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976B1 -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976B1
KR101634976B1 KR1020140020326A KR20140020326A KR101634976B1 KR 101634976 B1 KR101634976 B1 KR 101634976B1 KR 1020140020326 A KR1020140020326 A KR 1020140020326A KR 20140020326 A KR20140020326 A KR 20140020326A KR 101634976 B1 KR101634976 B1 KR 101634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lectronic device
mobile electronic
emergency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0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8930A (ko
Inventor
권형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보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보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보형
Priority to KR1020140020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976B1/ko
Publication of KR20150098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8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록한 확인 매체를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확인 매체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어 다수의 사람이 실종 상황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종자의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 본인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비상상황 발생 시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도움요청 신호 수신 시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System for rescue request during emergency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위급상황 시의 구조 요청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록한 확인 매체를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확인 매체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어 다수의 사람이 실종 상황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종자의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무선통신의 발달에 근거하여 위급상황 발생 시 이에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들이 개발 및 이용되고 있다.
사회적 약자인 어린이, 노인들의 실종 상황을 예로 들면, 미아 발생이나 어린이 유괴 및 치매 노인들의 길 잃음 등에 기인한 실종 사고들은 과거에도 존재했었고 현재도 계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제안들로써, 어린이나 치매 노인의 이름, 주소, 연락처 등을 적은 리본이나 팔찌 등을 해당 어린이나 노인에게 착용시키는 원시적인 것으로부터 어린이나 치매 노인이 위치발신기를 착용 후 필요 시 동작시켜 보호자에게 자신의 위치를 알리는 비교적 진보된 것들까지 여러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리본이나 팔찌를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 유괴나 납치에 기인한 실종 상황일 때에는 전혀 기능을 하지 못한다. 또한 위치발신기를 이용하는 기술의 경우에도 해당 실종 피해자의 위치정보가 지속적으로 수신되면서 실시간으로 위치 확인이 이루어지지 못하면 별다른 기능을 하지 못한다. 다시 말해 유괴나 납치에 기인한 실종 상황에서 유괴나 납치를 하는 범죄자가 위치발신기의 동작을 중지시키거나 또는 유괴나 납치 피해자로부터 위치발신기를 분리시키게 되면, 위치발신기는 실종자의 구조에 별다른 도움을 주지 못하게 된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83981호(2007.12.11.공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 구조요청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05-0040373호(2005.05.03.공개), “비상버튼이 내장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구조요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록한 확인 매체를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확인 매체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어 다수의 사람이 실종 상황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종자의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해당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의 통신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는 동시에 이렇게 실종 정보를 수신하는 개별 통신 단말기들이 모두 실종 정보의 확산 매체로써 기능함에 따라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신속히 확산되면서 전달될 수 있게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실종정보가 실종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에서 통용되는 문자와 언어로 자동 변환되면서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타국에서도 자국에서와 동일한 구조요청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은 사용자 본인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비상상황 발생 시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도움요청 신호 수신 시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도움요청 신호의 전송 시 GP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 신호로부터 GPS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써 개인정보의 입력을 위한 개인정보 입력부와, 상기 사용자 정보로써 생체정보의 입력을 위한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카메라, 마이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입력부와, 상기 개인정보 입력부 및 생체정보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개인정보 입력부 및 생체정보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장치는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생체정보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두 생체정보 간의 상호 일치도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인정보에는 이름, 주소, 혈액형, 키, 몸무게, 보호자 이름, 하나 이상의 연락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생체정보에는 사진, 걸음걸이 동영상, 음성 정보, 지문인식 정보, 홍채인식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GPS 장치 및 GPS 좌표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GPS 좌표정보별 언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GPS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현재 GPS 정보에 따라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어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의 국적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가 사전 지정한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특정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정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도움요청 신호의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대한 전송 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지정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정보를 전송케 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할당된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번호를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와 매핑하여 저장 후 상기 도움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도움 요청 신호의 전송을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가상키 또는 전용키를 구비하거나 도움 요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도움 요청 신호가 자동 전송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의 상기 도움요청 정보는,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재전송 명령정보를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자장치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의 정보를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은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모바일 