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774B1 -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 Google Patents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774B1
KR101635774B1 KR1020150085708A KR20150085708A KR101635774B1 KR 101635774 B1 KR101635774 B1 KR 101635774B1 KR 1020150085708 A KR1020150085708 A KR 1020150085708A KR 20150085708 A KR20150085708 A KR 20150085708A KR 101635774 B1 KR101635774 B1 KR 1016357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handle
center
respect
line pa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대호
Original Assignee
신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대호 filed Critical 신대호
Priority to KR1020150085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774B1/ko
Priority to PCT/KR2015/010835 priority patent/WO201620434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7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7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6Handles
    • B65D5/46072Handles integral with the container
    • B65D5/4608Handgrip holes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수직선 또는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가 형성된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에 관한 것으로서, 직육면체의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 측면에 박스 운반용 손잡이가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는 박스 측면상에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길이의 방향은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박스 운반시 팔을 뻗어 손을 넣을 때 손가락의 배열 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므로 박스 운반이 편리하고 안정적이게 되므로 안전한 박스 운반이 가능하고, 여러개의 박스를 뒤짐으로 지고 갈 때 박스 저면에 손을 넣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한편 팔을 쭉 뻗을 수가 있으므로 팔의 길이가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종래보다 더 많은 짐의 운반이 가능한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Box equipped with inclined grip}
본 발명은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직선 또는 수평선에 대하여 경사가 형성된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에 관한 것이다.
박스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물건의 운반, 보관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고, 때로는 받침대나 간이 옷장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중에서 무엇보다도 박스의 가장 주된 용도는 물건의 운반이다.
박스 내부에 물건을 채우고 운반할 때 편하게 박스를 파지할 수 있도록 박스에는 도 1과 같이 손잡이가 형성된다. 하지만 때로는 손잡이가 아예 없는 박스들도 종종 있다.
그런데, 박스를 운반하다 보면 도 1의 사진에 나타난 손잡이가 불편하거나 때로는 무용지물일 경우가 종종 있다. 왜냐하면, 도 1에 나타난 손잡이는 박스의 무게 중심을 잡는 데에는 편리할지 모르나 박스를 운반하는 사람과의 위치 관계에서는 이상적이진 않기 때문이다.
즉, 박스를 운반하는 사람은 박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박스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므로 결국 사람이 팔을 뻗어서 박스를 쥘 때의 손가락의 배열방향과 박스 손잡이의 길이 방향이 서로 불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에 도 1과 같은 손잡이가 있어도 사용하지 않고 박스의 바닥에 손을 밀어 넣어서 박스를 운반해야 하는 경우도 발생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박스의 손잡이 위치는 박스의 입장에서 볼 때에는 박스의 무게 중심이 쏠리지 않는 위치이므로 안정되게 보이지만, 박스를 운반하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안정된 운반에 도움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박스는 인간생활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일상적으로 쓰이는 물건인 점에서 사람들이 느끼는 불편함이 상당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이 절실하게 요청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1392898호(등록일자: 2014.04.30)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68138호(등록일자: 2013.07.19)
이에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써, 박스를 운반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가장 편리한 위치에 가장 편리한 각도로 박스를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박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는 직육면체의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 측면에 박스 운반용 손잡이가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는 박스 측면상에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손잡이 길이의 방향은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손잡이의 중심은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게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 길이 방향의 상부 끝은 최단 거리의 수직 모서리를 향하여 기울어지게 경사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손잡이의 형상은 길이 방향이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대칭되게 하나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두 개의 손잡이에 대하여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두 개 더 형성된다.
그리고 위의 세 가지 손잡이 배치에서 상기 손잡이는 박스의 측면을 이루는 4개의 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는 서로 거울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는 박스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손이 접촉되는 파지면이 상기 홈의 단부에 구비되거나 또는 손이 접촉되는 파지면이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가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파지면의 끝단과 박스의 측면 사이에는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지면 또는 상기 걸림부의 표면에는 마찰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박스 운반시 팔을 뻗어 손을 넣을 때 손가락의 배열 방향으로 손잡이가 형성되므로 박스 운반이 편리하고 안정적이게 되므로 안전한 박스 운반이 가능하다.
둘째, 여러개의 박스를 뒤짐으로 지고 갈 때 박스 저면에 손을 넣는 불편함이 없어지는 한편 팔을 쭉 뻗을 수가 있으므로 팔의 길이가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종래보다 더 많은 짐의 운반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박스의 손잡이를 나타낸 사진,
도 2는 종래의 박스 운반과 본 발명을 이용한 박스 운반을 비교하여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박스 크기의 한계에 따른 손잡이의 위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가장 편안하고 효과적인 손잡이 각도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성 영역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6은 손잡이가 박스에 형성된 모습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와 도 7b는 손잡이의 형태에 대한 두 가지 실시예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음료수 운반 박스에 본 발명에 의한 손잡이가 형성된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박스(10)는 반드시 육면이 모두 막힌 박스(1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측면이나 상면이 개방된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직육면체의 형상이면 이사박스, 각종 포장박스, 음료수나 맥주 운반용 컨테이너 등이 모두 본 발명에서의 박스(10)에 해당된다.
