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6031B1 -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6031B1
KR101636031B1 KR1020140092010A KR20140092010A KR101636031B1 KR 101636031 B1 KR101636031 B1 KR 101636031B1 KR 1020140092010 A KR1020140092010 A KR 1020140092010A KR 20140092010 A KR20140092010 A KR 20140092010A KR 101636031 B1 KR101636031 B1 KR 1016360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ing
heating
parts
weight
mixing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2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1042A (ko
Inventor
이경하
Original Assignee
이경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경하 filed Critical 이경하
Priority to KR1020140092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6031B1/ko
Publication of KR20160011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10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6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6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9/00Preparations for removing hair or for aiding hair remov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탕분말과 아라비아 고무분말을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 상기 제1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정제수와 레몬즙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상기 제2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및 상기 제1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조된 제모용 조성물은 잘 굳지 않는 젤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모시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MANUFACTURING METHOD OF COMPOSITION FOR DEPILATION USING SUGAR}
본 발명은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잘 굳지 않는 젤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제모 효과를 나타내는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많아지고, 여성들의 외모가 자신의 이미지를 크게 좌우하게 되어 얼굴뿐만 아니라 몸이나 여성들의 은밀한 부분까지도 세심하게 관리하려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 지구온난화에 따라 여름이 길어지면서 여성들의 노출도 그 정도를 더해가서, 특히 매너(Manner)의 일종으로 여성들의 겨드랑이, 팔 및 다리 등에 있는 털(Hair)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한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일반적으로 제모제품(Depilatory)은 크게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대표될 수 있다. 첫째로, 부착/탈착식 제모제(Strip)는 마치 테이프와 같은 작용으로 제모하고자하는 부위에 부착하였다가 떼어내면서 털을 제거하는 제품이며, 둘째로 면도칼 및 면도용 폼(Foam) 및 젤(Gel)을 이용하여 털을 깎아내는 제품이며, 셋째로 화학약품을 이용하여 털을 녹여서 제거하는 제품이 있다. 첫 번째는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있고, 비교적 긴 털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짧고 굵은 털의 제거는 용이치 않고, 떼어낼 때 통증이 동반된다는 단점이 있으며, 두 번째는 순간적으로는 깔끔하게 털이 제거되나, 지속효과가 없고, 털이 더 굵게 자라는 문제가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털의 제거 후 지속효과가 우수하고, 긴 털 및 짧은 털의 제거에 둘 다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주성분의 물리화학적 안정성이 낮아 제품이 매우 불안정하며, 또한 이 화학약품들로 인한 피부자극과 제품에 따라 효능편차가 큰 단점이 있다.
상기의 이유로 제모제품 시장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화학약품을 이용한 제모 제품들이 매우 안정한 제품을 만들고, 높은 제모효과로 소비자들을 만족시키는 데에는 곤란한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한국특허등록 제10-0479010호(2005.03.17)
본 발명의 목적은 잘 굳지 않는 젤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모시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체모성장억제제가 함유되어 제모 후에 제모의 효과가 오랜 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탕분말과 아라비아 고무분말을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 상기 제1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정제수와 레몬즙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상기 제2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및 상기 제1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혼합단계는 설탕분말 100 중량부를 아라비아 고무분말 1 내지 10 중량부와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혼합단계는 상기 제1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15 내지 25 중량부 및 레몬즙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가열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가열단계는 상기 제1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30 내지 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혼합단계와 상기 제1가열단계 사이에는 상기 제2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체모성장억제제를 혼합하는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가 더 진행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상기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욱 더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고본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잘 굳지 않는 젤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모시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제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체모성장억제제가 함유되어 제모 후에 제모의 효과가 오랜 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제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각 성분의 물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설탕분말과 아라비아 고무분말을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S101), 상기 제1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정제수와 레몬즙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S103),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S105) 및 상기 제1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S107)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혼합단계(S101)는 설탕분말과 아라비아 고무분말을 혼합하는 단계로, 설탕분말 100 중량부를 아라비아 고무분말 1 내지 10 중량부와 함께 혼합용기에 투입하고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설탕은 본 발명을 통해 제조되는 제모용 조성물의 주성분으로 천연성분으로 이루어져 피부자극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아라비아 고무분말은 증점제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제모용 조성물이 일정한 점도를 나타내어 피부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라비아 고무분말의 함량이 1 중량부 미만이면 제모용 조성물의 점도가 낮아져 피부와의 밀척성 저하로 인한 제조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상기 아라비아 고무분말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모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제모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제2혼합단계(S103)는 상기 제1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정제수와 레몬즙을 혼합하는 단계로, 상기 제1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15 내지 25 중량부 및 레몬즙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정제수는 상기 제1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설탕을 녹여 상기 제1혼합단계(S101)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의 혼합성과 상기 제2혼합단계에서 추가적으로 혼합되는 레몬즙이 고르게 혼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정제수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이면 혼합물이 고르게 혼합되지 못하며, 정제수의 함량이 2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모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게 된다.
