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7077B1 -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7077B1
KR101637077B1 KR1020140072590A KR20140072590A KR101637077B1 KR 101637077 B1 KR101637077 B1 KR 101637077B1 KR 1020140072590 A KR1020140072590 A KR 1020140072590A KR 20140072590 A KR20140072590 A KR 20140072590A KR 101637077 B1 KR101637077 B1 KR 101637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information
monitoring
server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4360A (ko
Inventor
이민호
이기영
김범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7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077B1/ko
Publication of KR20150144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4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 홈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들인 홈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홈 내부의 환경이나 사용자의 여러 상황에 따라 홈 디바이스의 구동이 다양하게 맞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SMARTHOME SYSTEM FOR CUSTOMIZABLE SERVICE BASED ON APPLICATION PACKAGE, METHOD OF CUSTOMIZING SERVICE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스마트 홈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들인 홈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홈 내부의 환경이나 사용자의 여러 상황에 따라 홈 디바이스의 구동이 다양하게 맞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는 텔레비전이나 냉장고와 같은 전통적인 가전기기뿐만 아니라, 여러 종류의 냉난방시설이나 조명 등 생활의 편의를 위하여 구동되는 다양한 종류의 홈 디바이스들이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여러 종류의 홈 디바이스들은 한 세대를 이루는 세대원들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특정 세대원이나 소수의 세대원들만이 주로 사용하는 디바이스도 있게 되며, 가정에 구비되는 디바이스의 종류와 숫자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별로 사용하게 되는 디바이스의 다양성은 더욱 커지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통신망을 통한 데이터의 전송과 처리 속도가 증가하게 되면서, 가정 내에 있는 디바이스를 외부에서 스마트폰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하거나, 가정 내에서 발생되는 도난이나 화재 등의 긴급 상황에 따라 디바이스의 조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등 가정 내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한 스마트 홈을 구현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2653호에는 가정내의 모든 전기, 전자 가전기기나 통신기기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게 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이러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2653호는 무선네트워크 IP 카메라를 기반으로 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을 구축하고, 스마트폰을 통해 해당 IP 카메라와 연결하여 원격으로 영상(및 음성)과 댁내 기기들에 대한 각종 제어와 감시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댁내 기기들을 조작할 수 있는 공간적인 영역을 확대하였다는 장점은 있으나, 이는 단순히 가정내의 영상을 보면서 사용자가 조작하고자 하는 기기를 일일이 선택한 후 그 제어신호를 입력하여야 하였는바, 일종의 리모컨 조작을 위한 공간적인 제약을 극복한 것일 뿐, 한 가정을 이루는 여러 세대원들 모두에게 적합한 형태의 스마트 홈을 구현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동일한 가정에 설치된 다수의 디바이스들이라도 모든 구성원들에게 획일화되어 있는 전통적인 형태를 벗어나, 가정을 이루는 다수의 구성원 각자의 성향과 상황에 특화된 상태로 디바이스들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게 하여, 각 사용자에게 적합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 새로운 형태의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KR10-1272653 B1 KR10-2014-0056752 A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스마트 홈 내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들인 홈 디바이스들과 사용자 중심의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홈 내부의 환경이나 사용자의 여러 상황에 따라 홈 디바이스의 구동이 다양하게 맞춤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인 홈(home)과 그 홈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객체를 센싱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홈 모니터링부; 상기 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 및 상기 홈과 그 안에 있는 객체의 상황에 따라 동작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하고,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상기 홈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동작시키는 홈 서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모니터링부는, 상기 홈의 환경조건이나 이벤트의 발생여부로 이루어진 생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의 생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홈 내부나 외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디바이스는 홈 서버를 통하여 각 홈 디바이스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때마다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패키지 운영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는 서버통신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홈(home)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키지 등록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각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장소에서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홈(home)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경우,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서의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홈(home)에서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생활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패턴정보로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각 홈 디바이스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와,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시간과,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축되어 있는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홈(home)에 설치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마트 홈 등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는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카메라의 추가와 변경이 가능하고, 홈 디바이스의 추가와 변경도 가능한 개방형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홈 서버를 도출해 낸 후, 해당 홈 서버의 모니터링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홈 서버에서 생성된 후 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전송되는 패턴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저장부; 및 상기 패턴정보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패턴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이나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은,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를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디바이스 연결단계; 홈(home) 내부의 상황이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홈 서버에서 수신하는 홈 모니터링 단계; 및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모니터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당 모니터링 정보에 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맞춤형 패키지 활성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 이후, 상기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 및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홈을 패키지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스마트 홈 등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는, 홈 디바이스의 동작여부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각 홈 디바이스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집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 측정된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과정; 및 상기 패턴정보를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전송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에서 생성되어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패턴정보 분석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패턴정보 분석단계 이후,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나,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성향 및 가족 구성에 따라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홈 서버에 설치하되,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상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상이하게 등록함으로써, 동일한 플랫폼에서도 사용자의 상태나 홈 내부의 상황에 따라 적합화된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인 홈(home)과 그 홈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객체를 센싱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홈 모니터링부(100)와, 상기 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200)와, 홈과 그 안에 있는 객체의 상황에 따라 동작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을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하고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상기 홈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동작시키는 홈 서버(300)를 포함한다.
