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729B1 -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729B1
KR101637729B1 KR1020140158650A KR20140158650A KR101637729B1 KR 101637729 B1 KR101637729 B1 KR 101637729B1 KR 1020140158650 A KR1020140158650 A KR 1020140158650A KR 20140158650 A KR20140158650 A KR 20140158650A KR 101637729 B1 KR101637729 B1 KR 101637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air conditioning
occupant
seat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8283A (ko
Inventor
곽창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8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729B1/ko
Publication of KR201600582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82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by detection of the vehicle occupants' presence; by detection of conditions relating to the body of occupants, e.g. using radiant heat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6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 B60H1/007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vehicle driving condition, e.g. speed the input being a stationary vehicle position, e.g. parking or stopp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의 공조 수행 시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각 좌석마다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탑승자 파악단계; 및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 공조를 수행하는 개별공조 수행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CONTROLLING METHOD OF SEPERATE HVAC SYSTE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시스템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차량의 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단하여 탑승자가 있는 경우에만 공조를 수행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공기조화를 수행하는 공조장치가 마련된다. 탑승자의 의지에 의해 공조장치가 수행되면, 탑승자의 수나 위치와 상관없이 전체적으로 공조가 수행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혼자 탑승하고 있을 때도 차량 실내 전체에 공조를 수행하여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가 될 때까지는 어느 정도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동으로 구동되어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를 통한 공조 수행 시에도 탑승자의 탑승여부와 상관없이 차량 실내 전체에 공조가 수행된다.
그러므로, 친환경 자동차인 전기자동차나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에는 주행거리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주행가능거리 확대를 위하여 배터리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전체 공조시스템을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개별공조를 수행하도록 적용하여 연비개선을 통해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이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3-0136060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주행가능거리 확대를 위하여 배터리 에너지가 많이 소모되는 전체 공조시스템을 탑승자의 탑승 여부를 파악하여 자동으로 개별공조를 수행하도록 적용하여 연비개선을 통해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는 차량의 공조 수행 시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각 좌석마다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탑승자 파악단계; 및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 공조를 수행하는 개별공조 수행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는 제어부에 공조를 수행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공조 시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센싱을 수행하는 센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단계에서는 사용자 감지 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및 도어 스위치 센서를 통해 각각의 신호값을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는 해당 좌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는 공조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에서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시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리셋하는 센서 리셋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에서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에서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메모리를 리셋하는 메모리 리셋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에서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에 따르면 상기한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에 따르면, 탑승자 감지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및 도어 스위치 센서의 세가지 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조수석 및 후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탑승자 감지센서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탑승자의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개별공조가 정확하게 작동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리스 엔트리 도어 언락 시점부터 도어 스위치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추가 정보로 활용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99%이상의 정확도로 검출이 가능하여 AFTC 시스템 구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좌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다시 파악하여 개별공조를 수행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탑승자가 있는 좌석에만 개별공조를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공조를 수행하지 않아 연비개선을 통해 친환경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2는 차량의 센서 위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고, 도 2는 차량의 센서 위치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은 차량의 공조 수행 시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각 좌석마다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탑승자 파악단계(S100); 및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S100)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 공조를 수행하는 개별공조 수행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Keyless Entry System)의 스마트키의 도어 언락(Door Unlock) 기동시점부터 BCM(Body Control Module)이 웨이크업(Wake-up)되어 도어 스위치 센서(500) 신호, 탑승자 감지센서(100, ODS; Occupant Detection Sensor)의 센서값 및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300, SBR; Seat Belt Reminder)의 센서값을 제어부(미도시)에서 입력받아 탑승객의 유무를 로직(Logic)적으로 판단하는 기술로서, 조수석(F2) 및 후석(R)의 탑승자 유무를 판단한 후 공조시스템의 수행 시 FATC를 통해 자동으로 공조 장치를 영역별로 구동하는 기술이다.
상기한 내용에 대해 도면을 포함해서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차량의 운전석(F1)에는 운전자가 항상 탑승하고 있으므로, 조수석(F2) 및 후석(R)에는 각각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탑승자 감지센서(100; 100a,100b,100c,100d)가 조수석(F2)과 후석(R; R1,R2,R3)의 세자리에 각각 마련되고,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300; 300a,300b,300c)를 조수석(F2)과 후석(R)의 양측에 각각 마련한다. 또한, 조수석(F2)과 후석(R) 양측의 도어 스위치 센서(500; 500a,500b,500c)를 활용한다.
운전자가 키리스 엔트리 시스템이나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도어를 언락하게 되면, BCM이 슬립모드(Sleep Mode)에서 웨이크업(Wake-up)되게 된다. 이 때, 제어부에 의해 FATC가 자동으로 공조를 수행하게 된다. 물론, FATC는 자동으로 공조가 수행되어 차량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을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공조가 수행되는 경우에 응용하여 적용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에 공조를 수행하는 신호가 자동 혹은 수동으로 입력되면 공조 시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해서 센서에 의해 센싱을 수행하는 센싱단계(S200)가 수행된다. 상기 센싱단계(S200)에서는 상기한 탑승자 감지 센서(100),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300) 및 도어 스위치 센서(500)를 통해 각각의 신호값을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센서들은 차량의 시동이 온되지 않더라도 센서값을 센싱하며 센서에 의해 센싱된 센서값에 의해 조수석(F2) 및 후석(R) 각 좌석마다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탑승자 파악단계(S100)를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S100)에서 탑승자가 없다고 판단되면, FATC는 해당 좌석에는 공조를 수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S100)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 자동으로 공조를 수행하는 개별공조 수행단계(S300);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S300)에서는 후석(R)에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후석(R)과 운전석(F1)에 자동으로 개별공조를 수행하고, 조수석(F2)에만 탑승자가 있다고 판단되면, 운전석(F1)과 조수석(F2)에 개별공조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S300)에서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시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리셋하는 센서 리셋단계(S400)를 수행한다. 이 때, 특히 도어의 락 신호 시에는 탑승자 감지 센서(100)와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300)의 센서값은 즉시 초기화한다. 센서를 초기화하는 센서 리셋단계(S400) 후에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후,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S500);를 수행하고,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메모리를 리셋하는 메모리 리셋단계(S600)를 수행한다. 상기 메모리 리셋단계(S600)에서는 도어 스위치 센서(500)의 메모리값이 리셋되며, 이것은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의 경우에는 휴게소나 잠시 차량의 정차 시 하차하지 않고 차량의 실내에 남아있을 수도 있기 때문에 도어 락 신호가 입력되더라도 소정의 시간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공조를 수행하게 되어 남아 있는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상기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S500)에서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S100)를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좌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다시 파악하여 개별공조를 수행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탑승자가 있는 좌석에만 개별공조를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공조를 수행하지 않아 연비개선을 통해 친환경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에 따르면, 탑승자 감지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및 도어 스위치 센서의 세가지 센서를 모두 사용하여 조수석 및 후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함으로써, 시트벨트를 착용하지 않거나 탑승자 감지센서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탑승자의 유무를 종합적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개별공조가 정확하게 작동하여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리스 엔트리 도어 언락 시점부터 도어 스위치 신호를 모니터링하여 추가 정보로 활용하기 때문에 탑승자의 탑승여부를 99%이상의 정확도로 검출이 가능하여 AFTC 시스템 구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좌석에 탑승자의 유무를 다시 파악하여 개별공조를 수행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변동이 있는 경우에도 빠르고 효과적으로 대처하여 탑승자가 있는 좌석에만 개별공조를 수행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공조를 수행하지 않아 연비개선을 통해 친환경자동차의 주행가능거리를 증대시킬 수 있으면서도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F1 : 운전석 F2 : 조수석
R : 후석 100 : 탑승자 감지센서
300 :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500 : 도어 스위치 센서
S100 : 탑승자 판단단계
S200 : 센싱단계
S300 : 개별공조 수행단계
S400 : 센서 리셋단계
S500 :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
S600 : 메모리 리셋단계

