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6739B1 -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6739B1
KR102546739B1 KR1020160028240A KR20160028240A KR102546739B1 KR 102546739 B1 KR102546739 B1 KR 102546739B1 KR 1020160028240 A KR1020160028240 A KR 1020160028240A KR 20160028240 A KR20160028240 A KR 20160028240A KR 102546739 B1 KR102546739 B1 KR 1025467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home
indoor environment
indoor
environmen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7438A (ko
Inventor
전정환
김준영
곽휘광
신우창
권정환
강성학
김태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드웰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드웰링
Priority to KR1020160028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39B1/ko
Publication of KR2016004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7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2011/00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2/00Chemical apparatus and process disinfecting, deodorizing, preserving, or sterilizing
    • Y10S422/90Decreasing pollution or environmental impa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6/00Data processing: artificial intelligence
    • Y10S706/902Application using ai with detail of the ai system
    • Y10S706/928Earth science
    • Y10S706/93Environment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은, 홈(home)의 실내(indoor) 환경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홈을 클리닝(cleaning)하되 홈의 내부 특성을 반영하여 홈의 실내 환경을 최적화할 수 있다. 홈의 내부 특성으로서, 홈의 인적 구성 및 홈의 지리적 위치 등이 고려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홈의 실내 환경의 오염 정도에 관한 리포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중앙서버는 액추에이터(actuator)를 작동시켜 홈의 실내를 클리닝할 수 있다. 홈의 실내 클리닝은, 사용자의 개입 없이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개입이 가능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INDOOR ENVIRONMENT}
본 발명은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으로서, 홈의 특성을 반영하여 홈의 실내 환경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홈의 실내를 클리닝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경 오염은 인간 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대기 오염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과 동시에 실내 공간의 오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미세 먼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미세 먼지 등을 자동으로 측정하여 실내 환경이 얼마나 오염된 상태에 있는지의 확인이 요구될 수 있다. 또한 실내 환경이 오염된 상태에 따라 다른 조치가 요구될 수 있다.
미세 먼지는 인간에게 폐질환, 기관지질환 등을 유발하는 주요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특히 노약자나 어린이 등의 경우 미세 먼지가 위험할 수 있다. 한국에서 매일 발표되는 미세 먼지 예보는 획일적인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동일한 오염 정도라도, 오염에 노출된 대상에 따라 다른 조치가 요구될 수 있다.
특허문헌: US7302313B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홈의 특성을 반영하여 홈의 실내 환경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홈의 실내를 클리닝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은, 홈(home)에 위치하며,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센서부;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는 홈서버;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홈서버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홈의 특성을 반영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별참고 DB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서 상기 홈에 대응되는 ID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회원별참고DB로부터 상기 ID데이터에 대응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홈의 특성은, 상기 홈의 면적, 상기 홈의 인적 구성, 그리고 상기 홈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홈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참조D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회원별참고DB와 상기 참조DB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의 조합은,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홈서버 또는/및 이동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기 홈서버에 연결되며,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작동에 관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은, 홈(home)에 위치한 센서부가, 상기 홈의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실내 환경 측정 단계; 상기 센서부가, 측정된 실내 환경 데이터를 홈서버에 전송하는 센서부 전송단계; 상기 홈서버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홈서버 전송단계; 상기 중앙서버에 포함된 통신부가, 상기 홈서버로부터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는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중앙서버에 포함된 중앙처리부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실내 환경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홈서버에 전송하는 분석 결과 전송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홈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외부 기관으로부터 수신하고, 외부환경DB는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환경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홈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서 상기 홈에 대응되는 ID데이터를 추출하는 ID 추출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홈의 특성을 반영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회원별참고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홈에 대응된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를 상기 외부환경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에 의하면, 홈의 특성을 반영하여 홈의 실내 환경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리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피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환경의 차이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과 관련조치기관의 연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의 인적 구성 변화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10)은, 홈(30), 이동 단말기(40), 그리고 중앙서버(50)를 포함할 수 있다. 