전자장치의 사용자 본인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모바일 전자장치별 식별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가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저장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별 사용자 정보 중에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식별 기능에 따라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가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GPS에 의한 GPS 정보가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된 GPS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가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GPS에 의한 GPS 정보가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에 근거하여 GPS 좌표정보별로 국가주소값이 저장되는 국가정보 데이터베이스에서 국가주소값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정보와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국가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를 통한 국가정보의 불일치 시, GPS 좌표정보별로 국가문자값이 저장되는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를 근거로 국가문자값 정보를 검출 후 상기 사용자 정보를 검출된 국가문자값 정보에 따라 해당 국가문자로 전환하여 상기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 명령정보를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전자장치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로부터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 후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에 수신한 도움요청 정보를 재전송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위급상황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자장치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의 정보가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모바일 전자장치의 사용자 본인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모바일 전자장치별 식별 가능한 상태로 저장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개인정보 입력부 및 생체정보 입력부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록한 확인 매체를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확인 매체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어 다수의 사람이 실종 상황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종자의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해당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의 통신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는 동시에 이렇게 실종 정보를 수신하는 개별 통신 단말기들이 모두 실종 정보의 확산 매체로써 기능함에 따라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신속히 확산되면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실종정보가 실종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에서 통용되는 문자와 언어로 자동 변환되면서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타국에서도 자국에서와 동일한 구조요청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모바일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의 형성 및 편집을 위한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모바일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사용자 정보의 형성 중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모바일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생체인식 정보와 실제 어린이로부터 획득된 생체인식 정보가 비교되어 상호 간 매칭율이 계산되어 표시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의 디스플레이부에 지리 정보 시스템 기반의 지도 상에 모바일 전자장치 및 다른 전자장치가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의 도움요청 정보가 지도를 포함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된 예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모바일 전자장치를 통해 특정 언어가 선택되는 것을 예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을 보인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서 일부 추가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모바일 전자장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임의의 전자장치일 수 있으며, 휴대 단말기, 이동 단말기, 통신 단말기, 휴대용 통신 단말기, 휴대용 이동 단말, 이동통신 단말기 등으로 칭할 수 있다. 임의의 전자장치는 스마트폰, 휴대폰, 게임기, 디스플레이 장치, 웨어러블 헤드 유닛, 노트북 컴퓨터, 랩탑 컴퓨터, 태블릿(Tablet) 컴퓨터, PMP(Personal Media Play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내비게이션 장치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모바일 전자장치는 플렉서블 장치 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모바일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은 휴대 단말(예컨대, 휴대폰, 스마트폰 등)에 대한 것이며, 이러한 전자장치의 대표적인 구성에서 일부 구성 소자는 필요에 따라 생략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는 방전관 디스플레이(ELD), 진공 형광 디스플레이(VFD),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LED), 음극선관(CRT),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 표면 얼티네이트 라이팅(ALiS), 디지털 광원 처리(DLP), 실리콘 액정(LCoS),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레이저 TV(양자 점 레이저, 액정 레이저), 광유전성 액체 디스플레이(FLD), 간섭계 변조기 디스플레이(iMoD), 두꺼운 필름 유전체 전기(TDEL), 양자 점 디스플레이(QD-LED), 텔레스코픽 픽셀 디스플레이(TPD), 유기 발광 트랜지스터(OLET), 레이저 형광 디스플레이(LPD), 빔 프로젝트에서 출력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는 기록 매체로서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도록 프로그램 및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펀치 카드(punch card), 페이퍼 테이프(paper tape), 피롬(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이피롬(EPROM: Erasable PROM), 플래시-이피롬(FLASH-EPROM),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CD(Compact Disk),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 플렉서블 디스크(flexible disk), 광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솔리드 스테이트 하이브리드 드라이브(SSHD) 및 임베디드 멀티미디어 카드(eMMC: embedded Multi Media C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케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을 설명하며,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100)은 모바일 전자장치(110) 및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것으로써, 이러한 사용자 정보는 모바일 전자장치(110)를 사용하는 사용자 본인의 확인을 위한 정보이며, 또한 사용자 정보는 개인정보와 생체정보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정보에 사용자의 이름, 주소, 혈액형, 키, 몸무게 및 보호자 이름 그리고 하나 이상의 연락처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생체정보에 사용자의 사진, 걸음걸이 동영상, 음성 정보, 지문 정보, 홍채인식 정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생체정보 입력부(112), 디스플레이부, 저장부(114)를 포함하여 사용자 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생성된 사용자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개인정보 입력부(111)는 사용자 정보로써 개인정보의 입력 기능을 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개인정보 입력부(111)가 터치스크린을 통해 형성되며,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후술되는 디스플레이부의 기능도 함께 가진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별도의 도면 부호를 기입하지 않았음을 밝혀 둔다.
