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5157B1 - Floating dock - Google Patents

Floating d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5157B1
KR101635157B1 KR1020140119063A KR20140119063A KR101635157B1 KR 101635157 B1 KR101635157 B1 KR 101635157B1 KR 1020140119063 A KR1020140119063 A KR 1020140119063A KR 20140119063 A KR20140119063 A KR 20140119063A KR 101635157 B1 KR101635157 B1 KR 101635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ody portion
body part
lower body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906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9472A (en
Inventor
우범석
윤두오
양규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1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5157B1/en
Publication of KR20160029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947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5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515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00Dry-docking of vessels or flying-boats
    • B63C1/02Floating 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플로팅 도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는, 수면 상에 부유 가능한 하부 몸체부, 및 상부에 작업데크가 형성되며,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작업데크 상에 탑재되는 작업대상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몸체부를 포함한다.A floating dock is initiated.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portion floating on a water surface and a work deck form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body portion.

Description

플로팅 도크{FLOATING DOCK}Floating Dock {FLOATING DOCK}

본 발명은 플로팅 도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ating dock.

일반적으로, 도크(dock)는 대형 선박을 건조, 수리하기 위해서 조선소나 항만 등에 건설된 설비를 말하는 것으로, 건식 도크(dry dock)와 부유식 도크(floating dock)로 구분된다.Generally, a dock refers to a facility constructed in a shipyard or a port to dry and repair a large ship, and is classified into a dry dock and a floating dock.

여기서, 건식 도크는 선박을 진수하기에 충분한 수심을 갖는 바다와 인접한 곳에서 선박의 출입이 가능할 정도의 길이, 너비, 깊이로 땅을 파서 바다와 연결시키고 측벽과 바닥을 철근콘크리트나 말뚝으로 보강하고 입구에 도크 게이트(dock gate)를 설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부유식 도크는 강철제 상자로 내부에 많은 탱크를 가지며 이러한 탱크에 해수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부유 정도를 조절하는 설비이다.Here, the dry dock connects the sea with the sea with a length, width, and depth sufficient to allow the ship to enter and exit the sea adjacent to the sea with sufficient water depth to launch the ship, to reinforce the sidewalls and floor with reinforced concrete or piles A dock gate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The floating dock is a steel box with many tanks inside, and controls the degree of floatation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seawater stored in these tanks.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0709399호(2007. 04. 12, 플로팅 도크의 폰툰데크 길이를 초과하는 선박 건조공법)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09399 (2007. 04.12, ship construction method exceeding the pontoon deck length of a floating dock).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작업대상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하는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 a floating dock that is easy to produce an offshore structure by providing a floating dock capable of working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면 상에 부유 가능한 하부 몸체부; 및 상부에 작업데크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업데크 상에 탑재되는 작업대상물을 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몸체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ir conditioner comprising: a lower body part floating on a water surface; And an upper body portion on which a work deck is formed, and an upper body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to rotate a workpiece mounted on the work deck.

상기 플로팅 도크는 상기 하부 몸체부에 대해 상기 상부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제1 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floating dock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driving part for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art, wherein the rotation driving part includes: a first gear formed on one of the lower body part and the upper body part; A second gear formed on the other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body portion to rotate the first gear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And a power unit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상기 제1 기어는 환형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환형의 제1 기어는 상기 상부 몸체부 및 하부 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gear may form an annular shape, and the annular first gea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body portion about an imaginary center axis passing through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And may be formed adjacent to the edge.

상기 제1 기어는 래크 기어 또는 베벨 기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기어는 피니언 기어 또는 베벨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gear may include a rack gear or a bevel gear, and the second gear may include a pinion gear or a bevel gear.

상기 플로팅 도크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사이에서 버블(bubble)을 발생시키는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floating dock may further include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a bubble between the lower body part and the upper body part.