홈(30), 이동 단말기(40), 그리고 중앙서버(50)는, 통신망(20)에 연결되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홈(home, 30)은 특히 실내(indoor)를 의미할 수 있다. 홈(30)은, 일반 가정(home)일 수 있다. 홈(30)은, 건물(building or house)의 내부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은, 학교의 실내, 도서관의 실내, 유치원의 실내, 그리고 경로원의 실내 등을 의미할 수 있다. 홈(30)은, 격리될 수 있는 또는 구분될 수 있는 실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은, 일반 가정에서 각각의 방(room)을 의미할 수 있다. 동일한 건물 또는 집에 속하더라도 방이 다르면 실내가 구분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사용자(user)가 사용하는 단말기(40)를 의미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통신망(20)에 연결되어 통신(communication)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은,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데이터 등을 화면으로 나타내는 디스플레이(display)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40)는, 사용자(user)의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user)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의 사용자를 의미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통신망(20)에 연결되어 통신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은 유선 통신과 무선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통신망(20)을 통해 홈(30)과 이동 단말기(40)와 통신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홈(30)과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홈(30)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홈(30)의 실내 환경을 파악하여 그 결과에 따라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10)은, 외부 환경 데이터 제공부(60)에 연결될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 제공부(60)는, 예를 들어 기상청일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 제공부(60)는, 외부의 환경에 관한 데이터를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10)에 제공할 수 있다. 외부의 환경에 관한 데이터는 예를 들어 미세 먼지 농도, 온도, 습도, 자외선지수, 오존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환경에 관한 데이터는, 홈(30)의 위치에서의 외부에 관한 데이터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먼지'는 '미세먼지'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10)은, 관련조치기관(70)에 연결될 수 있다. 관련조치기관(70)은, 예를 들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일 수 있다. 소방서 또는 경찰서는, 홈(30)의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소방서 또는 경찰서일 수 있다. 소방서 또는 경찰서는, 홈(30)의 관할 내에 있는 소방서 또는 경찰서일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홈(30)의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화재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중앙서버(50)는, 소방서에 홈의 화재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홈(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30)은, 센서부(100), 액추에이터부(200), 홈서버(300), 그리고 홈단말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홈(30)의 실내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먼지 센서(110), 온도 센서(120), 습도 센서(130), 냄새 센서(140), 화재 센서(150), 그리고 모션 센서(1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 센서(110)는, 홈(30)의 실내 공기의 먼지(dust)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먼지 센서(110)는, 홈(30)의 실내 공기의 초미세먼지(ultrafine dust)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초미세먼지는, 노약자 및 어린이의 건강에 매우 해로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온도 센서(120)는, 홈(30)의 실내 공기의 온도(temperature)를 측정할 수 있다. 온도는 그 자체로 홈(30)의 실내 공기의 오염과 관련이 있다고 보기 곤란할 수 있다. 온도는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느끼는 쾌적함과 관련될 수 있다. 온도는 실내의 습도와 관련될 수 있다.
습도 센서(130)는, 홈(30)의 실내 공기의 습도(humidity)를 측정할 수 있다. 습도는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가 느끼는 쾌적함과 관련될 수 있다. 습도는 홈(30)의 실내 공기에 분포하는 수증기와 관련될 수 있다.
냄새 센서(140)는, 홈(30)의 실내 공기의 악취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냄새 센서(140)는, 황(sulfur)의 산화물을 측정할 수 있다. 냄새 센서(140)는, 질소(nitrogen)의 산화물을 측정할 수 있다. 황화합물 또는 질소화합물 등은, 홈(30)의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화재 센서(150)는, 홈(30)의 실내에서 화재(fire)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센서(150)는, 불꽃(flame)을 감지하는 방식으로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화재 센서(15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방식으로 화재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센서(150)는,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160)는, 홈(30)의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활동을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160)는, 홈(30)의 실내에 거주자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160)는, 홈(30)의 실내에 거주자가 있는 경우, 몇 명의 거주자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모션 센서(160)는, 홈(30)의 거주자의 행동 패턴을 감지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는, 홈(30)의 실내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액추에이터(200)는, 액추에이터부(200)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는, 로봇 청소기(210), 에어팬(air fan, 220), 보일러(230), 그리고 가습기(2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부(200)는, 에어컨(air conditioner)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는, 홈서버(300)로부터 작동(working)에 관한 신호(signal)을 수신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의 구성별로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10)와 에어팬(220)은, 예를 들어, 작동에 관한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함으로써 홈(30)의 실내에 분포하는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10)는, 홈(30) 실내 바닥에 위치한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로봇 청소기(210)는, 홈(30) 실내에 부유하는 먼지를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에어팬(220)은, 홈(30) 실내에 부착될 수 있다. 에어팬(220)은, 홈(30) 실내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 에어팬(220)은, 필터(filter)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팬(220)은, 외부 공기를 흡기하여 필터로 정화시킨 후 홈(30) 실내로 순환시킬 수 있다.
