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713B1 -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 Google Patents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713B1
KR101637713B1 KR1020140149776A KR20140149776A KR101637713B1 KR 101637713 B1 KR101637713 B1 KR 101637713B1 KR 1020140149776 A KR1020140149776 A KR 1020140149776A KR 20140149776 A KR20140149776 A KR 20140149776A KR 101637713 B1 KR101637713 B1 KR 101637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solar
cells
roof panel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7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774A (ko
Inventor
김원중
어문정
김솔
정해윤
김상학
송미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7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713B1/ko
Priority to US14/868,768 priority patent/US20160126385A1/en
Publication of KR20160050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8/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y from forces of nature, e.g. sun or wind
    • B60L8/003Converting light into electric energy, e.g. by using photo-voltaic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8Encapsulation of modules
    • H01L31/0488Double glass encapsulation, e.g. photovoltaic cells arranged between front and rea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3Sunroofs e.g. sliding above the ro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01G9/2068Panels or arrays of photoelectrochemical cells, e.g. photovoltaic modules based on photoelectrochemica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16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 H01L31/02019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021Circuit arrangements of general character for the devic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5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 H01L31/0504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 H01L31/0508Electrical interconnection means between PV cells inside the PV module, e.g. series connection of PV cells specially adapted for series or parallel connection of solar cells in a module the interconnection means having a particular sha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34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 H02J7/35Parallel operation in networks using both storage and other dc sources, e.g. providing buffering with light sensitive ce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3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bulk heterojunctions, e.g. interpenetrating networks of donor and acceptor material domai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50Photovoltaic [PV]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90Energy harvesting concepts as power supply for auxiliaries' energy consumption, e.g. photovoltaic sun-ro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을 탑재한 차량의 루프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태양전지 모듈을 동시 탑재하여 루프패널의 개방감을 만족하고, 이종의 태양전지 간의 접촉으로 인한 전압강하를 방지하고, 다수의 셀로 구성된 태양전지를 통해 이종의 태양전지의 출력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하거나, 이종의 태양전지에 개별적으로 연결되는 전선부를 통해 동종 간의 태양전지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개별적 제어하여 태양전지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Roof panel having solar cell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종의 태양전지 모듈을 동시 탑재하여 루프패널의 개방감을 만족하고, 이종의 태양전지간의 개별적 제어를 통해 태양전지의 성능을 최대화하기 위한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이브리드 차량, 전기자동차, 연료전지 차량 등 친환경차량의 개발이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차종에 태양전지를 적용하려는 노력이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의 선루프패널이나 파노라마 선루프패널에 태양전지를 적용 시에는 기존의 선루프가 가지고 있는 개방감을 살리는 동시에 태양에너지를 다양한 응용 분야에 활용할 수 있어, 자동차의 선루프패널 및 파노라마 선루프패널 등에 적용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선루프 또는 파노라마 루프는 강화유리와 프레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외부에서 차량 실내에 프레임,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전극 및 전선 부분이 보이지 않게 하기 위하여 강화유리의 외곽부위는 세라믹 코팅이 되어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를 적용한 기존의 실리콘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경우, 루프패널 뒷면의 중앙부분(세라믹 코팅이 미적용된 강화유리의 가운데 부분임)에 실리콘 태양전지를 장착하고 있는데, 가격, 개방감 및 디자인 저하 등의 문제로 인해 널리 보급되지 못하고 있어, 실리콘 태양전지를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대체하려는 시도도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제조 단가가 저렴하고, 투명 전극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의 태양전지를 만들 수 있는 등 여러 장점이 있기에,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경우 실리콘 태양전지 대비 저가이고 개방감을 가지며 다양한 칼라 적용 등의 장점이 있지만, 실리콘 태양전지 대비 성능이 낮은 단점이 있다.
