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800B1 -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 - Google Patents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800B1
KR101637800B1 KR1020147031589A KR20147031589A KR101637800B1 KR 101637800 B1 KR101637800 B1 KR 101637800B1 KR 1020147031589 A KR1020147031589 A KR 1020147031589A KR 20147031589 A KR20147031589 A KR 20147031589A KR 101637800 B1 KR101637800 B1 KR 101637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dn connection
wireless device
priority
timer
nas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1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00504A (ko
Inventor
비벡 굽타
푸닛 케이 자인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500005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3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power saving com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9/00Packet switching elements
    • H04L49/20Support for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4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H04B1/56Circuits using the same frequency for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with provision for simultaneous communication in two dir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 H04B7/0473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physical layer constraints into account taking constraints in layer or codeword to antenna mapping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5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 H04B7/0486Selection of precoding matrices or codebooks, e.g. using matrices antenna weighting taking channel rank into accou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Parameters other than those covered in groups H04B7/0623 - H04B7/0634, e.g. channel matrix rank or transmit mode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32Channel quality parameters, e.g. channel quality indicator [CQ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39Using selective indices, e.g. of a codebook, e.g. pre-distortion matrix index [PMI] or for be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5Variable feedback
    • H04B7/0647Variable feedback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36Feedback format
    • H04B7/0645Variable feedback
    • H04B7/065Variable contents, e.g. long-term or short-sh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24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allocation is indicated by an address the different channe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 H04J3/2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allocation is indicated by an address the different channels being transmitted sequentially in which the information and the address are simultaneously transmit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26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only
    • H04L27/2627Modul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22Parsing or analysis of hea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30Definitions, standards or architectural aspects of layered protocol stacks
    • H04L69/32Architecture of open systems interconnection [OSI] 7-layer type protocol stacks, e.g. the interfaces between the data link level and the physical level
    • H04L69/322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 H04L69/324Intralayer communication protocols among peer entities or protocol data unit [PDU] definitions in the data link layer [OSI layer 2], e.g. HDL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04W36/0061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of neighbour cel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94Definition of hand-off measurement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4Reselecting a cell layer in multi-layered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22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handling the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2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speed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20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5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local events, e.g. events related to user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04W72/1215Wireless traffic scheduling for collaboration of different radio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1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up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7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terminal or device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1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the level of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8Management of setup rejection or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30Connection relea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03Stop-and-wait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2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involving configuration of automatic repeat request [ARQ] with parallel proces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73Allocation arrangements that take into account other cell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2Selection of wireless resources by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이중 액세스 우선순위 모드가 구성된 사용자 장비(UE)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PDN 접속이 기존 PDN 접속과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진다고 표시하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포함하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UE로부터 이동 관리 엔티티(MM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존 PDN 접속은 제 1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기존 PDN 접속은 UE에서 활성화 해제된다.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PDN 접속이 UE에서 설정된다.

Description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FOR MULTI PRIORITY WIRELESS DEVICES}
본 발명은 다중 우선순위(priority)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에 관한 것이다.
머신 대 머신(machine-to-machine; M2M) 무선 머신들 또는 디바이스들(이후에는 M2M 디바이스들로 칭한다)은 사람의 개입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이 주로 또는 배타적으로 다른 M2M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다. M2M 디바이스들의 예들은 무선 센서들, 한 무리의 차량들을 추적하거나 전기 또는 가스 등과 같은 유틸리티의 사용을 측정하는 계량계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많은 경우들에서, 이 M2M 디바이스들은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되고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wide area network)를 통해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2M 디바이스들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네트워크들에서뿐만 아니라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onics and electrical Engineer; IEEE) 802.16 표준, 2009년 5월 29일에 간행된 IEEE 표준 802.16-2009(WiMAX)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3GPP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릴리스 10(2011년 3월)("LTE 표준")의 용어에서, M2M 통신들은 대안으로 "머신형 통신(machine-type communication; MTC)들"로서 칭해질 수 있다.
네트워크 관점에서, M2M 통신들은 상대적으로 높은 레이턴시(latency) 및 자주 일어나지 않는 전송들에 대한 M2M 디바이스들의 관용성(tolerance)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우선순위가 낮은 통신들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틸리티 센서들은 서너 비트들을 포함하는 리포트를 하루에 한번의 빈도로 송신할 수 있다. 리포트의 전달 시간 윈도(window)는 수분 내지 수 시간의 기간 내에서 수용 가능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고 레이턴시 및 저 빈도저 빈도 네트워크 캐리어들이 전형적인 저 레이턴스, 상위 대역폭 사용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M2M 디바이스들이 자신들의 네트워크들로 액세스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낮은 우선순위 레벨에서 정상적으로 통신하는 많은 유형의 M2M 디바이스들은 낮은 우선순위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에서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좀처럼 기회를 가지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이중 액세스 우선순위 모드(dual access priority mode)가 구성된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을 형성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PDN 접속이 기존 PDN 접속과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것을 표시하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override indicator)를 포함하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UE로부터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기존 PDN 접속은 제 1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다. 기존 PDN 접속은 UE에서 활성화 해제된다.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는 새로운 PDN 접속이 UE에서 설정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장점들은 예로 본 발명의 특징들을 예시하는 첨부 도면들과 함께 취해지는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자명할 것이다.
도 1은 제 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및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흐름도의 블록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를 도시하는 예시 표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디바이스 속성 IE에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예시 표를 제공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이중 액세스 우선순위 모드가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하나의 예에 따른 무선 디바이스(예를 들어, MS 또는 UE)의 도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제 도시되는 예시 실시예들에 대하여 언급될 것이고, 특정 언어는 본원에서 동일한 것을 기술하는 데 사용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의도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되고 설명되기 전에, 본 발명이 본원에서 개시되는 특정한 구조들, 프로세스 단계들 또는 재료들로 제한되지 않으나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이의 균등물들로 확장되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한 실시예들을 단지 기술할 목적에 사용되고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은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정의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실질적으로"는 행위, 특성, 속성, 상태, 구조, 아이템 또는 결과의 완전 또는 거의 완전한 범위 또는 정도를 칭한다. 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둘러싸인 물체는 이 물체가 완전하게 둘러싸이거나 거의 완전하게 둘러싸인 것을 의미할 것이다. 절대적으로 완전한 것으로부터 벗어나는 허용 가능한 정도는 일부 경우들에서 특정 상황에 좌우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말해서 완전에 가까운 것은 마치 절대적으로 완전한 완성이 획득된 것과 같은 동일한 전체 결과를 가지는 그러한 것일 것이다. "실질적으로"를 사용하는 것은 행위, 특성, 속성, 상태, 구조, 아이템 또는 결과의 완전한 또는 거의 완전한 부족을 칭하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사용될 때 마찬가지로 적용 가능하다.
다른 용어들은 본 명세서의 본문 내의 다른 곳에서 정의될 수 있다.
예시 실시예들
기술 실시예들의 초기 개요가 아래 제공되고 그 후에 특정한 기술 실시예들이 이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 초기 요약은 독자들이 기술을 더 신속하게 이해하는 데 도와주도록 의도되며 기술의 핵심 특징들 또는 필수적인 특징들을 식별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또한 청구되는 특허 주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다음의 정의들은 후술되는 개요들 및 실시예들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제공된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기술들은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UE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들을 위해 M2M 디바이스와 같은 사용자 장비(UE)가 적어도 2개의 우선순위 레벨들(즉, 이중 우선순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일부 무선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M2M 네트워크 과부하 제어 작업은 M2M 디바이스들을 M2M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모든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단일 우선순위 레벨로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M2M 디바이스에는 "저 우선순위" 아니면 "보통 우선순위"의 우선순위 레벨이 할당될 수 있다. 실제로, M2M 디바이스에 의한 상당수의 머신 형 통신들은 "저 우선순위"로 범주화될 수 있다. 따라서, M2M 디바이스들은 저 우선순위 세팅으로 통신하도록 할당될 수 있다.
그러나, 보통 "저 우선순위" 통신 세팅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M2M 디바이스들은 또한 M2M 디바이스가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턴시로 시기 적절하게 통신할 필요가 있을 때 기회들을 거의 가지지 못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로 위의 센서들은 강수량 및/또는 온도 정보 같은 날씨 여건들을 송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정보는 전형적으로 저 우선순위 및 고 레이턴시로 송신될 수 있다. 그러나 겨울 폭풍 동안, 도로 센서는 결빙 온도들 또는 적설량에 대한 정보를 시기 적절하게 송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M2M 디바이스는 "보통" 우선순위 세팅과 같이 더 높은 우선순위 세팅을 사용하기 위해 저 우선순위 세팅으로부터 전환될 수 있다. 상위의 우선순위 통신 세팅은 저 우선순위 세팅으로의 통신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레이턴시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M2M 디바이스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호스팅(host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자동화 제어 모듈은 저 우선순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상온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디바이스에 상주하는 비디오 스트리밍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우선순위"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위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위의 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기술들을 예시하기 위해서 포함된다.
