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86B1 - 진공강자흡식펌프 - Google Patents

진공강자흡식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86B1
KR101637086B1 KR1020140140492A KR20140140492A KR101637086B1 KR 101637086 B1 KR101637086 B1 KR 101637086B1 KR 1020140140492 A KR1020140140492 A KR 1020140140492A KR 20140140492 A KR20140140492 A KR 20140140492A KR 101637086 B1 KR101637086 B1 KR 101637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ump
pipe
pump chamb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0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5265A (ko
Inventor
지효근
정윤근
지현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성
Priority to KR1020140140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086B1/ko
Publication of KR20160045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5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9/00Priming; Preventing vapour lock
    • F04D9/02Self-prim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5/00Control, e.g. regulation, of pumps, 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펌프 수단(9)을 통해 펌프실(3)에서 공기가 공기배출관(7)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중에 유입수의 유입에 따른 수위에 의해 부자(16)가 상기 공기배출관(7)을 폐쇄하는 동시에, 유입수의 유입된 수위를 수위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제어수단(14)에서 전자클러치(10)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함에 따라,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전자클러치(1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공기 펌프 수단(9)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진공강자흡식펌프{A vacuum self-priming pump}
본 발명은, 모터의 회전력을 통해 유체가 펌핑 되는 펌핑실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도록 된 진공강자흡식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펌프는, 유체가 토출구보다 하측에 있을 경우, 상기 유체를 상측으로 펌프 하여 강제적으로 이동시키는 장치로, 유체를 이동시키거나 순환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펌프는, 가동 초기에 펌프실 내부에 물을 완전히 충수 하여 진공상태를 구현해야만 펌프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수동이나 일정량의 물을 펌프실로 계속 공급하며 가동하는 또 다른 펌프나 수봉 식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펌프의 펌프실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들면서 물이 충수 되도록 하여 펌프를 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 및 수봉 식 진공펌프는 슬러지가 많이 포함된 물을 펌프 할 경우, 상기 물에 포함된 슬러지에 의해 펌프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의 출원인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펌프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91044호(명칭: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진공강자흡식펌프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모터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 부로 이루어진 펌프실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토출하도록 임펠러가 내재 된 몸체를 가지는 펌프에 있어서, 상기 펌프실과 연통 되어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배출관;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와 상기 펌프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를 개폐시키는 공기 차단부; 및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 부에 연통 되어 상기 몸체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펌핑 부를 갖는 공기배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모터에 의해 유체가 펌프 되는 펌프 실과 연통 되어 상기 펌프 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수단을 설치하고, 몸체 펌프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강제적으로 배출시켜 압력차를 발생시킴으로, 모터에 의해 펌프 되던 유체를 더욱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상기에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에서 공기를 배출할 때, 사용되는 동력은,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클러치에 의해 전달이 제어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수단을 통해 상기 몸체 펌프실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 상기 클러치를 조절하여 상기 동력배출수단의 구동을 해제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0791044호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해제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동기의 배출상태를 확인 한 후, 수동으로 조절하여 해제하도록 되어 있어,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상기 동력배출수단을 해제하기 어려워 상기 공기배출수단에 과부하가 걸려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 - 0791044호(명칭: 진공강자흡식펌프)의 구조를 개선하여, 펌프실의 공기를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클러치를 제어하여 공기배출수단으로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공기배출수단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도록 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모터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 부로 이루어진 펌프실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펌프하도록 임펠러가 내재 된 몸체와, 상기 펌프실과 연통 되어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와 상기 펌프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를 개폐시키는 공기개폐수단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 부에 연통 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공기 펌프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전자클러치의 접속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으로의 동력 전달을 조절하도록 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개폐수단은, 상기 