이처럼, 이종 태양전지 간의 에너지 효율이 차이가 나는바, 각각의 태양전지를 접촉하여 하나의 전선부를 이용하여 구동부 및 충전부와 연결하는 경우, 작은 전압값을 가지는 태양전지와 동일하게 태양전지들로부터 발생하는 총 전압값이 수렴하게 된다. 따라서, 이종 간의 태양전지를 사용할 경우, 상기 태양전지간의 접촉에 따른 에너지 효율적 측면에서 문제가 존재한다.
선행 기술로서, 등록특허 10-0711566호 (이하 문헌 1)의 경우, 자동차 선루프용 태양전지모듈 제조방법으로서, 라미네이터 기기를 이용해 태양전지모듈을 자동차 선루프에 접합시키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문헌 1의 경우도, 기존의 선루프 투명창에 불투명 태양전지를 붙임으로써 운전자에게 개방감을 제공할 수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서, 루프패널의 중앙부에는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제1태양전지를 탑재하고 루프패널의 가장자리부에는 성능이 우수한 제2태양전지를 탑재하여, 루프패널의 개방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태양전지의 성능을 최대화하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의 접촉을 방지하고, 각각의 태양전지와 연결된 전선부를 포함하는바, 이종의 태양전지의 접촉으로 발생하는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종의 태양전지를 혼합하여 루프 글라스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루프 글라스의 중앙부에는 투명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 상기 루프 글라스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태양전지 대비 투명성이 낮은 제2태양전지, 상기 제1태양전지 및 제2태양전지 상하 양면에는 접합필름 및 루프 글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 또는 제2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는 다수의 셀로 구성되며, 각각의 태양전지의 출력전압이 동일하도록 상기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다수의 셀을 직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간극을 유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 간에 두께 차이가 상쇄 되도록 충진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경우, 상기 셀은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퀀탐닷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카드륨-텔루라이드(CdTe) 태양전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의 일정한 간극에 부도체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이종의 태양전지를 혼합하여 루프 글라스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루프 글라스의 중앙부에는 투명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 상기 루프 글라스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태양전지 대비 투명성이 낮은 제2태양전지, 상기 제1태양전지의 전극과 연결된 제1전선부, 상기 제2태양전지의 전극과 연결된 제2전선부, 상기 제1전선부 및 제2전선부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 및 제2태양전지 상하 양면에는 접합필름이 적층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간극을 유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제어기는 각각의 태양전지의 출력에 따라 상기 충전부와 구동부 사이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태양의 고도정보가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정보 센서, 차량의 기울기가 측정되는 지자기 센서, 루프패널의 기울기가 측정되는 틸트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루프패널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어기는 최대전력 추종 제어(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퀀텀닷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2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극에 부도체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 루프패널은 루프 글라스 상판과 루프 글라스 하판 사이에 태양전지 모듈을 장착하여 태양전지 모듈을 루프패널의 전면적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 모듈의 설치 면적을 기존 대비 확대하여 광발전 면적을 확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루프패널의 중앙부에는 반투명한 특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를 사용하고 루프패널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태양전지보다 낮은 투명도를 갖는 제2태양전지를 사용하는바 운전자에 개방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의 접촉을 방지하는바, 각각의 태양전지의 접촉을 통한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태양전지의 성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존재한다.