상대적으로 큰 M2M 네트워크들이 기능을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M2M 디바이스들은 전형적으로 시간의 대부분을 저 우선순위 통신 모드에서 동작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저 우선순위 모드에서 상위의 우선순위 모드로 전환하는 능력은 단지 드물게 행해져야만 한다. 이 통신 우선순위 모드들을 전환하는 능력을 지원하기 위해, 머신형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제공하도록 동작 가능한 M2M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UE들이 다수의 비 액세스 계층(non-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사용하는 통신이 시도된 이후에 상위의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임의의 우선순위 순서로 통신하는 것이 실제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 우선순위 모드에서의 통신이 예를 들어 저 우선순위 통신을 지연시키는 네트워크 트래픽 혼잡으로 인해 네트워크에 의해 거부되면, M2M 디바이스(즉, UE)는 이 통신을 다시 송신하는 것을 시도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여기서 두 번째 통신 시도는 보통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와 같은 상위의 우선순위 통신 모드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먼저 저 우선순위 모드로 통신을 시도하고 반면에 필요할 때 상위의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로 전환함으로써 M2M 디바이스를 더 낮은 레이턴시로 데이터를 통신하는 능력으로 인에이블(enable)함으로써 저 우선순위 통신을 사용하는 것이 최적화되는 것이 가능하다. 게다가, M2M 디바이스와 같은 단일 디바이스는 다수의 애플리케이션들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부 애플리케이션들은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사용하고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반면에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은 상위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저 우선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시도되는 통신은 거부될 수 있고, 반면에 상위 우선순위를 가지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한 통신은 네트워크에 의해 허용될 수 있다. 게다가, 애플리케이션의 우선순위는 또한 변할 수 있다. 다수의 우선순위들로 통신하는 능력은 무선 네트워크 내에 추가적인 효율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M2M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동작 가능한 하나의 유형의 무선 네트워크(100)의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3GPP LTE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 시스템이 예시된다. 시스템은 릴리스 8, 릴리스 9, 릴리스 10 및 릴리스 11과 같은 3GPP LTE 사양에 기초하여 동작한다. 이 예가 제공될지라도, 이는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흔히 WiMAX로 칭해지는 전기전자 기술자 협회(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IEEE) 802.16 표준 및 흔히 Wi-Fi로 칭해지는 IEEE 802.11 표준들과 같은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 또한 M2M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표준들의 세트는 1999년에 공개되고 5 GHz와 3.7 GHz 대역에서 통신하는 IEEE 802.11a, 또한 1999년에 공개되고 2.4 GHz 대역에서 통신하는 IEEE 802.11b, 2003년에 공개되고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및/또는 직접 시퀀스 확산 스펙트럼(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통해 2.4 GHz 범위에서 통신하는 802.11g 표준 및 2009년에 공개되고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을 사용하여 2.4 GHz 및 5 GHz에서 통신하는 802.11n 표준을 포함한다.
WiFi 또는 Bluetooth와 같은 표준들은 WiMAX(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와 같은 셀룰러 네트워킹 표준 및 3GPP에 또한 액세스할 수 있는 이중 우선순위 디바이스들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local area network; WLAN)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 IEEE 802.16 표준의 릴리스들은 1EEE 802.16e-2005, 802.16-2009 및 802.16m-2011를 포함한다. 3GPP 표준의 릴리스들은 3GPP LTE, 2008년의 4분기의 릴리스 8 및 2011년 1분기의 LTE 어드밴스드 릴리스 10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되는 무선 네트워크(100)는 RAN(110) 및 진화된 패킷 코어(evolved packet core; EPC)(160)로 구성된다. 3GPP LTE의 경우, 도 1에 도시되는 RAN(110)는 eNodeB들(112A 내지 112B)로 표현되는, 진화된 범용 지상 무선 액세스(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N 또는 eUTRAN) 또는 UTRAN 모듈들과 같은 전송 노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RAN은 진화된 패킷 코어(EPC) 모듈과 통신할 수 있다. EPC는 서비스하는 게이트웨이(serving gateway; S-GW) 및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130)를 포함할 수 있다. EPC는 또한 인터넷(180), 인트라넷 또는 다른 유사한 네트워크와 같이, S-GW를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에 결합시키는 PDN 게이트웨이(P-GW)(142)를 포함할 수 있다. S-GW는 RAN과 연관되는 모바일 디바이스들에 인터넷 네트워크 액세스 및 표준 네트워크 액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S-GW 및 MME는 케이블, 와이어, 광섬유 및/또는 라우터 또는 리피터(repeater)와 같은 전송 하드웨어를 통해 서로 직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eNodeB들(112A 내지 112B)은 LTE 무선 링크(115A 내지 115B)를 통해 각각 무선 M2M 디바이스들(150A 내지 150B)과 같은 사용자 장비에 접속될 수 있다. X2 링크와 같은 백홀 링크(backhaul link)(114)는 eNB들을 접속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X2 링크는 전형적으로 eNB들 사이의 광대역 유선 또는 광 접속을 통해 형성된다. eNB들(112A 내지 112B), S-GW(120) 및 MME(130) 사이의 접속들은 S1 유형 접속들(124A 내지 124B, 그리고 126A 내지 126B)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S1 인터페이스는 대중이 이용 가능한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36.410 버전들 8(2008년 12월 11일), 9(2009년 12월 10일) 및 10(2011년 3월 23일)에 기술되어 있다.
EPC(160)는 또한 근 실시간(near real time)으로 무선 네트워크 내의 정책 규칙들을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정책 및 과금 규칙 기능(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 PCRF) 노드(144)를 포함할 수 있다. PCRF 노드는 인정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들 및 과금 시스템들과 같은 다른 특수한 기능들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이 일반적으로 M2M 디바이스들(150A 내지 150B)을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셀룰러 폰)로서 도시할지라도,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M2M 디바이스들(150A 내지 150B)은 3GPP LTE 송수신기,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울트라북, 넷북, 스마트폰, 울트라 모바일 PC(ultra-mobile PC; UMPC),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 범용 집적 회로 카드(universal integrated circuit card; UICC), 개인용 디지털 보조장치(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고객 댁내 장치(Customer Premise Equipment; CPE), 태블릿 또는 MP3 플레이어들, 카메라들 등과 같은 다른 소비자 전자기기들과 통신하는 센서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들 이동국(Mobile Station; MS), "UE", "디바이스" 및 "M2M 디바이스"는 간소화를 위해 상호 교환하여 사용될 것이다. eNB들(112A 내지 112B)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 무선 인터페이스에서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신호들을 변조 및/또는 복조하는 하나 이상의 무선 모듈들 및 무선 인터페이스 상에서 송신되고 수신되는 신호들을 프로세싱하는 하나 이상의 디지털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eNB들은 "매크로 노드(macro node)"로 칭해지는 상대적 고 전력 노드이거나 상대적 저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일 수 있다. LPN은 마이크로 노드, 피코 노드, 홈 eNB(HeNB),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M), 원격 무선 엔티티(remote radio entity; RR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애플리케이션들이 EPC(160)를 통해 "보통 우선순위" 통신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때의 경우에 디바이스의 디폴트 "저 우선순위" 세팅을 오버라이드(override)하는 능력을 가지고 M2M 디바이스에 상주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한다.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는 이중 우선순위 UE로부터 통신을 수신하고 UE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들에 기초하여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를 변경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UE 및/또는 UE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들(예를 들어, UE에 의해 호스팅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해 개시되는 요청들)에는 디폴트(예를 들어, 저) 우선순위 레벨이 할당될 수 있다. 일부 경우들에서, 예를 들어, 비상 시에 그리고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되는 다른 상황들에서, UE는 개시되는 요청과 연관되는 디폴트 우선순위를 오버라이드하고 상위(예를 들어, "보통") 우선순위 레벨을 이 개시되는 요청에 할당하여, 이 개시되는 요청이 할당된 우선순위 레벨에 따라 네트워크에 의해 처리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혼잡될 수 있고 UE로부터 디폴트 우선순위(또는 하위의 우선순위 레벨)와 연관되는 요청 또는 다른 통신을 즉시 수용할 수 없지만, UE에 의해 통신에 할당될 수 있는 상위 레벨(즉, 보통) 우선순위 레벨과 연관되는 요청 또는 다른 통신들을 UE로부터 수용하고 프로세싱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네트워크가 혼잡한 것으로 결정되어 UE로부터 디폴트 (저) 우선순위를 가지는 요청을 프로세싱할 수 없으면, 네트워크는 대기 시간 값을 UE에 제공할 수 있고, 이 값 동안 UE는 저 우선순위를 가지는 통신들로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시도를 삼가할 수 있다. 그러나, UE가 상위(보통)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는 요청들을 개시하면, 이 요청들은 네트워크에 의해 수용될 수 있다. 그러나, 특정한 조건들 하에서는 네트워크가 너무 혼잡하여 심지어 상위의 우선순위 요청들도 거부될 수 있음이 유의되어야 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UE는 제 3, 제 4, 제 5 또는 더 상위의 우선순위 레벨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제의 사용될 수 있는 우선순위 레벨들의 수는 시스템 요구들 및 설계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UE가 확장 액세스 제한(extended access barring) 구성과 같이, UE와 연관되는 액세스 제어 구성들을 오버라이드하는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확장 액세스 제한(EAB)은 액세스 네트워크 및/또는 코어 네트워크의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해 운영자(들)가 EAB로 구성되는 UE들로부터의 모바일 발신 액세스 시도들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이다. 혼잡 또는 과부하 상황들에서, 운영자는 다른 UE들로부터의 액세스를 허용하면서 EAB로 구성되는 UE들로부터의 액세스를 제한할 수 있다. EAB로 구성되는 UE들은 다른 UE들보다 액세스 제한들을 더 잘 용인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운영자가 EAB를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결정하면, 네트워크는 특정한 에어리어(area)에 위치되거나 특정한 유형의 UE들에 EAB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브로드캐스팅한다.
