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8285B1 -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8285B1
KR101638285B1 KR1020150050089A KR20150050089A KR101638285B1 KR 101638285 B1 KR101638285 B1 KR 101638285B1 KR 1020150050089 A KR1020150050089 A KR 1020150050089A KR 20150050089 A KR20150050089 A KR 20150050089A KR 101638285 B1 KR101638285 B1 KR 101638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user terminal
address
video signal
satellite antenn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0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승준
고재호
한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두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두잇
Priority to KR1020150050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8285B1/ko
Priority to EP16163958.8A priority patent/EP3079366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1Adapting the multiplex stream to a specific network, e.g. an Internet Protocol [IP]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09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transcoding between formats or standards, e.g. from MPEG-2 to MPEG-4 or from Quicktime to Real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43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04N21/64322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20Adaptations for transmission via a GHz frequency band, e.g. via satelli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1Transmission circuitry, e.g. infrared [IR] or radio frequency [R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된 IP 데이터 형태의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신호를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forwarding)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OF SUPPLYING VIDEO SIGNALS RECEIVED BY SATELLITE ANTENNA TO A PLURALITY OF USER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연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를 이용하여 전송 가능하도록 변환된 IP 데이터 형태의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연관된다.
캠핑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아웃도어 위성 안테나 또는 차량용 위성 안테나에 대한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다만, 종래의 차량용 위성 안테나의 경우는 셋탑 박스(set top box)를 통해 위성 신호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동시간에 1개의 채널만이 시청 가능하다는 점과 차량을 벗어난 외부 환경에서는 TV를 시청하기 어렵다는 점과 같은 불편함이 존재했다.
영상 신호를 IP를 이용하여 전송 가능한 IP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고, 각각의 TV 채널 신호에 IP 주소를 할당하여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위성 안테나 장치 및 그 통신 방법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일측에 따르면,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는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신호를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forwarding)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송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제어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위성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분리된 원격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망(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원격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TV 채널 및 상기 제2 TV 채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성 안테나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적외선(IR: Infrared Ray) 채널 및 RF(Radio Frequency)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원격 제어부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TV 채널에 대한 제3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요청에 응답하여 제3 IP 주소를 상기 원격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전송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IP 주소로 포워딩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3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다른 일측에 따르면, 영상 신호의 통신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통신 방법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단계,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방법은 영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영상 신호를 IP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IP 데이터에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 및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방법은 원격 제어부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TV 채널에 대한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요청에 응답하여 제3 IP 주소를 상기 원격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원격 제어부가 수신된 상기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제3 IP 주소로 포워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측에 따르면, 원격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고 위성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1 요청에 대응하는 제1 IP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요청에 대응하는 제2 IP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제1 IP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forwarding)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제2 IP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송부 및 사용자로부터 위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제어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위성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TV 채널 및 상기 제2 TV 채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성 안테나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부를 구비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일부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연관되는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것으로 선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 및/또는 변화, 관례, 기술자의 선호 등에 따라 다른 용어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위성 안테나(100)를 통하여 인공 위성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영상 신호는 DVB(Digital Video Brocasting)-S(Satellite) 방식 및 DVB-T(Terrestrial)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 (IP: Internet Protocol)을 이용하여 전송 가능한 IP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RF(Radio Frequency) 영상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복조된 RF 영상 신호를 DVB-S 계층(layer) 또는 DVB-S2 계층 중 어느 하나에서 IP(Internet Protocol) 전송 계층으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20, 130, 140)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로 적어도 하나의 TV 채널에 대한 요청(121,131,141)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요청(121, 131, 141)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요청(121, 131, 141) 서로 다른 TV 채널에 대응하는 영상 신호에 대한 요청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세 개의 사용자 단말기(120, 130, 140)를 도시한다. 