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41B1 -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841B1
KR101637841B1 KR1020150090435A KR20150090435A KR101637841B1 KR 101637841 B1 KR101637841 B1 KR 101637841B1 KR 1020150090435 A KR1020150090435 A KR 1020150090435A KR 20150090435 A KR20150090435 A KR 20150090435A KR 101637841 B1 KR101637841 B1 KR 101637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transmission error
received
path
p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용
오봉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90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23Errors, e.g. transmission errors
    • H04L43/0847Transmission err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 H04L43/0811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by checking conne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16Threshold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과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은, 다수신단에서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a);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상기 수신단에서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전송하는 단계(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b)는 상기 수신 버퍼에 상기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개시된 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신속하게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으며,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d Detecting Transmission Error in Multiple Path}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TCP 프로토콜에서는 전송 오류가 발생할 경우 특정 시간(몇번의 타임 아웃이 이루어지는 시간)동안 대기하며, 대기 시간동안에도 복구가 되지 않을 경우 전송 경로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고 해당 경로의 사용을 중단한다.
TCP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은 상당한 대기 시간이 경과한 후에야 이루어지는데, 이는 종래의 전통적인 TCP가 단일 경로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며, 특정 경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더 이상 추가적인 정보를 받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전통적인 TCP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은 다중 경로를 통해 패킷이 전송되는 환경에서는 매우 비효율적일 수 있다. 다중 경로를 통해 패킷이 수신될 경우 다중 경로로부터 수신되는 서로 다른 번호의 패킷들을 조합하게 되며, 이때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 수신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특정 패킷의 유실로 인해 패킷 조합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결국 문제가 없는 경로로부터 수신된 패킷도 계속 버퍼에 남아 있게 된다.
따라서, 다중 경로 통신 환경에서는 신속하게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신속하게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단에서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a);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상기 수신단에서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전송하는 단계(c)를 포함하되, 상기 단계(b)는 상기 수신 버퍼에 상기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는 상기 수신단에서 미수신된 패킷 번호 및 송수신 불능 상태인 오류 경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단계(c)는 다수의 패킷이 미수신될 경우 미수신된 패킷들 중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해서만 상기 오류 경로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에서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송신단은 상기 특정 경로에 대한 전송 오류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하였는지 여부 및 라운드 트립 시간을 도과하여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한다.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가 상기 라운드 트립 시간 내에 상기 송신단에 수신된 경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에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를 송신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로의 패킷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다중 경로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 버퍼에 저장하는 패킷 수신부;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버퍼 모니터링부;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졌을 경우 상기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 불능 판단부; 및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전송하는 전송 오류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경로 불능 판단부는 상기 수신 버퍼에 상기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신속하게 전송 오류를 검출하고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중 경로를 통해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에서 전송 불능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신 버퍼에 발생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의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는, 패킷 수신부(100), 버퍼 모니터링부(110), 경로 불능 판단부(120) 및 경로 불능 송신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는 수신단에 구비되는 장치이며, 수신단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경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1 경로는 이동통신망의 매크로 기지국으로부터 제1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로이고, 제2 경로는 소형 중계기로부터 WiFi를 위한 제2 채널을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1 경로는 WiFi를 통해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로일 수 있으며, 제2 경로는 LAN을 통해 유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하는 경로일 수 있다.
송신단은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단에 패킷을 전송하며, 전송할 패킷들 중 일부를 다중 경로에 분배하여 전송하게 된다. 예를 들어, 1-10번 패킷을 전송하여야 할 경우, 1, 3, 5 및 6번 패킷은 제1 경로를 통해 전송하고, 2, 4, 7, 8, 9 및 10번 패킷은 제2 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패킷 수신부(100)는 다중 경로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 버퍼에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수신 버퍼에는 패킷 수신부(100)에 의해 수신되는 패킷들이 채워지며 미리 설정된 개수의 패킷이 순서대로 모두 수신되었을 경우 조합되어 버퍼에서 처리 장치(미도시)로 제공된다.
특정 경로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거나 전송된 패킷이 유실된 경우 해당 패킷으로 인해 패킷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 경우 수신 버퍼에는 미조합 패킷들이 계속 채워지게 된다.