그러나, 일부 경우들에서, 확장 액세스 제한 구성은 전형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이중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케이퍼빌리티(capability)와 함께 오버라이드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저 액세스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는 UE들은 또한 EAB에 대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UE에 의해 개시되는 통신에 대해 저 우선순위를 오버라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통신이 진행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EAB 세팅을 오버라이드하는 것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UE(150)와 네트워크(100) 사이의 예시 접속도(도 1)가 도 2에 예시된다. 도(20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 요청 메시지(204)를 네트워크 제어기(206)에 송신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제어기는 MME일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유형들의 서버들은 또한 S-GW, P-GW 및 PCRF를 포함하여 네트워크 제어기 역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 메시지(204)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와의 PDN 접속을 설정하여 UE(150)가 인터넷 같은 PDN과 데이터를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UE(150A 또는 150B)에 의해 요청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06)는 UE(150A 또는 150B) 및 EPC(160) 사이의 PDN 접속들의 설정 및/또는 유지관리를 제어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06)는 UE(150A 또는 150B)가 PDN 접속을 설정하려고 시도하는 EPC(16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것은 진행 단락들에서 더 충분히 논의될 것이다.
RAN(110) 또는 EPC(160)가 혼잡되고 PDN 접속 요청 메시지(204)와 연관되는 새로운 PDN 접속을 지원할 수 없으면, 네트워크 제어기(206)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204)를 거부하기 위해 PDN 접속 거부 메시지(208)로 응답할 수 있다. 이 경우에 UE(150A 또는 150B)와 RAN(110) 사이의 PDN 접속은 설정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PDN 접속 요청 메시지는 접속 요청 메시지, 추적 영역 갱신 요청 메시지 또는 확장 서비스 요청 메시지와 같은 NAS 요청 메시지와 연관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MTC 디바이스들과 같은 특정한 유형들의 디바이스들의 경우, 네트워크 제어기(206)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208) 내에 대기 시간(wait time; WT) 값을 제공할 수 있다. WT 값은 또한 확장 대기 시간으로 공지되어 있다. WT 값은 디바이스와 연관되고 또한 "백-오프 타이머(back-off timer)"로서 공지되어 있는 EWTA 타이머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세션 관리(ESM)와 연관되는 백-오프 타이머는 3GPP LTE 사양에 의해 타이머 T3396으로 칭해진다. 타이머 T3396는 네트워크 제어기로부터 수신되는 대기 시간의 지속기간 동안 작동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 T3396는 대기 시간이 만료할 때까지 MTC 디바이스를 "보류(on hold)"로 유지, 예를 들어 MTC 디바이스가 통신들을 네트워크로 송신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고, MTC 디바이스는 만료되는 시간에 요청을 네트워크에 재송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이것은 진행 단락들에서 더 충분히 논의될 것이다.
MTC 디바이스와 같은 이중 모드 UE에 있어서, 타이머 T3396가 만료될 때까지 대기하기 보다는, 이중 모드 MTC 디바이스는 타이머 T3396가 진행 중일 때조차도 제 2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접속 요청 메시지는 단지 상위(정상 또는 더 높은) 우선순위 레벨만을 가지고 송신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어기(206)는 그 후에 상위 우선순위 레벨을 가지는 접속 요청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MTC 디바이스가 진행 단락들에서 논의되는 바와 같이, 특정한 상황들에서 더 빨리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러나, UE 및 네트워크 이 둘 모두는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제 2 PDN 접속 요청이 수용되고 진행 중일 수 있는 타이머들을 적절하게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진행 단락들에서, 네트워크(100)가 혼잡되고 UE가 접속 요청 또는 베어러(bearer) 요청의 변화에 응답하여 네트워크로부터 대기 시간 값을 수신할 때 이중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들을 가지는 UE(150A 또는 150B)가 동작하도록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지를 예시하는 더 특정한 예들이 제공된다.
UE가 도 1에 도시되는 네트워크(100)와 같은 네트워크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기 전에, UE는 비 액세스 계층(NAS) 접속 요청 메시지를 eNodeB로 전송함으로써 접속 절차를 개시한다. eNodeB는 메시지를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로 통신한다. Rel. 8, 9, 10을 포함하는 3GPP LTE 사양들에서 개설되는 바와 같이, 접속 요청 메시지에서 다양한 정보가 통신될 수 있다. UE가 유효한 보안 파라미터들을 가지면, 접속 요청 메시지는 MME에 의한 UE의 검증이 가능하도록 NAS 매체 액세스 제어(MAC)에 의해 무결성 보호(integrity protected)된다. UE가 유효한 EPS 보안 연관을 가지지 않으면, 접속 요청 메시지는 무결성 보호되지 않는다.
PDN 접속
PDN 접속의 간략한 개관이 배경으로 제공된다. PDN 접속 요청은 UE가 디폴트 EPS 베어러의 셋업을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에 요청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3GPP LTE에서 사용되는 절차이다. UE는 PDN CONNECTIVITY REQUEST 메시지를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로 송신함으로써 PDN에 접속을 요청할 수 있다. 이 요청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락되면, 네트워크 제어기는 디폴트 EPS 베어러 컨텍스트 활성(activation) 절차의 설정을 개시한다. 이 절차는 제 1 디폴트 베어러를 설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그 경우에 PDN 접속 요청은 초기 접속 메시지와 함께 송신된다. 대안으로, 후속하는 디폴트 베어러는 추가 PDN들을 추가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PDN 접속 요청은 UE에 의해 네트워크 제어기로 송신되지만, 초기 접속 메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추가 PDN에 접속을 요청할 때, UE는 요청 액세스 포인트 명칭(APN)을 포함할 수 있다. APN은 공중 인터넷과 같이, 모바일 네트워크와 다른 컴퓨터 네트워크 사이의 게이트웨이의 명칭이다. 데이터 접속을 행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는 캐리어에 APN으로 제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캐리어는 그 후에 어떤 유형의 네트워크 접속이 생성되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이 식별자를 검사한다. APN은 모바일 데이터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PDN를 식별할 수 있다.
세션 관리(session management; SM)는 네트워크 내의 혼잡 문제들을 관리하기 위해 UE에서 백-오프 타이머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SM은 PDN 접속을 설정하고 추가 베어러를 할당하거나 기존의 베어러의 양태들을 수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SM 시그널링은 PDN 접속 요청들, 베어러 리소스 할당 또는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들 동안 UE로부터의 EPS 세션 관리(ESM) 요청들에 의해 개시될 수 있다.