상기 홈 모니터링부(100)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인 홈(home) 내외부의 상황과, 홈(home)내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인 가족 구성원의 상황을 인식하기 위하여, 홈 내부의 환경이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다수의 수단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홈 모니터링부(100)는 홈 내부나 외부의 환경조건이나 이벤트의 발생여부로 이루어진 생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10)와,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의 생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120)와, 홈 내부나 외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30)를 포함한다. 또한, 시간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활성화가 요청될 수도 있는바, 상기 홈 모니터링부는 시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카메라를 통하여 획득하게 된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홈 서버에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데이터가 되는바, 모니터링 정보의 전송을 위해 상기 홈 모니터링부(100)가 홈 서버(300)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상기 센서(110)는 홈 내부나 외부의 환경측정이나, 홈 내에서 가족 구성원의 이동여부 또는 화재나 외부에서의 침입과 같은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홈 서버(300)로 전송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홈 내부나 외부의 환경 측정을 위한 온도센서나 습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 이벤트의 발생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열감지센서, 연기감지센서 또는 모션센서 등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홈 시스템에 의해 구현되는 맞춤형 서비스는 사용자의 필요나 선택에 따라, 또는 구비된 홈 디바이스의 종류에 따라 요구되는 센서와 그렇지 않은 센서가 다를 수 있는바, 상기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센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이후 센서의 추가 또는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진 센서는 홈 내부나 외부의 온도, 습도, 열감지여부, 연기감지여부 또는 모션감지여부 등 센싱된 생활정보를 근거리 통신망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센서는 온도나 습도 같은 측정값을 생활정보 중 환경정보의 형태로 일정시간마다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급작스러운 열감지나 연기감지 또는 모션감지와 같이 특정 이벤트의 발생시에만 센싱되는 정보를 생활정보 중 이벤트정보의 형태로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센서로부터 전송되는 환경정보와 이벤트정보에 의해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의 상황을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에서도 지속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 본인이 아닌 다른 가족 구성원만이 집에 있는 경우에도 홈 내부의 환경을 사용자가 원하는 조건으로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벤트정보에 의하여 보안관리와 위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나 가족 구성원들의 생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해 사용자나 가족 구성원이 착용하고 있는 디바이스로서, 착용자의 심박수, 체온, 심전도, 운동량 등을 센싱하여 상기 홈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675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스마트 밴드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운동량 계측이나 생체정보 측정을 위해 사용자나 가족 구성원이 착용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120)는 현재 스마트 단말기와 연동되면서 사용자의 건강관리나 운동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바, 본 발명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실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새로이 구비할 수 있음은 물론, 현재 사용중인 디바이스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되는 생체정보는 상기 홈 서버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생체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카메라(130)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장소인 홈의 내부나 외부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획득한 후 상기 홈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는 IP 카메라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카메라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는 이벤트 발생 상황을 스마트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사용자가 홈 내부에 있는 가족 구성원을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각 가족 구성원에게 적합하도록 조합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모니터링 정보가 된다.
그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500)에서 디지털 도어의 개방과 모션센서에서의 모션감지신호가 수령된 경우 영상정보를 통하여 홈에 있는 객체가 유치원에 다녀온 작은 아이로 확인될 경우에는, 작은 아이에 맞게 조합해 놓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예를 들어 스마트 TV를 켠 후 유해 프로그램을 차단하면서 채널을 애니메이션 방송 채널로 전환하고, 냉장고에서 어떠한 간식을 먹을 것인지를 알려주도록 설정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 시키게 하며, 상기 영상정보를 통하여 홈에 있는 객체가 노인정에 다녀오신 부모님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부모님에 맞게 조합해 놓은 다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로서는 상기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정보에 의해 홈 디바이스가 설정된 내용에 따라 적절하게 구동되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디바이스를 수동모드로 조작하고자 할 경우, 종래에 적용되던 스마트 홈 시스템과 같이 홈 내부의 영상을 보면서 원하는 홈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조작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게 된다.