또한, 상기 레몬즙은 우수한 제모효과를 나타내는데, 레몬즙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제모용 조성물의 제모효과가 미미하며, 레몬즙의 함량이 10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레몬즙의 함량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피부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열단계(S105)는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이 담겨져 있는 용기를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의 제1가열단계(S105)를 거치면,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함유되어 있는 아라비아 고무분말이 용융되면서, 설탕, 정제수 및 레몬즙과 혼합되는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제2가열단계(S107)는 상기 제1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단계로, 상기 제1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상기 혼합용기에 구비된 교반장치 및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30 내지 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75 내지 85℃의 온도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1가열단계(S105)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에서 거품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교반장치를 가동하여 교반하면서 추가적으로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S107)를 진행한다.
상기의 제2가열단계(S107)를 거치면, 상기 제2혼합단계(S103)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고르게 혼합되며, 상기 제2혼합단계(S103)에서 투입된 정제수가 증발되어 제거되어 제모용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한다.
상기 제2가열단계(S107)를 통해 가열혼합된 혼합물은 상온에서 보관하며, 사용하기 직전에 가열용기나 전자렌지에 투입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범위로 가열한 후에 제모부위에 도포한 후에, 도포된 제모용 조성물이 굳어지면 굳어진 제모용 조성물을 제모 부위에서 때어내는 방법으로 제모과정이 진행되는데,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제모가 진행되면, 기존에 헝겁이나 거즈 등에 제모용 조성물을 도포하여 제모하는 방식에 비해 피부자극이 적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2혼합단계(S103)와 상기 제1가열단계(S105) 사이에는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체모성장억제제를 혼합하는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S104)가 더 진행될 수도 있는데,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상기 제2혼합단계(S103)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체모성장억제제의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체모성장억제 효과가 미미하며, 상기 체모성장억제제의 함량이 5 중량부를 초과하게 되면 제모용 조성물의 점도가 지나치게 낮아지며 제조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고본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고본 추출물은 고본(藁本, Angelica tenuissima) 또는 기타 동속식물(미나리과, Umbelliferae)의 뿌리를 사용하는 생약의 추출물로, 생약명은 Angelicae tenuissimae Radix이다. 뿌리줄기에 약 0.5%의 정유가 함유되어 있고, 주성분은 부틸리덴 프탈라이드 센큐놀라이드(butylidene phthalide senkyunolid), 리거스틸라이드(ligustilide)이며, 종자에는 β-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프랑골라린(prangol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용으로는 운동계, 피부과, 부인과 질환을 다스리며 치통 등에 사용되어 왔는데, 시판중인 고본(Angelicae tenuissimae Radix) 300g을 구입하여 세절한 후, 약 3㎏의 에탄올을 가하고 5 일간 냉침하여 얻어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태의 고본 추출물 13.5g을 얻어 사용하는데, 체모의 성장억제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상기 오미자 추출물은 오미자(五味子, Schizandra chinensis) 또는 기타 동속식물(오미자과, Schizandraceae)의 열매를 사용하는 생약의 추출물로, 생약명은 Schzandrae Fructus이다. 함유되어 있는 성분으로는 쉬 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A-Q), 시트랄(citral), β-일란진(β-ylangene), 구연산(citric acid), 말산(malic acid), β-카미그린(β-chamigrene) 및 지방산 오일(fatty oil) 등이 있는데, 시판중인 오미자(Schzandrae Fructus) 300g을 구입하여 깨끗이 씻은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로 만들고, 약 3㎏의 에탄올을 가하고 5 일간 냉침하여 얻어진 추출 원액을 여과,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분말 상탱의 오미자 추출물 54g을 얻어 사용하는데, 체모의 성장억제 효과가 탁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잘 굳지 않는 젤 형태로 제조되어 적용부위와의 밀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제모시 피부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체모성장억제제가 함유되어 제모 후에 제모의 효과가 오랜 기간 유지되도록 하는 제모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S101 ; 제1혼합단계
S103 ; 제2혼합단계
S104 ;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
S105 ; 제1가열단계
S107 ; 제2가열단계

Claims (8)

  1. 설탕분말과 아라비아 고무분말을 혼합하는 제1혼합단계;
    상기 제1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정제수와 레몬즙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상기 제2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에 체모성장억제제를 혼합하는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
    상기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을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 및