UE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가 프로토콜 구성 옵션들, APN 구성 옵션들 또는 이 둘 모두와 같이, NAS 시그널링 보안이 활성화된 이후에 MME로 전달될 수 있는 ESM 정보를 가지고 있음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 PDN 접속 요청 메시지 내에 ESM 정보 전달 플래그(flag)를 세팅할 수 있다. UE가 PDN 접속 요청 메시지 내에 ESM 정보 전달 플래그를 포함하면, MME는 PDN 접속 절차를 진행하기 전에 ESM 정보 요청 절차의 완료를 대기하도록 구성된다. 그 후에 MME는 요청되는 PDN과의 접속이 설정될 수 있는지를 검사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서 혼잡 제어를 제공하기 위하여 ESM을 사용하면, MME는 특정한 APN과 연관되는 ESM 혼잡이 검출될 때 특정 백-오프 시간을 가지는 UE로부터의 ESM 요청들을 거부할 수 있다. MME는 혼잡 제어가 APN에 대해 활동 중일 때 SM 백-오프 시간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된 SM 백-오프 타이머가 만료하기 전에는 MME는 APN으로 지향되는 UE로부터의 후속 요청을 어느 것이든 즉시 거부할 수 있다. 더욱이, UE는 전형적으로 백-오프하라는 요구를 받았을 때 요청을 송신하려는 시도를 행하지 않는다.
SM 백-오프 타이머(또는 시간 값)는 네트워크 제어기(예를 들어, MME)가 ESM 요청들을 거부할 때 MME로부터 UE로 송신될 수 있다. ESM 거부 메시지 내의 SM 백-오프 시간 값을 수신하면, UE는 MME로부터 수신된 SM 백-오프 시간 값에 기초하여 세팅되는 SM 백-오프 타이머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T3396 타이머는 MME에 의해 제공되는 백-오프 시간을 적용하기 위해 UE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시간 기간 동안, UE는 전형적으로 PDN 접속 요청,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과 같이, 혼잡된 APN에 대한 임의의 SM 절차들을 개시하지 않을 수 있다. UE는 UE가 활성화하거나 접속할 것을 결정할 수 있는 각 APN에 대해 T3396 타이머와 같은 별개의 SM 백-오프 타이머를 제공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은 3GPP LTE 사양들 Rel. 8, 9, 10에서 개설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상이한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 IE)들을 포함할 수 있다. IE들은 요청 유형 IE, EPS 베어러 아이덴티티 IE, 절차 트랜잭션(transaction) 아이덴티티 IE, PDN 유형 IE 및 디바이스 속성 IE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IE들은 또한 상기 사양들에서 개설되는 바와 같이 포함될 수 있다.
이중 우선순위 UE
UE가 이중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케이퍼빌리티(capability)에 대하여 구성되면, UE는 전형적으로 적용 가능한 NAS 요청 메시지들에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표시하기 위해 디바이스 속성 IE를 사용한다. 디바이스 속성 IE 내에 저 우선순위 표시가 없거나 디바이스 속성 IE가 없는 메시지는 전형적으로 네트워크에 의해 보통 우선순위 요청으로 처리된다.
PDN 접속 요청 셋업 시에, 이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가 UE로부터의 요청에 포함되었다면 과금 데이터 기록(Charging Data Record; CDR)에 표시된다. 3GPP LTE 사양 Rel. 8, 9 및 10에서, 과금 시스템 내의 우선순위 세팅은 PDN 접속의 존속 동안 갱신되지 않는다. 이 네트워크에서는 메시지들 내에서 사용되는 우선순위가 PDN 접속이 셋업되었을 때 사용된 우선순위에 실제로 상관되는 것을 정책화(policing)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PDN 접속을 위한 UE에서의 저 우선순위 세팅의 재구성은 드물게 발생하는 행위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저 우선순위 세팅의 재구성은 과금 시스템을 변화된 구성들로 갱신하기 위해 활성화 해제하거나 또는 재 활성화하는 것과 같이, PDN 접속의 변경들을 트리거(trigger)하도록 구성되지 않았다. 이것은 UE가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모드로부터 보통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모드와 같은 상위 우선순위 모드로 변경하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다.
MTC 디바이스들과 같이, 상대적으로 드물게 발생하는 고 레이턴시 통신에 대하여 구성되는 디바이스들에서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사용하는 것을 고무하기 위해, 이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저 우선순위 세팅이 변경되는 것이 가능하여 그와 같은 변경이 바람직할 때 하위 레이턴시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MTC 디바이스 및 MTC 디바이스가 통신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UE는 이중 우선순위 시스템에서의 PDN 접속들을 처리하는 다음의 해법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 PDN 접속을 활성화 해제하고 새로운 PDN 접속을 재설정하는 UE; (2) 상이한 APN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지는 다수의 PDN 접속들을 설정하는 UE; 및 (3) 동일한 APN을 사용하여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지는 다수의 PDN 접속들을 설정하는 UE.
따라서, UE가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 세트를 가지는 PDN 접속을 설정하려고 시도하고, PDN 접속 요청이 네트워크에서의 혼잡으로 인해 거부될 때, T3396 타이머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에서 수신되는 시간 값에 기초하여 활성화된다. UE는 전형적으로 T3396 타이머가 만료될 때까지 다시 네트워크와 접속하는 시도를 행할 수 없다. 그러나, 이중 우선순위 MTC 디바이스와 같은 이중 우선순위 UE는 보통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와 같은 더 큰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제 2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제 1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는 선택된 APN 및 PDN 유형에 대한 MME와의 기존의 PDN 접속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동일한 APN 및 PDN 유형을 가지는 새로운 PDN 접속은 그 후에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동일한 APN 및 PDN 유형을 가지는 새로운 PDN 접속 요청이 기존의 PDN 접속의 비활성화 이전에 MME에서 수신되면, PDN 접속 거부 메시지는 MME로부터 UE로 송신되어, 소정의 APN에 대한 다수의 PDN 접속들이 허용되지 않음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 1 PDN 접속은 우선 활성화 해제될 수 있다.
그러나, 새로운 PDN 접속의 활성화에 선행하는, UE와 네트워크 제어기 사이의 단일 PDN 접속의 비활성화는 시간 소모적이고 원치 않는 양의 네트워크 리소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시간량 및 네트워크 리소스들의 사용을 줄이기 위해, MME는 UE에 통지하지 않고 기존 PDN 접속에 대한 기존 EPS 베어러 컨텍스트들을 비활성화하고 보통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와 같은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로 요청된 PDN 접속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즉, MME)가 이미 존재하는 PDN 접속에 대한 요청된 PDN 접속 절차를 거부하지 않을 것을 보장하기 위해,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의 변경을 식별하는 절차가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실시예에서, UE로부터 MME로 송신되는 PDN 접속 요청은 PDN 접속 요청에 대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가 기존의 PDN 접속과 상이할 때, MME는 UE에 통지하지 않고 기존 PDN 접속에 대한 기존 EPS 베어러 컨텍스트들을 국지적으로 활성화 해제하고 요청된 PDN 접속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서 통신되는 디바이스 속성 IE에 포함될 수 있다. 디바이스 속성 IE의 하나의 예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다. 이 예는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시되는 정보는 인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방식으로 통신될 수 있다.
도 3a는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의 옥텟(octet) 1을 도시한다.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는 유형 1 정보 요소이다.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의 목적은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는지를 표시하는 것이다.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혼잡 처리를 위해 그리고 과금 목적들을 위해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되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금 코드들이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과금 코드들은 PCRF(144)로 통신될 수 있다(도 1). 대안으로, 과금 코드들은 MME 또는 다른 네트워크 제어기를 사용하여 추적될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되는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는 저 우선순위 비트(이 예에서 비트 1) 및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비트(이 예에서 비트 2)를 포함한다. 도 3b의 표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저 우선순위 비트는 0 또는 1로 세팅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비트 1에 대한 0의 세팅은 이동국(MS)(즉 UE)이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 경우에, 전형적으로 NAS 시그널링 보통 우선순위가 사용된다. 비트 1이 1로 세팅되면, 이것은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됨을 나타낸다.
도 3b에 보이는 표에서의 예시 실례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바이스 속성 IE의 비트 2는 비트 1의 저 우선순위 세팅을 보통 우선순위로 오버라이드하기 위하여 1의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비트 2는 고 레이턴시로 드물게 통신하는 MTC 디바이스와 같은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전형적으로 0의 값으로 세팅될 수 있다. 이전에 논의된 바와 같이, 선택된 상황들에서, NAS 시그널링 보통 우선순위와 같은 상위의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로 통신하는 것이 바람직할 때, 비트 2의 값은 1로 변경될 수 있다.
