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447B1 -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 Google Patents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447B1
KR101635447B1 KR1020160029504A KR20160029504A KR101635447B1 KR 101635447 B1 KR101635447 B1 KR 101635447B1 KR 1020160029504 A KR1020160029504 A KR 1020160029504A KR 20160029504 A KR20160029504 A KR 20160029504A KR 101635447 B1 KR101635447 B1 KR 101635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airtight
contact
piece
curv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칠
Original Assignee
김영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칠 filed Critical 김영칠
Priority to KR1020160029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09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window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16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 E06B7/18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 E06B7/20Sealing arrangements on wings or parts co-operating with the wings by means of movable edgings, e.g. draught sealings additionally used for bolting, e.g. by spring force or with operating lever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wing is opened, e.g. by means of magnetic attraction, a pin or an inclined surface, especially for sil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e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Abstract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로서, 상기 창틀의 레일 사이에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 말단부위에 만곡 설치된 기밀부; 및 상기 창짝의 폐쇄시 상기 기밀부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창짝의 하단에 설치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창틀의 레일 사이에 베이스부를 설치하고 양단에 기밀부를 외향으로 만곡설치해서 창짝의 폐쇄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기밀부를 기립 변형시킴으로써, 창짝의 폐쇄시에만 기밀부를 기립시켜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서기창의 방풍장치{APPARATUS FOR PROTECTING WIND OF SLIDING WINDOW}
본 발명은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창틀과 창짝 사이에 설치되어 창호의 폐쇄시 창틀과 창짝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레일을 따라서 슬라이딩 작동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창틀 프레임의 레일 위에 창짝이 얹혀져 이동하는 구조이므로 창짝의 상단, 하단 및 측부에는 항상 틈새가 형성된다.
최근의 창호에는 창짝 및 창틀의 기밀성, 단열성, 방음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모헤어, 고무패킹 등의 기밀부재와, 방풍틀과, 풍지판 등의 기밀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특히, 풍지판은 필링피스(filling piece)라고도 하며, 미닫이 창호의 창틀의 창짝과 창짝이 맞닿는 상하부의 창틀에 고정되어 창틀과 창짝 사이의 빈 공간을 채움으로서 창호의 단열과 방음효과를 향상시키는 창호용 부속 자재이다.
따라서, 비 또는 바람이 창호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틈새를 통해서 유입되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건물의 창호를 시공하는 경우에 기밀장치를 창틀 프레임의 레일 바닥면에 설치하여 창호의 상단 및 하단의 틈새로 유입되는 외기를 막아주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기밀장치는 경질 수지의 베이스와, 이 베이스에 일체로 형성된 연질 수지의 다수의 브러시로 이루어진다. 특히 풍지판은 창틀 프레임의 레일 바닥면에 고정되므로, 베이스에 힘을 가하여 구부린 상태에서 끼우면 베이스의 복원력에 의해 구부러진 상태에서 펴지고 이때 고정편이 양 레일의 측벽을 가압하여 풍지판이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밀장치에 의하면, 레일 폭에 따라 각각 다른 폭을 갖는 기밀장치를 사용해야 하므로 재고의 부담을 갖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풍지판은 브러시가 일정한 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배치된 방향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레일에만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밀장치는 스크루 작업을 통해 일일이 고정해야 하는 설치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다수의 밀폐 분할편들은 창짝에 의해 눌려 넘어진 상태로 항상 유지되는데 설치 후 장기간이 지나면 분할편들의 탄성 복원력이 약해져 창짝과 창틀 프레임 내향면과의 사이 틈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근래에 들어서는 적정크기의 기판상에 인조모를 식모하여 내, 외측 창짝 전부에 안착되게 한 기밀장치를 통하여 창짝을 통한 외풍의 유입을 차단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밀장치가 스펀지 또는 고무패킹 등을 구비하여서 된 경우에는 창짝과 창틀 사이의 방풍효과는 기대할 수 있으나 창짝의 중첩부 하단과 레일 사이로의 외풍유입은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밀장치가 인조모가 식모된 기판으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창짝과 창틀의 잦은 접촉에 의하여 인조모가 급속히 마모되고, 특히 인조모는 브러시 형태로 되어 있어 먼지 등이 쉽게 잔재되며, 세척 또한 용이하지 못하며 그 상태가 불결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기밀장치가 창틀과 창짝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승강식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기밀장치의 결합구성이 복잡하고 다수의 구성부품이 소요되므로, 설치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며 설치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2559호 (2007년 07월 25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01741호 (2005년 11월 21일) 대한민국 등록실용 제20-0411839호 (2006년 03월 17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창짝의 폐쇄시에만 기밀부를 기립시켜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창짝의 폐쇄시 기밀부와 밀착부에 의해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2중으로 방풍하여 방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부와 접촉부의 접촉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다단으로 접촉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부와의 접촉을 승강편의 승하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부와 승강편 사이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기립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편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고정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로서, 상기 창틀의 레일 사이에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 