상기 버블 생성부는, 에어 분배라인; 상기 버블 분배라인에 형성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버블 분배라인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bble generator includes an air distribution line; An air nozzle formed in the bubble distribution line; And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air to the bubble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작업대상물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한 플로팅 도크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alize a floating dock that is easy to produce an offshore structure by providing a floating dock capable of working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a workpie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회전구동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1. Fig.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otation driving unit of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term " coupled " is used not only in the case of direct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respectiv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contact relation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but also means that other constituent elements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nstituent elements, Use them as a concept to cover each contac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를 포함한다.1 to 4, a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body part 100 and an upper body part 200.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몸체부(200)의 작업데크(210) 상에 탑재된 작업대상물(10)을 상하중심축(500)을 기준으로 다양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작업대상물(10)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한 플로팅 도크를 구현할 수 있다.The workpiece 10 mounted on the work deck 210 of the upper body part 200 can be rotated on the upper and lower central axes (not shown) b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200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art 100, 500 and can be rotated at various angles to provide a floating dock capable of working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This makes it possible to realize a floating dock in which an offshore structure can be easily manufactured.

따라서, 해상 크레인(30)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 예를 들어 도 4를 기준으로 볼 때 해상 크레인(30)이 접근하지 못하는 제2 구역(214))에 대해서도 해상 크레인(30)을 이동시키거나 수면에 고정된 상태의 플로팅 도크(1000)의 계류장치를 해체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단히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작업대상물(10)에 대한 해상 크레인(30)의 접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move the floating crane 30 against an area where the working radius of the floating crane 30 is insufficient, for example, the second area 214 where the floating crane 30 does not approach with reference to FIG. The access of the floating crane 30 to the workpiece 10 can be improved by simpl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200 without the hassle of disassembling the mooring device of the floating dock 1000 that is fixed on the water surface .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construct an offshore structure by providing a floating dock capable of working in various directions.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의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the construction of the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서, 작업대상물(10)이라 함은 플로팅 도크 상에서 건조될 수 있는 작업대상물로서 드릴링 리그나 부유식 해양 설비 등과 같은 해양구조물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piece 10 is a comprehensive concept including an offshore structure such as a drilling rig or a floating offshore facility as a workpiece that can be dried on a floating dock.

하부 몸체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상에 부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부(100)는 도 5를 기준으로 볼 때 박스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이 경우, 하부 몸체부(100)는 사방에서 크레인이 접근할 수 있도록 정방형 또는 직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body portion 100 may float on the surface of the water as shown in Fig. Specifically, the lower body portion 100 may be a box-shaped member when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FIG. In this case, the lower body part 100 may be formed in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crane can approach from all directions.

하부 몸체부(100)는 그 내부에 복수의 밸러스트 탱크를 구비할 수 있고, 이러한 밸러스트 탱크에 수용되는 해수의 저장량을 조절함으로써 플로팅 도크의 부유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 몸체부(100)가 수면 상에서의 부유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에 탑재되는 상부 몸체부(2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면 아래로 보다 깊이 위치할 수도 있고 수면 위로 완전히 노출될 수도 있다.The lower body portion 100 may have a plurality of ballast tanks therein and the degree of floating of the floating dock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seawater stored in the ballast tanks. The upper body part 20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ody part 100 is positioned more deeply below the water surface as shown in FIG. 1 by adjusting the floating degree of the lower body part 100 on the water surface It may or may not be fully exposed to the surface of the water.

상부 몸체부(200)는 하부 몸체부(10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작업데크(210) 상에 탑재된 작업대상물(10)을 회전시킬 수 있다.The upper body portion 20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100. Accordingly, as shown in FIG. 3, the upper body portion 200 rotates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ortion 100, thereby rotating the workpiece 10 mounted on the work deck 210.

작업데크(210)는 해양구조물 또는 선박과 같은 작업대상물(10)을 건조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공간으로, 상부 몸체부(20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데크(2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역(212)과 제2 구역(214)으로 구획될 수 있다.The work deck 210 may be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upper body part 200 as a space for drying or repairing the workpiece 10 such as an offshore structure or a ship. Specifically, the work deck 210 may be partitioned into a first section 212 and a second section 214, as shown in FIGS.