상기 홈 디바이스(200)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장소에 구비되어 있는 다양한 가전기기와, 냉난방장치, 컴퓨터, 또는 디지털 도어 등을 포함하며, 홈 서버를 통하여 각 홈 디바이스의 온 오프 조작 또는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홈 서버(300)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홈 디바이스(200)는 블루투스, ZigBee, WiFi 등 무선통신으로 상기 홈 서버(300)에 연결되어, 상기 홈 서버에서 신호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홈 디바이스(200)들은 사용자가 실내에서 직접 조작하거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활성화에 의해 자동으로 조작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때마다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상기 홈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어떠한 모니터링 상황에서 어떠한 홈 디바이스가 어떤 상태로 구동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인바,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시간과,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정보를 상기 홈 서버(300)에서 획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단순히 홈 디바이스의 온 오프를 나타내는 작동여부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냉난방장치의 경우 실내 설정온도를 포함하고, 스마트 TV 의 경우 시간대에 따라 시청을 선호하는 채널정보와 음량정보를 포함하고, 제습기의 경우 설정습도를 포함하며, 홈을 이루는 각 영역에 설치된 조명등의 온 오프시간 등 각 홈 디바이스들의 구체적인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 서버(300)는,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310)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패키지 운영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는 서버통신부(320)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홈(home)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키지 등록부(330)와,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각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구동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3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모니터링부(1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각 센서에서 전송되는 생활정보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전송되는 생체정보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모니터링 정보로 수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홈 모니터링부(100)로부터 전송된 모니터링 정보는 상기 홈 서버(300)에 구비된 메모리 등의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서버통신부(320)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400)나 스마트 단말기(500)로 전송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500)에 표출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보는 것만으로도 외부에서 집 내부의 상황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버통신부(320)는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4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한 후, 해당 통신로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에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키지 등록부(330)는 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들의 조합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홈 서버(300)에 등록하고 메모리 등의 저장수단에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장소에서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홈(home)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사용자가 설정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복수 개로 등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녀가 하교 후 집에 혼자 있게 될 경우에 활성화시킬 홈 디바이스의 조합과, 자신이 퇴근 후 집에 갈 경우에 활성화시킬 홈 디바이스의 조합을 구분하여 각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동일한 공간에 동일한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가 구비되더라도 각 세대의 구성원마다 자신이 원하는 홈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자신만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할 수 있게 되므로, 추가적인 시설의 확충이나 비용의 부담 없이 각 세대의 구성원들에게 특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홈 서버(300)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경우, 사용자마다 모니터링 정보를 받고자 하는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카메라를 선택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동일한 가정에서도 사용자에 따라, 예를 들어 부모가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선택사항과 자녀가 설정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선택사항을 달리 설정할 수 있어, 각 사용자에게 최적화된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패키지 구동부(34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활성화될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도출한 후,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루는 홈 디바이스들을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구동하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패키지 구동부(340)는 자녀가 학교에서 집으로 귀가함으로 인하여, 디지털 도어의 개방과 모션센서에서 움직임이 감지되는 등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자녀에게 맞춤형으로 등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도출하여 활성화시키고,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활성화되는 동안 자녀가 스마트 TV를 켜는 경우에는 유해프로그램의 시청을 차단시키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상기 홈 서버에서 스마트 TV로 전송하고, 자녀가 냉장고로 가까이 갈 경우에는 냉장고에 먹을 수 있는 간식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상기 패키지 구동부(340)는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특정 모니터링 정보의 수신이 있거나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홈(home)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이루는 홈 디바이스(200)들을 구동시키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자동으로 생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디바이스 제어신호가 상기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상기 패키지 구동부(340)에서 자동으로 생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패키지 운영서버(400) 또는 스마트 단말기(500)로 전송한 후, 모니터링 정보를 본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500)를 조작하여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수동으로 생성한 후 상기 홈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패키지 구동부(340)는 홈(home) 내에 구비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하여, 각 홈 디바이스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적외선 신호(IR)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적외선 신호 발생부나, RF신호를 생성하여 송출하는 RF신호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구동부는 각 홈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직접 연결되어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홈 서버(300)는,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경우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350)와,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서의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홈(home)에서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생활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패턴정보로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350)는 홈 디바이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홈 디바이스의 동작여부와 동작정보로 이루어진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각 홈 디바이스가 어떠한 상태로 동작되는지의 여부가 포함될 수 있도록, 각 홈 디바이스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와,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시간과,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상태정보(예를 들어, 냉난방장치의 경우 설정온도, 텔레비전의 경우 채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패턴정보 생성부(360)는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집부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와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에서 수신한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결합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패턴정보를 이루는 모니터링 정보와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동일 시점 또는 일정 범위내의 시점에서 생성된 정보로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즉, 상기 패턴정보가 동일한 시간 동안에 센싱되는 모니터링 정보와 디바이스 구동정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어떠한 모니터링 상황에서 어떠한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이러한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패턴상에 나타나는 규칙을 분석할 수 있게 된다.