보일러(230)는, 홈(30) 실내의 온도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 보일러(230)는, 홈(30) 실내에 열(heat)을 제공할 수 있다. 보일러(230)는, 전기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타입(type)일 수 있다. 보일러(230)는, 화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하는 타입(type)일 수 있다.
가습기(240)는, 홈(30) 실내의 습도 조절에 관여할 수 있다. 가습기(240)는, 홈(30) 실내에 수증기를 제공할 수 있다. 가습기(240)는, 홈(30) 실내의 절대습도 및 상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다. 습도는 실내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습도는 거주자의 면역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습도는 거주자의 헬스케어(health care)에 있어서 인자(factor)가 될 수 있다.
홈서버(300)는, 센서부(100), 액추에이터부(200), 그리고 홈단말부(400)에 연결되어 데이터(data) 또는/및 신호(electric sign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홈서버(300)는, 외부의 통신망(20)에 연결될 수 있다. 홈서버(300)는, 통신망(20)을 통해 단말기(terminal) 또는/및 서버(server)와 연결되어 데이터(data) 또는/및 신호(electric signal)를 송수신 할 수 있다.
홈단말부(400)는, 홈서버(300)에 연결되어 데이터(data) 또는/및 신호(electric sign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홈단말부(400)는,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와 홈단말 입력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는, 데이터(data) 또는/및 리포트(report)를 화면으로 전시할 수 있다.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는, 예를 들어, 홈(30)의 실내에 위치한 텔레비전(television) 또는/및 모니터(monitor)일 수 있다. 또는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는, 홈(30)의 실내에 위치한 인터폰(interphone)의 모니터일 수 있다.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는, 홈(30)의 실내에 위치한 냉장고(refrigerator)에 부착된 디스플레이(display)일 수 있다.
홈단말 입력부(42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input)을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획득된 입력은, 데이터(data) 또는/및 신호(electric signal)를 포함할 수 있다. 홈단말 입력부(420)는,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와 중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단말 입력부(420)는,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터치(touch)를 감지하는 터치센서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에서 획득한 입력(input)은, 홈서버(30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앙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중앙서버(5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다이어그램이다. 중앙서버(50)는, 통신부(510), 중앙처리부(530), 그리고 자료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외부 통신망(20)에 연결되어 데이터(data) 또는/및 신호(electric signal)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외부 통신망(20)을 통해 홈(30)과 이동 단말기(40)와 통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통신망(20)을 통해 외부 환경 데이터 제공부(60, 도1)로부터 데이터(data)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통신망(20)을 통해 관련조치기관(7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자료부(55)는, 회원DB(540)와 참조DB(5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10)은, 회원제(membership)로 운영될 수 있다. 회원DB(540)는, 홈(30)에 대응된 회원(member)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회원DB(540)는, 미가공DB(541), 회원별참고DB(543), 그리고 리포트DB(545)를 포함할 수 있다.
미가공DB(541)는, 통신부(510)가 수신한 홈(30)의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측정되어 미가공DB(541)에 저장될 수 있다. 미가공DB(541)에 저장되는 실내 환경 데이터는, 원데이터(raw data)일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는, 홈(30)에 대응된 ID데이터(identification data)를 포함할 수 있다. ID데이터는, 홈(30)에 대응된 회원(또는 사용자)에 대응될 수 있다.
회원별참고DB(543)는, 홈(30)에 대응된 회원(또는 사용자) 별(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회원별 데이터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원별참고DB(543)는, 홈(30)의 내부 특성을 반영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홈(30)의 내부 특성은, 홈(30)의 실내 면적 및 체적, 홈(30)에 거주하는 인적(人的) 구성, 그리고 홈(30)의 지리적 위치(lo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트DB(545)는, 실내 환경을 분석한 결과를 포함한 리포트(report)를 저장할 수 있다. 리포트(report)는, 홈(30)에 대응된 회원(또는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참조DB(550)는, 허용기준DB(551)와 외부환경DB(553)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DB(550)는,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기 위해 참조하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허용기준DB(551)는, 법률적으로 허용되는 오염 기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일일 미세먼지의 허용 기준은 100μg/m3 이며, 일일 초미세먼지의 허용 기준은 50μg/m3일 수 있다.