여기서, 제1 구역(212) 또는 제2 구역(214)은 플로팅 도크(1000)에 대한 해상 크레인(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해상 크레인(30)이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커버할 수 있는 최대 작업 가능 영역을 의미하는 가상의 영역이다.Here, the first zone 212 or the second zone 214 may be a maximum operation that the above-mentioned overhead crane 30 does not mov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floating crane 30 relative to the floating dock 1000, This is a virtual area which means a possible area.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2 구역(214)이 조선소의 부두, 즉 육상에 인접하도록 해상에 계류된 상태이므로, 제1 구역(212)은 해상 크레인(30)의 이동 없이 상기 해상 크레인(30)의 최대 작업 가능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때, 제2 구역(214)은 해상 크레인(30)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으로서, 해상 크레인(30)을 제2 구역(214) 쪽으로 이동시키거나 제2 구역(214)이 해상 크레인(30)과 인접하도록 플로팅 도크를 회전시키는 선행 작업 없이는 상기 해상 크레인(30)이 접근할 수 없는 영역이 된다.3, since the second zone 214 is moored in the sea so as to be adjacent to the wharf of the shipyard, that is, on the shore, the first zone 212 is connected to the sea crane 30). ≪ / RTI > At this time, the second zone 214 is an area where the working radius of the floating crane 30 is insufficient and the floating crane 30 is moved toward the second zone 214, or the second zone 214 is moved to the floating crane 30 The floating crane 30 can not approach the floating crane 30 without a preceding work for rotating the floating dock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loating crane 30.

이 경우, 제2 구역(214)은 육상에 접한 상태이므로 해상 크레인(30)을 제2 구역(214) 측으로 이동시킬 수 없으며, 따라서 이 경우는 해상에 정박된 상태의 플로팅 도크(1000)의 계류장치를 해체하는 번거로운 선행작업이 요구된다.In this case, since the second zone 214 is in contact with the land, the floating crane 30 can not be moved to the second zone 214 side. Therefore, in this case, the mooring of the floating dock 1000, A troublesome prior task of dismantling the apparatus is required.

이에 대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부 몸체부(200)의 작업데크(210) 상에 탑재되는 작업대상물(10)을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해상 크레인(30)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예를 들어, 도 4의 제2 구역(214))에 대해서도 해상 크레인(30)을 이동시키거나 플로팅 도크(1000)의 계류장치를 해체하는 번거로움 없이도, 원하는 제1 구역(212) 또는 제2 구역(214)을 해상크레인(30) 쪽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작업대상물(30)의 위치에 상관없이, 작업하고자 하는 작업대상물(10)에 대한 해상 크레인(30)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플로팅 도크(1000)를 구현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b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200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art 100, the workpiece 10 mounted on the work deck 210 of the upper body part 200 can be rotated (For example, the second zone 214 of FIG. 4) in which the working radius of the floating crane 30 is less than the width of the float dock 1000, The desired first zone 212 or second zone 214 can be rotated toward the floating crane 30 without the need for disassembly. This makes it possible to implement the floating dock 1000 capable of greatly improving the accessibility of the floating crane 30 to the workpiece 10 to be operated, irrespective o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30.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는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driving part 300 for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200 so that the upper body part 200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art 100 can do.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의 회전구동부(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회전구동부(300)는 제1 기어(310)와 제2 기어(320)와 동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5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of the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2 and 5, the rotation driving unit 300 may include a first gear 310, a second gear 320, and a power unit 330.

제1 기어(31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비록 도 5에서는 제1 기어(310)가 상부 몸체부(200)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 기어(310)가 하부 몸체부(100)에 형성될 수도 있다.The first gear 310 may be formed on one of the lower body portion 100 and the upper body portion 200. Although the first gear 310 is formed on the upper body 200 in the embodiment of FIG. 5,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f necessary, the first gear 3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body 100 As shown in Fig.

제1 기어(310)는 환형(띠 형상)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기어(310)는 하부 몸체부(100) 및 상부 몸체부(200)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상의 상하축(이 경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환형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310)는 환형의 형태를 갖는 래크 기어 또는 베벨 기어일 수 있다.The first gear 310 may include an annular (band-like) shape. That is, the first gear 310 can form an annular shape about an imaginary vertical shaft (in this case, the rotary shaft 500) passing through the lower body 100 and the upper body 200. Specifically, the first gear 310 may be a rack gear or a bevel gear having an annular shape.

도 5를 참조하면, 환형의 제1 기어(310)는 회전축(500)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될 수 있도록 하부 몸체부(100) 및 상부 몸체부(2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기어(310)는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최대한 바깥쪽에 설치될 수 있다.5, an annular first gear 310 is disposed adjacent to an edge of at least one of the lower body part 100 and the upper body part 200 so as to be separated from the rotation axis 500 as far as possible . That is, the first gear 310 may be installed as far as possible with respect to the rotary shaft 500 as far as possible.