더욱이, 각각의 태양전지에 개별 전선부를 연결하여 각각 태양전지의 전압차에 따라 별도로 제어하는바, 광발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용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차량용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간극에 충진필름이 삽입된 단면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차량용 파노라마 썬루프에 적용된 제1태양전지와 다수의 셀로 구성된 제2태양전지 루프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제1태양전지와 연결된 제1전선부와 제2태양전지와 연결된 제2전선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a는 하나의 전선부를 갖는 태양전지 루프패널의 제어기를 통한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도 5b는 제1전선부와 제2전선부와 각각 연결된 제어기를 통해 태양전지 루프패널과 충전부 및 구동부의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도 5c는 제1전선부를 통해 제1태양전지의 출력만을 충전부 및 구동부와 체결하는 연결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하여 구성한 자동차의 루프패널(10)에 관한 것으로, 두 종류의 태양전지 모듈을 동시 이용하여 루프패널의 개방감을 확보하는 동시에 태양전지의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루프패널의 중앙부에는 개방감을 제공할 수 있는 제1태양전지(11)를 사용하고 루프패널의 가장자리부에는 성능이 우수한 제2태양전지(12)를 사용하며, 또한 기존의 강화유리로 된 루프 글라스 대신 접합유리로 된 루프 글라스를 이용하여 광발전 면적을 최대화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앞유리에 사용하는 접합유리의 경우 두 장의 유리를 접합하고 그 사이에 유리보다 충격탄성이 우수하고 파열강도와 인장강도가 우수한 EVA(ethylene vinyl acetate),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B(polyvinyl butyral) 등의 접합필름(13)을 사용한다. 상기 접합필름(13)과 같이 인장력 및 탄성이 우수한 복합분자물질을 유리와 함께 라미네이팅하는 경우, 상기 유리는 강한 충격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거미줄과 같은 모양으로 금만 가고 깨지지 않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은 태양전지를 부착하는 루프 글라스로서 기존의 강화유리 대신 접합유리의 구조를 사용하여 구성한다.
도 1의 경우, 본 발명의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루프패널의 경우, 이종의 태양전지를 혼합하여 루프 글라스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루프 글라스의 중앙부에는 투명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11)를 포함하고, 상기 루프 글라스의 가장자리부에는 상기 제1태양전지(11) 대비 투명성이 낮은 제2태양전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태양전지(11) 및 제2태양전지(12)의 상하 양면에는 접합필름(13)과 루프 글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더욱이, 상기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극을 유지하여 인접하게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이종의 광효율 및 출력 전압을 갖는 태양전지 간의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고전압을 갖는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은 저전압을 갖는 태양전지로 수렴한다. 따라서, 고전압 출력을 갖는 태양전지의 효율을 유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 사이에 일정한 간극을 유지한다. 이는 광효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유지할 수 있는바 이종의 태양전지들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높은 광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 사이에 간극에 부도체를 삽입하여, 태양전지 간의 통전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루프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제1태양전지(11)는 투명성이 높은 태양전지를 사용하는바, 이는 루프패널의 개방감과 채광성을 유지하기 위해 반투명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구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염료감응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및 퀀텀닷 태양전지 등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제1태양전지(11)를 구성할 수 있다.
루프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제2태양전지(12)의 경우, 투명성이 필수적인 요건이 아닌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태양전지(12)의 경우, 제1태양전지(11)에 비하여 광효율이 높은 전지로 구성할 수 있는바, 더 바람직하게 카드뮴 텔루라이드(CdTe) 태양전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태양전지 등 화합물계의 태양전지를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제2태양전지(12)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루프 글라스는 상판과 하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루프 글라스 상판(14)과 루프 글라스 하판(15)을 접합하기 위해 EVA(ethylene vinyl acetate), ETFE(ethylene 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VB(polyvinyl butyral) 등의 접합제를 사용하며, 태양전지 모듈을 상기 상판(11)과 하판(12) 사이에 부착한다.
도 2에서 이종간의 태양전지가 라미네이트 층을 이루는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위에서 나타내는바, 이종간의 태양전지는 두께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와 같은 태양전지의 두께차이는 1mm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는바, 더 바람직하게 3mm이상의 두께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종의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를 혼합하여 사용한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의 경우, 제1태양전지(11)를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과 제2태양전지(12)를 구성하는 태양전지 모듈의 두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루프 글라스 상판(14)의 하면 위에 각 태양전지 모듈을 부착 후 루프 글라스 하판(15)을 접합시 단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루프 글라스 하판을 태양전지 모듈 위에 접합시 접합 부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루프 글라스 또는 루프패널의 가장자리부에서 서로 인접하게 되는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 간 단차가 발생한다. 단차가 발생하는 부분에 충진필름(16)을 삽입하여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의 두께차이에서 발생하는 단차를 조절할 수 있다. 단차를 조절하기 위해 삽입되는 충진필름(16)의 경우,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EVA) 및 PVB(polyvinyl butyral)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경우, 본 발명의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의 정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3개로 분할되어 구성된 루프패널상의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의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의 경우, 차량 루프에 위치하는 파노라마 썬루프의 구성으로, 디플렉터, 무빙파트 및 차량 루프 후미에 고정되는 리어 픽스드 파트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개방성 및 채광성이 요구되는 무빙 파트와 리어 픽스드 파트의 중심부는 제1태양전지(11)를 배치하고, 무빙 파트의 가장자리, 리어 픽스드 파트의 가장자리와 디플렉터는 제2태양전지(12)를 배치하고 있다.