말단부위에 만곡 설치된 기밀부; 및 상기 창짝의 폐쇄시 상기 기밀부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창짝의 하단에 설치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창짝의 슬라이딩부위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기밀부는, 상기 말단부위에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각각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만곡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접촉부는, 상기 창짝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편은, 상기 기밀부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상기 기밀부와의 접촉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승강편은, 상기 창짝의 후면 하단에 결합된 고정부를 개재해서 승강되도록 승강홀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창틀의 레일 사이에 베이스부를 설치하고 양단에 기밀부를 외향으로 만곡설치해서 창짝의 폐쇄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기밀부를 기립 변형시킴으로써, 창짝의 폐쇄시에만 기밀부를 기립시켜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부의 중앙부위에 밀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창짝의 폐쇄시 기밀부와 밀착부에 의해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2중으로 방풍하여 방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밀부로서 높이가 서로 다른 만곡편을 구비함으로써, 기밀부와 접촉부의 접촉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다단으로 접촉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촉부로서 창짝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편을 구비함으로써, 기밀부와의 접촉을 승강편의 승하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편에 기밀부를 걸어맞춤하여 기립시키도록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기밀부와 승강편 사이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기립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편에 고정부를 결합하여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승강홈을 형성함으로써, 승강편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고정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접촉부의 상승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접촉부의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일방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양쪽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타방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방풍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접촉부의 상승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접촉부의 하강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일방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양쪽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에 의한 타방 창짝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의 방풍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는, 베이스부(10), 기밀부(20), 접촉부(30) 및 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창틀(100)과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방풍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이다.
본 실시예의 미서기창은,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틀프레임(110)에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이 형성되어 있는 창틀(100)과, 제1 레일(120)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 제1 창짝(210), 제2 레일(130)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 제2 창짝(220)으로 이루어진 창짝(200)을 구비한 미서기 창호이다.
또한, 제1 창짝(210) 및 제2 창짝(220)의 하부에는 제1 레일(120) 및 제2 레일(130)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롤링부재인 호차가 결합되는 호차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0)는, 창틀(100)의 제1 레일(120)과 제2 레일(130) 사이에 설치되며, 창짝(200)의 폐쇄시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이 중첩되는 중첩부위에 설치되는 기초부재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고정홀(12)로 이루어져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제1 레일(120)과 제2 레일(130) 사이의 창틀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바닥부재로서,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이 중첩되는 중첩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11)는 창짝(200)의 폐쇄시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의 중첩공간을 벗어나지 않고 기밀부(20)가 방풍기능을 제공하도록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의 말단부위로부터 소정거리의 이격거리(d)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격거리(d)는, 3∼5㎜로 유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격거리(d)가 짧으면 기밀부(20)와 접촉시 기립유지력이 미약하고 이격거리(d)가 기밀부(20)와의 접촉시 기립유지력이 커져 기밀부(20)가 손상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고정홀(12)은,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전방 및 후방에 형성된 홀부재로서, 여기에 나사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고정부재가 결합되어 베이스 플레이트(11)를 제1 레일(120)과 제2 레일(130) 사이의 창틀프레임(11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기밀부(20)는, 베이스부(10)의 양쪽 말단부위에 입설되며 외향으로 만곡 설치된 기밀부재로서, 베이스부(10)의 양쪽 말단부위에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각각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만곡편(21, 22, 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만곡편은, 하층에 만곡 형성된 제1 만곡편(21)과, 중간층에 만곡형성된 제2 만곡편(22)과, 상층에 형성된 제3 만곡편(23)의 3개의 만곡편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만곡편이나 4개이상의 만곡편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기밀부(20)로는, 접촉부(30)와 접촉시 용이하게 변형되어 기립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재질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부(30)는, 도 3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창짝(200)의 폐쇄시 기밀부(20)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창짝(200)의 제1 창짝(210) 및 제2 창짝(220)의 하단에 설치된 접촉부재로서, 승강편(31), 걸림턱(32), 승강홀(33) 및 가이드편(35)으로 이루어져 있다.