다만, 또 다른 일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 일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가 차량 지붕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지만, 그 위치는 차량의 어느 곳에든지 부착될 수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량에 탈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위성 안테나(100)의 일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위성 안테나(100)의 수신면의 반대 부분에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 단말기는 오늘날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기기를 의미하고, 일례로서 휴대폰(120), 타블렛(130) 컴퓨터, 및 노트북(140) 중의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본원 발명이 앞서 기재된 전자기기들(120, 130, 140)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제1 요청(121), 제2 요청(131) 및 제3 요청(141)에 응답하여 IP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120, 130, 140)에 할당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복수의 요청(121, 131, 141)의 각각이 서로 다른 TV 채널에 연관되는 경우에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제1 IP 주소를 제1 사용자 단말기(120)에 할당하고, 제2 IP 주소를 제2 사용자 단말기(130)에 할당하고, 제3 IP 주소를 제3 사용자 단말기(140)에 할당할 수 있다. 더하여,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IP 데이터에서 복수의 요청에 대응하는 각각의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추출된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1 IP 주소로 포워딩(forwarding)하고,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2 IP 주소로 포워딩하고,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3 IP 주소로 포워딩 할 수 있다.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120, 130, 140)는 할당된 IP 주소에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하고, 원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출력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영상 신호는 생방송 TV 영상 신호뿐만 아니라 스포츠 하이라이트 영상,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내에 기저장된 TV 프로그램 영상 및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내에 기저장된 영화 영상일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이 위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실이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110)는 위성 안테나와 이격되어 상기 위성 안테나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사용자 단말기(120, 130, 140)는 원격 제어 장치로 요청(121, 131, 141)을 전송하고 원격 제어 장치가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IP 주소를 직접 할당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200)는 수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200)는 플랫(flat) 위성 안테나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200)는 아웃도어 위성 안테나 또는 차량용 위성 안테나에 부착될 수 있다.
수신부(210)는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영상 신호는 위성 방송(satellite broadcasting)에 연관되는 영상 신호일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수신부(210)는 수직 편파 신호 및 수평 편파 신호를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영상 신호로서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수신부(21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TV 채널에 대한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IP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220)는 수신된 영상 신호를 복조(demodulation)하고 IP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수신부(210)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요청을 확인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확인은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개수에 기초하여 프로세서(220)는 IP 주소를 각각의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220)는 IP 데이터에서 특정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특정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IP 주소로 포워딩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IP 주소에 접속하여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출력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감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신부(210)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한 경우를 가정해보자.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제1 IP 주소를 할당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제2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더하여, 전송부(230)는 제1 IP 주소로 제1 TV 채널에 대한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고, 제2 IP 주소로 제2 TV 채널에 대한 영상 신호를 포워딩할 수 있다. 만약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제1 TV 채널에 대한 새로운 제3 요청을 전송한 경우에, 프로세서(220)는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하지 않고, 기할당된 제2 IP 주소에 제1 TV 채널에 대한 영상 신호를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는 상이한 사용자 단말기가 같은 TV 채널 또는 서로 다른 TV 채널에 대한 영상 신호 각각을 동시에 서로 다른 장소에서 출력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가 전송하는 채널에 대한 요청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와 무관하게 원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감상할 수 있다.
전송부(230)는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 TV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특정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IP 주소로 포워딩할 수 있다. 상기 전송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부를 구비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본체(310)와 원격 제어부(3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본체(310)와 원격 제어부(320)는 서로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본체(310)는 도 2에서 도시된 수신부(210), 프로세서(220) 및 전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본체(310)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체(310)는 위성 안테나(300)를 통하여 인공 위성으로부터 위성 방송에 대한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영상 신호는 DVB(Digital Video Brocasting)-S(Satellite) 방식, DVB-T(Terrestrial) 방식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하여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본체(310)는 영상 신호의 수신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위성 안테나(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32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부(320)에 존재하는 입력 버튼을 눌러 원하는 위치 제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320)는 상기 위치 제어 정보를 본체(310)에 전송(321)하여 위성 안테나(3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전송(321)은 근거리 통신망(Near Field Communication)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송(321)은 적외선(IR: Infrared Ray) 채널 및 RF(Radio Frequency)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망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사용자가 시청하려고 하는 TV 채널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본체(31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 안테나(300)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앙각은 위성 안테나(300)가 위성을 바라보는 각도를 나타낸다. 더하여, 방위각은 위성 안테나(300)의 위치를 기준으로 한 위성의 방향을 동, 서, 남, 북으로 나타낸 것이고, 스큐는 위성 안테나(300)를 통하여 수신되는 편파가 지면과 이루를 각도를 나타낸다.