무빙 파트의 가장자리, 리어 픽스드 파트의 가장자리와 디플렉터는 제2태양전지(12)의 경우, 다수의 셀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는바, 더 바람직하게 셀은 출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각 셀은 동일한 사이즈를 가진다. 이처럼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경우, 각각의 셀들의 직 병렬 연결을 구성함으로써, 이종간의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일치시킬 수 있다.
더욱이, 이종의 태양전지들의 전극과 연결된 전선부들로, 제1태양전지(11)의 전극과 연결된 제1전선부(17)와 제2태양전지(12)의 전극과 연결된 제2전선부(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만, 제1전선부(17) 및 제2전선부(18)가 한 개의 배선으로 처리되는 경우,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직 병렬의 연결을 통해서, 셀로 구성된 태양전지와 타 태양전지와 출력 전압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종 태양전지 간의 출력전압 차이로 발생하는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는 제1태양전지(11)와 연결된 제1전선부(17)와 제2태양전지(12)와 연결된 제2전선부(18)를 도시하고 있다. 출력 전압이 상이한 이종간의 태양전지의 경우, 각각의 태양전지 출력 전압을 이용할 수 있는바, 각각 동일한 종의 태양전지에 전선부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다른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분할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이 경우, 하나의 배선처리를 통해 나타나는 태양전지의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도 5a는 태양전지 루프패널(10)과 제어부 및 구동부(23)와 배터리의 연결을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5a의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의 경우,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로 구성되나, 제1전선부(17)와 제2전선부(18)를 하나의 배선으로 처리하여 제어기(21)로 연결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기(21)는 최대전력 추종 제어(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컨트롤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하나의 배선으로 처리되는 전선부를 포함하는 경우, 이종간의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동일하게 유지하여 전력 손실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제1태양전지(11) 또는 제2태양전지(1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셀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셀의 직 병렬 배열을 통해서 각각의 태양전지의 출력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제어기(21)는 출력된 태양전지의 출력을 배터리 충전부(22) 또는 구동부(23)의 연결을 실시간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21)를 통한 태양전지와 충전부(22) 및 구동부(23)의 연결 제어는 전자식 스위칭을 통해 이루어진다.
도 5b는 태양전지 루프패널(10)의 제1전선부(17)와 제2전선부(18)가 각각의 제어기(21)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즉, 제1태양전지(11)의 전극과 연결된 제1전선부(17)는 제1제어기(21)와 체결되고, 제2태양전지(12)의 전극과 연결된 제2전선부(18)는 제2제어기(21)에 체결되는바,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의 출력 전압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각각 이종간의 태양전지 출력 전압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에 따라 연결되는 제1전선부(17)와 제2전선부(18)는 각각 제1 및 제2제어기(21)를 통해 배터리 충전부(22) 또는 구동부(23)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 충전부(22)는 태양전지의 출력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부이고, 상기 구동부(23)는 차량에 탑재되어 태양전지의 출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차량 내 요소이다.