    상기 제1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혼합단계는 설탕분말 100 중량부를 아라비아 고무분말 1 내지 10 중량부와 혼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혼합단계는 상기 제1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정제수 15 내지 25 중량부 및 레몬즙 5 내지 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에서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상기 제2혼합단계를 통해 제조된 혼합물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5 중량부가 함유되고,
    상기 제1가열단계는 75 내지 85℃의 온도에서 5 내지 10분 동안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열단계는 상기 제1가열단계를 통해 가열된 혼합물을 30 내지 50rpm의 속도로 교반하면서 75 내지 85℃의 온도로 5 내지 10분 동안 가열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체모성장억제제혼합단계에서 상기 체모성장억제제는 고본 추출물 및 오미자 추출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가열단계를 통해 가열혼합된 혼합물은 상온에서 보관되고, 사용하기 전에 가열용기나 전자렌지에 투입하고 30 내지 35℃의 온도 범위로 가열한 후에 제모부위에 도포한 후, 도포된 제모용 조성물이 굳어지면 굳어진 제모용 조성물을 제모 부위에서 때어내어 제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92010A 2014-07-21 2014-07-21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360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10A KR101636031B1 (ko) 2014-07-21 2014-07-21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2010A KR101636031B1 (ko) 2014-07-21 2014-07-21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42A KR20160011042A (ko) 2016-01-29
KR101636031B1 true KR101636031B1 (ko) 2016-07-05

Family

ID=55310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2010A KR101636031B1 (ko) 2014-07-21 2014-07-21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60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456B1 (ko) * 2018-02-13 2019-11-04 김만수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282959B1 (ko) * 2019-09-02 2021-07-28 (주)코스메디션 함수 결정성 겔화를 이용한 반고형 슈가왁스 제조 방법
KR102438866B1 (ko) * 2021-01-12 2022-09-01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아나덴 풀페이스 왁싱방법
KR102471317B1 (ko) * 2021-01-12 2022-11-28 주식회사 르하임아나덴 슈가페이스트 점도 조절 및 왁싱 테크닉을 활용한 아나덴 브라질리언 왁싱방법
KR102358671B1 (ko) * 2021-04-13 2022-02-08 박정임 설탕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제모용 왁스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58993A (ko) *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코아시스컴퍼니 다양한 점도별 제형의 조제가 용이한 제모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06366B1 (ko) * 2023-03-09 2023-11-24 주식회사 허밍코퍼레이션 반고형 슈가왁스 제조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슈가왁스 제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8668A2 (de) * 1979-05-08 1980-11-12 Ertas Kasidecioglu Mittel zur mechanischen Entfernung von Körperhaaren
KR101065609B1 (ko) * 2004-01-06 2011-09-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모 성장 억제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2949A (en) * 1987-06-18 1989-05-23 Royal Carola C Depilatory composition
KR100479010B1 (ko) 2003-02-24 2005-03-31 (주)트리코진 Ala 및 양이온성 리포좀을 포함하는 제모용 외용 제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8668A2 (de) * 1979-05-08 1980-11-12 Ertas Kasidecioglu Mittel zur mechanischen Entfernung von Körperhaaren
KR101065609B1 (ko) * 2004-01-06 2011-09-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체모 성장 억제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1042A (ko) 2016-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6031B1 (ko) 설탕을 이용한 제모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04034B1 (ko)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모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194333A (zh) 利用生药熟成汤液的天然香皂及其制备方法
CN107296762A (zh) 可食用滋润口红及其制作工艺
CN103251528A (zh) 一种美白祛斑中药组合物
CN105581943A (zh) 一种侧柏叶的提取物在洗发水中的应用
KR20140048700A (ko) 검버섯 및 잔주름 개선기능을 갖는 생약숙성탕액을 이용한 천연비누 및 그 제조방법
JP2004059520A (ja) 痩身用皮膚化粧料
CN105342927A (zh) 一种祛除眼袋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11265642A (zh) 一种祛痣、疣和汗管瘤的外用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940094A (zh) 一种天然环保山茶饼粕洗发露及其制备方法
CN102366380A (zh) 一种芦荟祛斑增白美容膏及其制备方法
CN104862130A (zh) 一种香茅手工皂的制备方法
JP2004059519A (ja) 痩身用皮膚化粧料
CN100577145C (zh) 天然植物提取祛皱、祛斑、除痘、增白、护肤养颜液
KR20170014699A (ko) 섬백리향을 이용한 샴푸의 제조방법
CN105769704A (zh) 基于杜仲雄花活性成分的护肤面膜及其制备方法
CN104434693A (zh) 一种山茶籽饼祛屑洗发膏及其制备方法
CN110051606A (zh) 一种控油、去屑、止痒纯中药洗发水的配方及其制备方法
KR20160120470A (ko) 고체 타입의 클렌저
KR20130010746A (ko) 헤어스프레이 액제 조성물
CN102406588A (zh) 生发洗发液
KR20190038186A (ko) 모발 관리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59906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726B1 (ko) 가루녹차를 포함하는 미용 비누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