또한 원격 제어부(320)는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로부터 TV 채널에 대한 요청(331, 341, 351)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는 특정 TV 채널에 대한 요청을 본체(310)와 위성 안테나(300)와 분리된 원격 제어부(320) 중에서 어느 하나에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는 특정 TV 채널에 대한 요청을 본체(310)의 수신부(21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는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더 넓은 수신 범위를 가질 수 있고, 더하여 더 좋은 수신 감도를 기대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3에는 세 개의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가 도시되지만, 사용자 단말기는 적어도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원격 제어부(320)는 요청(331, 341, 351)을 본체(310)로 전송(321)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부(320)는 상기 요청(331, 341, 351)을 본체(310)의 수신부(210)로 전송(321)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체(310)의 프로세서(220)는 IP 데이터에서 요청(331, 341, 351)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220)는 요청(331, 341, 351)에 대응하는 사용자 단말기의 개수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 각각에 대응하는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도 5의 경우에는, 프로세서(22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30)에 제1 IP 주소를 할당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340)에 제2 IP 주소를 할당하고, 제3 사용자 단말기(350)에 제3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다.
원격 제어부(320)는 요청(331, 341, 351)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본체(31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격 제어부(320)는 본체(310)의 전송부(230)가 전송한 상기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더하여, 원격 제어부(320)는 수신한 영상 신호를 IP 주소로 포워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기(330, 340, 350)는 각각에 할당된 IP 주소에 접속하여 원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감상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원격 제어부(320)는 핸드 핼드(hand hel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원격 제어부(320)는 무선 라우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상기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화면에서 출력 가능한 모든 영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앞서 기재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당업자에게 자명한 실시예들까지 확장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400)는 원격 제어부(410), 수신부(420), 프로세서(430) 및 전송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원격 제어부(410)는 프로세서(430)와 분리되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원격 제어부(410)는 핸드 핼드(handhel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원격 제어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위치 제어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사용자가 시청하려고 하는 TV 채널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프로세서(430)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위성 안테나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할 수 있다. 더하여, 원격 제어부(4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수신부(420)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요청에 응답하여 IP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430)는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제2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다. 프로세서(430)는 수신부(420)에 의해 수신된 영상 신호를 IP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더하여, 프로세서(430)는 상기 IP 데이터에서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 및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 각각을 추출할 수 있다.
전송부(440)는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원격 제어부(410)로 전송할 수 있다. 수신된 제1 요청에 대응하여 원격 제어부(410)는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1 IP 주소로 포워딩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제1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한다. 다른 한편, 전송부(440)는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직접 제2 IP 주소로 포워딩할 수 있다. 수신부(420)를 통해 수신된 제2 요청에 대응하여 전송부(440)는 직접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한다. 그 결과, 제2 사용자 단말기 제2 IP 주소에 접속하여 제2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단계(510)은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더하여, 단계(520)은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가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일실시예로서, 단계(510) 및 단계(520)은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수신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일실시예로서 단계(510) 및 단계(520)은 위성 안테나와 분리된 원격 제어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TV 채널에 대한 복수의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단계(510) 및 단계(52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에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더하여, 제1 TV 채널과 제2 TV 채널은 서로 상이한 TV 채널일 수 있다. 또한, 제1 TV 채널과 제2 TV 채널은 서로 동일한 TV 채널일 수 있다.