펌프실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통해 수직 상으로 상하운동을 부자(浮子)와 상기 부자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의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개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 되게 배치되는 '관' 형상의 수위 관과, 상기 수위 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 관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위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연산하여 상기 전자클러치를 제어하도록 되고; 기한 개폐 부재는, 상기 부자의 상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고정 봉과, 상기 고정 봉의 상단이 수용되어 안내되며 상기 공기배출관의 유입구와 대응하여 개폐하도록 된 패킹 판이 고정되는 고정 관과, 상기 고정 관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 공을 가지며 하단이 상기 고정 봉의 상단에 의해 개폐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관 공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통 공이 구비되어 상기 통 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관 공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 관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가이드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진공강자흡식펌프는, 상기 공기 펌프 수단을 통해 상기 펌프실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 배출관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중에 유입수의 유입에 따른 수위에 의해 상기 부자가 상기 공기 배출관을 폐쇄하는 동시에, 유입수의 유입된 수위를 상기 수위감지수단을 통해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상기 제어수단에서 상기 전자클러치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함에 따라, 펌프실의 공기를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전자클러치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으로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도모함은 물론, 공기 펌프 수단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펌프작동이 이루어지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의 일 부위를 보인 일부 발췌 확대 개략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확대 개략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의 작용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는, 모터(2)의 회전력을 통해 유체가 펌프 되는 펌프실(3)을 통해 유체를 펌프 되기 전에,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강제로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펌프 효율을 증대함은 물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하도록 된 것이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에서는,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791044호(명칭: 진공강자흡식펌프)의 구조를 개선한 것으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축(4)을 회전시키도록 된 모터(2)와, 상기 모터(2)의 회전축(4)에 축 결합 되어 회전되는 임펠러가 배치되며 유체가 펌프 되는 펌프실(3)과 상기 펌프실(3)로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펌프실(3)에서 유체가 펌프 되어 배출되며 일 방향 체크밸브(5)가 구비된 배출구를 가지는 몸체(6)와, 상기 몸체(6)의 펌프실(3)과 연통 되어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배출관(7)의 일단 부와 상기 몸체(6)의 상기 펌프실(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7)의 일단 부를 개폐시키는 공기개폐수단(8) 및 상기 공기배출관(7)의 타단 부에 연통 되어 상기 몸체(6)의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펌프 수단(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을 통해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상기 공기배출관(7)을 경유하여 강제로 배출하여 상기 펌프실(3)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형성한 후,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5)를 개방하여 배출구를 통해 유체를 펌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제거하는 별도의 작업 및 수단과 시간이 필요 없어 작업효율을 개선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은, 상기 모터(2)의 회전축(4)에 구비된 전자클러치(10)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력을 인가받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전자 클러치(10)에 의해 제어된 회전력을 통해 회전하도록 된 풀리(11) 및 벨트(12)를 통해 회전력을 인가받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은, 상기 풀리(11)와 축 결합 되어 회전되는 회전 봉과, 상기 회전 봉에 축 결합 되며 그 회전중심이 편심 된 편심 휠과, 상기 편심 휠의 외주 면이 수용되게 결합 되어 상기 편심 휠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하도록 된 커넥팅 로드와, 상기 커넥팅 로드의 직선왕복운동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관을 경유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다이아후램 펌프(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상기 모터(2)의 회전력을 동력원으로 하여 상기 다이아후램 펌프(13)를 구동함으로써, 별도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안정적으로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를 구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는, 상기 회전축(4)에 대한 상기 전자클러치(10)의 접속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의 동력 전달을 조절하도록 된 제어수단(14)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배출된 후,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 동력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에서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에서, 상기 공기개폐수단(8)은, 상기 펌프실(3)과 상기 공기배출관(7)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관' 형상의 본체(15)와, 상기 본체(15)의 내부에 부력을 통해 수직 상으로 상하운동을 부자(16)와 상기 부자(16)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16)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7)의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개폐 부재(1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배출관(7)의 일단 부와 상기 몸체(6)의 펌프실(3)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7)의 내부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7)과 