생체정보 입력부(112)는 사용자 정보로써 생체정보의 입력 기능을 한다. 그리고 생체정보 입력부(112)는 지문 인식부(112c), 홍채 인식부,(112d) 사용자의 사진이나 신체적 특징을 나타낼 수 있는 동영상 정보를 촬영하는 카메라(111b),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획득하는 마이크(111a)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또한 생체정보 입력부(112)는 개인정보 입력부(111)를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의 화면 상에 표시되는 사진등록부(112e) 및 음성정보 등록부(112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인정보로써 이름, 주소, 혈액형, 키, 몸무게, 보호자 이름, 하나 이상의 연락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생체정보로써 사진, 걸음걸이 동영상, 음성 정보, 지문인식 정보, 홍채인식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부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및 생체정보 입력부(112)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가 표시되며, 이러한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개인정보 입력부(111)를 통한 정보 입력 및 수정 작업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디스플레이부가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스크린으로 이루어져, 개인정보의 입력을 위한 입력화면을 제공하는 동시에 사용자 정보를 표시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개인정보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가 개별 장치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저장부(114)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및 생체정보 입력부(112)의 입력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며, 이러한 저장부(114)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가 검출되어 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된다.
도 2 및 도 3은 모바일 전자장치(110)를 통해 사용자 정보가 생성되는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2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 정보의 형성 및 편집을 위한 초기화면이 디스플레이된 것을 예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에는 사용자 등록을 위한 지문 인식부(112c), 사진등록부(112e) 및 음성정보 등록부(112f)가 표시된다. 또한 사용자의 개인정보로서, 이름 입력 영역(112g), 생년월일 입력영역(112h), 키 입력영역(112i), 체형 입력영역(112j), 성별 표시부(112k), 특이사항 등록영역(112l)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은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사용자 정보가 형성 중 화면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면에서 터치스크린의 각 표시 영역은 도 2의 실시예와 동일한 바 각 표시영역들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도면에는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기입하였음을 밝혀 둔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비상상황 발생 시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모바일 전자장치(120)는 할당된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번호를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하고, 이에 따라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된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모바일 전자장치(110)를 식별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고유번호로는 모바일 전자장치(110)가 통신 단말기인 것을 기준으로 할당된 고유 발신번호일 수 있고, 식별번호는 관리자를 통해서만 변경 가능하거나 사용자 스스로도 변경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터치스크린을 통해 형성되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상에 도움요청 신호의 전송을 위한 가상키(미도시)가 표시되고, 이러한 가상키에 터치가 이루어지면서 도움요청 신호의 생성을 위한 신호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상의 가상키가 아닌 별도의 전용키를 구비하여 이러한 전용키를 동작시키는 조작에 따라 도움요청 신호의 생성을 위한 신호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입력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다른 형태로써,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도움요청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도움요청 신호가 자동 생성되거나,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움요청 신호가 생성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자동 생성되는 도움요청 신호를 생성과 동시에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통신망을 통해 자동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모바일 전자장치(11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를 참조하여 모바일 전자장치의 구성에 대해 더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에서 모바일 전자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개인정보 입력부(111), 마이크(112a), 스피커(113), 저장부(114), 통신모듈(115), 전용키(116), 전원부(117), 카메라(112b), 지문 인식부(112c), 홍채 인식부(112d), GPS 장치(118), 제어부(119), 신호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개인정보 입력부를 형성하는 터치스크린에 대해 개인정보 입력부와 동일한 도면 부호 111을 사용키로 한다.
터치스크린(111)은 입력 기능 및 디스플레이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입력 기능으로는 가상의 키버튼이나 아이콘을 표시하여 이러한 가상의 키버튼이나 아이콘의 터치에 따라 소정의 입력신호를 제어부 및 기타 장치들에 입력하는 기능 등이 있고, 디스플레이 기능으로는 사용자의 UI 화면 및 사진, 동영상 등의 데이터를 화면 출력하는 기능 등이 있다. 다시 말해, 터치스크린(111)은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의 구성을 포함한다.