본 발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도 6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 측면에 박스(10) 운반용 손잡이(20)가 마련되되, 손잡이(20)는 박스 측면상에 형성되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손잡이(20) 길이의 방향은 수평선 또는 수직선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 경우 손잡이(20)의 중심은 박스(10)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H) 하부에 위치하고,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V)과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게 배치되며, 손잡이(20) 길이 방향은 박스(10) 측면의 네 모서리 중 두 개의 수직 모서리 중의 어느 하나를 지나는 수직선상의 일정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호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동심원의 접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정 지점은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H)의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박스(10) 측면은 어느 특정한 측면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며, 직육면체 형상에서 상면과 저면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개의 면을 말한다. 또한 박스(10)의 상하 위치가 중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박스(10)를 위치시키기에 따라 상면 하면의 구분 없이 모두 측면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20)는 반드시 박스(10) 표면에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홈 형상뿐만 아니라 돌출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통상적으로 박스(10) 손잡이(20)에 네 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므로 네 개의 손가락이 배열되는 방향이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이 된다.
여기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박스(10) 측면이 박스(10) 상면 또는 인접 측면과 만나는 모서리에 대하여 경사가 형성된다.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를 운반하는 사람이 팔을 뻗는 방향은 박스(10) 측면의 수평선 또는 수직선이기 보다는 하부로 경사진 방향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왜냐하면 박스(10)의 일면은 사람 몸에 밀착되므로 사람 몸과의 접촉으로 인한 반작용과 박스(10) 자체 하중이 가장 크게 작용되는 지점은 박스(10)의 하부 중에서도 사람 몸과 가장 먼 지점이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 2의 (b) 의 손잡이(20)가 없다면, 도 2의 (a)에서와 같이 사람 몸에서 가장 먼 지점의 박스(10) 저면에 손을 넣어서 박스(10)를 운반하게 되며, 도 2의 (b)에서는 이러한 팔의 방향을 고려하여, 손가락의 배열 방향에 따라 손잡이(20)의 방향이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대략 사람이 팔을 뻗는 방향에 직각이 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박스(10)에 가하는 힘이 검지손가락과 새끼손가락 중 어느 하나로 쏠리지 않고 모든 손가락에 골고루 힘이 분배되기 위해서이다.
이때 손잡이(20)의 위치는 박스(10)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의 팔의 평균적인 길이는 대략적으로 정해질 수 있는 길이임에 반하여, 박스(10)의 크기는 박스(10)의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기 때문이며, 여기서 바람직한 손잡이(20)의 위치는 사람이 팔을 뻗었을 때 손이 닿는 위치이므로 손잡이(20)의 위치는 박스(10) 크기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의 (a)와 (b)에는 박스(10) 크기에 따른 손잡이(20)의 위치가 예시되어 있다.
그런데 도 3의 (a)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된 이유로 인하여 손잡이(20)의 위치 또는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이 바람직하다고 보기는 힘들다.
왜냐하면 손잡이(20)의 위치에 있어서, 박스(10)의 하중이 가해지는 방향은 도면상에서 박스(10)의 왼쪽 하부이므로 팔을 박스(10) 중심 방향으로 뻗을 수 있도록 손잡이(20)가 위치되어야 함에도 손잡이(20)가 엉뚱하게 박스(10) 상단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또한 손잡이(20)의 위치와 관련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손잡이(20)의 위치가 도 3의 (a)에서처럼 박스(10) 상부에 있다면 팔을 뻗었을 때 손잡이(20)의 길이 방향과 팔의 방향이 서로 직각이 되어야 함에도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상부가 왼쪽으로 치우쳐 있게 되어 새끼손가락 방향으로 하중이 쏠리기 때문이다.
도 3의 (b)는 박스(10)가 클 경우의 손잡이(20) 위치를 나타낸다.
박스(10)가 너무 커서 사람 팔의 길이가 박스(10) 폭의 절반 이하에도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도 3과 같은 위치에 손잡이(20)가 형성될 수밖에 없으나, 아무리 박스(10) 내부에 가벼운 내용물이 들어 있다 하더라도 이러한 경우는 비현실적인 경우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손잡이(20)의 위치는 대체로 도 3의 (b)를 기준으로 볼 때 박스(10)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과 박스(10)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으로 나누어지는 네 개의 부위 중 왼쪽 하부의 부위가 된다.