Claims (8)

  1. 차량의 공조 수행 시 탑승자 감지 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및 도어 스위치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바탕으로 각 좌석마다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는 탑승자 파악단계; 및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 공조를 수행하는 개별공조 수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에서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시 탑승자 감지 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에 의해 센싱된 값을 리셋하는 센서 리셋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개별공조 수행단계에서는 도어 락 신호의 입력 후, 소정의 시간 동안 도어 스위치 센서의 값을 통해 개별공조를 수행하며,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는지를 확인하는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에서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도어 스위치 센서의 메모리 값을 리셋하는 메모리 리셋단계;를 수행하며,
    상기 재언락 신호 확인단계에서는 소정의 시간 이내에 도어 언락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를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는 제어부에 공조를 수행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공조 시 탑승자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에 의해 센싱을 수행하는 센싱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센싱단계에서는 탑승자 감지 센서, 시트벨트 리마인더 센서 및 도어 스위치 센서를 통해 각각의 신호값을 센싱하여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탑승자 파악단계에서는 해당 좌석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좌석에는 공조를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158650A 2014-11-14 2014-11-14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KR101637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50A KR101637729B1 (ko) 2014-11-14 2014-11-14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8650A KR101637729B1 (ko) 2014-11-14 2014-11-14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83A KR20160058283A (ko) 2016-05-25
KR101637729B1 true KR101637729B1 (ko) 2016-07-08

Family

ID=5611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8650A KR101637729B1 (ko) 2014-11-14 2014-11-14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72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23184B1 (en) * 2018-09-14 2023-10-04 Ningbo Geely Automobile Research & Development Co. Ltd. Climate system in a passenger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7976A (ko) * 2007-09-13 2009-03-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공기조화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130070945A (ko) * 2011-12-20 2013-06-2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394771B1 (ko) 2012-06-04 2014-05-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8283A (ko) 2016-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62914B (zh) 基于无线密钥速度启用车辆访问
US9827825B2 (en) System for detecting occupant in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ir conditioning using the same
US10305304B2 (en) Cloud server, vehicl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vehicle
US10821937B1 (en) Active approach detection with macro capacitive sensing
CN104943544A (zh) 行驶的车辆中的乘客启用触摸屏的系统和方法
US1176036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type of vehicle occupant based on locations of a portable device
US10132112B2 (en) Door operating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pparatus
US108157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hands free operation of at least one vehicle door
GB2512313A (en) A system for controlling functions of a vehicle by speech
CN110546034B (zh) 车辆乘员检测
JP2010076509A (ja) 電源監視装置
KR101637729B1 (ko) 차량의 개별공조 제어방법
JP2020203516A (ja) 移動体の制御装置
JP2010059742A (ja) 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CN105715141A (zh) 用于车辆开闭体的控制装置和控制系统
JP4706594B2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4491731B2 (ja) 自動車用制御装置
KR20140082390A (ko) 자동주차제어방법
US20090093933A1 (en) Integrated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6365250B2 (ja) オートロックシステム
KR102457512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6119A (ko) 도어 개방 경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12112196A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0121380A (ja) 車両用窓開閉装置
KR102393467B1 (ko) 차량의 주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