마이크(112a)는 음성 및 기타 소리 정보를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입력하는 기능을 하며, 또한 이러한 마이크(112a)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사용자 정보로써 사용자의 음성 및 기타 청각적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마이크(112a)는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기준으로 해당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통화 기능 등을 위해 설치된 마이크가 이용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 정보 중 하나인 청각적 생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마이크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스피커(113)는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및 기타 소리 정보를 외부에 송출하는 기능을 하며, 이러한 스피커(113)는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기준으로 해당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화상 통화 및 동영상 시청 등을 위해 설치된 스피커가 이용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사용자 정보 중 하나인 시각적 생체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별도의 스피커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설치되는 것일 수도 있다.
저장부(114)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에서 생성되거나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입력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기능을 하며,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부(114)는 특히 사용자 본인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도 저장하고 있다.
통신모듈(115)은 위급상황 관리서버(120) 및 기타 다양한 다른 서버 및 단말기들과 각종 데이터 및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즉, 통신모듈(115)은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에 사용되는 통신모듈의 구성에 해당된다.
전용키(116)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비상상황 신호의 생성을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전용키(116)의 동작에 따라 소정의 신호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모바일 전자장치(110), 예를 들어 제어부(119)가 신호발생부를 제어하여 도움요청 신호를 생성시킨다.
전원부(117)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전체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 기능을 한다.
카메라(111b)는 촬영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카메라(111b)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사용자 정보로써 사용자의 사진, 걸음걸이 동영상 등을 촬영하여 시각적 생체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카메라(111b)는 통상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를 기준으로 해당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에 설치된 카메라가 이용되는 것일 수 있고, 이와 달리 시각적 생체정보로써 사용자의 지문정보나 홍채정보 등도 생성할 수 있는 별도의 전용 카메라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지문 인식부(112c) 및 홍채 인식부(112d)는 생체정보를 인식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지문 인식부(112c) 및 홍채 인식부(112d)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린 지문 인식부(112c)와 홍채 인식부(111d) 중 어느 하나만이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GPS 장치(118)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GPS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기능을 한다.
신호발생부는 도움요청 신호를 생성하며, 제어부(119)는 신호발생부, 터치스크린(111), 마이크(111a), 스피커(113) 등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전체 구성들의 동작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사용자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이때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식별 가능한 도움요청 신호를 기준으로 도움요청 신호 및 이에 해당되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한다. 본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모바일 전자장치(110) 및 해당 사용자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며, 이에 따라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수신되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도움요청 신호로부터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번호를 검출 후 이렇게 검출되는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기준으로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도움요청 신호 수신 시,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이렇게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13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여기서, 전자장치(130)는 모바일 전자장치와 마찬가지로 모바일 방식의 전자장치일 수 있고, 이밖에 고정 방식의 전자장치여도 무방하다. 또한 전자장치(130)는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미도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의 입력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생체정보와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로부터 전송되는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두 생체정보 간의 상호 일치도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실종자로 추정되는 미아나 치매 노인 등을 발견 시 해당 미아나 치매 노인이 도움요청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사용자 정보의 당사자인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특정의 생체정보와 위급상황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가 비교되어 두 생체정보 간의 상호 일치도 백분율로써 전자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즉,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화면에는 실종자의 기본 인적정보가 표시되는 영역(131) 및 두 정보 간의 일치도가 백분율로 표시되는 영역(132)이 형성된다.
또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GPS 정보를 기준으로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모바일 전자장치(120)는 GPS 장치(도 2참조)를 포함하여 도움요청 신호의 전송 시 GP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이에 따라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수신되는 도움요청 신호에서 GPS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도움요청 정보 생성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데이터베이스 서버(123)를 포함하며, 이러한 데이터베이스 서버(123)에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123a),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123d), 위급상황 처리 정보 데이터베이스(123e)가 포함된다.
그리고 도움요청 정보 생성부(122)는 전자장치(130)에 전송하기 위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도움요청 정보를 재전송 명령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즉, 도움요청 정보는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장치(130)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130)에 해당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재전송 명령정보를 포함한다. 이는, 도움요청 정보의 보다 신속한 확산을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 기능을 통해, 도움요청 정보는 위급상황 발생 지점을 중심으로 사방으로 매우 신속하게 확산되면서 전달되어질 수 있다.