도 5c는 제1전선부(17)와 연결된 제어기(21)는 통전을 수행하고, 제2전선부(18)에 연결된 제어기(21)는 개방되는바, 제1태양전지(11)로부터 발생하는 전력을 배터리 충전부(22) 및 구동부(23)로 전달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이는 제1태양전지(11)의 전력이 전달되도록 하거나 제2태양전지(12)의 전력이 전달되도록 한 것으로, 제어기(21,22)에 의해, 제1태양전지(11)와 제2태양전지(12) 중 어느 하나의 출력이 배터리 충전부(22) 및 구동부(23)로 전달되도록, 두 태양전지와 배터리 충전부 및 구동부 간의 연결이 선택적으로 스위칭 제어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태양전지 루프패널
11: 제1태양전지
12: 제2태양전지
13: 접합필름
14: 루프 글라스 상판
15: 루프 글라스 하판
16: 충진필름
17: 제1전선부
18: 제2전선부
21: 제어기
22: 충전부
23: 구동부

Claims (13)

  1. 이종의 태양전지를 혼합하여 루프 글라스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루프 글라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투명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 및
    상기 제1태양전지가 배치되지 않은 루프 글라스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비교하여 투명성이 낮은 제2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제1태양전지 및 제2태양전지의 상하 양면에 각각 접합필름과 루프 글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 또는 제2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태양전지는 다수의 셀로 구성되며, 각각의 태양전지의 출력전압이 동일하도록 상기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다수의 셀을 직 병렬로 연결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간극을 유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가 서로 다른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 간에 두께 차이가 상쇄되도록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 중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태양전지의 상하 양면 중 어느 한 면과 상기 접합필름 사이에 충진필름이 적층 개재되고,
    상기 충진필름이 EVA(ethylene-vinyl acetate) 및 PVB(polyvinyl butyral) 중 하나 또는 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셀로 구성되는 태양전지의 경우, 상기 셀은 크기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전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퀀텀닷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태양전지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카드륨-텔루라이드(CdTe) 태양전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의 일정한 간극에 부도체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7. 이종의 태양전지를 혼합하여 루프 글라스에 배치한 것으로,
    상기 루프 글라스의 중앙부에 배치되고 투명성을 갖는 제1태양전지;
    상기 제1태양전지가 배치되지 않은 루프 글라스의 가장자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비교하여 투명성이 낮은 제2태양전지;
    상기 제1태양전지의 전극과 연결된 제1전선부;
    상기 제2태양전지의 전극과 연결된 제2전선부;
    상기 제1전선부에 연결된 제1제어기; 및
    상기 제2전선부에 연결된 제2제어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태양전지 및 제2태양전지의 상하 양면에 각각 접합필름과 루프 글라스가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간극을 유지하여 인접하게 위치하며,
    상기 제1제어기와 제2제어기는, 해당 태양전지의 출력에 따라, 태양전지의 출력으로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의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배터리 충전부, 및 차량에 탑재되어 태양전지의 출력을 공급받아 구동하는 구동부와 각 태양전지 간의 연결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8. 삭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태양의 고도정보가 측정되는 차량의 위치정보 센서, 차량의 기울기가 측정되는 지자기 센서, 루프패널의 기울기가 측정되는 틸트 센서에서 측정되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루프패널의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최대전력 추종 제어(Maximum Power Point Tracking:MPPT) 컨트롤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전지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유기태양전지, 페로브스카이트계 태양전지, 퀀텀닷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태양전지는 실리콘 태양전지, 카드륨-텔루라이드(CdTe) 태양전지, 구리-인듐-갈륨-셀레늄(CIGS) 태양전지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거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태양전지와 제2태양전지는 서로 접촉되지 않도록 일정한 간극에 부도체를 충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KR1020140149776A 2014-10-31 2014-10-31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KR10163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76A KR101637713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US14/868,768 US20160126385A1 (en) 2014-10-31 2015-09-29 Roof panel having solar cell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776A KR101637713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74A KR20160050774A (ko) 2016-05-11
KR101637713B1 true KR101637713B1 (ko) 2016-07-20

Family

ID=55853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776A KR101637713B1 (ko) 2014-10-31 2014-10-31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60126385A1 (ko)