이러한 원리가 도 4와 도 5에 개념적으로 정리되어 있다.
도 4는 바람직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을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바람직한 손잡이(20)의 위치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바람직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박스(10)를 들기위하여 뻗은 팔의 방향과 대체로 직각이 되는 방향이다.
그런데 팔은 어깨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손잡이(20)의 방향은 결국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깨의 회전 중심이 원의 중심으로 되는 원호의 방향이 되는 것이다.
또한 박스(10)의 종류와 용도에 따라 크기도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므로 손잡이(20)의 길이 방향은 어깨의 회전 중심이 원의 중심이 되는 동심원에 일치되는 방향이 될 수 있다.
물론 사람마다 신장과 팔의 길이가 제각각 다르긴 하지만, 평균적인 신장과 팔의 길이를 굳이 고려하지 않더라도 손잡이(20) 길이 방향에 큰 차이는 없을 것이다.
다음으로 도 5에는 바람직한 손잡이(20)의 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서 박스(10)의 측면은 각각 A,B,C 및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의 네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여기서 전제는 사람의 위치가 도 4와 같다는 점이다.
사람의 위치가 도 4에서와 마찬가지로 박스(10)의 오른쪽이라면, 박스(10)의 우측면은 사람 몸에 밀착되므로 그 반작용에 의하여 사람 몸의 반대 방향인 c 방향으로 튕겨져 나오려는 힘이 발생된다.
따라서 손잡이가 C 영역 내에 배치된다면 박스(10)는 도면상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려는 힘이 작용되어 균형을 유지하려면 큰 힘이 들게 된다. 이것은 하중과 반발력이 작용되는 지점에서 손잡이(20) 위치가 멀어질수록 관성모멘트에 의하여 박스(10)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더 힘들기 때문이다.
그리고 손잡이(20)가 B 영역 내에 배치된다면, 박스(10)의 무게 중심이 사람 쪽으로 쏠리게 되어 박스(10)가 b 방향으로 흘러내리려는 방향으로 힘이 작용된다.
따라서 손잡이(20)가 C 영역 내에 배치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박스(10)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에 상당한 힘이 요구된다.
한편 손잡이(20)가 A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도 역시 바람직하지는 않다. 왜냐하면 사람이 손을 뻗었을 때 손이 A 영역에 배치된다면 사람 몸에 비하여 박스(10)가 너무 큰 경우이므로 이 경우는 비현실적이다. 또한 사람이 팔을 뻗었을 때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까지 충분히 손이 닿음에도 불구하고 손잡이(20)가 A 영역에 배치된다면 이 경우 역시 불필요하게 불편한 자세를 강요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결국 가장 바람직한 박스(10) 손잡이(20)의 배치는 A,B,C를 제외한 점선으로 둘러싸인 영역 내가 되는 것이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스(10)의 상하 좌우 구별이 없는 경우에는 박스(10)가 어떤 면으로 착지되어 있어도 박스(10) 손잡이(20)의 이용이 가능하여야 하므로 도 5의 점선 영역에 형성되는 손잡이(20)는 박스(10)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박스(10)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각각 대칭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에서와 같은 손잡이(20)의 배치가 있을 수 있다.
나아가서 도 6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6의 도면상에서 박스(10)의 상면과 저면에도 동일한 손잡이(2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는 박스(10)의 상하구별 없이 쓰이는 용도의 경우에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손잡이(20)의 형태에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두 가지 실시예로서 박스(10) 표면에 홈의 형태로 손잡이(20)가 형성되는 실시예와 박스(10) 표면에 손잡이(20)가 돌출되는 실시예가 각각 도 7a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도 7a와 도 7b의 두 실시예에서 모두 손이 접촉되는 부위인 접촉면(121,222)에는 마찰 부재(123,223)가 부착될 수 있다.
특히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지지판(220)이 먼저 박스(10)에 부착되거나 박스(10)로부터 돌출되고, 지지판(220)에서 손이 접촉되는 면에 손가락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걸림부(221)가 형성되어 손가락이 힘을 가할 수 있는 접촉 면적을 넓혀줄 수 있다.