승강편(31)은, 창짝(200)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부재로서, 평판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되어 창틀(100)과 창짝(200) 사이의 공간을 개폐하게 된다.
걸림턱(32)은, 승강편(31)의 하단에 기밀부(20)의 만곡편(21, 22, 23)과 접촉해서 만곡편(21, 22, 23)의 단부를 상방으로 기립시키도록 형성된 턱부재로서, 상층의 제3 만곡편(23)에 접촉하는 제1 걸림턱(32a)과, 중간층의 제2 만곡편(22)에 접촉하는 제2 걸림턱(32b)과, 하층의 제1 만곡편(21)에 접촉하는 제3 걸림턱(32c)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걸림턱(32)도 만곡편과 마찬가지로 2개의 걸림턱이나 4개 이상의 걸림턱으로 이루어져 만곡편과 대응해서 각각 접촉하도록 만곡편과 동등한 갯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홀(33)은, 승강편(31)의 중앙부위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홀부재로서, 창짝(200)의 후면 하단에 결합된 고정부(40)를 개재해서 승강편(31)이 승강되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가이드편(35)은, 승강편(31)의 양쪽 측단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절취형성되어 승강편(31)의 상하방향 승강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로서, 단면이 대략 "Z"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좌우방향 유동을 제한하게 된다.
고정부(40)는, 창짝(200)의 후면 하단에 접촉부(30)가 승강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부재로서, 제1 창짝(210)과 제2 창짝(220)의 후면 하단에 각각 결합되며 고정판(41), 고정편(42), 가이드홈(43), 지지핀(44)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판(41)은, 접촉부(30)를 창짝(200)의 후면 하단에 승강하도록 창짝(200)의 후면 하단에 접촉부(30)를 설치한 상태로 고정 결합되는 결합부재로서, 접촉부(30)의 승강편(31)과 대등한 사이즈로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고정편(42)은, 고정판(41)을 창짝(200)의 후면 하단에 고정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로서, 고정판(41)의 일방에 형성된 고정홀을 개재해서 창짝(200)에 체결고정되는 피스나 볼트 등과 같은 체결고정재로 이루어져 있다.
가이드홈(43)은, 고정판(41)의 양단 측면에 상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홈부재로서, 여기에 접촉부(30)의 가이드편(35)이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지지핀(44)은, 고정판(41)의 내부 측면 일방에 돌출 형성된 돌기부재로서, 이러한 지지핀(44)이 접촉부(30)의 승강홀(33)에 삽입되고 끼워맞춤되어 지지핀(44)을 기준해서 접촉부(30)의 승강편(31)을 승강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는, 베이스부(10)의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창짝(200)의 슬라이딩부위와 밀착되는 밀착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밀착부(50)는, 베이스부(10)의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제1 창짝(210) 및 제2 창짝(220)의 슬라이딩부위와 밀착되는 밀착부재로서, 베이스부(10)의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중앙부위에 등간격으로 입설된 밀착편(5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밀칙편(51)은 베이스부(10)의 양단부위에 만곡된 기밀부(20)의 높이 보다 높게 입설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밀착부(50)로는 기밀부(20)와 마찬가지로 창짝(200)과 접촉시 밀착되도록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Terpolymer) 재질이나 고무 등과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창틀의 레일 사이에 베이스부를 설치하고 양단에 기밀부를 외향으로 만곡설치해서 창짝의 폐쇄시 접촉부와의 접촉에 의해 기밀부를 기립 변형시킴으로써, 창짝의 폐쇄시에만 기밀부를 기립시켜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베이스부의 중앙부위에 밀착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창짝의 폐쇄시 기밀부와 밀착부에 의해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2중으로 방풍하여 방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기밀부로서 높이가 서로 다른 만곡편을 구비함으로써, 기밀부와 접촉부의 접촉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다단으로 접촉되어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접촉부로서 창짝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편을 구비함으로써, 기밀부와의 접촉을 승강편의 승하강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편에 기밀부를 걸어맞춤하여 기립시키도록 걸림턱을 형성함으로써, 기밀부와 승강편 사이의 걸어맞춤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기립구동력을 부여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승강편에 고정부를 결합하여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승강홈을 형성함으로써, 승강편의 승강이동을 가이드하는 동시에 고정부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베이스부 20: 기밀부
30: 접촉부 40: 고정부
50: 밀착부

Claims (6)

  1. 창틀과 창짝 사이의 공간을 방풍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로서,
    상기 창틀의 레일 사이에 설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양쪽 말단부위에 만곡 설치된 기밀부; 및