즉, 모니터링 정보를 이루는 생활정보에서 사용자가 실내에 머무는 동안 실내온도가 30°를 넘어가게 되면 사용자의 모션이 감지되는 공간(예를 들어, 거실 또는 서재)의 냉난방장치만이 가동되는 것을 하나의 패턴정보로 저장함으로써, 추후 동일한 상황으로 파악될 수 있는 모니터링 정보(예를 들어, 실내온도가 30°를 넘을 때, 사용자의 모션이 서재에서 감지될 경우)가 감지되면 홈 디바이스(냉난방장치)의 구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등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데이터로서 상기 패턴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홈 서버(300)가 접속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패키지 운영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400)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축되어 있는 홈 서버의 고유코드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는 스마트 홈 등록부(410)와, 상기 홈 서버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410)는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통신로를 형성하고 있는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홈(home)에 설치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450)에 등록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카메라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게 되므로, 어느 하나의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카메라로부터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스마트 단말기를 즉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홈 모니터링부나 홈 디바이스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할 수 있는바,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410)는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카메라의 추가와 변경이 가능하고, 홈 디바이스의 추가와 변경도 가능한 개방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410)는 사용자가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여 홈 서버에서 서버통신부를 통해 접속한 후 다운받아 설치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410)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은 단일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등록되어 홈 서버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모든 모니터링 정보에 대응하여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에 따라 필요한 모니터링 정보와 그렇지 않은 모니터링 정보가 상이하고, 각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의 종류도 상이한 바, 각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마다 어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추가 및 변경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모니터링 정보 중 생활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은 센서의 추가와 변경이 용이하도록, 센서 항목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설치되어 있는 센서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홈 서버에 설치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모니터링 정보 중 생체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인바, 다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 항목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구비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만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해당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측정된 정보의 수신이 가능한 어플리케이션이 홈 서버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카메라의 경우 거실에만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여러 장소에 다수 개 설치될 수도 있는바, 카메라 1, 카메라 2, 카메라 3과 같이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의 개수에 따라 용이하게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개방형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는 홈 서버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되어야 하는바, 상기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를 시청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되어야 한다.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 단말기(500)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400)에 접속한 후 자신이 등록한 홈 서버를 도출하여 스마트 단말기에 설치될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홈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가정 내에 구비되어 있는 조명, 텔레비전, 냉난방 장치뿐만 아니라, 스마트 TV의 유해 프로그램 차단 여부, 방범 사이렌 구동여부, 로봇 청소기 구동여부, 또는 안마의자 구동여부 등을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사용자가 직접 선택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420)는, 상기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홈 서버를 도출해 낸 후 해당 홈 서버의 모니터링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420)는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홈 서버의 고유코드에 의해 데이터베이스에 있는 등록되어 있는 홈 서버 관련 정보를 도출해 내어,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할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추출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스마트 단말기에 표출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통하여 외부에서도 홈(home) 내부 상황을 정확하게 인식하면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들의 구동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420)를 통하여 스마트 단말기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홈 서버에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모니터링 정보가 생성될 때마다 상기 홈 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직접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400)는, 상기 홈 서버에서 생성된 후 서버통신부를 통하여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전송되는 패턴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저장부(430)와, 상기 패턴정보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패턴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이나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부(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정보 저장부(430)는 상기 홈 서버에서 수집하여 저장하고 있는 모니터링 정보와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가 어떠한 모니터링 정보가 감지될 때 어떠한 홈 디바이스를 어떤 상태로 구동하였는지를 나타내는 패턴정보를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빅데이터로 상기 데이터베이스(450)에 누적 저장하게 된다.
상기 패키지 제안부(440)는 상기 패턴정보 저장부에서 의해 데이터베이스(450)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빅데이터인 패턴정보를 기계학습 알고리즘 등 다양한 데이터 분석기법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패키지 제안부(44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등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토대로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는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로 이루어진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게 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 제안부는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다수의 다른 사용자들이 채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키지 제안부를 통하여 제안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내용과 평가를 본 사용자는 그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실행하기 위해 요구되는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의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를 각 홈(home)에 추가한 후 상기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자신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할 수 있게 된다.
