봉(15)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 각도가 틀어지도록 다수개가 고정되어 회전하게 됨으로 회전 시 심미감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상기 일정 각도가 일정하게 틀어져 고정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하 방향으로 틀어진 각도는 임의로 설정할 수 도 있고, 심미감 향상을 위해 날개(22)를 개별적으로 색을 달리하여 여러 가지 색이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30)은 지주봉(13)의 상부에 안착하여 상하 분할 형성되는 자력대(32)(34)와, 자력대(32)(34)의 내부에 수용되어 서로 동극으로 밀착하여 부상되는 자석(33)(35)과, 자력대(34)의 상부와 회전봉(15)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주봉(13)으로부터 회전봉(15)이 회전되게 구비하는 베어링(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수단(30)은 지주봉(13)과 회전봉(15) 사이에 위치하여 지주대(11)에 고정된 지주봉(13)을 중심으로 회전봉(15)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 상술한 회전날개(2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회전수단(30)은 지주봉(13)의 상부 내부에 자력대(32)가 삽설 고정되고, 그 상부에 또 다른 자력대(34)가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자력대(32)(34)에는 각각의 자석(33)(35)이 삽설되는 바, 자석(33)(34)은 서로 동일한 극이 밀착함에 따라 부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자력대(34)의 상부에는 베어링(31)의 일면 하부가 일체로 고정되고, 타측 측면이 회전봉(15)의 내부면과 일체로 고정되어 회전날개(20)가 바람(W)에 의해 압력이 가해지면 회전봉(15)은 각각의 자석(33)(35)에 의해 부상된 상태로 베어링(31)을 통해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자석(33)(35)을 통해 공중에 부상된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회전수단(30)은 어떠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게 됨으로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40)는 상기 회전봉(15)의 끝단에 회전수단(30)의 이탈을 방지한다. 고정구(40)는 회전봉(15)의 상부 끝단에 고정되어 내부에 수용된 회전수단(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바, 고정구(40)는 회전봉(15)의 상부에 용접 등을 통해 일체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회전수단(30)이 자석(33)(35)에 의한 마찰이 발생하지 않아 오랜 시간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용접을 통한 일체가 아닌 체결 방식을 통해 상기 고정구(40)를 고정하여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수리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도 있다. 그리고, 고정구(40)에는 바람(W)의 영향을 주지 않도록 원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무방하지만, 광고 등의 목적으로 여러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다만, 이러한 경우 바람(W)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합하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기둥(10)의 지주대(11)를 볼트 등을 통해 지면에 고정한 상태로 지주대(11) 내부에 지주봉(13)을 고정 시킨다. 그리고, 지주봉(13)에는 회전봉(15)이 삽설되어 위치하는 바, 이때 바람(W)의 압력에 의해 회전날개(20)의 날개(22)를 가압하게 되면 회전날개(20)와 지지대(21)를 통해 일체로 고정된 회전봉(15)이 자석(33)(35)의 자력과 함께 베어링(31)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날개(20)의 날개(22)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있음으로 회전 시 심미감이 향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날개를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로 고정하여 회전 시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자력의 부상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원활한 회전력을 얻는 동시에 마찰을 줄여줌으로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기둥 11: 지주대
13: 지주봉 15: 회전봉
20: 회전날개 21: 지지대
22: 날개 30: 회전수단
31: 베어링 32, 34: 자력대
33, 35: 자석 40: 고정구

Claims (3)