    상기 창짝의 폐쇄시 상기 기밀부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창짝의 하단에 설치된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창짝의 하단에서 상하로 승강하도록 설치된 승강편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승강편은, 상기 기밀부와 접촉해서 기립시키도록 상기 기밀부와의 접촉부위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중앙부위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창짝의 슬라이딩부위와 밀착되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부는, 상기 말단부위에서 외향으로 만곡되어 돌출되며 각각의 높이가 점차 높아지게 형성된 복수의 만곡편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편은, 상기 창짝의 후면 하단에 결합된 고정부를 개재해서 승강되도록 승강홀이 천공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0160029504A 2016-03-11 2016-03-11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1635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04A KR101635447B1 (ko) 2016-03-11 2016-03-11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504A KR101635447B1 (ko) 2016-03-11 2016-03-11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5447B1 true KR101635447B1 (ko) 2016-07-01

Family

ID=5650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504A KR101635447B1 (ko) 2016-03-11 2016-03-11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44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7465B1 (ko) * 2017-06-01 2017-12-11 김순규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20180001447U (ko) 2016-11-07 2018-05-16 유효상 미서기창의 방풍 및 스톱 장치
KR102335902B1 (ko) 2021-01-04 2021-12-0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645110B1 (ko) 2023-01-27 2024-03-06 주식회사 락센 미서기 창의 방풍기구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11U (ko) * 1999-04-21 2000-11-25 이용해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KR200401741Y1 (ko) 2005-09-09 2005-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필링피스
KR200411839Y1 (ko) 2006-01-03 2006-03-17 김정렬 다중 기밀부재가 구비된 창짝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KR100742559B1 (ko) 2006-09-29 2007-07-2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풍지판
KR101510594B1 (ko) * 2014-05-09 2015-04-08 합자회사 한양창호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11U (ko) * 1999-04-21 2000-11-25 이용해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KR200401741Y1 (ko) 2005-09-09 2005-1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필링피스
KR200411839Y1 (ko) 2006-01-03 2006-03-17 김정렬 다중 기밀부재가 구비된 창짝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창호구조
KR100742559B1 (ko) 2006-09-29 2007-07-25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창호용 풍지판
KR101510594B1 (ko) * 2014-05-09 2015-04-08 합자회사 한양창호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1447U (ko) 2016-11-07 2018-05-16 유효상 미서기창의 방풍 및 스톱 장치
KR101807465B1 (ko) * 2017-06-01 2017-12-11 김순규 단열성능 강화 창호
KR102335902B1 (ko) 2021-01-04 2021-12-06 삼원시스템 주식회사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2645110B1 (ko) 2023-01-27 2024-03-06 주식회사 락센 미서기 창의 방풍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5447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101437531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KR101510594B1 (ko) 기밀성이 뛰어나고 창문 시공이 용이한 친환경 풍지판, 이와 결합된 창문 및 이를 포함하는 창문 시스템
KR101724120B1 (ko) 신축형 풍지판이 결합된 미서기문
KR101447944B1 (ko) 창호의 밀착식 기밀장치
KR101964493B1 (ko) 커버링 장치
EP2256282A1 (en) Blind
KR101092718B1 (ko) 자동 유리 닦는 미서기창
KR101775997B1 (ko) 창호의 추락방지용 가이드 장치
KR101705288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1526177B1 (ko) 창호의 여밈대용 승하강 풍지판
KR102335902B1 (ko) 미서기창의 방풍장치
KR20050105103A (ko) 이중창 구조의 창틀
KR101991181B1 (ko) 창호의 기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창호
KR200478715Y1 (ko) 미닫이식 창호시스템
KR101544981B1 (ko) 창문의 기밀장치
KR101450199B1 (ko) 클린룸 도어용 틈새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한 클린룸 도어 제조공정
US20170030141A1 (en) Window Blind Clips and Method of Use
KR101435651B1 (ko) 창호의 수평 이동식 기밀장치
KR102508340B1 (ko) 방풍 장치 내장형 미서기 창호
KR102450987B1 (ko) 방풍용 간편 체결구
KR102091982B1 (ko) 창호프레임 틈새 밀폐용 기구
KR102489779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KR101874026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기밀장치
KR102446234B1 (ko) 미서기창의 승강식 방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