그에 따라, 단지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홈(home)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생활패턴과 유사한 타인의 생활패턴 또는 전문가의 제안에 의해 가족의 건강과 교육에 도움이 되는 바람직한 스마트 홈을 구현해 나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 단말기(500)는 홈 모니터링부에서 생성되어 홈 서버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할 수 있는 통신모듈과, 영상정보를 볼 수 있는 디스플레이 수단과 입력수단이 구비된 단말기로서, 휴대가 가능하고 데이터의 송수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피씨 등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영상정보를 포함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여 표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외부에서도 홈(home)내의 환경 등 생활정보와, 홈에 있는 다른 구성원의 생체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홈 내부의 영상정보를 보면서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홈 서버에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만을 등록해 놓은 경우에는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바로 실행될 수 있지만, 상기 홈 서버에 복수개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할 필요성이 있는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보고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도어 개방과 그에 따른 모션감지신호와 영상정보가 포함된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면, 영상정보를 보면서 자녀에게 특화시킨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실행할 것인지, 아니면 부모님께 특화시킨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실행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을 선택하는 정보는 상기 홈 서버에 스마트 단말기와의 직접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 단말기에서 홈 서버로 직접 전송될 수도 있으나,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를 경유하여 홈 서버로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의 선택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다음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은,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를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디바이스 연결단계(S100)와, 홈(home) 내부의 상황이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패키지로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S200)와,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홈 서버에서 수신하는 홈 모니터링 단계(S300)와,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모니터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해당 모니터링 정보에 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맞춤형 패키지 활성화단계(S400)를 포함한다.
상기 디바이스 연결단계(S100)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한 장소인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가전기기, 냉난방장치, 컴퓨터 또는 조명 등을 포함하는 홈 디바이스를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홈 서버를 통한 제어가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연결단계(S100)는 홈 내부의 상황이나 홈 내부에 있는 객체의 상황을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상기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와,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카메라를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니터링 정보의 지속적인 수집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S200)는, 모니터링 상황에 따라 홈(home)에서 자동으로 구동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제어명령을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하나의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설정하여 상기 홈 서버에 구비된 메모리에 등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S200)는 패키지 운영서버에 의해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보고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홈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포함) 중 사용자가 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선택적으로 다운받아 홈 서버에 설치하고, 이와 같이 홈 서버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 중 특정 모니터링 상황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을 하나의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설정하여 상기 홈 서버에 구비된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S200)에서 홈 서버에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장소에서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측정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모니터링 정보가 측정될 경우, 홈 디바이스를 조작할 수 있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복수 개 등록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사용자는 본인의 집과 부모님의 집 각각에 대하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설정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S200)에서는 동일한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와 홈 서버가 구비된 동일한 집에 대해서도, 주체를 달리하여 부, 모, 및 자녀가 각각 자신에게 최적화시킨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등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를 통하여 상기 홈서버에 등록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다양하게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하드웨어와 플랫폼을 이용하면서도 각 개인에게 최적화시킨 맞춤형 스마트 홈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 및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홈을 패키지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스마트 홈 등록단계(S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스마트 홈 등록단계(S500)는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초기에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홈 모니터링부나 홈 디바이스의 추가 또는 변경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의 이용 중에도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S300)는, 각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와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생활정보와 영상정보, 또는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객체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생체정보로 이루어진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홈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S300)에서 상기 홈 서버는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홈(home)내부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S300)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전송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정보를 외부에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킴으로써 사용자로서는 격지에서도 홈 내부의 상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스마트 단말기 전송단계(S600)는 홈 서버에 스마트 단말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모듈이 구비된 경우에는 홈 서버에서 스마트 단말기로 모니터링 정보를 직접 전송할 수 있으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홈 서버에서 모니터링 정보를 패키지 운영서버로 먼저 전송한 후,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에서 스마트 단말기로 모니터링 정보를 다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S300)는, 홈 디바이스의 동작여부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각 홈 디바이스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집과정(S310)과,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 측정된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과정(S320)과, 상기 패턴정보를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전송과정(S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니터링 정보와 그 시점에서의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결합하여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패턴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누적 저장함으로써, 추후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파악하기 위한 빅데이터를 지속적으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맞춤형 패키지 활성화단계(S400)는 홈 모니터링 단계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구동하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가 포함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동일한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활성화 시키고자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복수 개 등록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하여 특정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활성화되게 할 수 있음은 물론, 상기 패턴정보에 의해 활성화시킬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상기 홈 서버에서 자동으로 선택되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홈 서버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자동으로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직접 조작하거나 개입하지 않더라도 집에 있는 가족에게 최적화된 스마트 홈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맞춤형 패키지 활성화단계(S400)에서 활성화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가 구동되면서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명령에 따른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생성하여 상기 홈 서버에서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모니터링 정보에 기반하여 선택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에 따라 홈 디바이스의 제어가 가능하게 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설정한 사용자의 의도에 적합한 형태의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은, 홈 모니터링 단계에서 생성되어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패턴정보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패턴정보 분석단계(S700)와, 사용자의 생활패턴과 유사한 생활패턴을 갖고 있는 다른 사용자들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나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는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단계(S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정보 분석단계(S700)는 데이터베이스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의 패턴정보를 기계학습 알고리즘과 같은 데이터 분석기법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패키지 제안단계(S800)는 기계학습 알고리즘 등에 의해 분석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토대로 외부 전문가 등에 의해 권장되는 홈 디바이스와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로 이루어진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이 실행되는 일 예로서, 초등학생 자녀를 둔 30대 맞벌이 부부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서비스의 일 예를 설명한다.