  1.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에 있어서:
    지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 지주대(11)와, 지주대(11)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봉(15)과, 상기 지주대(11)와 회전봉(15) 내부에 삽설하여 회전봉(15)을 지지하는 지주봉(13)을 구비하는 기둥(10);
    상기 기둥(10)의 지주봉(13) 상에 회전봉(15)의 원활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하는 회전수단(30)을 구비하고, 회전봉(15) 상에 일체로 고정되는 지지대(21)와, 지지대(21)의 끝단에 바람(W)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날개(22)를 구비하되, 지지대(21)가 회전봉(15) 상에 상하 방향으로 일정각도 틀어진 위치에 고정되어 회전 시 심미감을 더욱 더 향상시켜 회전봉(15)에 바람(W)을 통해 회전하는 회전날개(20); 및
    상기 회전봉(15)의 끝단에 회전수단(30)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바람개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30)은 지주봉(13)의 상부에 안착하여 상하 분할 형성되는 자력대(32)(34)와, 자력대(32)(34)의 내부에 수용되어 서로 동극(同極)으로 밀착하여 부상되는 자석(33)(35)과, 자력대(34)의 상부와 회전봉(15)의 내측에 고정되어 지주봉(13)으로부터 회전봉(15)이 회전되게 구비하는 베어링(3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바람개비.
KR1020150173073A 2015-12-07 2015-12-07 조경용 바람개비 KR101638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73A KR101638750B1 (ko) 2015-12-07 2015-12-07 조경용 바람개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073A KR101638750B1 (ko) 2015-12-07 2015-12-07 조경용 바람개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750B1 true KR101638750B1 (ko) 2016-07-11

Family

ID=5649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3073A KR101638750B1 (ko) 2015-12-07 2015-12-07 조경용 바람개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87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6593A (zh) * 2016-10-14 2017-01-04 深圳邦忠风力发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悬浮主轴结构及发电机组
KR200486899Y1 (ko) * 2018-01-24 2018-08-07 신명수 수직형 선풍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207U (ko) * 1998-10-17 1999-01-25 현남식 바람 회전기
JP2001099046A (ja) * 1999-10-01 2001-04-10 Minoru Sugiyama 磁力浮上無重力構造による発電機重、プロペラローター重、同時消減発電システム
KR200359439Y1 (ko) 2004-05-19 2004-08-21 이장열 조경용 풍향계
KR100993767B1 (ko) * 2010-08-20 2010-11-12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승·하강 수직 풍력발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4207U (ko) * 1998-10-17 1999-01-25 현남식 바람 회전기
JP2001099046A (ja) * 1999-10-01 2001-04-10 Minoru Sugiyama 磁力浮上無重力構造による発電機重、プロペラローター重、同時消減発電システム
KR200359439Y1 (ko) 2004-05-19 2004-08-21 이장열 조경용 풍향계
KR100993767B1 (ko) * 2010-08-20 2010-11-12 주식회사 제나드시스템 승·하강 수직 풍력발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6593A (zh) * 2016-10-14 2017-01-04 深圳邦忠风力发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磁悬浮主轴结构及发电机组
KR200486899Y1 (ko) * 2018-01-24 2018-08-07 신명수 수직형 선풍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832B1 (ko)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US20060120872A1 (en) Vertical shaft-type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blade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wheel for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and wind power generation plant for wind protection
US20100213716A1 (en) Fluid flow energy concentrator
CN102032099A (zh) 组装风力涡轮机中使用的转子叶片延伸部的系统及方法
KR101638750B1 (ko) 조경용 바람개비
US20180142673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lade angle based on centrifugal force
KR101938529B1 (ko) 바람개비 조형물
JP3207547U (ja) 角度可変式太陽光発電パネル架台
KR101316599B1 (ko) 양기둥 병합발전 시스템
RU2286478C2 (ru) Ветроэлектроагрегат сегментного типа
KR101187792B1 (ko)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CN206017198U (zh) 风扇上下摆动结构
KR200359439Y1 (ko) 조경용 풍향계
CN107642208A (zh) 一种可组合建筑装饰栏
KR200425083Y1 (ko) 발전가능한 회전간판
JP2008019837A (ja) 照明表示塔並びに縦軸風車
RU2573441C2 (ru) Ветродвигатель
JP2010071237A (ja) 風力発電装置
CN215962154U (zh) 风车
KR200496247Y1 (ko) 무전원 가로등의 회전블레이드
KR100754367B1 (ko) 풍력발전용 회전날개
KR100345771B1 (ko) 조형물 회전식 간판 고정 장치
KR101387351B1 (ko) 수직축형 풍력 발전 장치
CN201655233U (zh) 风车动力广告架
CN210342846U (zh) 整体式电力铁塔立柱连接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