외부환경DB(553)는, 홈(30)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는, 홈(30)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에서의 온도(temperature), 습도(humidity), 바람(wind), 자외선지수(UV index), 오존(ozone) 농도, 그리고 미세먼지(dust) 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회원별참고DB(543)로부터 홈(30)에 대응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참조DB(550)로부터 홈(30)에 대응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와 외부 환경 데이터를 조합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또는 추출)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기준 데이터와 실내 환경 데이터를 대조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기준 데이터와 실내 환경 데이터를 비교하여 홈(30)의 실내 환경 오염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S10)은, 실내 환경 측정 단계(S100), 센서부 전송 단계(S200), 홈서버 전송 단계(S300),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S400),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 그리고, 분석 결과 전송 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환경 측정 단계(S100)는, 홈(30)에 위치한 센서부(100)가 홈(30)의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홈(30)의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factor)는, 예를 들어, 먼지(dust), 온도, 습도일 수 있다. 센서부(100)는, 실시간으로 먼지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100)는, 주기적으로 또는 정해진 시간에 맞추어 먼지 농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 전송 단계(S200)는, 센서부(100)가 실내 환경 데이터를 홈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100)가 측정한 실내 환경 데이터는 홈서버(300)에 전송될 수 있다.
홈서버 전송 단계(S300)는, 홈서버(300)가 실내 환경 데이터를 중앙서버(5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홈서버(300)는, 통신망(20)을 통해 실내 환경 데이터를 중앙서버(50)에 전송할 수 있다.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S400)는, 중앙서버(50)가 홈서버(300)로부터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홈서버(300)로부터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을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여 실내 환경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전송 단계(S600)는, 통신부(510)가 실내 환경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홈서버(30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실내 환경 데이터의 분석 결과는, 데이터(data) 또는/및 리포트(report) 또는/및 작동 신호(electric signal)일 수 있다. 여기서 작동 신호는, 액추에이터부(200)의 작동에 관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의 작동은, 작동 중인 상태(on)와 작동 종료 상태(off)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의 작동은, 액추에이터부(200)의 제어(control)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부(200)의 작동은, 액추에이터부(200)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실내 환경 데이터에 포함된 회원ID를 식별하여 추출하는 ID추출 단계(S51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ID는, 홈(30)에 대응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식별된 회원ID에 대응된 회원별참고DB(543)와 참조DB(550)로부터 기준 데이터를 생성(또는 추출)하는 단계(S5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중앙처리부(530)가, 회원별참고DB(543)로부터 식별된 회원ID에 대응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추출하고, 참조DB(550)로부터 식별된 회원 ID에 대응된 외부환경 데이터와 권장허용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 외부환경 데이터, 그리고 권장허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준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회원ID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별 맞춤 서비스가 가능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실내 환경 데이터의 기준 데이터 허용 범위의 이내 여부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30)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허용 범위에서 벗어난 경우, 실내 환경 상태에 관한 리포트(report)의 전송과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이 요구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허용 범위 이내인 경우, 실내 환경 상태에 관한 리포트(report)의 회원(또는 사용자)에게로의 전송이 요구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관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40)를 포함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관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540)는, 중앙처리부(530)가 액추에이터(200)에 작동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S500)는, 중앙처리부(530)가 리포트(report)를 생성하는 단계(S550)를 포함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가 리포트를 생성하는 단계(S550)는, 중앙처리부(530)가 리포트를 홈서버(330) 또는/및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포트는, 실내 환경 데이터, 기준 데이터, 액추에이터 작동 여부를 표시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의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는, 중앙처리부(530)가 참조DB(550)로부터 식별된 회원의 홈(30)에 대응된 권장 허용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521)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된 회원의 홈(30)의 내부 구성에 따라, 권장 허용 데이터가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된 회원의 홈(30)에 노약자가 거주하는 경우, 미세 먼지의 권장 허용치는 건장한 어른이 거주하는 경우의 허용치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는, 중앙처리부(530)가 회원별참고DB(543)로부터 식별된 회원ID에 대응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52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별 참고 데이터는, 회원ID에 대응된 홈(30)의 특성이 반영될 수 있다. 