모니터링 정보로서 시간정보를 수신한 홈 서버는 부부가 기상할 때까지 또는 거실에서 모션센서의 감지에 의한 움직임이 감지될 때까지 알람을 울리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이후 거실이나 현관쪽에서 움직임이 감지되거나 사용자로부터 정지요청신호가 전송되면 알람을 울리는 디바이스 제어신호의 전송을 중지하게 된다.
그리고, 자녀를 학교에 보내고 부부가 출근하게 되면 홈 내부에서 더 이상의 움직임이 없게 되므로, 일정시간 동안 모션센서로부터 움직임이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홈 서버는 홈 내에 켜져 있는 불필요한 조명등을 끄거나 전원공급을 차단하고 난방장치나 조리기구로의 전원 또는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외출모드와 방범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이후 자녀가 학교에서 돌아와 현관문을 열면, 디지털 도어 개방신호와 모션센서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홈 서버에서 패키지 운영서버로 전송하면,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에서 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고 홈에 설치되어 있는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영상도 상기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자녀의 귀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홈 서버에서는 자녀 혼자 있을 경우에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자녀가 스마트 TV를 켜게 되면 유해 프로그램에의 접근을 차단하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상기 홈 서버에서 스마트 TV로 전송함과 아울러, 자녀가 학원에 가야 하는 시간이 되면 이를 자녀에게 알려주는 알람을 울리는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디지털 시계를 구동하면서 스마트 TV가 꺼지게 된다. 또한, 자녀가 집에 있는 동안에는 일정 시간마다 자녀가 먹을 간식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
이후, 부부가 퇴근을 하게 되어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위치정보가 홈으로 인지되면, 상기 홈 서버는 외출모드와 방범모드를 해제하여 홈 디바이스들의 정상적인 구동이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취침시간이 되면 조명을 소등하고 방범모드로 다시 진입할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맞벌이 부부로서는 회사에 있으면서도 자녀의 귀가와 같은 이벤트 발생시 이를 직접 확인할 수 있음과 아울러, 자녀가 유해 프로그램 등에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이 실행되는 일 예로서, 혼자 사는 70대 노인에게 제공되는 맞춤형 서비스의 일 예를 설명한다.