디바이스 속성 IE의 비트 2가 1로 변경되면, 이 정보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의 변경을 식별하기 위해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서 네트워크로 통신될 수 있다. MME는 이 예에서, 비트 2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가 기존의 PDN 접속과 상이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MME는 UE에 통지하지 않고 기존 PDN 접속에 대한 기존 EPS 베어러 컨텍스트들을 국지적으로 활성화 해제하고 요청된 PDN 접속 절차를 진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중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에 대해 여러 예들이 제공되었을지라도, 이것은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임의의 수의 우선순위들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속성 IE의 비트들 1, 3 및 4는 또한 우선순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예에서, 디바이스 속성 IE에 8개의 상이한 우선순위 레벨들이 표시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들의 수가 더 높으면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디바이스들로의 신속한 액세스를 제공하고 상대적으로 트래픽 부하가 낮을 때 가장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디바이스들이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무선 네트워크 상의 트래픽 부하가 더 효율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우선순위 레벨들의 수가 더 크면 또한 저 우선순위 디바이스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왜냐하면 디바이스들은 저 사용, 저 트래픽 기간들 동안에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것만이 허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PDN 접속 요청 메시지는 MME와의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기 위해 UE에서부터 MME로 상이한 APN으로 통신될 수 있다. 이것은 상이한 APN들을 사용하여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들과의 PDN 접속들을 설정함으로써 UE가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변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이한 APN을 사용하고 있는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로 PDN 접속을 전환하는 능력은 또한 네트워크 상의 시그널링 부하를 줄이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새로운 PDN 접속의 설정보다 더 적은 시간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 둘 모두의 경우들에서, 새로운 PDN 접속은 제 1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보다 더 큰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는 저 우선순위일 수 있고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는 보통 우선순위일 수 있다. 증가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는 네트워크가 선택된 임계값보다 더 큰 트래픽 부하를 가질 때 UE가 더 낮은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PDN에 비해 더 낮은 레이턴시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실제 트래픽의 양은 네트워크의 케이퍼빌리티(capability)들에 좌우될 수 있다.
선택된 PDN에 대한 PDN 접속 요청이 네트워크로 송신되고 요청된 PDN이 네트워크에 의해 수용될 수 없다고 결정될 때, MME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를 UE로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메시지는 요청된 PDN 접속을 거부하는 이유를 나타내는 ESM 원인 값(cause valu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GPP 기술 사양(Technical Specification; TS) 24.301 V. 11.0.0 (2011년 9월) 섹션 6.5.1.4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 내의 ESM 원인 IE 내에 UE로 송신될 수 있는 다수의 상이한 ESM 원인 코드들을 개시한다. ESM 원인 값이 #26 "불충분한 리소스들"이면, 네트워크는 이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UE가 추가 PDN 접속 요청들로부터 백오프(back-off)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타이머 T3396에 대한 값을 포함할 수 있다. 타이머 T3396에 대한 값은 타이머 T3396 IE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제 1 PDN 접속 요청은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고 송신될 수 있고, 여기서 PDN 접속 거부 메시지는 원인 값 #26 및 타이머 T3396에 대한 값을 가지고 MME로부터 UE로 송신된다. 이중 우선순위 UE는 그 후에 보통 우선순위와 같은 상위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제 2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 메시지가 제 2 시도를 위해 원인 값 #26을 가지는 상위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고 송신되면, 타이머 T3396에 대한 갱신된 값이 수신될 것이다. PDN 접속 요청 메시지가 단독으로 송신되었으면, UE는 타이머 T3396이 가동 중인 경우에 이 타이머 T3396를 정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E는 그 후에 타이머 T3396을 작동시킬 수 있고 타이머 T3396가 만료되거나, 타이머 T3396가 정지되거나, UE가 꺼지거나 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이 제거될 때까지 동일한 APN에 대해 다른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PDN 접속 요청 메시지가 접속 요청 메시지와 함께 송신되었고 PDN 접속 거부 메시지가 T3396 값 IE 내의 타이머 T3396에 대한 값 및 원인 값 #26을 가지고 MME로부터 UE로 송신되면, UE로부터의 응답은 접속 거부 메시지가 무결성 보호되는지의 여부에 좌우될 수 있다. UE가 유효한 보안 파라미터들을 가지면, 접속 거부 메시지는 MME에 의한 UE의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NAS-MAC에 의해 무결성 보호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UE가 유효한 EPS 보안 연계를 가지지 않으면, 접속 거부 메시지는 무결성 보호되지 않는다.
접속 거부 메시지가 무결성 보호될 때, UE는 타이머 T3396이 작동하고 있으면 이를 정지시킴으로써 원인 값 #26을 가지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타이머 값이 0도 아니고 활성화 해제도 나타내지 않으면, UE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 내의 T3396 값 IE에 제공되는 값으로 타이머 T3396을 가동할 수 있다. 작동하고 있는 T3396 타이머에 대한 값이 저 우선순위 표시자에 의한 거부에 기초할 수 있는 이전의 거부에 의해 결정되었으므로, 현재 거부 내에서 송신되는 타이머 T3396 값 IE에서 수신되는 값으로 타이머를 리셋함으로서 타이머 T3396 값이 무선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정확하게 표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네트워크가 제 1 거부에서 제 2 거부로 더 혼잡되었다면, 타이머 T3396 값은 증가할 수 있다. 역으로, 네트워크가 제 1 거부에서 제 2 거부로 덜 혼잡되었다면, 타이머 T3396 값은 감소할 수 있다. 게다가, 타이머 T3396 값은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 따라 상이하게 세팅될 수 있다. 실제 타이머 T3396 값은 네트워크 혼잡의 정보, 네트워크 상의 부하,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UE들의 수 및 3GPP LTE 사양 내에서 기술되는 다른 요인들과 같은 다수의 요인들에 따라 좌우될 수 있다. 타이머 T3396 값 IE를 리셋함으로써 타이머 상의 백-오프 시간은 무선 네트워크의 현재 상태를 더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접속 거부 메시지가 무결성 보호되지 않으면, UE는 타이머 T3396이 작동 중이라면 이 타이머 T3396을 정지시킴으로써 원인 값 #26을 가지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에 응답할 수 있다. UE가 그 후에 디폴트 범위로부터의 무작위 값으로 타이머 T3396를 작동시킬 수 있다. 디폴트 범위는 3GPP LTE 사양에 의해 명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폴트 범위는 3GPP TS 24.008 V11.0.0에서 정의되는 표 11.2.3에 명시될 수 있다(2011년 9월 28일).