이와 같이 제1 기어(310)의 환형 테두리가 회전축(500)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이격됨으로써, 동일한 무게를 기준으로 할 때 회전축(500)에 인접한 제1 기어에 비해 작은 힘(토크)으로도 작업대상물(10)을 회전시킬 수 있다.As a result, the annular rim of the first gear 310 is separated from the rotary shaft 50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even when the same weight is used as the reference, 10 can be rotated.

제2 기어(32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중 나머지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320)는 환형의 제1 기어(310)와 맞물려 기어 결합될 수 있고, 제2 기어(32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기어(310)도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2 기어(320)는 제1 기어(31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제1 기어(310)의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다.The second gear 320 may be formed on the other of the lower body part 100 and the upper body part 200. The second gear 320 can be engaged with the annular first gear 310 so that the first gear 310 can rotate about the rotational axis 500 as the second gear 320 rotates have. A plurality of second gears 320 may be installed along the rim of the first gears 310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first gears 310.

구체적으로, 제2 기어(320)는 환형의 래크 기어 또는 환형의 베벨 기어 형태를 갖는 제1 기어(310)에 맞물리도록 피니언 기어 또는 베벨 기어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gear 320 may have the form of a pinion gear or a bevel gear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310 having an annular rack gear or an annular bevel gear shape.

도 2를 참조하면, 제2 기어(320)는 제1 기어(310)를 통해 전달되는 상부 몸체부(200) 및 작업대상물(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제1 기어(310)의 회전축(500)에 직교한 방향, 즉 도 2를 기준으로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2, the second gear 320 includes a first gear 310 and a second gear 310. The second gear 320 includes a first gear 310 and a second gear 310. The second gear 320 includes an upper body portion 200, 500, that is,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도 2를 참조하면, 하부 몸체부(100)에는 제2 기어(3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기어(320)는 상기 수용홈이 일부가 수용된 상태로 그 상부에 위치한 제1 기어(31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기어(320)는 상기 수용홈을 가로지르는 견고한 지지축에 의해 하부 몸체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2, a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lower body portion 100 to receive a portion of the second gear 320. Accordingly, the second gear 320 can support the first gear 310 positioned above the receiving groove in a state where the receiving groove is partially received. To this end, the second gear 320 may be rotatably supported on the lower body portion 100 by a rigid support shaft transverse to the receiving groove.

동력부(330)는 제2 기어(320)를 회전시키는 장치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모터의 구동축이 제2 기어(320)에 결합됨으로써 제2 기어(320)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power section 330 is a device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320, and may include a motor. In this case, the driving shaft of the motor is coupled to the second gear 320 to rotate the second gear 320.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는 하부 몸체부(100)를 수면 상에 고정시키는 계류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계류부(400)는 예를 들어 체인 또는 밧줄과 같은 무어링 라인(mooring line)일 수 있다. 이러한 계류부(400)를 통해, 하부 몸체부(100)는 조선소의 항만 부두에 항상 고정된 상태로 정박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mooring part 400 for fixing the lower body part 100 on the water surface. The mooring part 400 may be, for example, a mooring line such as a chain or a sling. Through the mooring part 400, the lower body part 100 can be anchored at all times to the port dock of the shipyard.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와 같이 플로팅 도크 전체를 이동시키기 위해 계류장치를 해체할 필요 없이, 하부 몸체부(100)는 항상 고정된 상태에서 상부 몸체부(200)를 간단히 회전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해상 크레인(30)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 즉 작업데크(200)의 제1 구역(212) 또는 제2 구역(214)에 대한 해상 크레인(30)의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작업대상물(10)의 위치에 상관없이, 다양한 방향에서 작업이 가능한 플로팅 도크를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제작이 용이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easily rotate the upper body part 200 in a state where the lower body part 100 is always fixed, without disassembling the mooring device to move the entire floating dock as in the conventional art, The accessibility of the marine crane 30 to the first zone 212 or the second zone 214 of the working deck 200 can be greatly improved . 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an offshore structure by providing a floating dock capable of working in various directions, regardless of the position of the workpiece 10.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20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2000)는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사이에서 버블(bubble)을 발생시킬 수 있는 버블 생성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dock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 floating dock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ubble generator 600 capable of generating a bubble between a lower body part 100 and an upper body part 200, As shown in FIG.