버퍼 모니터링부(110)는 수신 버퍼에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패킷이 채워져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는 수신 버퍼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퍼 사이즈에 가중치
Figure 112015061652831-pat00001
를 곱한 것을 임계 사이즈로 설정할 수 있으며 여기서
Figure 112015061652831-pat00002
는 0 내지 1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경로 불능 판단부(120)는 수신 버퍼의 오버 플로우가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아 발생한 오버 플로우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경로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특정 번호의 패킷이 유실되어 패킷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게되어 버퍼의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게 되며, 경로 불능 판단부(120)는 이와 같이 경로 불능으로 인해 수신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수신 버퍼에는 해당 경로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존재하지 않게 되며, 특정 경로로부터 전송된 패킷이 수신 버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경로 불능 판단부(120)는 해당 경로의 송수신 불능 상태로 인해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도 2는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에서 전송 불능이 발생하였을 경우 수신 버퍼에 발생하는 현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경로 A 및 경로 X의 두 개의 경로로부터 패킷이 수신되는 상태이며, 경로 불능이 발생하지 않으면 수신 버퍼에는 두 개의 경로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이 채워진다.
그러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X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수신 버퍼에는 경로 A로부터 전송된 패킷만이 채워지게 되며 경로 X로부터 전송되는 패킷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경로 X로부터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특정 번호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았기에 패킷 조합이 이루어질 수 없으며 이로 인해 경로 A로부터 수신된 패킷들은 계속 수신 버퍼에 남아있게 된다.
경로 X의 송수신 불능 상태가 계속될 경우 수신 버퍼에는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패킷이 채워지게 되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고, 버퍼 모니터링부(110)는 수신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감지한다.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경로 불능 판단부(120)는 발생한 오버플로우가 특정 경로의 송수신 불능 상태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X로부터의 패킷이 수신 버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경로 X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한다.
전송 오류 송신부(130)는 특정 경로의 송수신 불능 상태로 인해 수신 버퍼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기에 전송한다. 전송 오류 송신부(130)는 송수신 불능이 아닌 경로를 선택하여 전송 오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송 오류 송신부(130)는 특정 경로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패킷들 중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한 전송 오류 메시지만을 송신기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 X로부터 2, 7, 9번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아 패킷 오버플로우가 수신 버퍼에 발생하였을 경우 2번 패킷에 대해서만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전송 오류 메시지와 같은 송신기로의 피드백 메시지의 사이즈는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경로 불능이 발생할 경우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해서만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불능 상태인 경로로부터 수신되지 않은 것으로 예측되는 모든 패킷들에 대해서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기에 전송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2, 7, 9번의 패킷이 수신되지 않을 경우 모든 패킷들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기에 전송하는 것이다.
경로 불능에 대한 빠른 판단이 우선시되는 경우, 수신되지 않은 모든 패킷들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로 불능 메시지는 패킷 번호 필드(300) 및 오류 경로 필드(310)를 포함할 수 있다.
패킷 번호 필드(300)에는 미수신된 패킷 번호 정보가 기록된다. 패킷 번호 필드(300)에는 미수신된 단일 패킷의 번호가 기록될 수도 있으며, 미수신된 복수의 패킷 번호가 기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오류 경로 필드(310)에는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로 정보가 기록된다.
송신단은 도 3과 같은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여 특정 경로로부터 메시지가 수신단에 수신되지 않는다는 점을 확인하고, 해당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한다.
송신단은 특정 경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수 이상의 패킷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송신단은 적어도 3개 이상의 패킷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특정 경로에 대해 3개 이상의 패킷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기 전까지는 송신단은 해당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또한, 송신단은 전송 오류 메시지를 받은 시간이 특정 경로에서의 라운드 트립 시간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라운드 트립 시간 내에 특정 패킷에 대한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다면 해당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라운드 트립 시간이 도과된 다음에도 해당 경로에 대한 패킷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할 경우 송신단은 해당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한다.
송신단은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해당 경로로의 데이터 전송을 중지하며, 수신단에서 수신하지 못한 패킷들은 다른 경로를 통해 재전송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수신단은 수신 버퍼에 패킷이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0).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임계 사이즈는 수신 버퍼의 사이즈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으며 수신단은 버퍼에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다.