또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한 전자장치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의 정보를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이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리 정보 시스템에 의한 지도 상에 도움요청 신호를 전송한 모바일 전자장치(110) 및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한 전자장치(130)들이 표시됨에 따라,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의 관리자가 디스플레이 화면을 관찰하면서 위급상황에 대한 대처 상태를 정확하고 신속하게 확인하는 동시에 가장 근접한 전자장치(130)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전달하는 등 위급상황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그리고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서 전송되는 도움요청 정보도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의 정보로 생성되어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전자장치(130)의 사용자들이 위급상황에 보다 정확하고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서 생성되는 도움요청 정보가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기반의 정보로 생성됨에 따라, 전자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에 실종 및 기타 위급상황을 당한 사용자의 도움요청 정보가 지도를 포함한 형태로 디스플레이 되어 해당 위급상황에 대한 타인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예를 보인 것이다.
부연 설명하면, 도 7의 경우 전자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에 GIS 기반의 지리정보 표시영역(141) 및 미아 정보의 표시영역(142) 그리고 실종예상주소 표시영역(143)이 하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된다.
또한 도 8의 경우, 전자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 상측에는 GIS 기반의 지리정보 표시영역(151) 및 실종예상위치 표시영역(152) 그리고 실종예상주소 표시영역(153)이 하나의 화면으로 표시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 중앙 및 하측에는 실종 어린이의 개인정보 표시영역(154)이 형성된다.
또한 도 9의 경우, 전자장치(130)의 디스플레이부 상단에 실종위치 표시영역(161)이 형성되고, 그 아래쪽에 GIS 기반의 지리정보 표시영역(162)에 미아탐색 상황을 표시하는 문자정보(163)들이 표시되며, 디스플레이부 아래쪽에 통화 연결 및 문자 송신 등의 선택을 위한 영역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4를 참조하면,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GPS 좌표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GPS 좌표정보별 언어 데이터베이스(119a)를 구비하여 GPS 장치(118)로부터 획득되는 현재 GPS 정보에 따라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119a)에 저장된 언어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외국에서 조난 사고나 길을 잃는 등 위급상황에 직면하더라도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도움요청 기능을 국내에서 사용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용이한 작업을 통해 신속히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언어 데이터베이스(119a)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의 국적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언어 데이터베이스(110a)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가 사전 지정한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0은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사용자가 특정 언어를 사전에 정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화면을 예시한 것이다.
다시 도 4로 돌아가서, 모바일 전자장치(110)는 사용자 정보에 특정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정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도움요청 신호의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대한 전송 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상기 지정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전자장치(130)에 도움요청 정보를 전송케 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보호자가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사용자 정보를 등록 시 자녀나 치매에 걸리 부모 등 타인의 위치정보가 포함된 지정정보를 사용자 정보에 포함시켜 등록하고, 이에 따라 자녀나 치매에 걸린 부모 등이 연락이 잘 안되어 실종이 우려될 시 보호자 자신의 모바일 전자장치(110)를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도움요청 신호를 전송하며,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는 사전 등록된 자녀 또는 치매에 걸린 부모 등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주변의 전자장치(130)에 도움요청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해당 자녀나 치매에 걸린 부모 등에 대한 도움 요청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110)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사용자 본인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모바일 전자장치(110)별 식별 가능한 상태로 저장된다. 이러한 단계(S11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개인정보 입력부(111) 및 생체정보 입력부(112)의 입력 신호에 따라 개인정보 및 생체정보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사용자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20)에서, 모바일 전자장치(110)에 도움요청 신호의 외부 전송을 위한 신호가 입력된다.
단계(S130)에서, 모바일 전자장치(110)가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위급상황 관리서버(120)에 전송한다. 여기서, 단계(S130)는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GPS에 의한 GPS 정보가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단계(S130)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GPS에 의한 GPS 정보가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저장된 모바일 전자장치(110)별 사용자 정보 중에서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식별 기능에 따라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S150)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한다. 여기서, 단계(S150)는 전자장치(130)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130)에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지게 하는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 명령정보를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50)는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에 근거하여 GPS 좌표정보별로 국가주소값이 저장되는 국가정보 데이터베이스(123b)에서 국가주소값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정보와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국가정보를 비교하여 두 정보를 통한 국가정보의 불일치 시, GPS 좌표정보별로 국가문자값이 저장되는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123c)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포함된 GPS 정보를 근거로 국가문자값 정보를 검출 후 사용자 정보를 검출된 국가문자값 정보에 따라 해당 국가문자로 전환하여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된 GPS 정보를 검출하여 해당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획득한다.