따라서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손가락의 미끌림을 방지시켜주는 마찰 부재(123,223)는 걸림부(221)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7b의 실시예에서는 손가락 끝단이 수용되면서 더욱 밀착될 수 있는 안착 홈(22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a에도 도시되진 않았지만 도 7b에서와 동일한 안착 홈이 손가락 끝이 접촉되는 박스(10) 내측 벽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M: 일정한 각도 H: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V: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 S: 어깨의 회전 중심
R: 박스 측면 중심 10: 박스
20: 손잡이 121,222: 접촉면
123,223: 마찰 부재 220: 지지판
221: 걸림부 224: 안착 홈

Claims (9)

  1. 직육면체의 박스에 있어서,
    상기 박스 측면에 박스 운반용 손잡이가 마련되되, 상기 손잡이는 박스 측면상에 형성되고, 손잡이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길이방향으로 직선 또는 곡선으로 형성되며, 손잡이의 길이 방향은 상기 박스 측면의 테두리를 이루는 모서리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가 형성되되,
    상기 손잡이의 중심은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과 일정한 거리가 형성되게 배치되며, 상기 손잡이 길이 방향은 박스 측면의 네 모서리 중 두 개의 수직 모서리 중의 어느 하나를 지나는 수직선상의 일정 지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의 원호상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동심원의 접선 상에 위치하며, 상기 일정 지점은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손잡이는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반대편에 대칭되게 하나 더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는 박스의 측면에 홈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거나 또는 손이 접촉되는 면이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선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두 개의 손잡이에 대하여 상기 박스 측면 중심을 지나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부에 대칭되게 두 개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박스의 측면을 이루는 4개의 면에 동일하게 형성되되, 서로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는 손잡이는 서로 거울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손이 접촉되는 면이 박스의 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손이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손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표면에는 마찰 부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KR1020150085708A 2015-06-17 2015-06-17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KR1016357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08A KR101635774B1 (ko) 2015-06-17 2015-06-17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PCT/KR2015/010835 WO2016204345A1 (ko) 2015-06-17 2015-10-14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708A KR101635774B1 (ko) 2015-06-17 2015-06-17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774B1 true KR101635774B1 (ko) 2016-07-04

Family

ID=5650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708A KR101635774B1 (ko) 2015-06-17 2015-06-17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5774B1 (ko)
WO (1) WO20162043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6587B1 (ja) 2022-09-20 2023-03-09 豊 江頭 段ボール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9360U (ko) * 1974-02-16 1975-09-06
JPS5259177U (ko) * 1975-10-24 1977-04-28
JPH0613144U (ja) * 1992-07-21 1994-02-18 コマツ電子金属株式会社 収納容器
JP2003182725A (ja) * 2001-12-19 2003-07-03 Ricoh Elemex Corp 梱包材
KR200468138Y1 (ko) 2011-06-14 2013-07-26 (주) 창성피앤텍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KR101392898B1 (ko) 2013-04-23 2014-05-14 옥윤선 다단의 수납박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6027U (ko) * 1971-09-29 1973-06-16
JPH0562419U (ja) * 1992-01-30 1993-08-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包装箱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9360U (ko) * 1974-02-16 1975-09-06
JPS5259177U (ko) * 1975-10-24 1977-04-28
JPH0613144U (ja) * 1992-07-21 1994-02-18 コマツ電子金属株式会社 収納容器
JP2003182725A (ja) * 2001-12-19 2003-07-03 Ricoh Elemex Corp 梱包材
KR200468138Y1 (ko) 2011-06-14 2013-07-26 (주) 창성피앤텍 손잡이 일체형 포장박스
KR101392898B1 (ko) 2013-04-23 2014-05-14 옥윤선 다단의 수납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6587B1 (ja) 2022-09-20 2023-03-09 豊 江頭 段ボール箱
JP2024044130A (ja) * 2022-09-20 2024-04-02 豊 江頭 段ボール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4345A1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1362B2 (en) Carton holder
US7207538B2 (en) Plastic beverage bottle holder
US20140263365A1 (en) Stable and Stackable Tray with Receptacle for Beverage Container and Thumbholds for Secure Grip
US20150359368A1 (en) An Improved Tray
US20120000915A1 (en) Food plate with beverage container receiving portion
KR101635774B1 (ko) 경사 손잡이가 구비되는 박스
US20220306343A1 (en) Bottle
KR200431225Y1 (ko) 패트병 홀더
RU97604U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переноса ручной клади
US20100108560A1 (en) Tray
US20200214487A1 (en) Cup handle having multidirectional finger insertion holes
JP4959853B1 (ja) 飲用容器
JP2017128348A (ja) 手で持ち上げやすい大型ペットボトル
JP2017514761A (ja) 一体的なグリップを備えるプラスチック容器
JP7549102B1 (ja) トロリーとスーツケース
CN210527227U (zh) 瓶子及便携式装置
CN209807918U (zh) 饮料杯杯架
JP3190617U (ja) 玉箱
JP3180939U (ja) ドリンクホルダー
JP7236587B1 (ja) 段ボール箱
JP3224559U (ja) トレイ
TWM562825U (zh) 具有可滑式把手的容器裝置
JP3742954B1 (ja) 買物用かご
JPS5927369Y2 (ja) 運搬用容器
JP2021144884A (ja) ハウジングおよび蓄電池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