수신 버퍼에 오버 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수신단은 오버 플로우가 특정 경로에서의 송수신 불능 상태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2).
수신단은 수신 버퍼에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통해 오버 플로우가 특정 경로로부터의 송수신 불능 상태로 인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모든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수신 버퍼에 존재할 경우 수신단은 특정 경로로부터의 송수신 불능으로 인해 오버 플로우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그러나,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수신 버퍼에 존재하지 않을 경우 수신단은 특정 경로의 송수신 불능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특정 경로에서의 송수신 불능으로 인해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경우, 수신단은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송신한다(단계 404).
전송 오류 메시지는 미수신된 패킷의 패킷 번호 및 송수신 불능 상태로 추정되는 경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특정 경로로부터 미수신된 패킷이 복수개일 경우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해서만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함으로써 피드백 메시지의 사이즈를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한 송신단은 전송 오류 메시지에 포함된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확인한다(단계 406).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단은 전송 오류 메시지에 포함된 경로에 대해 미리 설정된 이 상의 패킷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송신단은 전송 오류 메시지에 포함된 경로에 대해 라운드 트립 시간을 도과하여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408).
특정 경로에 대해 전송 오류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수 이상으로 수신하고 해당 경로에 대한 라운드 트립 시간을 도과하여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송신단은 추가적으로 해당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송신단은 송수신 불능 상태에 대한 판단을 유보한다.
만일, 송수신 불능 판단에 대한 유보 이유가 라운드 트립 시간 내에 전송 오류 패킷을 수신한 것이라면, 송신단은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를 수신단에 전송한다(단계 410).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는 오류 경로 필드(500)를 포함한다. 오류 경로 필드(500)에는 불능 상태로 추정되는 경로 정보가 기록된다.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를 수신한 수신단은 해당 경로로부터의 송수신 불능 상태가 계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송수신 불능 상태가 계속될 경우 다시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단에 송신한다(단계 412).
송신단에서의 추가적 판단 결과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송신단은 해당 경로로의 패킷 송신을 중지한다(단계 414).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통적인 TCP에서의 전송 오류 제어와는 달리 대기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버퍼의 오버플로우를 통해 전송 오류를 감지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므로 다중 경로 통신에서의 전송 오류에 대해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의 효과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6에는 기존의 TCP를 이용한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MPTCP with RTOmin), 기존 TCP에서 RTT 성능을 개선한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MPTCP wighout RTOmin) 및 본 발명에 의한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MPTCP with FPF-detection)에 대한 전송 중단 시간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가 이루어질 때 전송 중단 시간을 줄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으로서,
    수신단에서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a);
    상기 수신단에서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질 경우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b); 및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상기 수신단에서 전송 오류 메시지 - 미수신된 패킷의 번호 및 송수신 불능 상태인 오류 경로 정보를 포함함 - 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전송하는 단계(c)
    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버퍼에는 상기 다중 경로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서로 다른 패킷들이 채워지되, 상기 수신 버퍼에 채워지는 서로 다른 패킷들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패킷이 순서대로 모두 수신되면 조합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미수신된 패킷이 존재하면 패킷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수신 버퍼에 계속 채워지며,
    상기 단계(b)는 상기 수신 버퍼에 상기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단계(c)는 다수의 패킷이 미수신될 경우 미수신된 패킷들 중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해서만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에서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특정 경로에 대한 전송 오류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하였는지 여부 및 라운드 트립 시간을 도과하여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가 상기 라운드 트립 시간 내에 상기 송신단에 수신된 경우, 상기 송신단은 상기 수신단에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라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송신단에서 상기 특정 경로로의 패킷 송신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8. 다중 경로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여 수신 버퍼에 저장하는 패킷 수신부;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지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버퍼 모니터링부;
    상기 수신 버퍼가 미리 설정된 임계 사이즈 이상으로 채워졌을 경우 상기 다중 경로 중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경로 불능 판단부; 및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일 경우 미수신된 패킷의 번호 및 송수신 불능 상태인 오류 경로 정보를 포함하는 전송 오류 메시지를 생성하여 송신단에 전송하는 전송 오류 송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신 버퍼에는 상기 다중 경로로부터 각각 수신되는 서로 다른 패킷들이 채워지되, 상기 수신 버퍼에 채워지는 서로 다른 패킷들은 미리 설정된 개수의 패킷이 순서대로 모두 수신되면 조합되어 제공되거나 상기 미수신된 패킷이 존재하면 패킷 조합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수신 버퍼에 계속 채워지며,
    상기 경로 불능 판단부는 상기 수신 버퍼에 상기 특정 경로로부터의 패킷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특정 경로가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전송 오류 송신부는 다수의 패킷이 미수신될 경우 미수신된 패킷들 중 가장 앞선 번호의 패킷에 대해서만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단은 상기 특정 경로에 대한 전송 오류 메시지를 미리 설정된 개수 이상 수신하였는지 여부 및 라운드 트립 시간을 도과하여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송수신 불능 상태인지 여부를 추가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오류 메시지가 상기 라운드 트립 시간 내에 상기 송신단에 수신된 경우, 상기 송신단은 전송 오류 재확인 메시지를 송신하며, 상기 경로 불능 판단부는 상기 특정 경로의 송수신 불능 상태가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장치.

