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832B1 -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 Google Patents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832B1
KR101649832B1 KR1020150157186A KR20150157186A KR101649832B1 KR 101649832 B1 KR101649832 B1 KR 101649832B1 KR 1020150157186 A KR1020150157186 A KR 1020150157186A KR 20150157186 A KR20150157186 A KR 20150157186A KR 101649832 B1 KR101649832 B1 KR 101649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nd
fixed
rotation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승환
Original Assignee
진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승환 filed Critical 진승환
Priority to KR1020150157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8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2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 F03D1/025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having a plurality of rotors coaxi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0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orientation in relation to wind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7/00Controlling wind motors 
    • F03D7/02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7/0244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braking
    • F03D7/0248Controlling wind motors  the wind motors having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for braking by mechanical means acting on the power tr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20Rotors
    • F05B2240/30Characteristics of rotor blades, i.e. of any element transforming dynamic fluid energy to or from rotational energy and being attached to a r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0Braking
    • F05B2260/902Braking using frictional mechanical fo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의 구조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11)을 구비하는 기둥(10); 상기 기둥(10)의 베어링(11) 상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후단에 불어오는 바람(W)에 의해 지지대(20)의 방향을 유도하는 꼬리날개(30); 상기 지지대(20) 상에 삽설된 상태로 외주에 바람(W)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날개(43)를 갖는 회전부(41)를 구비하는 회전수단(40); 및 상기 지지대(20) 상에 회전수단(40)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회전수단(40)의 과도한 회전을 감속하여 일정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대(20) 상에 고정되는 고정대(51)와, 회전부(41) 상에 고정되면서 고정대(5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회전 속도를 줄이는 패드(52)와, 패드(52) 내부에 수용되어 바람(W)의 가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부(41)를 지지하는 스프링(53)을 구비하는 제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강한 바람에 의해 빠른 회전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The structure of a pinwheel for landscape}
본 발명은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강한 바람에 의해 빠른 회전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바람개비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날개를 구비하면서 바람의 방향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풍량계, 풍력발전기 등으로 활용하여 사용이 가능한 바, 풍량계의 경우 풍속을 측정하는 역할과 함께 풍력발전기의 경우 날개를 이용하여 자연의 바람 에너지를 기계 에너지로 변환시켜 발전하게 된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러한 바람개비는 바람에 회전되는 날개에 의하여 다양한 심미감을 표현할 수 있어 도로, 건물, 공원 등 다양한 장소에서 조경용으로 설치하여 활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439호에 따르면, ‘바람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쌍의 유도편과; 상기 유도편의 전단이 결합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내부에 베어링이 설치되고, 이 베어링에 연결되며 상기 유도편의 반대 방향에 위치되는 회동축과; 그리고, 상기 회동축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 및 날개를 구비하되; 한쌍의 상기 유도편은 하단이 서로 결합되고 상단은 개방되며,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기울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풍향계.’를 제시한다.