여기서 홈(30)의 특성은, 홈(30)의 면적(또는 부피), 홈(30)의 인적 구성, 그리고 홈(30)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의 면적이 작은 경우 먼지에 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는, 홈(30)의 면적이 넓은 경우 먼지에 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에 비하여 작은 값이 채택될 수 있다. 홈(30)의 인적 구성은, 홈(30)에 거주하는 거주자의 행동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홈(30)의 인적 구성이 어른 2명인 경우라도, 어른 2명이 상시 거주하는 경우 먼지에 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는 어른 2명 중 1명이 상시 거주하는 경우 먼지에 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와 다를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는, 중앙처리부(530)가 참조DB(543)로부터 식별된 회원의 홈(30)의 위치에서의 외부 환경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525)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는, 기온, 습도, 바람, 자외선, 오존농도, 먼지농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는,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실내 먼지농도에서 외부의 먼지농도가 높은 경우에 실내 먼지농도는 양호하다고 판단될 수 있으나 외부의 먼지농도가 낮은 경우에 실내 먼지농도는 불량하다고 판단될 수 있다.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S520)는, 중앙처리부(530)가 기준 데이터를, 추출된 권장 허용 데이터에 가중치 W1을 곱하고, 추출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에 가중치 W2를 곱하며, 추출된 외부 환경 데이터에 가중치 W3를 곱한 이후 더하여 설정하는 단계(S52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가중치 W1,W2, W3는, 가중치로서 실수(real number)일 수 있다. 기준 데이터는, 권장 허용 데이터, 회원별 참고 데이터, 그리고 외부 환경 데이터의 조합일 수 있다. 또는 기준 데이터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 및 외부 환경 데이터의 조합일 수 있다. 여기서 조합은 선형조합(linear combination)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생성되는 리포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리포트(report)는, 회원(또는 사용자)에게 전송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리포트를 생성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생성된 리포트를 홈서버(300)에게 전송할 수 있다. 홈서버(300)는, 수신한 리포트를 홈단말부(400)에 전송할 수 있다. 홈단말부(400)의 홈단말 디스플레이부(410)는, 수신한 리포트를 화면에 전시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생성된 리포트를 이동 단말기(4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는, 수신한 리포트를 화면에 전시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에 대응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에 대응된 ID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에 대응된 ID는, 2016-001일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에 대응된 회원(또는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에 대응된 회원(또는 사용자)의 이름은 HONG GIL-DONG(홍길동)일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위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의 위치는, 'TEHERAN 131, GANG-NAM, SEOUL, KOREA(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1)'일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환경 데이터는, 예를 들어, 온도(Temp), 바람(Wind), 습도(Humidity), 자외선(UV), 미세먼지(Dust), 오존농도(O3)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실내 오염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홈(30)의 실내 오염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홈(30)의 실내 환경 데이터이거나 홈(30)의 실내 환경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성한 데이터일 수 있다. 홈(30)의 실내 오염 상태에 관한 데이터는, 온도(Temp), 습도(Humidity), 미세먼지(Dust), 이산화탄소농도(CO2), 산소농도(O2), 오존농도(O3)를 포함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실내 환경 데이터와 대조될 수 있는 기준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기준 데이터의 항목(item)은, 실내 환경 데이터의 항목과 동일할 수 있다.
리포트는, 액추에이터(200)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의 실내 온도는 18˚C이고 외부 온도는 20˚C이며 기준 데이터의 온도는 21˚C이다. 홈(30)의 실내 온도를 기준 데이터의 온도에 맞추기 위하여 보일러(Boiler, 230)가 작동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의 실내 습도는 55%로서 기준 데이터의 습도인 57%에 비하여 낮을 수 있다. 홈(30)의 실내 습도를 기준 데이터의 습도에 맞추기 위해 가습기(Humidifier, 240)가 작동(on)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의 실내 이산화탄소농도(CO2), 미세먼지농도(Dust), 산소농도(O2), 그리고 오존농도(O3)는, 기준 데이터에 비교하여 양호하므로, 로봇청소기(Cleaning Robot, 210)와 에어팬(Air fan, 220)은, 미작동(off)될 수 있다. 여기서 미작동은, 작동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회원(또는 사용자)는, 로봇청소기(210)와 에어팬(220)이 미작동하지 않더라도, 통신망(20)을 통해 로봇청소기(210) 또는/및 에어팬(220)의 작동을 위한 작동 신호를 홈서버(300)에 전송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실내 환경 오염의 정도에 따라 별도의 클리닝 서비스(cleaning service)의 필요 여부를 표시할 수 있다. 