단계(S160)에서, 위급상황 관리서버(120)가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모바일 전자장치(110)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모바일 전자장치(110)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13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단계(S170)에서, 전자장치(130)가 위급상황 관리서버(120)로부터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 후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130)에 수신한 도움요청 정보를 재전송한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급상황 구조요청 방법에서 일부 추가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의 단계(S160) 이후에, 단계(S270)으로써, 위급상황 정보를 수신한 전자장치(130)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의 정보가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화면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12의 실시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가 자신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를 기록한 확인 매체를 소유하고 있는 동시에 이러한 확인 매체의 개인정보 및 신체정보와 동일하거나 매칭되는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에게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어 다수의 사람이 실종 상황을 인식하는 동시에 실종자의 구조에 도움을 줄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아 발생, 유괴, 납치 등에 기인한 위급한 실종 상황 발생 시 해당 정보가 실종 당사자를 중심으로 소정 거리 내에 있는 사람들의 통신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파되는 동시에 이렇게 실종 정보를 수신하는 개별 통신 단말기들이 모두 실종 정보의 확산 매체로써 기능함에 따라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신속히 확산되면서 전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실종 상황 발생 시 실종 당사자의 개인정보를 포함한 실종정보가 실종 지역을 중심으로 해당 지역에서 통용되는 문자와 언어로 자동 변환되면서 실종 당사자가 위치한 지점으로부터 주변의 불특정 다수에게 해당 실종정보가 전달될 수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언어가 통하지 않는 타국에서도 자국에서와 동일한 구조요청 기능을 제공받을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10 : 모바일 전자장치
111 : 터치스크린 112 : 생체정보 인식부
112a : 마이크 112b : 카메라
112c : 지문 인식부 112d : 홍채 인식부
113 : 스피커 114 : 메모리
115 : 통신모듈 116 : 전용키
117 : 전원부 118 : GPS
119 : 제어부 120 : 위급상황 관리서버
121 : 제어부 122 : 도움요청 정보 생성부
123 : 데이터베이스 서버 123a : 사용자 정보 데이터베이스
123b : 국가정보 데이터베이스 123c : 문자정보 데이터베이스
124d :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124e : 위급상황 처리정보 데이터베이스

Claims (18)

  1. 사용자 본인의 확인을 위한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며, 비상상황 발생 시 식별 기능이 있는 도움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는 모바일 전자장치;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어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도움요청 신호 수신 시 수신된 도움요청 신호의 해당 사용자 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사용자 정보를 기반으로 도움요청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도움요청 정보를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전자장치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위급상황 관리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GPS 장치를 포함하여 상기 도움요청 신호의 전송 시 GPS 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 신호로부터 GPS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로써 개인정보의 입력을 위한 개인정보 입력부;
    상기 사용자 정보로써 생체정보의 입력을 위한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카메라, 마이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입력부;
    상기 개인정보 입력부 및 생체정보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개인정보 입력부 및 생체정보 입력부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상기 사용자 정보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상기 전자장치는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여 상기 카메라, 지문 인식부, 홍채 인식부, 마이크의 입력 신호를 통해 생성되는 생체정보와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로부터 전송되는 도움요청 정보에 포함된 생체정보를 비교하여 두 생체정보 간의 상호 일치도를 계산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GPS 장치 및 GPS 좌표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된 GPS 좌표정보별 언어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상기 GPS 장치로부터 획득되는 현재 GPS 정보에 따라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언어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언어정보를 기준으로 해당 국가의 언어로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에는 이름, 주소, 혈액형, 키, 몸무게, 보호자 이름, 하나 이상의 연락처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고, 상기 생체정보에는 사진, 걸음걸이 동영상, 음성 정보, 지문인식 정보, 홍채인식 정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의 국적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언어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출된 언어정보 기준의 비상 상황을 알리기 위한 정보에 사용자가 사전 지정한 언어로 생성된 동일 내용의 정보를 포함시켜 생성하여 해당 정보의 디스플레이 시 두 종류의 언어가 함께 표시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상기 사용자 정보에 특정 모바일 전자장치의 위치정보를 포함한 지정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도움요청 신호의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대한 전송 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가 