KR (1) KR101637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30A (ko) 2018-02-12 2019-08-21 (주)대한솔루션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한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143B1 (ko) * 2017-07-07 2022-03-25 주성엔지니어링(주) 태양전지, 태양전지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DE202017107931U1 (de) * 2017-12-28 2019-04-01 Inalfa Roof Systems Group B.V. Dachkonstruktion für ein Fahrzeug und ein semi-transparentes Photovoltaik-Paneel darin
US20190221692A1 (en) * 2018-01-12 2019-07-18 Jiaxiong Wang Flexible Transparent-Semitransparent Hybrid Solar Window Membrane Module
KR102518182B1 (ko) * 2018-02-14 2023-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차량용 컨버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1977558B1 (ko) 2018-06-05 2019-05-10 안정미 차량용 태양전지모듈
US20200153057A1 (en) * 2018-11-13 2020-05-14 Rivian Ip Holdings, Llc Battery module with close-pitch cylindrical cells and method of assembly
KR20200125811A (ko) 2019-04-25 2020-1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솔라 루프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의 충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KR102244940B1 (ko) * 2019-05-20 2021-04-27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창호용 일체형 칼라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223889A1 (en) * 2020-06-28 2023-07-13 Tvs Motor Company Limited Energy harvesting vehicle
CN113066877A (zh) * 2021-04-29 2021-07-02 广东金源光能股份有限公司 一种太阳能汽车天窗面板及其制作方法
CN113659737A (zh) * 2021-08-19 2021-11-16 上海联净电子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98A1 (en) * 2012-04-23 2013-12-05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type roof panel having solar cell
JP2014018019A (ja) * 2012-07-11 2014-01-30 Sharp Corp ソーラー充電システム及び移動体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7421A (en) * 1985-04-01 1986-10-14 Sovonics Solar Systems Photovoltaic cell having increased active area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101168672B1 (ko) * 2009-04-22 2012-07-25 주식회사 한국체인모터 태양 위치에 따른 태양 전지판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34996A (ko) *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키미 자동차용 태양광 발전장치 및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9498A1 (en) * 2012-04-23 2013-12-05 Hyundai Motor Company Hybrid type roof panel having solar cell
JP2014018019A (ja) * 2012-07-11 2014-01-30 Sharp Corp ソーラー充電システム及び移動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7430A (ko) 2018-02-12 2019-08-21 (주)대한솔루션 태양전지 패널을 장착한 차량용 와이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774A (ko) 2016-05-11
US20160126385A1 (en) 2016-05-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713B1 (ko) 차량의 태양전지 루프패널
US9397252B2 (en) Shingled solar cell module
US20180317289A1 (en) Multi-layered electro-optic devices
US20170047464A1 (en) Thermoplastic wire network support for photovoltaic cells
CN205112540U (zh) 光伏层压板
CN110959198A (zh) 稳定的叠瓦状太阳能电池串及其生产方法
WO2017024945A1 (zh) 混合型太阳能天窗
US200902152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ulti-layered electro-optic devices
JP4203457B2 (ja) 発光モジュールおよび発光システム
EP3951891A1 (en) Solar cell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04134717B (zh) 太阳能电池组件的制造方法
US20130104960A1 (en) Integrated back-sheet for back contact photovoltaic module
CN117501457A (zh) 在光伏模块中使用的改进的平行太阳能电池串组件
US20130104959A1 (en) Integrated back-sheet for back contact photovoltaic module
JP2005236217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用封止材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CN114429995A (zh) 一种叠层结构的太阳能电池组件
CN209804683U (zh) 光伏电池组件
US20130104958A1 (en) Integrated back-sheet for back contact photovoltaic module
US20210184062A1 (en) Automotive solar cell roof panel using laminated glass
KR102514859B1 (ko) 미디어 건물 일체형 태양광 모듈
US20220158014A1 (en) Photovoltaic modules
CN215451427U (zh) 一种叠层结构的太阳能电池组件
CN209087864U (zh) 太阳能电池基板及太阳能电池组件
JP2011222947A (ja) 太陽電池用裏面保護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太陽電池
CN111725341A (zh) 光伏电池组件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