이러한, 조경용 풍향계는 조경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여야 하지만, 강한 바람이 발생할 경우 빠른 회전력을 통해 풍향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없어 수리 및 교체 등의 문제가 항상 발생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59439호 “조경용 풍향계”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강한 바람에 의해 빠른 회전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의 구조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을 구비하는 기둥; 상기 기둥의 베어링 상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의 후단에 불어오는 바람에 의해 지지대의 방향을 유도하는 꼬리날개; 상기 지지대 상에 삽설된 상태로 외주에 바람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날개를 갖는 회전부를 구비하는 회전수단; 및 상기 지지대 상에 회전수단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회전수단의 과도한 회전을 감속하여 일정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대 상에 고정되는 고정대와, 회전부 상에 고정되면서 고정대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회전 속도를 줄이는 패드와, 패드 내부에 수용되어 바람의 가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부를 지지하는 스프링을 구비하는 제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부는 외주에 등간격 배치되어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과, 관통공 상에 삽설하여 바람에 의해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회전날개와, 관통공과 서로 연통되어 삽설된 회전날개를 고정할 수 있게 고정공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의 회전부는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람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날개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회전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강한 바람에 의해 빠른 회전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회전날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및 2b는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회전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의 구조에 관련되며, 기둥(10), 지지대(20), 꼬리날개(30), 회전수단(40), 제동수단(5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둥(10)은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11)을 구비한다. 기둥(10)의 경우 지면에서부터 수직 방향으로 고정수단(미도시)에 의해 고정되는데 도로, 건물, 공원 등의 다양한 장소에 설치 가능하다. 이러한, 기둥(10)의 상부에는 후술하여 설명할 지지대(20)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베어링(11)을 장착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지지대(20)는 상기 기둥(10)의 베어링(11) 상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된다. 지지대(20)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둥(10)에 형성된 베어링(1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기둥(10)이 수직 방향으로 고정된다면 지지대(20)는 측면에서 불어오는 바람(W) 방향과 대응될 수 있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20)를 통해 완성된 바람개비는 마치 ‘T’자 형태로 형성되어 회전하게 되지만, 지지대(20)를 생략한 상태로 수직 방향의 바람(W)을 수용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꼬리날개(3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단에 불어오는 바람(W)에 의해 지지대(20)의 방향을 유도한다. 꼬리날개(30)는 지지대(20)의 끝단에 일체로 구비하여 바람(W)이 불어오는 방향에 따라 기둥(10)의 상부에 베어링(11)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한 지지대(20)의 회전 방향을 유도하게 된다. 꼬리날개(30)는 수직 방향의 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불어오는 바람(W)의 압력을 지지하여 지지대(20)를 회전시키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회전수단(40)은 상기 지지대(20) 상에 삽설된 상태로 외주에 바람(W)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날개(43)를 갖는 회전부(41)를 구비한다. 회전수단(40)은 회전부(41) 상에 다수개의 회전날개(43)가 삽설되어 바람(W)의 압력을 통해 회전날개(43)로부터 회전부(41)는 지지대(20)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부(41)는 외주에 등간격 배치되어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42)과, 관통공(42) 상에 삽설하여 바람(W)에 의해 회전부(41)를 회전시키는 회전날개(43)와, 관통공(42)과 서로 연통되어 삽설된 회전날개(43)를 고정할 수 있게 고정공(44)을 구비한다. 