중앙처리부(530)는, 홈(30)의 실내 환경 오염 제거가 액추에이터(200)의 작동만으로 불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리포트는, 홈(30)의 실내 환경 오염 제거가 액추에이터(200)의 작동만으로 불충분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별도의 클리닝 서비스의 필요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피드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과 방법은, 사용자(또는 회원)의 피드백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중앙처리부(530)는,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이용하여 회원별 참고 데이터 또는/및 기준 데이터를 변경할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회원(또는 사용자)의 ID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또는 사용자)의 ID는, 2016-002일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회원(또는 사용자)의 이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또는 사용자)의 이름은, 김길동(KIM GIL-DONG)일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회원(또는 사용자)의 홈(30)의 위치(location)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30)의 위치는, 'TEHERAN 131, GANG-NAM, SEOUL, KOREA(대한민국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131)'일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홈(30)의 실내 현재 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원(또는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홈(30)의 실내에 몇 명의 인원이 있는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 회원(또는 사용자)이 인원수(Persons Inside) 필드(field)에 위치한 버튼을 누르면 회원(또는 사용자)가 인원수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는, 회원(또는 사용자)의 홈(30)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를 포함할 수 있다. 홈(30)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예를 들어 온도에 대한 만족도(Temperature-Comfortable), 습도에 대한 만족도(Humidity-Comfortable), 그리고 미세먼지에 대한 만족도(Air Dust- Comfor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회원(또는 사용자)는, 각 필드(field)에서 '좋음(good)' 또는 '나쁨(bad)'을 선택할 수 있다.
홈(30) 실내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생성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30μg/m3인 경우, A회원(또는 사용자)은 '좋음(good)'을 선택한 반면 B회원(또는 사용자)는 '나쁨(bad)'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A회원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 수치는, B회원의 미세먼지 농도에 대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 수치에 비하여 높을 수 있다. 이는 회원별(別) 미세 먼지에 대한 반응이 고려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외부 환경의 차이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의 (a)는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 위치한 홈(30/1)을 도시한다. 또는 비가 오는 지역에 위치한 홈(30/1)을 도시한다. 비 또는 눈은 대기 중의 미세먼지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의 미세 먼지는 다른 지역의 미세 먼지에 비해 적을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이 위치하는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작다고 볼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은,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작은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의 미세먼지에 대한 외부 환경 데이터 수치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도 9의 (b)는 강우량이 적은 지역에 위치한 홈(30/2)을 도시한다. 또는 비가 적게 오는 지역에 위치한 홈(30/2)을 도시한다.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의 미세 먼지는 다른 지역의 미세 먼지에 비해 적을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이 위치하는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하여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은,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큰 지역을 나타낼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의 미세먼지에 대한 외부 환경 데이터 수치는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
도 9의 (a)와 (b)가 각각 나타내는 지역에서의 기준 미세먼지 농도를 고려할 수 있다. '기준 미세먼지 농도'는,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9의 (a)와 (b)에 도시된 각각의 홈(30/1,2)의 특성은 지역을 제외하고 동일하다고 가정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은, 연평균 미세먼지 농도가 작은 지역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의 기준 미세먼지 농도는, 27μg/m3일 수 있다. 반면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의 기준 미세먼지 농도는, 30μg/m3일 수 있다. 도 9의 (a)와 (b)에 도시된 각각의 홈(30/1,2)의 기준 미세먼지 농도가 다른 이유는, 기준 미세먼지 농도 즉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는 외부 환경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 생성에 반영하기 때문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 9의 (a)에 도시된 홈(30/1)의 미세먼지에 대한 외부 환경 데이터 수치는, 도 9의 (b)에 도시된 홈(30/2)의 미세먼지에 대한 외부 환경 데이터 수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과 관련조치기관의 연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은, 관련조치기관(70)과 연계할 수 있다. 관련조치기관(70)은, 예를 들어 소방서일 수 있다.
홈(30)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홈(30)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홈(30)에 설치된 화재센서가 홈(30)에 발생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센서에서 감지된 화재감지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는 중앙서버(50)로 전송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화재감지정보를 포함한 데이터에서 화재감지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화재감지정보를 분석하고 긴급성 등을 판단하여 화재와 관련된 관련조치기관(70)인 소방서에 화재 발생 사실을 전달할 수 있다. 중앙서버(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30)에서의 화재발생정보를 관련조치기관(70)에 전달할 수 있다.
소방서(70)는, 화재발생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 소방서(70)는, 화재발생정보를 분석하여 홈(30)에 소방차(FE)를 보낼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도로(RD)는, 소방서(70)와 홈(30)을 연결할 수 있다.