단계(530)은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제1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고,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단계이다. 추가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 중 어느 하나로부터 제3 TV 채널에 대한 새로운 제3 요청이 수신된 경우에는, 새로운 IP 주소를 할당하지 않고 기할당된 각각의 IP 주소를 사용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단계(530)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서(220, 43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더하여, 단계(530)는 무선 라우터(router) 장치를 이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단계(540)은 제1 IP 주소로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는 단계이다. 단계(550)은 제2 IP 주소로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는 단계이다.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는 각각 제1 IP 주소 및 제2 IP 주소로 접속하여 원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6은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와 사용자 단말기의 통신 방법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단계(610)는 원격 제어부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TV 채널에 대한 제3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이다. 일실시예로서, 원격 제어부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본체와 이격되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부는 핸드 핼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더하여, 제3 TV 채널은 앞서 도 5에서 기재한 제1 TV 채널 및 제2 TV 채널과는 상이한 TV 채널일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제3 사용자 단말기는 자신에 위치에 기초하여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원격 제어부 또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전송부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제3 TV 채널에 대한 제3 요청을 전송할 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3 사용자 단말기는 임의접속을 위한 신호의 품질(QoS: Quality of Signal)에 기초하여 제3 요청의 전송 대상을 선택할 수 있다.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망 범위(wireless communication coverage)를 C1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C1은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 안테나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최대 거리 r1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일 수 있다. 더하여,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 안테나에서 분리된 원격 제어부로부터 이격되어 데이터를 송수신 할 수 있는 최대 거리를 r2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원격 제어부 자체가 특정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IP 주소로 포워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반경이 r1+r2가 될 수 있다. 종래의 위성 안테나를 사용하는 경우의 반경인 r1보다 추가적으로 r2만큼 증가한 반경을 획득할 수 있다. 데이터 포워딩 기능을 구현한 원격 제어부를 구현하여, 사용자 단말기가 위성 안테나를 중심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범위가 증가할 수 있고 사용자는 위성 안테나와 이격되어 보다 자유로운 활동과 함께 원하는 영상 신호를 감상할 수 있다.
단계(620)는 제3 IP 주소를 제3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는 단계이다. 예시적으로, 단계(620)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22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원격 제어부가 제3 요청을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수신부(21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수신부(210)는 제3 요청을 수신하고 프로세서(220)는 제3 요청에 응답하여 제3 IP 주소를 제3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할 수 있다.
단계(630)는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원격 제어부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더하여, IP 데이터로부터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단계(630)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의 프로세서(220)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단계(640)은 원격 제어부가 수신된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제3 IP 주소로 포워딩하는 단계이다. 제3 사용자 단말기는 제3 IP 주소에 접속하여 원하는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단계(610), 단계(630) 및 단계(64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송수신은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서,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컨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1)

  1.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영상 신호를 수신하고, 복수의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TV 채널에 연관되는 복수의 요청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영상 신호를 IP(Internet Protocol)를 이용한 전송에 상응하는 IP 데이터로 변환하고, 상기 복수의 요청 각각에 응답하여 IP 주소를 상기 복수의 단말기 각각에 할당하는 프로세서;
    제1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forwarding)하고 제2 IP 주소로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송부;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제1 TV 채널 및 상기 제2 TV 채널 중 적어도 하나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공 위성의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위성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원격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성 안테나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부는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고,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스(Bluetooth) 통신망, Wi-Fi 통신망, Z-Wave 통신망, ZigBee 통신망 및 Wi-Max 통신망 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프로세서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분리된 원격 제어부는 근거리 통신망(Near Field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상기 프로세서를 원격 제어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망은 적외선(IR: Infrared Ray) 채널 및 RF(Radio Frequency) 채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부가 제3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3 TV 채널에 대한 제3 요청을 수신한 경우에,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3 요청에 응답하여 제3 IP 주소를 상기 원격 제어부를 통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원격 제어부는 상기 IP 데이터에서 추출된 상기 제3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상기 전송부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제3 