구체적으로, 버블 생성부(600)는 에어 분배라인(610)과 에어 노즐(620)과 에어 공급부(630)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ubble generator 600 may include an air distribution line 610, an air nozzle 620, and an air supply unit 630.

에어 분배라인(610)은 에어 공급부(630)과 연결되어 공급받은 에어를 에어 노즐(620)로 공급하는 부재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부(10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외에도, 에어 분배라인(610)은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사이에 개재되도록 하부 몸체부(100) 또는 상부 몸체부(200)의 외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The air distribution line 610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unit 630 and supplies the supplied air to the air nozzle 620. The air distribution line 610 may be installed in the lower body part 10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air distribution line 61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lower body 100 or the upper body 200 to be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body 100 and the upper body 200.

에어 노즐(620)는 이러한 에어 분배라인(610)을 따라 여러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에어 공급부(630)는 에어의 공급을 위해 에어의 압력을 높일 수 있는 에어 컴프레서 또는 에어를 공급할 수 있는 에어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Several air nozzles 620 may be installed along this air distribution line 610. The air supply unit 630 may include an air compressor capable of raising the pressure of air for supplying air or an air tank capable of supplying air.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블 생성부(600)를 이용하여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사이에서 버블(bubble)을 발생시킴으로써,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킬 때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버블(공기방울)이 모여 거대한 에어포켓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렇게 생성된 에어포켓이 상부 몸체부(200)에 소정의 부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간의 접촉 부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bubbles are generated between the lower body part 100 and the upper body part 200 by using the bubble generator 600,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when rotating the part 200 can be reduced. In other words, bubbles (air bubbles) can gather to form a huge air pocket, and the air pockets thus generated can provide a predetermined buoyancy to the upper body part 200, so that the lower body part 100 and the upper body part The frictional force that may occur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ortions 200 can be reduced.

그 결과, 회전구동부(300)를 이용하여 상부 몸체부(200)를 회전시킬 때, 적은 에너지로도 상부 몸체부(20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As a result, when the upper body part 200 is rotated using the rotation driving part 300, the upper body part 200 can be easily rotated with less energy.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의 이격된 공간을 둘러싸도록 상부 몸체부(200)에는 그 가장자리를 따라 스커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스커트(미도시)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부 몸체부(20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허리띠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detail in the present embodiment, a skirt (not shown) is installed along the edge of the upper body portion 200 so as to surround the space separated from the lower body portion 100 and the upper body portion 200 . The skirt (not shown) may b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such as rubber, and may be provided in a waistban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200.

이와 같이 스커트(미도시)가 상부 몸체부(200)의 하부 가장자리를 따라 환형으로 설치됨으로써, 하부 몸체부(100)와 상부 몸체부(200) 사이의 공간에 생성된 에어포켓을 일시적으로 모아 둘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부 몸체부(200)에 소정의 부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The skirt (not shown) is annularly installed along the lower edge of the upper body part 200 to temporarily collect air pocket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lower body part 100 and the upper body part 200 So that it is possible to stably provide a predetermined buoyancy to the upper body portion 200.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2000)는 상술한 세부 구성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도크(100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floating dock 2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floating dock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cept for the detailed configuration described above, and therefor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팅 도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구성에 대한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다만, 이러한 방향을 통한 설명은 작동 상태에 대한 일례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팅 도크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foregoing, a floating dock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of each constitution is based on the direction shown in the drawing. However, the description in this direction is only an example of the operating state, and does not limit the floating do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플로팅 도크(1000)는 그 일면이 육상에 인접한 상태로 해상에 정박될 수 있다. 이 경우, 플로팅 도크(1000)의 타면에는 작업 지원을 위한 해상 크레인(30)이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상물인 작업대상물(10)은 제1 구역(212)과 제2 구역(214)에 각각 탑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loating dock 1000 can be anchored to the sea with its one side adjacent to the land. In this case, on the other side of the floating dock 1000, a floating crane 30 for supporting the operation can be disposed adjacent thereto. The workpiece 10, which is a workpiece, may be mounted i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212 and 214, respectively.