홈(30)의 화재는 센서에 의해 사람보다 먼저 감지될 수 있으며, 자동화된 루틴(routine)을 통해 관련조치기관(70)의 조치를 기대할 수 있다. 여기서 관련조치기관(70)은, 소방서와 경찰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홈의 인적 구성 변화에 따른 기준 데이터의 변화를 나타낸 도면이다.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모션센서(160)를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앙서버(50)는, 모션센서(160)를 통해 획득된 홈(30)의 거주 인원을 실시간으로 전달받을 수 있다.
도 11의 (a)는, 하루 24시간 범위에서 홈(30)의 실내 거주 인원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홈(30)은 일반 가정일 수 있다. 홈(30)의 구성원은, 부부와 아이를 포함한 총 3인일 수 있다. 자정(0시)에서 아침 6시까지, 홈(30)의 구성원인 총 3인은, 홈(30)의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침 6시부터 12시까지, 부부 중 1인과 아이는 외출하고 부부 중 나머지 1인은 홈(30)의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12시부터 18시까지 홈(30)의 실내에 아무도 없을 수 있다. 18시부터 24시까지 부부 중 1인과 아이가 홈(30)의 실내에 위치할 수 있다.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는, 홈(30)의 실내에 거주하는 인원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는, 홈(30)의 인적 구성의 실시간 변화를 반영할 수 있다.
0시부터 6시까지의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를 살펴볼 수 있다. 0시부터 6시까지,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어른 2인과 아이1인을 포함한 총 3인일 수 있다. 0시부터 6시에, 홈(30)에 거주하는 사람은 통상적으로 수면을 취하므로 미세먼지 농도가 낮을 수 있다. 또한 아이 1인이 홈의 실내에 위치하므로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는 20μg/m3로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일 수 있다. 즉, 홈(30)의 실내에 거주하는 인원수뿐만 아니라, 거주하는 인원의 연령대가 기준 데이터에 반영될 수 있다.
6시부터 12시까지의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를 살펴볼 수 있다. 6시부터 12시까지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어른 1인일 수 있다. 통상적으로 6시부터 12시의 범위에서,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활동을 할 수 있다. 인원수와 활동 여부 및 거주인원의 연령대를 고려하면, 6시부터 12시까지의 범위에서 미세먼지 기준 데이터 수치는, 30μg/m3일 수 있다.
12시부터 18시까지의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를 살펴볼 수 있다. 12시부터 18시까지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아무도 없을 수 있다. 인원수를 고려하면, 12시부터 18시까지의 범위에서 미세먼지 기준 데이터 수치는, 35μg/m3일 수 있다.
18시부터 24시까지의 미세먼지에 대한 기준 데이터 수치를 살펴볼 수 있다. 18시부터 24시까지 홈(30)에 거주하는 인원은, 어른1인과 아이1인일 수 있다. 인원수와 인원의 연령을 고려하면, 18시부터 24시까지의 범위에서 미세먼지 기준 데이터 수치는, 25μg/m3일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20: 통신망
30: 홈 40: 이동 단말기
50: 중앙서버 100: 센서부
200: 액추에이터부 300: 홈서버
400: 홈단말부 530: 중앙처리부
543: 회원별참고DB 553: 외부환경DB

Claims (11)

  1. 홈(home)에 위치하며,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센서부;
    통신망에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에 연결되어 상기 센서부에서 측정한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는 홈서버; 및
    상기 통신망에 연결된 중앙서버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홈서버와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통신부와,
    상기 홈의 특성을 반영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회원별참고 DB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서 상기 홈에 대응되는 ID 데이터를 추출하며, 상기 회원별참고DB로부터 상기 ID데이터에 대응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추출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중앙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참조DB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회원별참고DB와 상기 참조DB로부터,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기준 데이터를 추출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cleaning system for indoor environment).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특성은,
    상기 홈의 면적, 상기 홈의 인적 구성, 그리고 상기 홈의 위치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의 조합은,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와 상기 회원별 참고 데이터의 선형 조합(linear combination)인,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처리부는,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와 상기 기준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석하여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를 상기 홈서버 또는/및 이동 단말기에 전송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홈서버에 연결되며, 실내 환경을 변화시키는 액추에이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는,
    상기 분석 결과 데이터에 따라, 상기 액추에이터부의 작동에 관한 작동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홈서버에 전송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8. 홈(home)에 위치한 센서부가, 상기 홈의 실내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측정하는 실내 환경 측정 단계;
    상기 센서부가, 측정된 실내 환경 데이터를 홈서버에 전송하는 센서부 전송단계;
    상기 홈서버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중앙서버에 전송하는 홈서버 전송단계;