상기 지정정보에 포함된 위치정보를 기준으로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상기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정보를 전송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할당된 고유번호 또는 변경 가능한 식별번호를 상기 도움요청 신호에 포함시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에 전송하며,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의 사용자 정보를 상기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와 매핑하여 저장 후 상기 도움요청 신호로부터 상기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고유번호 또는 식별번호와 매칭되는 사용자 정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전자장치는 도움 요청 신호의 전송을 위한 터치스크린 상의 가상키 또는 전용키를 구비하거나 도움 요청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있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시 도움 요청 신호가 자동 전송되거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후 사용자 조작에 따라 도움 요청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의 상기 도움요청 정보는,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하는 상기 전자장치로부터 사전 설정된 반경 내의 다른 전자장치에 도움요청 정보의 재전송이 이루어지도록 재전송 명령정보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상황 관리서버는 상기 도움요청 정보를 수신한 상기 전자장치들의 현재 위치 및 이동 경로의 정보를 지리 정보 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기반으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KR1020140020326A 2014-02-21 2014-02-21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KR101634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26A KR101634976B1 (ko) 2014-02-21 2014-02-21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0326A KR101634976B1 (ko) 2014-02-21 2014-02-21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30A KR20150098930A (ko) 2015-08-31
KR101634976B1 true KR101634976B1 (ko) 2016-07-01

Family

ID=5406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0326A KR101634976B1 (ko) 2014-02-21 2014-02-21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9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091A (ja) 2005-04-22 2006-11-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翻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0373A (ko) 2003-10-28 2005-05-03 이혜섭 비상버튼이 내장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위급상황 구조요청 서비스 장치 및 그 방법
KR100783981B1 (ko) 2006-03-29 2007-12-11 (주) 엘지텔레콤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긴급 구조요청방법
KR101142344B1 (ko) * 2010-01-25 2012-06-13 티더블유모바일 주식회사 모바일폰을 이용한 지능형 위급신호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30106511A (ko) * 2012-03-20 2013-09-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위급 상황 안내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1369292B1 (ko) * 2012-06-13 2014-03-05 유동민 Nfc 기반의 미아방지 방법 및 이를 위한 nfc 기반 미아방지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2091A (ja) 2005-04-22 2006-11-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翻訳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8930A (ko) 201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41819B2 (en) Emergency communication flow management and notification system
US1166552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mergency communications amongst groups of devices based on shared data
US1190287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and activating emergency response assets
US20180332162A1 (en) Mobile application for personal safety
US20220014895A1 (en) Spatiotemporal analysis for emergency response
JP7271055B2 (ja) 心停止の場合の自動化されたスマートウォッチ支援
US20190007819A1 (en)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mergency support services
US20220353662A1 (en) Low acuity dispatch managmenet
US20220279331A1 (en) Systems & methods for enhanced emergency data sharing
JP2022119851A (ja) 転倒検知オーディオループ
JP2018198020A (ja) 救急活動支援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1634976B1 (ko) 위급상황 구조요청 시스템 및 방법
CN111611812A (zh) 翻译成盲文
JP6850153B2 (ja) 通報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37061B2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virtualizing digital assistants
KR101614691B1 (ko) 휴대용 전자장치를 이용한 구조요청 시스템 및 그 방법
Alshareef et al. Swift personal emergency help facilitated by the mobile cloud
KR102588743B1 (ko) 의료 문서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50104002A (ko) 추적 대상의 위치 찾기 시스템
KR20200000941A (ko) 위치추적 공개키를 이용한 분실물 확인 방법 및 시스템
JP2019185159A (ja) 情報共有システム
JP2018163510A (ja) 通知システム、通知方法および通知プログラム
JP6840567B2 (ja) 通報支援システム、携帯端末、通報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230008570A1 (en) Psap/public responder network integrations
KR101365431B1 (ko) 이미지코드를 이용한 위급상황 대처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