타이머 T3396은 ESM 원인 코드가 네트워크 내의 불충분한 자원들을 나타낼 때(즉, ESM 원인 값 #26) MME로부터 UE로 송신되는 다른 거부 메시지들에 응답하여 유사하게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러 리소스 할당 거부 메시지가 MME로부터 UE로 송신되면, 메시지는 불충분한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ESM 원인 값 #26을 포함할 수 있다.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거부 메시지 내의 타이머 T3396 값 IE에서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ESM 원인 값이 #26 "불충분한 리소스들"이고 T3396 값 IE가 포함되는 경우에 그리고 T3396 타이머가 작동 중이고 0이 아니거나 활성화 해제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UE는 타이머 T3396를 정지시킬 수 있다. UE는 그 후에 T3396 값 IE에서 제공되는 값으로 타이머 T3396를 작동시키고 타이머 T3396가 만료되거나, 타이머 T3396는 정지되거나, UE는 꺼지거나 또는 USIM이 UE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동일한 APN에 대하여 다른 PDN 접속 요청,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도록 시도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베어러 리소스 수정 거부 메시지가 MME로부터 UE로 송신되면, 메시지는 불충분한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ESM 원인 값 #26을 포함할 수 있다.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는 베어러 리소스 수정 거부 메시지 내의 타이머 T3396 값 IE 내의 값을 포함할 수 있다. ESM 원인 값이 "불충분한 리소스들"이고 T3396 값 IE가 포함되는 경우 그리고 T3396 타이머가 작동 중이고 0이거나 활성화 해제가 아님을 표시하는 경우, UE는 타이머 T3396을 정지시킬 수 있다. UE는 그 후에 T3396 값 IE에서 제공되는 값으로 T3396을 가동하고 타이머 T3396이 만료되거나, 타이머 T3396이 정지되거나, UE가 꺼지거나 USIM이 UE로부터 제거될 때까지 동일한 APN에 대해 다른 PDN 접속 요청,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도록 시도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로 돌아와서, 디바이스 속성 IE는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 모드에 대하여 구성될 수 있는 이중 우선순위 UE에 대한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 포함될 수 있다.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가 불충분한 리소스들을 나타내는 ESM 원인 값 #26 및 타이머 T3396 값으로 거부되면, 이중 우선순위 UE는 타이머 T3396이 작동되고 있는 동안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동일한 APN으로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DN 접속 요청 메시지는 이전의 비트 1의 저 우선순위 세팅을 보통 우선순위로 오버라이드하기 위해 1의 값으로 세팅된 디바이스 속성 IE 세트 내의 옥텟 1의 비트 2를 가지고 이전의 PDN 접속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APN에 송신될 수 있다. MME와 같은 네트워크 제어기는 심지어 타이머 T3396이 작동하고 있는 중에서도 이 메시지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에서의 트래픽 여건들에 따라, 이전에 논의되는 바와 같이,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MME는 디바이스 접속 허용 메시지 또는 특정한 ESM 코드를 가지는 디바이스 접속 거부 메시지를 UE로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PDN 접속 거부 메시지는 "분실 또는 미지의 APN"을 나타내는 ESM 원인 값 #27을 포함할 수 있다. 원인 값 #27이 수신되면, 이중 우선순위 UE는 APN이 네트워크 제어기에 의해 공지되지 않으므로, 이전의 PDN 접속 요청 메시지와 동일한 APN에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요약하면, 타이머 T3396이 특정한 APN에 대해 가동 중이라면,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됨"으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 세트를 포함하는 PDN 접속 요청,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가 상부 계층들의 요청 시에 타이머 T3396와 ESM 값 #26 "불충분한 리소스들"로 거부되었으므로 UE는: "MS는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음"으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동일한 APN에 송신하거나; 또는 "MS는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음"으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설정되는 PDN 접속이 존재하면, PDN 접속을 위해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음"으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이전의 비트 1의 저 우선순위 세팅을 보통 우선순위로 오버라이드하기 위하여 1의 값으로 세팅된 디바이스 속성 IE 내의 옥텟 1의 비트 2를 가지고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을 송신함으로써, 기존 PDN 접속은 보통 우선순위로 수정될 수 있다. 이것은 UE가 동일한 APN을 사용하여 상이한 우선순위들을 가지는 다수의 PDN 접속들을 설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다중-액세스 우선순위 모드가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이동국(MS)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400)이 도 4의 흐름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블록 410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PDN 접속이 기존의 PDN 접속과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것을 표시하기 위해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포함하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UE 또는 MS로부터 이동 관리 엔티티(MME)로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블록 42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 또는 MS에서, 기존 MME와의 PDN 접속을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하고, 여기서 기존 PDN 접속은 제 1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한다. 추가 동작은 블록 43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UE 또는 MS에서, 적용을 위한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하고, 여기서 새로운 PDN 접속은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한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은 UE 또는 MS로부터, 기존 PDN 접속과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명칭(APN) 및 PDN 유형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고,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IE) 내의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또한 "저 우선순위가 오버라이딩되지 않음" 및 "저 우선순위가 보통 우선순위로 오버라이딩됨" 중 하나를 표시하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것은 UE 또는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고, UE 또는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는 것 중 하나를 표시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디바이스 속성 IE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PDN 접속 요청이 저 우선순위 및 보통 우선순위와 같은 이중 우선순위를 포함할 수 있을지라도, 추가 우선순위 레벨들을 포함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PDN 접속 요청을 송신하는 동작은 복수의 NAS 시그널링 표시자 레벨들 중 하나를 표시하는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디바이스 속성 IE를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동작은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로 PDN 접속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UE 또는 MS에 통지를 송신하지 않고 MME에서의 기존 PDN 접속을 위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컨텍스트들을 활성화 해제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것은 또한 UE 또는 MS에서, 소정의 APN에 대한 다수의 PDN 접속들이 허용되지 않는다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방법(400)은 기존 PDN 접속을 활성화 해제한 후에, 동일한 APN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UE 또는 MS로부터 송신하고 적용을 위해 MME와의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또한 상이한 APN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UE 또는 MS로부터 송신하고 적용을 위해 MME와의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 모바일 통신 디바이스, 태블릿, 핸드셋 또는 다른 유형의 모바일 무선 디바이스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예의 실례를 제공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기지국(BS), 진화된 NodeB(eNB), 베이스 대역 유닛(base band unit; BBU), 원격 무선 헤드(remote radio head; RRH), 원격 무선 장비(remote radio equipment; RRE), 중계국(relay station; RS), 무선 장비(radio equipment; RE) 또는 다른 유형의 무선 광대역 네트워크(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노드, 매크로 노드, 저 전력 노드(low power node; LPN) 또는 송신 스테이션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3GPP LTE, WiMAX, 고속 패킷 액세스(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블루투스 및 WiF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각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해 별개의 안테나들을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들에 대해 공유 안테나들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모바일 디바이스는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 무선 개인 에어리어 네트워크(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PAN) 및/또는 WWAN에서 통신할 수 있다.
도 5는 또한 오디오 입력 및 모바일 디바이스로부터의 출력에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로폰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들의 실례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용량성, 저항성 또는 다른 유형의 터치 스크린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그래픽 프로세서는 프로세싱 및 디스플레이 케이퍼빌리티들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메모리에 결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는 또한 데이터 입력/출력 옵션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는 또한 모바일 디바이스의 메모리 케이퍼빌리티들을 확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는 추가 사용자 입력을 제공하기 위해 모바일 디바이스와 통합될 수 있거나 모바일 디바이스에 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가상 키보드는 또한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예에서, 이중 액세스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이동국(MS) 또는 사용자 장비(UE)가 배치된다. MS 또는 UE는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 요청 메시지,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 명칭(APN)에 송신하고; 불충분한 리소스들 및 타이머 T3396 값으로 인해 거부를 표시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세션 관리(ESM) 원인 값(cause value)을 가지는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리고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특정한 APN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컴퓨터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MS 또는 UE는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설정되는 PDN 접속이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해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PDN 접속을 위한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MS 또는 UE는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설정되는 PDN 접속이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그리고 MS 또는 UE가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PDN 접속을 위해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MS 또는 UE는 특정한 APN을 사용하여 다수의 PDN 접속들을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들로 설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컴퓨터 회로를 가질 수 있다.
MS 또는 UE는 안테나,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기술들 또는 이 기술들의 특정한 양태들 또는 일부들은 플로피 디스켓들, CD-ROM들, 하드 드라이브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의 매체 내에서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즉, 명령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고, 여기서 이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머신 내에 로딩되고 이 머신에 의해 실행되면, 이 머신은 다양한 기술들을 실행하는 장치가 된다. 프로그램 가능 컴퓨터들 상에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는 경우에, 컴퓨팅 디바이스는 프로세서,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들은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자기 하드 드라이브 또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다른 매체일 수 있다. 기지국 및 모바일 디바이스는 또한 송수신기 모듈, 카운터 모듈, 프로세싱 모듈 및/또는 클럭 모듈 또는 타이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술들을 구현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재사용 가능 컨트롤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고급 절차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들)은 원하는 경우에 어셈블리 또는 머신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서, 언어는 컴파일링되거나 해석된 언어이거나 하드웨어 구현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기능 유닛들의 다수는 자체의 구현의 독립성을 특히 더 강조하기 위하여, 모듈들로서 라벨링되었음이 이해되어야 하다. 예를 들어, 모듈은 맞춤형 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 논리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다른 별개의 구성요소들과 같은 규격품(off-the-shelf) 반도체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들,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programmable logic device)들 등과 같은 프로그램 가능 하드웨어 디바이스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되도록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식별되는 실행 가능한 코드의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절차 또는 기능으로 조직될 수 있는,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들의 하나 이상의 물리 또는 논리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식별된 모듈의 실행 가능한 코드들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될 필요는 없으나,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되고, 논리적으로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모듈을 포함하고 모듈에 대한 진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이종의(disparate)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실행 가능 코드의 모듈은 단일 명령, 많은 명령들일 수 있고, 심지어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서 그리고 여러 메모리 디바이스에 걸쳐서,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을 통하여 분포될 수 있다. 유사하게, 운영 데이터는 본원에서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거나 예시될 수 있고,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구현되고 임의의 적절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서 조직될 수 있다. 운영 데이터는 단일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상이한 저장 디바이스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장소들에 걸쳐 분포될 수 있거나 적어도 부분적으로 시스템 또는 네트워크 상에서 단순히 전자 신호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모듈들은 원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 가능한 에이전트(agent)를 포함하여, 수동 또는 능동일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하나의 실시예" 또는 "실시예"라 함은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되는 특정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 내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어구 "하나의 실시예에서" 또는 "실시예에서"가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양한 장소들에서 등장하는 것은 반드시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칭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아이템들, 구조 요소들, 조성 요소들 및/또는 재료들이 편의를 위해 공통 목록에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 목록들은 목록의 각각의 일원이 개별적으로 별개 또는 고유의 일원으로 식별되는 것처럼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목록의 개별 일원은 반대로 표시되지 않으면 공통 그룹 내에 제시된 것에만 기초하여 동일한 목록의 임의의 다른 부재와 사실상 등가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예는 본원에서 이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대안들과 함께 언급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실시예들, 예들 및 대안들은 사실상 서로의 균등물들로서 해석되지 않아야 하고, 본 발명의 별개이고 자율적인 표현들로서 고려되어야 한다.