이때, 제2 구역(214)은 조선소의 부두, 즉 육상에 인접하도록 해상에 계류된 상태이므로, 제1 구역(212)은 해상 크레인(30)의 이동 없이도 해상 크레인(30)의 최대 작업 가능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제2 구역(214)은 해상 크레인(30)의 작업반경이 미치지 못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Since the second zone 214 is moored in the sea so as to adjoin the wharf of the shipyard, the first zone 212 can be divided into the maximum workable area of the overhead crane 30 without the movement of the overhead crane 30, And in this case, the second zone 214 may be an area where the working radius of the floating crane 30 is insufficient.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몸체부(200)가 하부 몸체부(100)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제1 구역(212)에 탑재된 작업대상물(10)은 제2 구역(214)이 위치하던 자리로 이동할 수 있고, 제2 구역(214)에 탑재된 작업대상물(10)은 제1 구역(212)이 위치하던 자리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해상 크레인(30)을 이동시키거나 플로팅 도크의 계류장치를 해체하는 선행 작업 없이도 해상 크레인(30)이 작업대상물(30)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다.3, the upper body portion 20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ortion 100 so that the workpiece 10 mounted on the first region 212 is moved in the second direction 214 can be mov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ection 212 is located and the workpiece 10 mounted in the second section 214 can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st section 212 is located. Therefore, the floating crane 30 can easily approach the workpiece 30 without moving the floating crane 30 or dismantling the floating dock mooring device as in the conventional art.

이 경우, 하부 몸체부(100)는 계류부(400)에 의해 해상에 정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하는 상부 몸체부(200)가 인접한 육상의 부두와 간섭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부 몸체부(100)는 밸러스트 탱크의 해수 저장량을 조절하여 상부 몸체부(200)를 육상의 지면보다 높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상부 몸체부(200)의 하면이 육상의 지면보다 높은 위치에 놓여짐으로써, 상부 몸체부(200)의 회전에 의해 상부 몸체부(200)와 육상의 지면이 간섭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ower body part 100 is maintained in a maritime state by the mooring part 400, at which time the rotating upper body part 200 may interfere with the adjacent onshore waters.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lower body part 100 can move the upper body part 200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ound level by adjusting the seawater storage amount of the ballast tank. That is,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ody portion 200 is loca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ground surface,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body portion 200 and the ground surface due to rotation of the upper body portion 200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addition, alteration, deletion, or addition of component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it is also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0, 2000: 플로팅 도크
10: 작업대상물 20: 해저면
30: 플로팅 크레인 100: 하부 몸체부
200: 상부 몸체부 210: 작업데크
212: 제1 구역 214: 제2 구역
300: 회전구동부 310: 제1 기어
320: 제2 기어 330: 동력부
400: 계류부 500: 회전축
600: 버블 생성부 610: 에어 분배라인
620: 에어 노즐 630: 에어 공급부
1000, 2000: Floating dock
10: Workpiece 20:
30: floating crane 100: lower body part
200: upper body part 210: work deck
212: first zone 214: second zone
300: rotation drive unit 310: first gear
320: Second gear 330: Power unit
400: mooring part 500: rotary shaft
600: bubble generator 610: air distribution line
620: Air nozzle 630: Air supply part

Claims (6)