원형의 회전부(41)는 중앙이 관통되어 지지대(2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고, 내, 외부가 관통된 상태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관통공(42)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42)에 회전날개(43)를 삽설되는 바, 상기 회전날개(43)를 고정하기 위하여 관통공(42)과 서로 연통되게 형성되는 고정공(44) 상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회전날개(43)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수단(40)은 고정된 회전날개(43)가 바람(W)을 통해 회전하게 되는 바, 회전수단(40)은 하나로 한정하지 않고, 하나 이상 지지대(20)에 삽설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의 회전날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때, 상기 회전부(41)는 관통공(42)이 임의의 각도로 형성하여 회전날개(43)가 기울어진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은 회전날개(43)가 수직 방향으로 삽설할 수 있도록 하여 고정될 수 있지만, 관통공(42)이 일정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관통됨에 따라 회전날개(43)도 역시 기울어진 상태로 삽설하여 회전하게 됨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부(41)는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람(W)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날개(43)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회전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부(41)는 지지대(20) 상에 하나 이상 설치되는 바, 바람(W)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개(43)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절곡된 회전날개(43)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대응되도록 함에 따라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심미감이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동수단(50)은 상기 지지대(20) 상에 회전수단(40)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회전수단(40)의 과도한 회전을 감속하여 일정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한다. 제동수단(50)은 상술한 회전수단(40)의 회전력을 감속시켜 일정한 회전률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강한 바람(W)을 통해 과도한 회전이 발생할 경우 회전날개(43)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회전을 통해 조경용으로 써, 사용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제동수단(50)은 지지대(20) 상에 고정되는 고정대(51)와, 회전부(41) 상에 고정되면서 고정대(5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회전 속도를 줄이는 패드(52)와, 패드(52) 내부에 수용되어 바람(W)의 가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부(41)를 지지하는 스프링(53)을 구비한다. 제동수단(50)은 고정대(51)와 회전부(41) 사이에 패드(52)를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고, 패드(52) 내부에 지지대(20)에 장착된 스프링(53)이 삽설되는 바, 바람(W)에 의해 회전날개(43)가 회전되면서 후방으로 밀리게 되면 회전부(41)에 고정되어 있는 패드(52)가 고정대(51)에 맞닿아 회전부(41)의 회전을 감속하여 일정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바람(W)의 세기가 약해지면 회전부(41)의 밀림도 함께 약해져 스프링(53)의 탄성력으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회전날개(43)의 회전을 유지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에 있어서, 먼저 바람(W)이 불어 회전날개(43)를 회전시키면서 가압하게 되면 회전부(41)는 스프링(53)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상태임으로 상기 바람(W)의 세기에 따라 회전부(41)는 후방으로 밀려나 고정되어 있는 패드(52)가 고정대(51)와 맞닿게 됨으로 회전날개(43)의 회전력을 조절할 수 있어 심미감이 향상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바람개비를 통해 심미감을 향상시키고, 강한 바람에 의해 빠른 회전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리 및 교체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기둥 11: 베어링
20: 지지대 30: 꼬리날개
40: 회전수단 41: 회전부
42: 관통공 43: 회전날개
44: 고정공 50: 제동수단
51: 고정대 52: 패드
53: 스프링 W: 바람

Claims (4)

  1. 바람(W)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바람개비의 구조에 있어서: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고정되고,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11)을 구비하는 기둥(10);
    상기 기둥(10)의 베어링(11) 상에 수평 방향으로 고정되어 회전되는 지지대(20);
    상기 지지대(20)의 후단에 불어오는 바람(W)에 의해 지지대(20)의 방향을 유도하는 꼬리날개(30);
    상기 지지대(20) 상에 삽설된 상태로 외주에 바람(W)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회전날개(43)를 갖는 회전부(41)를 구비하는 회전수단(40); 및
    상기 지지대(20) 상에 회전수단(40)과 근접하게 설치되고, 회전수단(40)의 과도한 회전을 감속하여 일정한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대(20) 상에 고정되는 고정대(51)와, 회전부(41) 상에 고정되면서 고정대(5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마찰에 의해 회전 속도를 줄이는 패드(52)와, 패드(52) 내부에 수용되어 바람(W)의 가압력에 의해 밀려나는 회전부(41)를 지지하는 스프링(53)을 구비하는 제동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부(41)는 외주에 등간격 배치되어 관통되는 다수개의 관통공(42)과, 관통공(42) 상에 삽설하여 바람(W)에 의해 회전부(41)를 회전시키는 회전날개(43)와, 관통공(42)과 서로 연통되어 삽설된 회전날개(43)를 고정할 수 있게 고정공(44)을 구비하는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40)의 회전부(41)는 하나 이상 설치되어 바람(W)으로 인한 회전 방향을 설정하게 절곡 형성되는 회전날개(43)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으로 서로 교차되게 회전되어 심미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4. 삭제