게다가, 기술되는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재료들, 파스너(fastener)들, 크기들, 길이들, 폭들 형상들 등의 예들과 같은 많은 특정한 세부사항들이 제공된다. 그러나, 당업자는 본 발명이 특정한 실시예들 중 하나 이상이 없이 또는 다른 방법들, 구성요소들, 재료들 등으로 실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는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본 발명의 양태들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세하게 도시하거나 설명되지 않는다.
상기 예들이 하나 이상의 특정한 적용예들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할지라도, 당업자에게는 창의적 능력을 발휘하지 않고 그리고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개념들을 벗어나지 않고 구현의 형태, 용례 및 세부사항에서 많은 수정들이 행해질 수 있음이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들에 의해 아래 진술되는 바를 제외하고,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이 의도되지 않는다.

Claims (26)

  1. 이중 액세스 비 액세스 계층(non access stratum;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무선 디바이스(a wireless device)로서,
    컴퓨터 회로(computer circuitry)를 포함하되,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는 상태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a low priority indicator)를 가지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acket data network; PDN) 접속 요청 메시지, 베어러(bearer) 리소스(resource) 수정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특정한 액세스 포인트 명칭(Access Point Name; APN)에 송신하고,
    불충분한 리소스로 인해 거부를 표시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volved packet system; EPS) 세션 관리(ESM) 원인 값(cause value)을 가지는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특정한 APN에 송신 ― 상이한 NAS 시그널링 속성을 갖는 다수의 PDN 접속은 상기 특정한 APN을 사용하여 설정됨 ― 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설정되는 PDN 접속이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PDN 접속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되는 상기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로 설정되는 PDN 접속이 존재한다고 결정하고,
    상기 PDN 접속을 위해 상기 무선 디바이스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상태로 세팅된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안테나,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6. 다중 액세스 우선순위 모드가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UE) 또는 이동국(MS)에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PDN 접속이 기존의 PDN 접속과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진다고 표시하는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override) 표시자를 포함하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UE 또는 MS로부터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로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토대로 상기 MME와의 상기 기존 PDN 접속을 활성화 해제(deactivating)하는 단계 ― 상기 기존 PDN 접속은 제 1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음 ― 와,
    상기 UE 또는 MS에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새로운 PDN 접속은 제 2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에서 동작함 ― 를 포함하되,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저 우선순위가 오버라이딩되지 않는 것과,
    저 우선순위가 보통 우선순위(normal priority)로 오버라이딩되는 것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상기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UE 또는 MS로부터, 상기 기존 PDN 접속과 동일한 액세스 포인트 명칭(APN) 및 PDN 유형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와,
    디바이스 속성 정보 요소(IE) 내의 상기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존 PDN 접속을 활성화 해제한 후에, 동일한 APN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UE 또는 MS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상기 MME와의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이한 APN을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UE 또는 MS로부터 송신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위해 상기 MME와의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오버라이드 표시자는 디바이스 속성 IE의 옥텟 1의 비트 2에서 송신되는
    방법.
  12.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UE 또는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하여 구성되지 않는 것과,
    상기 UE 또는 MS가 NAS 시그널링 저 우선순위에 대해 구성되는 것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하여 저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디바이스 속성 IE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저 우선순위 표시자는 상기 디바이스 속성 IE의 옥텟 1의 비트 1에서 송신되는
    방법.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는 단계는 복수의 NAS 시그널링 표시자 레벨 중 하나를 표시하기 위해 우선순위 표시자를 가지는 디바이스 속성 IE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5.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로 PDN 접속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네트워크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UE 또는 MS로 통지(a notification)를 송신하지 않고 상기 MME에서의 상기 기존 PDN 접속에 대한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베어러 컨텍스트를 활성화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PDN 접속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UE 또는 MS에서, 소정의 APN에 대한 복수의 PDN 접속이 허용되지 않는 PDN 접속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7. 컴퓨터 회로를 가지고 이중 액세스 비 액세스 계층(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무선 디바이스로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이동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저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 및 보통 우선순위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 중 하나에 대한 PDN 접속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타이머 T3396의 값 및 불충분한 리소스로 인한 거부를 표시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세션 관리(ESM) 원인 값을 가지는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PDN) 접속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타이머 T3396이 작동 중일 때 상기 타이머 T3396을 정지시키고,
    상기 MME로부터 수신되는 타이머 T3396 값으로 상기 타이머 T3396을 작동 ― 상기 타이머 T3396 값은 현재의 트래픽 여건에 기초하여 상기 MME에서 결정됨 ― 시키고,
    상기 타이머 T3396가 만료된 후에 상이한 NAS 시그널링 우선순위 모드를 가지는 PDN 접속 요청 메시지를 상기 MME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결성 보호되지 않은(not integrity protected) 접속 거부 메시지(an attach reject message)를 수신하고,
    선택된 범위 내의 무작위 값으로 상기 타이머 T3396을 가동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무결성 보호되는 접속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PDN 접속 거부 메시지 내에 제공되는 타이머 T3396 값으로 상기 타이머 T3396을 가동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0. 삭제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타이머 T3396의 값 및 불충분한 리소스에 의해 거부를 표시하는 ESM 원인 값을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거부 메시지를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MME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베어러 리소스 할당 거부 메시지 내의 T3396 값 정보 요소(IE) 내에 제공되는 값으로 상기 타이머 T3396을 가동하고,
    상기 타이머 T3396이 만료되거나 상기 타이머 T3396가 정지된 이후에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상기 무선 디바이스에서 상기 MME로부터 타이머 T3396의 값 및 불충분한 리소스에 의한 거부를 표시하는 ESM 원인 값을 가지는 베어러 리소스 수정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베어러 리소스 수정 거부 메시지 내의 타이머 T3396 값 정보 요소(IE) 내에 제공되는 값으로 상기 타이머 T3396을 가동하고,
    상기 타이머 T3396이 만료하거나 상기 타이머 T3396이 정지된 이후에 상기 PDN 접속 요청 메시지, 베어러 리소스 수정 요청 메시지 또는 베어러 리소스 할당 요청 메시지를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국(MS) 및 머신 대 머신(machine to machine; M2M) 디바이스 중 하나이고,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안테나,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 스크린, 스피커, 마이크로폰, 그래픽 프로세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를 포함하는
    무선 디바이스.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회로는, 타이머 T3396의 값 및 불충분한 리소스로 인한 거부를 표시하는 진화된 패킷 시스템(EPS) 세션 관리(ESM) 원인 값을 가지는 거부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무선 디바이스.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중 하나인
    무선 디바이스.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디바이스는 이동국(mobile station; MS) 또는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중 하나인
    무선 디바이스.