    상기 중앙서버에 포함된 통신부가, 상기 홈서버로부터 실내 환경 데이터를 전송 받는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중앙서버에 포함된 중앙처리부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를 분석하는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 및
    상기 통신부가, 실내 환경 데이터의 분석 결과를 홈서버에 전송하는 분석 결과 전송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상기 홈의 위치에 대응된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외부 기관으로부터 수신하고,
    외부환경DB는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환경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 분석 단계는,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서 상기 홈에 대응되는 ID데이터를 추출하는 ID 추출 단계;
    상기 중앙처리부가, 상기 홈의 특성을 반영한 회원별 참고 데이터를 회원별참고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홈에 대응된 상기 외부 환경 데이터를 상기 외부환경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추출된 회원별 참고 데이터와 상기 추출된 외부 환경 데이터를 조합하여 상기 실내 환경 데이터에 대조되는 기준 데이터를 생성하는, 기준 데이터 생성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서버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통신부가, 사용자의 피드백 데이터를 상기 홈서버 또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하는,
    실내 환경 클리닝 방법.
  11. 삭제
KR1020160028240A 2016-03-09 2016-03-09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KR10254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40A KR102546739B1 (ko) 2016-03-09 2016-03-09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240A KR102546739B1 (ko) 2016-03-09 2016-03-09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438A KR20160047438A (ko) 2016-05-02
KR102546739B1 true KR102546739B1 (ko) 2023-06-26

Family

ID=56021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240A KR102546739B1 (ko) 2016-03-09 2016-03-09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3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293B1 (ko) * 2018-01-17 2019-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의 스마트 운전을 제어하는 서버
KR102460236B1 (ko) * 2018-01-31 2022-10-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1750493B (zh) * 2020-06-24 2021-08-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和云端控制系统
KR102398628B1 (ko) 2021-11-17 2022-05-16 구자성 건물 실내 청소 및 소독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7881A (ko) * 2008-09-03 2010-03-1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637077B1 (ko) * 2014-06-16 2016-07-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어플리케이션 패키지 기반의 맞춤형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맞춤형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7438A (ko) 2016-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chieweck et al. Smart homes and the control of indoor air quality
US10890350B2 (en) Networked air quality monitoring
Ha et al. Sensing data fusion for enhanc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KR102546739B1 (ko) 실내 환경 클리닝 시스템 및 방법
KR101160986B1 (ko) 실내공기 오염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내공기 제어 시스템
KR101785357B1 (ko) 미세먼지, 온도, 습도 측정센서를 기반으로 한 공기질 검출 시각화 장치
Esfahani et al. Smart city battery operated IoT based indoor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KR102174633B1 (ko) 공기질 측정 센서를 구비한 조명 시스템
KR20190125721A (ko) 실내 공기질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1866861B1 (ko) 실내외 환경 연계형 실내 환경 자동제어시스템
KR20160065052A (ko) 통합 실내 환경 관리 장치
EP2985540B1 (en) Air environment regulating system, and controlling device
KR20140003760A (ko) 공기질 제어 시스템
KR20200056141A (ko) 공기질 관리 장치 및 시스템
KR20180138100A (ko) 실내 환경 모니터링 센서 장치
Laverge et al. Carbon dioxide concentrations and humidity levels measured in Belgian standard and low energy dwellings with common ventilation strategies
KR20160073754A (ko) 공기질 평가 장치, 공기질 평가 시스템 및 공기질 평가 방법
Madrid et al. Remote monitoring of winery and creamery environments with a wireless sensor system
Taştan A low-cost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for smart homes
KR20190121570A (ko) 공기질 관리 시스템 및 방법
Hossain et al. Factors affecting variability in infiltration of ambient particle and gaseous pollutants into home at urban environment
KR101179655B1 (ko) 예상평균온열감을 이용한 에너지절약형 냉방ㆍ난방ㆍ환기제어장치
KR102404374B1 (ko) 실내외 센서 모듈을 이용한 공기질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29240B1 (ko)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캡슐형 스마트 쉘터
Taştan An IoT based air quality measurement and warning system for ambient assisted liv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