KR1020150157186A 2015-11-10 2015-11-10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KR101649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86A KR101649832B1 (ko) 2015-11-10 2015-11-10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186A KR101649832B1 (ko) 2015-11-10 2015-11-10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832B1 true KR101649832B1 (ko) 2016-08-19

Family

ID=56875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186A KR101649832B1 (ko) 2015-11-10 2015-11-10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83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35612A (zh) * 2017-03-31 2017-08-11 成都协恒科技有限公司 基于风力发电的施工用房
KR102444419B1 (ko) 2022-04-22 2022-09-20 크리에이티브오늘 주식회사 모자용 포장상자
US11490611B2 (en) * 2016-01-15 2022-11-08 Jason Paul Ebberson Rotating fin device for powerline preservation
KR102499099B1 (ko) 2021-09-06 2023-02-10 권일호 지상 설치형 바람개비 조립체
KR20230162215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에코메이커스 여닫이문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13Y1 (ko) * 2001-08-13 2002-04-1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200359439Y1 (ko) 2004-05-19 2004-08-21 이장열 조경용 풍향계
KR20120050848A (ko) * 2010-11-11 2012-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공회전 상태에서 회전력을 이용한 소형 발전 장치
JP2012097700A (ja) * 2010-11-04 2012-05-24 Konsuto:Kk 風力発電装置
KR20120128458A (ko) * 2011-05-17 2012-11-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513Y1 (ko) * 2001-08-13 2002-04-10 사희명 더블허브 프로펠러형 풍력발전기
KR200359439Y1 (ko) 2004-05-19 2004-08-21 이장열 조경용 풍향계
JP2012097700A (ja) * 2010-11-04 2012-05-24 Konsuto:Kk 風力発電装置
KR20120050848A (ko) * 2010-11-11 2012-05-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의 공회전 상태에서 회전력을 이용한 소형 발전 장치
KR20120128458A (ko) * 2011-05-17 2012-11-2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풍력발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611B2 (en) * 2016-01-15 2022-11-08 Jason Paul Ebberson Rotating fin device for powerline preservation
CN107035612A (zh) * 2017-03-31 2017-08-11 成都协恒科技有限公司 基于风力发电的施工用房
KR102499099B1 (ko) 2021-09-06 2023-02-10 권일호 지상 설치형 바람개비 조립체
KR102444419B1 (ko) 2022-04-22 2022-09-20 크리에이티브오늘 주식회사 모자용 포장상자
KR20230162215A (ko) 2022-05-20 2023-11-28 주식회사 에코메이커스 여닫이문에 설치되는 접이식 계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9832B1 (ko) 조경용 바람개비의 구조
GB2428750A (en) Flow-controlled windmill comprising wind-dependent blade orientation
US20180142673A1 (en) Vertical axis wind turbine with automatic adjustment of blade angle based on centrifugal force
US4154556A (en) Devices for utilizing the power of the wind
WO2008141763A3 (de) Trägerarm für die flügel von windturbinen mit senkrechter drehachse
WO2009099344A3 (en) Wind turbine rotor with the the vertical rotation axis
KR101638750B1 (ko) 조경용 바람개비
GB2475843A (en) Drag-type horizontal transverse axis generating wind turbine with deflector and regulating stator.
JP7429692B2 (ja) ロ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ロータアセンブリを含む風車
CN102287324A (zh) 自动改变作动面积之风车叶片结构
KR101187792B1 (ko) 풍력 발전용 날개 조립체
CN101225793A (zh) 一种风车及以其组成的风力发电装置
CN107387310A (zh) 一种风能动态装置
CN103541859A (zh) 一种叶片及其制造方法和安装此叶片的发电机
JPS58119976A (ja) 水平回転風車
KR20110113290A (ko) 수직형 풍력발전용 풍력증강장치
KR20180064696A (ko) 수평형 풍력발전기
CN216430000U (zh) 一种可延长扇叶的吊扇灯
CN203548059U (zh) 一种叶片及安装此叶片的发电机
CN104061181A (zh) 自动调节角度的吸顶式摇头电风扇导向机构
CN216930534U (zh) 一体机环境监控与亮度调节装置
CN208875211U (zh) 一种新型驱鸟器
CN215962154U (zh) 风车
KR100655622B1 (ko) 회전식 이중 현수막 고정장치
CN105888966A (zh) 垂直轴风力发电机的水平轴活动风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