상기 펌프실(3)의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본체(15)에서, 유입된 유입수의 부력에 의해 상기 부자(16)가 상하 이동하여 상기 개폐 부재(17)가 상기 공기배출관(7)의 단 부를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에서, 상기 본체(15)에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본체(15)의 내부와 연통 되게 배치되는 '관' 형상의 수위 관(18)과, 상기 수위 관(18)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 관(18)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14)으로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수위감지센서(19)를 포함하는 수위감지수단(20)이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수단(20)에 의해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14)에서 연산하여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제어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을 통해 상기 펌프실(3)에서 공기가 상기 공기배출관(7)을 통해 배출되는 중에 유입수의 유입에 따른 수위에 의해 상기 부자(16)가 상기 공기배출관(7)을 폐쇄하는 동시에, 유입수의 유입된 수위를 상기 수위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데이터를 기반으로 연산하여 상기 제어수단(14)에서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상기 제어수단(14)을 통해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공기 펌프 수단(9)으로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증대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에 과부하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으로 펌프작동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에서, 상기한 개폐 부재(17)는, 상기 부자(16)의 상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고정 봉(21)과, 상기 고정 봉(21)의 상단이 수용되어 안내되며 상기 공기배출관(7)의 유입구와 대응하여 개폐하도록 된 패킹 판(22)이 고정되는 고정 관(23)과, 상기 고정 관(23)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 공(24)을 가지며 하단이 상기 고정 봉(23)의 상단에 의해 개폐되는 안내관(25)과, 상기 안내관(25)의 관 공(23)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통 공(26)이 구비되어 상기 통 공(26)을 통해 공기가 상기 관 공(24)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 관(23)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가이드 봉(2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기배출관(7)을 통해 공기를 진공흡입하면, 상기 펌프실(3)에 유체가 상기 본체(15)로 흡입 수용되며, 상기 본체(15)에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부자(16)가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부자(16)가 유입수에 의해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서, 종극에는 상기 부자(16)가 상기 개폐 부재(17)를 상부로 밀어 상기 개폐 부재(17)가 상승하여 상기 공기배출관(7)의 단 부와 밀착되어 폐쇄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배출관(7)의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때 공기배출관(7)의 진공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 봉(23)의 상단이 상기 부자(16)에 의해 상부로 가압 되어 상기 안내관(25)의 관 공(24)을 폐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7)이 폐쇄되어 상기 공기배출관(7)을 통해 공기가 상기 펌프실(3)로 재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배출관(7)이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펌프실(3)을 통해 유체를 진공 펌프 하는 작업이 수행되며, 유체의 펌프 작업이 완료되면, 유체가 상기 본체(15)에서 배출되기 시작하고, 상기 유체의 부력에 의해 상기 부자(16)가 하강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봉(21)이 상기 부자(16)의 하강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관 공(24)이 개방되고, 상기 공기배출관(7)으로 상기 관 공(24)을 경유하여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7)의 진공상태가 해제된다.
이때, 상기 개폐 부재(17)가 상기 공기배출관(7)에서 원활하게 분리되어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관 공(24)을 통해 상기 공기배출관(7)의 내부로 공기를 주입하여 공기배출관(7) 및 공기 펌프 수단(9)의 내부가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부자(16) 및 개폐 부재(17)를 원위치로 원활하게 복귀하여 초기화됨으로써, 재작업이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상기 가이드 봉(27)은, 상하 운동할 때, 정 자세로 이동운동 되도록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가이드 봉(27)의 상단은, 상기 본체(15)와 상기 공기배출관(7)을 연결하는 연결 관(28)에 고정된 가이드 관(29)에 수용되어 안내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관(29)은, 상기 연결 관(28)의 내주 면에 구비된 연결 판(30)에 결합 되는 체결 봉(31)의 하단에 나사 결합 되어 그 수직 상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진공강자흡식펌프(1)를 통해 유체를 펌프 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모터(2)를 구동하여 상기 회전축(4)이 회전하면, 상기 전자클러치(10)가 상기 회전축(4)과 동일하게 회전되고, 상기 풀리(11) 및 벨트(12)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풀리(11)와 벨트(12)가 회전력을 인가받아 회전을 하면, 이로 인해 상기 풀리(11)와 축 결합된 상기 회전 봉과 상기 편심 휠이 회전을 하여 상기 커넥팅 로드를 통해 상기 다이아후램 펌프(13)가 구동되어 상기 공기배출관(7)을 통해 상기 펌프실(3)의 공기가 외부로 펌프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펌프실(3)이 진공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몸체(6)의 배출구에 구비된 일 방향 체크밸브(5)가 폐쇄되어 상기 펌프실(3) 이외의 외부에서 공기가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실(3)이 진공상태가 되는 중에, 상기 본체(15)로 유입수의 유입되고 상기 유입수의 수위에 의해 상기 부자(16)가 상기 공기배출관(7)을 폐쇄하는 동시에, 유입수의 유입된 수위를 상기 수위감지수단(20)을 통해 감지하여,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기반으로 상기 제어수단(14)에서 연산하여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의 동력전달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펌프실(3)의 공기를 배출된 초기에 곧바로 상기 제어수단(14)을 통해 상기 전자클러치(10)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9)으로 인가되는 동력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펌프실(3)은 진공상태를 가지면서 상기 임펠러에 의해 유체가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며, 이때 상기 일방향 체크밸브(5)가 개방되어 유체가 펌프 된다.