KR1020147031589A 2012-05-11 2013-05-10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 KR1016378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261646223P 2012-05-11 2012-05-11
US61/646,223 2012-05-11
US13/729,568 US9294213B2 (en) 2012-05-11 2012-12-28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for multi priority wireless devices
US13/729,568 2012-12-28
PCT/US2013/040649 WO2013170211A1 (en) 2012-05-11 2013-05-10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s for multi priority wireless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04A KR20150000504A (ko) 2015-01-02
KR101637800B1 true KR101637800B1 (ko) 2016-07-07

Family

ID=64606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1589A KR101637800B1 (ko) 2012-05-11 2013-05-10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294213B2 (ko)
EP (1) EP2848075B1 (ko)
JP (2) JP6039062B2 (ko)
KR (1) KR101637800B1 (ko)
BE (2) BE1023198B1 (ko)
BR (1) BR112014027933B1 (ko)
ES (1) ES2463216B2 (ko)
FI (1) FI127258B (ko)
FR (2) FR2990584B1 (ko)
IT (1) ITMI20130773A1 (ko)
NL (1) NL2010784C2 (ko)
SE (2) SE1551610A1 (ko)
TW (1) TWI535324B (ko)
WO (1) WO2013170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8546A (ko) * 2011-06-15 2012-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분산 네트워크에서 우선순위에 기반한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과, 디스커버리 백오프 타임 결정 방법
JP5421969B2 (ja) * 2011-10-03 2014-02-19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通信方法、移動管理ノード、パケット交換機及び移動局
CN104185973B (zh) * 2012-01-20 2017-09-22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设定数据发送的优先级的方法和设备
US9015395B2 (en) * 2012-05-10 2015-04-21 Alcatel Lucent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ple priority access in a wireless network system
WO2014026376A1 (zh) * 2012-08-17 2014-02-20 华为技术有限公司 承载建立方法、基站、分组数据网关和计算机系统
US9854381B2 (en) * 2012-11-02 2017-12-2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of MTC device
CN103118389B (zh) * 2013-01-25 2015-11-18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射频拉远模块的温度检测方法和装置
KR102093485B1 (ko) 2013-02-19 2020-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억세스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HUE038867T2 (hu) 2013-03-29 2018-12-28 Intel Ip Corp WLAN kiválasztási irányelv vezérlés barangolási (roaming) szcenáriókban
US9743341B2 (en) * 2013-03-29 2017-08-22 Intel IP Corporation Provisioning of application categories at a user equipment during network congestion
WO2014161780A1 (en) * 2013-04-01 2014-10-09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Enhanced back-off timer solution for gtp-c overload control
ES2733065T3 (es) * 2013-05-16 2019-11-27 Intel Ip Corp Múltiples grupos de control de enlace de radio (RLC)
EP2991400A4 (en) * 2013-05-30 2016-05-18 Huawei Tech Co Ltd DATA TRANSFER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684021B (zh) * 2013-11-29 2020-01-1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建立nas连接的方法、系统及无线接入网节点
WO2015102444A1 (ko) * 2014-01-04 2015-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통신을 위한 탐지 신호 전송 방법 및 사용자 장치
EP3096566B1 (en) * 2014-01-19 2019-03-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supporting power saving mode and wireless device thereof
US9392531B2 (en) 2014-01-30 2016-07-12 Intel IP Corporation Application specific congestion control in a wireless network
CN104955171A (zh) * 2014-03-26 2015-09-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移动通信网络连接创建的控制方法及装置
US10244455B2 (en) 2014-08-29 2019-03-26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bility management procedure initiation method and device
US9980310B2 (en) * 2014-10-17 2018-05-22 Mediatek Inc. Method for processing unsuccessful PDN establishment request
US10117279B2 (en) * 2014-10-17 2018-10-30 Mediatek Inc. Method for maintenance of maximum number of bearers when maximum number of bearers reached
US9807669B1 (en) * 2014-10-24 2017-10-31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dentifying communication paths based on packet data network gateway status reports
US20160127239A1 (en) * 2014-11-03 2016-05-05 Alcatel-Lucent Usa Inc. Network configuration settings sourced by user equipment
US9408219B2 (en) * 2014-12-01 2016-08-0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vice centric distributed re-enabling of background application data communication
US10129788B2 (en) * 2015-03-11 2018-11-13 Cisco Technology, Inc. System and method for deferred delivery of content based on congestion in a network environment
JP2018093252A (ja) * 2015-04-07 2018-06-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mme、pgw、及び通信制御方法
KR102336995B1 (ko) 2015-06-26 2021-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통신 방법
KR101662027B1 (ko) * 2015-07-03 2016-10-05 주식회사 케이티 사설망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성관리장치
WO2017029000A1 (en) * 2015-08-14 2017-02-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node and method for managing a packet data network connection
US9930517B2 (en) * 2015-10-30 2018-03-27 Acer Incorporated Apparatuses and methods for handling change of user equipment (UE) usage type
JP2017117243A (ja) * 2015-12-24 2017-06-29 株式会社リコー 操作デバイス及び操作デバイスにおける通信路の利用権管理方法
US10142923B2 (en) * 2016-02-26 2018-11-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Using a single packet data network for data transfers to manage network resources
CN109076496B (zh) 2016-05-03 2021-09-03 株式会社Kt 用于改变终端连接状态的方法和装置
JP2019134197A (ja) * 2016-05-17 2019-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SME(Session Management Entity)、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2460381B1 (ko) 2017-03-20 2022-10-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통신 시스템 간 이동 방법, 디바이스 및 시스템
CN106970542B (zh) * 2017-03-27 2019-06-28 合肥瑞石测控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可视化裂解炉烧焦状态监测装置
EP3808130A1 (en) * 2018-06-15 2021-04-21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sition of system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s
JP2020088452A (ja) * 2018-11-16 2020-06-04 シャープ株式会社 Ue、制御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05685C (zh) 2005-08-09 2009-06-24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网络中对网络地址/端口转换请求进行处理的方法
US8363606B2 (en) 2006-09-05 2013-01-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and control multiplexing
US9398517B2 (en) 2010-01-11 2016-07-19 Blackberry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discovery of local service availability in local cellular coverage
EP2369890A1 (en) 2010-03-26 2011-09-28 Panasonic Corporation Connection peak avoidance for machine-type-communication (MTC) devices
EP2440002B1 (en) 2010-10-05 2016-03-23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APN based congestion control
WO2012052071A1 (en) 2010-10-18 2012-04-26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scheduling based on priority and resource utilization
US8773988B2 (en) 2010-10-28 2014-07-08 Htc Corporation Method of handling communications of low priority device and MTC de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KR101479895B1 (ko) * 2011-04-29 2015-0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션 관리 및 이동성 관리에 관련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US20130155954A1 (en) 2011-12-14 2013-06-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iggering machine type communications applications
EP3253083B1 (en) 2012-01-18 2021-03-24 LG Electronics Inc. Control method and device based on multiple priorit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30201870A1 (en) 2012-02-06 2013-08-08 Vivek Gupta Handling dual priority applica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661886B2 (en) 2012-03-09 2014-03-04 Nissan North America, Inc. Valve stem grommet structure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24.301 V10.6.1(2012.0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045996B1 (fr) 2022-05-27
BE1023200B1 (fr) 2016-12-19
FI20135490A (fi) 2013-11-12
JP6039062B2 (ja) 2016-12-07
FI127258B (en) 2018-02-15
NL2010784A (en) 2013-11-12
SE1551610A1 (sv) 2015-12-08
TWI535324B (zh) 2016-05-21
FR2990584B1 (fr) 2019-09-06
EP2848075B1 (en) 2019-09-25
FR2990584A1 (fr) 2013-11-15
ITMI20130773A1 (it) 2013-11-12
FR3045996A1 (ko) 2017-06-23
EP2848075A4 (en) 2016-01-13
ES2463216A2 (es) 2014-05-27
BR112014027933A8 (pt) 2021-06-15
US9294213B2 (en) 2016-03-22
WO2013170211A1 (en) 2013-11-14
ES2463216R1 (es) 2014-07-31
BR112014027933A2 (pt) 2017-06-27
SE1350582A1 (sv) 2013-11-12
SE545730C2 (sv) 2023-12-19
BE1023200A1 (fr) 2016-12-19
NL2010784C2 (en) 2015-06-04
BE1023198B1 (fr) 2016-12-19
CN103428886A (zh) 2013-12-04
US20130301547A1 (en) 2013-11-14
JP2015520565A (ja) 2015-07-16
ES2463216B2 (es) 2015-08-04
JP2017063454A (ja) 2017-03-30
TW201352044A (zh) 2013-12-16
BR112014027933B1 (pt) 2022-07-12
KR20150000504A (ko) 2015-01-02
JP6430457B2 (ja) 2018-11-28
EP2848075A1 (en)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800B1 (ko) 다중 우선순위 무선 디바이스들을 위한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 접속들
AU2016277717B2 (en) Extended access barring
KR101579013B1 (ko) 머신 타입 통신 연결성 공유
EP25646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congestion generated by machine to machine (m2m) traffic
US20170230895A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nection Between User Equipment and Network, and Mobility Management Entity
WO2014133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nd using small data radio bear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