적어도 일면이 육상에 인접한 상태로 해상에 계류된 상태에서 플로팅 도크의 계류장치를 해체시키는 선행작업 없이도 상기 플로팅 도크의 작업데크 상의 작업대상물에 대한 해상 크레인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플로팅 도크로서,
상기 육상에 인접하도록 수면 상에 부유되는 하부 몸체부;
제1 구역과 제2 구역으로 구획되는 작업데크가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하부 몸체부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작업데크 상에 탑재되는 작업대상물을 원회전시킬 수 있는 상부 몸체부; 및
상기 하부 몸체부에 대해 상기 상부 몸체부를 원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하부 몸체부를 이동시킬 필요 없이 상기 작업데크 상의 상기 제1 구역와 상기 제2 구역의 위치를 바꿀 수 있는 회전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부는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환형의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도록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는 제2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를 회전시키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A floating dock capable of enhancing the accessibility of a floating crane to a workpiece on a work deck of the floating dock without a preceding work for dismantling the mooring device of the floating dock while at least one side of the floating dock is moored in the state of being adjacent to the ground,
A lower body part floating on the water surfac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land;
An upper body portion provid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work body, the upper body portion being rotatably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portion, the upper body portion being rotatable about an object to be mounted on the work deck; And
And a rotation driving unit for changing a position of the first zone and the second zone on the work deck without rotating the lower body part by rotating the upper body part with respect to the lower body part,
The rotation drive unit
An annular first gear installed on one of the lower body part and the upper body part;
A second gear installed on the other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body portion so as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And
And a power section for rotating the second gea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제1 기어는 상기 상부 몸체부 및 하부 몸체부를 상하로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플로팅 도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nular first gear is formed adjacent to an edge of at least one of the lower body portion and the upper body portion about an imaginary center axis passing through the upper body portion and the lower body portion vertical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는 래크 기어 또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기어는 피니언 기어 또는 베벨 기어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gear includes a rack gear or a bevel gear,
And the second gear includes a pinion gear or a bevel gear.
제1항, 제3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부와 상기 상부 몸체부 사이에서 버블(bubble)을 발생시키는 버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and 4,
Further comprising a bubble generator for generating a bubble between the lower body part and the upper body part.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블 생성부는,
에어 분배라인;
상기 에어 분배라인에 형성되는 에어 노즐; 및
상기 에어 분배라인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는, 플로팅 도크.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ubble generator comprises:
Air distribution lines;
An air nozzle formed in the air distribution line; And
And an air supply part for supplying air to the air distribution line.
KR1020140119063A 2014-09-05 2014-09-05 Floating dock KR10163515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3A KR101635157B1 (en) 2014-09-05 2014-09-05 Floating d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9063A KR101635157B1 (en) 2014-09-05 2014-09-05 Floating d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72A KR20160029472A (en) 2016-03-15
KR101635157B1 true KR101635157B1 (en) 2016-07-08

Family

ID=55542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9063A KR101635157B1 (en) 2014-09-05 2014-09-05 Floating d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515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2563A (en) 2019-05-17 2020-11-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Dock system capable of tidal power gener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6B1 (en) * 2008-03-11 2008-08-06 라인호(주) A keel block device for rail transporte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6389U (en) * 2007-06-15 2008-12-18 박수민 Air curtain structure for floating doc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806B1 (en) * 2008-03-11 2008-08-06 라인호(주) A keel block device for rail transpor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9472A (en) 2016-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5108B1 (en) Modular diesel hydraulic thurster system for dynamically positioning semi submersibles
US9822767B2 (en) Floating-body type wind turbine power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ransporting components of the same
US7806065B1 (en) Modular system for fast and easy conversion of anchor moored semi-submersibles to dynamically positioned semis without the need for dry docking, using a diesel electric thruster system
KR102046438B1 (en) Method of mooring of a ship and arrangement of mooring a ship for carrying out the method
JP5563103B2 (en) Device for reducing flow resistance in moon pools
CN102320357B (en) Spar hull centerwell arrangement
WO2017058098A1 (en) A mobile dock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thereof
US20150298775A1 (en) Low Heave Semi-Submersible Offshore Structure
KR102248803B1 (en) A Submersible Vessel For Dry Docking A Vessel
KR101635157B1 (en) Floating dock
US20020090270A1 (en) Column-stabilized offshore vessel
KR20180012003A (en) Maintenance Floating Dock Provided With Working Platform
KR10148767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101689031B1 (en) Turret barge for floating over and quay load out method thereby
KR20160029478A (en) Floating dock
KR20160036675A (en) Guardrail for offshore structure
KR101315190B1 (en) Floating Dock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hore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363500B1 (en) Pipe laying vessel
RU2276646C2 (en) Positioning system for ship, mainly submarine
KR101505799B1 (en) Canister-type thruster
KR20150026621A (en) Temporary Ballasting System for Semi-Rig Ship
KR101616826B1 (en)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mooring device
KR101556187B1 (en) Wave absorbing apparatus of moonpool
KR20160033461A (en) Wind break structure of sea
KR101491672B1 (en) Wave absorbing apparatus of moonp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