사용자가 아침에 잠자리에서 일어났음이 모션센서에서의 움직임 감지 등을 통하여 홈 서버로 전송되며, 상기 홈 서버는 해당 사용자가 등록해 놓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킨 후, 그날 사용자가 복용해야 할 약과 약의 복용량을 알려주는 메시지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홈 서버에 구비된 별도의 디스플레이 수단을 통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전송하게 된다. 이후, 냉장고에서는 식사를 위해 냉장고에 보관되어 있는 음식 재료와 노인의 건강상태 및 식단을 고려하여 그 날의 추천메뉴를 알려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손님이 방문하면 현관의 카메라가 손님의 얼굴을 인식하여 미리 등록된 사람인지 여부를 판단한 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심장박동이 정상적이지 않거나 위험상황이라고 판단될 경우에는 비상시 등록된 연락처로 비상연락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에 따라, 혼자 사는 고령의 노인의 경우에도 집 내에서 건강상황을 지속적으로 체크하며 안전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게 하며, 위급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마트 홈에서 사용자 맞춤형 웰니스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웰니스 서비스, 헬스케어 관련 산업과 스마트홈 산업에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를 확장하여 사무실, 학교 등의 공간에서도 스마트홈 기술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100: 홈 모니터링부 110: 센서
120: 웨어러블 디바이스 130: 카메라
200: 홈 디바이스
300: 홈 서버 310: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
320: 서버통신부 330: 패키지 등록부
340: 패키지 구동부 350: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
360: 패턴정보 생성부
400: 패키지 운영서버 410: 스마트 홈 등록부
420: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 430:패턴정보 저장부
440: 패키지 제안부 450: 데이터베이스
500: 스마트 단말기

Claims (21)

  1.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인 홈(home)과 그 홈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는 객체를 센싱하여 모니터링 정보를 획득하는 홈 모니터링부;
    상기 홈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
    상기 홈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별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상기 홈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홈에서의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홈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원별로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상기 구성원별로 구분하여 등록하며,
    상기 홈 모니터링부로부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특정 모니터링 정보의 수신이 있거나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홈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성원별로 구분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 상기 홈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홈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에 의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동작시키는 홈 서버; 및
    상기 홈 서버와 통신하여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제공하는 패키지 운영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홈 서버에서 생성되어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전송되는 패턴정보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저장부; 및
    상기 패턴정보 저장부에 누적 저장되어 있는 패턴정보에 의해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고, 미리 저장된 다른 사람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 분석된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갖는 사람이 채택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부는,
    상기 홈의 환경조건이나 이벤트의 발생여부로 이루어진 생활정보를 감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부는,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의 생체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부는,
    홈 내부나 외부의 영상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디바이스는 홈 서버를 통하여 각 홈 디바이스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며,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때마다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상기 홈 서버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감지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을 수 있는 패키지 운영서버와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로를 형성하는 서버통신부;
    사용자가 선택한 어플리케이션들을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홈(home)에서 연속적으로 실행될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로 등록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패키지 등록부;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 수신부에서 수신되는 모니터링 정보에 의해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활성화시켜 각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기 위한 디바이스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패키지 구동부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는, 맞춤형 서비스가 구현되는 장소에서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홈(home)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키고자 하는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 디바이스가 구동될 경우, 각 홈 디바이스의 구동상태를 나타내는 구동정보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각 홈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신부; 및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서의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사용자가 홈(home)에서 홈 디바이스를 구동하는 생활패턴을 파악할 수 있는 패턴정보로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는 각 홈 디바이스를 구별할 수 있는 고유번호와,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시간과, 각 홈 디바이스가 구동되는 상태정보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맞춤형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하는 장소에 구축되어 있는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홈(home)에 설치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상기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디바이스, 및 상기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스마트 홈 등록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홈 등록부는 홈 모니터링부를 이루는 센서나, 웨어러블 디바이스나, 카메라의 추가와 변경이 가능하고, 홈 디바이스의 추가와 변경도 가능한 개방형 구조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홈 서버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수시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되어 있는 홈 서버를 도출해 낸 후, 해당 홈 서버의 모니터링 정보로 저장하고,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모니터링 정보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13. 삭제
  14. 홈(home)에 구비되어 있는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를 홈 서버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하는 디바이스 연결단계;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별로 동작시키고자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면, 상기 홈 모니터링부로부터 상기 홈에서의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되거나, 미리 설정된 범위를 초과하는 모니터링 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홈에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별로 설정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활성화시킬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생성하고, 상기 구성원별로 생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상기 구성원별로 구분하여 등록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