IP 주소로 포워딩하여 상기 제3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제3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위성 안테나 제어 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TV 채널에 대한 제1 요청을 수신하고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2 TV 채널에 대한 제2 요청을 수신하고 위성 안테나로부터 상기 제1 요청에 대응하는 제1 IP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제2 요청에 대응하는 제2 IP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제1 요청에 응답하여 제1 IP 주소를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에 할당하고, 상기 제2 요청에 응답하여 제2 IP 주소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할당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1 IP 주소로 상기 제1 IP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1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forwarding)하고 상기 제2 IP 주소로 상기 제2 IP 데이터에 대응하는 상기 제2 TV 채널의 영상 신호를 포워딩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각각에 대응하는 TV 채널의 영상을 출력하도록 하는 전송부; 및
    사용자로부터 위치 제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위치 제어 정보를 상기 프로세서에 전송하여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위성 안테나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제어 정보는 상기 제1 TV 채널 및 상기 제2 TV 채널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관되는 인공 위성의 정보이고, 상기 프로세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공 위성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위성 안테나의 앙각, 방위각 및 스큐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계산하여 상기 인공 위성을 탐색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삭제
KR1020150050089A 2015-04-09 2015-04-09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KR10163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89A KR101638285B1 (ko) 2015-04-09 2015-04-09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EP16163958.8A EP3079366A1 (en) 2015-04-09 2016-04-06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mage signal received using satellite antenna to plurality of user termin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0089A KR101638285B1 (ko) 2015-04-09 2015-04-09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8285B1 true KR101638285B1 (ko) 2016-07-08

Family

ID=56081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0089A KR101638285B1 (ko) 2015-04-09 2015-04-09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079366A1 (ko)
KR (1) KR1016382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275A (ko) * 1999-01-25 2001-10-27 삐에르 레꾸르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의 어드레스 할당
KR20050039705A (ko) * 2001-10-29 2005-04-29 프랑스 텔레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내에서의 스크램블링된 디지털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및시스템
KR20070100561A (ko) * 2006-04-07 2007-10-11 주식회사 아이비맥스 다중 채널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02237A1 (en) * 2003-03-11 2005-12-07 Thomson Licensing Whole house video network
US8635657B2 (en) * 2010-10-19 2014-01-21 Sling Media Pvt Ltd Authenticated broadcast transmission utilizing a content retransmitter
US8682248B2 (en) * 2012-04-07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reproducing content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reof
EP2701346B1 (en) * 2012-08-24 2019-10-30 MX1 GmbH A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 joint IP data-strea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3275A (ko) * 1999-01-25 2001-10-27 삐에르 레꾸르 디지털 전송 시스템에서의 어드레스 할당
KR20050039705A (ko) * 2001-10-29 2005-04-29 프랑스 텔레콤 데이터 교환 네트워크 내에서의 스크램블링된 디지털데이터에 대한 액세스 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송신 방법 및시스템
KR20070100561A (ko) * 2006-04-07 2007-10-11 주식회사 아이비맥스 다중 채널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79366A1 (en) 201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71319A1 (en) Method and system for aiming and aligning self-installed broadcast signal receivers
JP7033597B2 (ja) 地上波テレビ受信用分散屋内スマートアンテナシステム
TW201145881A (en) White space spectrum communciation device with multiplexing capabilities
US20170237456A1 (en) Swallow exerciser
MX2012011091A (es) Receptor de television de entrada multiple.
CN116803027A (zh) 使用自主交通工具测量atsc 3 rf环境
MX2012004789A (es) Sistemas y metodos para configuracion de un sistema receptor de television, por ejemplo que incluye la ubicacion de un transmisor terrestre.
US20140059620A1 (en) Video buffer management technique
KR101638285B1 (ko)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WO2012004944A1 (ja) 無線伝送装置
US200802762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ent Insertion
KR20190048754A (ko) 위성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 영상 신호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하는 장치 및 그 방법
US11996925B2 (en) Dynamic antenna configuration
EP3086490A1 (en) Flat antenna and satellite signal transmitting system including the flat antenna
WO2018156831A1 (en) Repeater management based on user localization
KR102278762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의 동작 방법
US11611792B2 (en) ATSC 3 reception across boundary conditions using location data
US11611790B2 (en) RF channel description for multiple frequency networks
KR102591656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선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JP6377387B2 (ja) 多重化装置及びデジタル変調器
WO2023012757A1 (en) Measuring atsc 3 rf environment using autonomous vehicle
US20230044827A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3037335A1 (en) Dynamic antenna configuration
CN116746161A (zh) 动态天线配置
JP2006025200A (ja) テレビジョン放送受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