이와 같이, 종래 펌프의 사용 시, 상기 펌프실(3)에 물을 부어 공기층을 제거하는 효과로 별도의 작업 없이 용이하게 물을 펌프 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진공강자흡식펌프 2 : 모터
3 : 펌프실 4 : 회전축
5 : 일 방향 체크밸브 6 : 몸체
7 : 공기배출관 8 : 공기개폐수단
9 : 공기 펌프 수단 10 : 전자클러치
11 : 풀리 12 : 벨트
13 : 다이아후램 펌프 14 : 제어수단
15 : 본체 16 : 부자
17 : 개폐 부재 18 : 수위 관
19 : 수위감지센서 20 : 수위감지수단
21 : 고정 봉 22 : 패킹 판
23 : 고정 관 24 : 관 공
25 : 안내관 26 : 통 공
27 : 가이드 봉 28 : 연결관
29 : 가이드 관 30 : 연결 판
31 : 체결 봉

Claims (2)

  1. 모터와 일정한 크기의 공간 부로 이루어진 펌프실을 가지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여 흡입구에서 유체를 흡입하여 토출구로 펌프하도록 임펠러가 내재 된 몸체와, 상기 펌프실과 연통 되어 상기 펌프실의 공기가 이동되는 공기배출관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와 상기 펌프실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배출관의 일단 부를 개폐시키는 공기개폐수단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 부에 연통 되며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된 전자클러치에 의해 제어되는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펌프실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된 공기 펌프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진공강자흡식펌프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한 상기 전자클러치의 접속을 제어하여 상기 공기 펌프 수단으로의 동력 전달을 조절하도록 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기개폐수단은,
    상기 펌프실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사이를 공간적으로 연결하는 '관' 형상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부력을 통해 수직 상으로 상하운동을 부자(浮子)와 상기 부자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부자의 상하운동에 따라 상기 공기배출관의 유입구를 개폐하도록 개폐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에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본체의 내부와 연통 되게 배치되는 '관' 형상의 수위 관과, 상기 수위 관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위 관으로 유입되는 유입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수단으로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된 수위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수위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수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수위 데이터를 상기 제어수단에서 연산하여 상기 전자클러치를 제어하도록 되고;
    상기한 개폐 부재는,
    상기 부자의 상부에 구비된 '봉' 형상의 고정 봉과, 상기 고정 봉의 상단이 수용되어 안내되며 상기 공기배출관의 유입구와 대응하여 개폐하도록 된 패킹 판이 고정되는 고정 관과, 상기 고정 관의 상단에 체결되며 상하로 관통된 관 공을 가지며 하단이 상기 고정 봉의 상단에 의해 개폐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관 공에 고정되며 상하로 관통된 통 공이 구비되어 상기 통 공을 통해 공기가 상기 관 공을 경유하여 상기 고정 관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된 가이드 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강자흡식펌프.
  2. 삭제
KR1020140140492A 2014-10-17 2014-10-17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63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2A KR101637086B1 (ko) 2014-10-17 2014-10-17 진공강자흡식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0492A KR101637086B1 (ko) 2014-10-17 2014-10-17 진공강자흡식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65A KR20160045265A (ko) 2016-04-27
KR101637086B1 true KR101637086B1 (ko) 2016-07-06

Family

ID=55914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0492A KR101637086B1 (ko) 2014-10-17 2014-10-17 진공강자흡식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0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753B1 (ko) 2023-04-27 2023-11-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자흡식 양수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0394B1 (ko) * 2018-02-08 2019-09-10 이근섭 진공형 볼류트펌프
CN111484175A (zh) * 2020-05-09 2020-08-04 蔡志雄 一种工业污水处理设备
CN113417865A (zh) * 2021-08-12 2021-09-21 安徽鸿鑫机械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不锈钢自吸泵
KR102581992B1 (ko) * 2022-07-28 2023-09-21 주식회사 일성 진공강자흡펌프용 공기차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4780A (ko) * 2009-01-19 2010-07-28 지효근 공기배출수단을 가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753B1 (ko) 2023-04-27 2023-11-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자흡식 양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5265A (ko) 2016-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086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0791044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MX2011012476A (es) Bomba de piston intravenosa desechable y mecanismo.
KR20100084780A (ko) 공기배출수단을 가지는 진공강자흡식펌프
JP2003065220A (ja) オイル圧送装置
KR101186738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110052776A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711748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82912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200441268Y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580777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70733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861970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69392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707341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KR10179241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
JP2695015B2 (ja) 自吸水ポンプを真空ポンプとして利用する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004537669A5 (ko)
JP2006348814A (ja) 高深度用地下水揚水装置
KR101407652B1 (ko) 흡입조건 개선 및 효율을 증대시키는 부양가이드를 구비한 펌프
KR101659699B1 (ko) 진공강자흡식펌프용 공기차단장치
KR20220056384A (ko) 펌프용 강자흡진공장치
CN201255140Y (zh) 能自动吸入低水位水的水泵
RU2499869C1 (ru) Водозаборная скважина с отбором подземной воды
JP6439110B2 (ja) エジェクターポンプを使用した地盤改良用負圧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