    상기 홈 모니터링부에서 전송되는 모니터링 정보를 상기 홈 서버에서 수신하여 상기 모니터링 정보를 기반으로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홈 모니터링 단계;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패턴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분석하여,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분석하는 패턴정보 분석단계;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는 상기 패턴정보 분석단계에서 분석된 상기 사용자의 생활패턴을 토대로 외부 전문가에 의해 권장되어 저장된 신규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안하는 패키지 제안단계; 및
    상기 홈 서버는 상기 홈 모니터링부로부터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특정 모니터링 정보의 수신이 있거나 특정 모니터링 정보가 일정 범위를 벗어날 경우, 상기 홈을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구성원별로 구분하여 등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중 상기 홈 모니터링 정보로부터 수신하는 모니터링 정보에 따라 상기 홈에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받을 객체로 확인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원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를 선택하고, 선택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패키지에 의해 활성화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 디바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동작시키는 맞춤형 패키지 활성화단계를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패키징 단계 이후,
    상기 홈 서버의 고유코드와, 홈 모니터링부와, 홈 디바이스, 및 모니터링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 번호를 패키지 운영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스마트 홈을 패키지 운영서버에 등록하는 스마트 홈 등록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에서 수신한 모니터링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의 스마트 단말기로 전송하여 표출시키는 스마트 단말기 전송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는,
    홈 디바이스의 동작여부와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각 홈 디바이스에 전기 또는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홈 서버에서 수신하여 저장하는 디바이스 구동정보 수집과정을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 모니터링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 구동정보를 그 시점에 측정된 모니터링 정보와 결합하여 패턴정보를 생성하는 패턴정보 생성과정; 및
    상기 패턴정보를 유무선 통신망 상에서 상기 패키지 운영서버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패턴정보 전송과정을 더 포함하는,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14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072590A 2014-06-16 2014-06-16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637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590A KR101637077B1 (ko) 2014-06-16 2014-06-16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2590A KR101637077B1 (ko) 2014-06-16 2014-06-16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360A KR20150144360A (ko) 2015-12-28
KR101637077B1 true KR101637077B1 (ko) 2016-07-20

Family

ID=5508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2590A KR101637077B1 (ko) 2014-06-16 2014-06-16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7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6739B1 (ko) * 2016-03-09 2023-06-26 주식회사 드웰링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US10553052B2 (en) * 2016-09-26 2020-02-04 T-Mobile Usa, Inc. Event identification and notification via an automation hub
KR102116234B1 (ko) * 2018-11-26 2020-05-28 주식회사 라이프시맨틱스 약품 수납 박스의 무게센서 기반 복약 관리 시스템
US20220012547A1 (en) * 2018-12-24 2022-0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device to perform corresponding operation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58347A (ko) * 2007-12-04 2009-06-09 조병순 Usn 및 유비쿼터스 스마트 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매니지먼트 패케이지와 통신변환장치의 구현 및 운영방법
KR101253148B1 (ko) * 2011-03-21 2013-04-1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과 중계 홈서버를 이용한 적외선 신호 학습이 가능한 디지털기기 제어시스템
KR101272653B1 (ko) 2011-12-19 2013-06-12 윤영제 댁내 기기 원격 제어 및 감시 시스템
KR20140056752A (ko) 2012-10-31 2014-05-12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운동량 자동 계측과 맞춤형 건강 db를 이용한 휘트니스 케어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김학수 등, 지능형 홈 네트워크에서 사용자패턴을 분석하여 미래 서비스를 예측 구조, "User-pattern Analysis Framework to Predict Future Service in Intelligent Home Network", 2009년 11월, IEEE 논문, pp 818-822*
채승근, "미래지능형 홈네트워크 서비스에서 사용자 편의성에 기반한 구축 방안 연구", 2012년 8월,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7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4360A (ko) 201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1733B2 (en) Enhanced visualization of breathing or heartbeat of an infant or other monitored subject
CN105357842B (zh) 主控智能灯
CN109843173B (zh) 用于监测人的日常生活活动的系统和方法
EP2353153B1 (en) A system for tracking a presence of persons in a building,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CN111886633B (zh) 基于所分析的视频流的利用智能音频提示的婴儿监视
KR100838099B1 (ko) 수시 도움을 요구하는 독거인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자동시스템
US20170352236A1 (en) Portable Wireless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EP1071055B1 (en) Home monitoring system for health conditions
KR101637077B1 (ko)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984515B1 (ko)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KR101635200B1 (ko) 사물인터넷과 광대역 레이더 센싱 기술을 이용한 가정용 인텔리전트 스마트 모니터링시스템
US9799182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smart door chime system
KR20030001504A (ko) 돌봄을 필요로 하는 사람 및 그/그녀를 돌보는 사람을감시하기 위한 자동 시스템
WO2017142726A1 (en) Identity-based environment adjusting techniques
KR101893882B1 (ko) 독거노인 행동양상 모니터링 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방법
CN103003761B (zh) 处理视觉、听觉、嗅觉和/或触觉信息的系统和方法
CN110443988B (zh) 防止层间噪音纠纷的层间邻居数据处理装置及方法
US10171949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GB2525476A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t least one interior of a building, and assistance system for at least one interior of a building
KR20150122303A (ko) 스마트 애완동물 원격 먹이공급 장치 및 이의 실감 제어 방법
CN106292574B (zh) 面向公寓的远程看护系统和用于其的远程监视装置
JP3459202B2 (ja) 行動判定装置、ケアシステム、ケア住宅およ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220094839A (ko) 스마트 홈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A3104823C (en) Network activity validation
KR20190067616A (ko) 반려 동·식물 케어를 위한 방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