KR1020150090435A 2015-06-25 2015-06-25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637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35A KR101637841B1 (ko) 2015-06-25 2015-06-25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435A KR101637841B1 (ko) 2015-06-25 2015-06-25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7841B1 true KR101637841B1 (ko) 2016-07-07

Family

ID=56500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435A KR101637841B1 (ko) 2015-06-25 2015-06-25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84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92B1 (ko) * 2005-12-01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에서 혼잡 제어 방법 및장치
JP2009055114A (ja) * 2007-08-23 2009-03-12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転送効率向上方法及び転送効率向上プログラム
KR20140025572A (ko) * 2011-06-08 2014-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경로 레이트 적응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192B1 (ko) * 2005-12-01 2007-11-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대역과 지연의 곱이 큰 네트워크에서 혼잡 제어 방법 및장치
JP2009055114A (ja) * 2007-08-23 2009-03-12 Nec Corp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転送効率向上方法及び転送効率向上プログラム
KR20140025572A (ko) * 2011-06-08 2014-03-04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다중경로 레이트 적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16122B2 (en) Split bearer dual/multiple connectivity retransmission diversity
JP4708978B2 (ja) 高スループットを実現する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セッション中継装置、及び通信プロトコル
US845172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ngestion occurren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P1170901B1 (en) A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ng repeaters
US9143450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assisting with the transmission of TCP packets
EP1179909A2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action control on a data network
US20020181437A1 (en) Data link transmission control methods,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data link transmission control apparatus, base stations, mobile stations, mobile station control programs,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KR102568436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US8565249B2 (en) Queu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11044636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congestion in data transmission path
US919805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minimize congestion and interference from undetectable devices through carrier sensing
Francis et al. Techniques for enhancing TCP performance in wireless networks
KR20130109211A (ko) 송신 장치, 수신 장치,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및 송신 방법
US9197572B2 (en) Throughput enabled rate adaptation in wireless networks
US9232426B2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information carrying capacity by controlling re-transmissions
KR101637841B1 (ko) 다중 경로에서의 전송 오류 검출 및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94879B2 (en) Handover method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base station and wireless terminal of the same system
JP6223942B2 (ja) 無線通信環境に応じてアグリゲーション量を変更可能な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2007536868A (ja) Arqを用いてデータ・パケットを通信する方法、システムおよび局
WO2015194134A1 (ja) 通信状態推定装置、通信状態推定方法及び通信状態推定プログラムを記憶する記録媒体
KR101485131B1 (ko) 다중경로 전송제어프로토콜을 이용한 수직적 핸드오버시 빠른 성능 회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동 단말
JP2017139595A (ja) データ伝送制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データ伝送制御プログラム
KR101411782B1 (ko) 멀티 통신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단말장치 및 이의 통신 제어 방법
KR100862356B1 (ko) 경로-다이버시티 라우팅을 이용한 적응형 통신 방법 및이를 수행하는 통신 노드
JPWO2019146563A1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