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4560B1 -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4560B1
KR101634560B1 KR1020150180984A KR20150180984A KR101634560B1 KR 101634560 B1 KR101634560 B1 KR 101634560B1 KR 1020150180984 A KR1020150180984 A KR 1020150180984A KR 20150180984 A KR20150180984 A KR 20150180984A KR 101634560 B1 KR101634560 B1 KR 101634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ewage
vehicle
sludge
treat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0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붕전
박준
구본주
김하늘
Original Assignee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filed Critical 실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80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4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02F9/00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3/1008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3/1016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3/1025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 G08B3/1033Paging receivers with audible signalling details with voice message aler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2Grey water, e.g. from clothes washers, showers or dishwas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세척수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시설물의 오수 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을 1차, 2차로 분리하여 정화하고, 2차 정화된 오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3차로 압착 분리한 후, 세척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Sewage circular purifi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saving of washing water underground facility and sewage circular purifier treat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지중시설물에서 청소된 오염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오염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처리함과 아울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시설물은 맨홀과 하수관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맨홀에는 생활하수나 우수가 유입될 때 다량의 이물질이나 쓰레기 토사 등이 함유된 상태로 유입되어 일부는 오폐수를 따라 하수관로로 흐르는 과정에서 유속이 약해지는 곳에 침전되어 하수관로의 통로를 차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 또는 통신 시설과 가스배관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배치하고자 할 때 적용되는 지중시설물은, 시간이 경과 될수록 부식 및 이물질의 유입에 따라, 내부 설비의 노후 및 파손 예방을 위해 일정 기간마다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중시설물에 대한 청소 및 점검 시에는, 이동식 진공 흡입 및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지중시설물의 바닥에 고인 각종 오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고,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지중시설물의 벽면 및 시설물에 점착된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시 발생하는 오수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의 맨홀의 내부 바닥이나 하수관로에도 침전물이 침전하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청소작업이 어려워 관리의 어려운 점이 많았으며,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오수가 부패 되면서 각종 곤충이나 벌레 등의 서식처 및 이동통로가 되고 있고, 또한, 악취는 맨홀과 생활하수의 발생지점으로 역류되어 발산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중시설물의 청소를 위하여 통상의 진공 흡입을 위한 세척차량은 고압의 물(세척수)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오수를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진공 흡입 세척차량은, 슬러지와 오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 분사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준설작업 후, 슬러지 및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회수하는 슬러지 탱크로 분리되어 이중 탱크가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고압분사 하기 위한 고압펌프 및 세척수 분사장치와,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 흡입 세척차량을 이용한 지중시설물 청소 작업방법은, 물탱크 내의 물을 고압 펌프를 이용해 고압 분사 장치로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에 의해 고이는 오수는 진공 흡입 펌프를 이용해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슬러지 탱크로 회수한다.
그러나, 슬러지 탱크로 회수되는 오수가 만수위가 되면,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재작업해야 하며, 역시 물탱크의 물이 부족해지면 물탱크의 물을 재공급해야 한다.
또한 청소 작업 중에 오수 배출 및 청소용 세척수 공급을 위해 청소 작업 장소로부터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슬러지와 오수가 혼합된 상태라서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별도로 들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중시설물의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는 장치의 하나로,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674138호(명칭: 맨홀 청소차의 물 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를 제시한 바가 있으며, 상기 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러지 탱크 내에 격벽으로 설치되는 1차 필터와, 1차 필터에 의해 여과된 오수를 2차 여과하는 2차 필터와, 상기 2차 필터를 통과한 처리 수를 슬러지 탱크 외부로 펌핑하는 제1양수 펌프와, 제1양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처리 수를 섬유 필터 장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필터 탱크와, 필터 탱크에서 섬유 필터에 의해 여과 처리된 처리 수를 세척수 탱크로 펌프 하는 제2양수 펌프와, 제2양수 펌프에서 펌프 된 처리 수를 재활용 세척수로 회수하는 세척수 탱크로 구성되고, 세척수 탱크는 슬러지 탱크의 양측에 분리 구성되고, 연통 관로에 의해 세척수가 양측의 세척수 탱크로 분배되게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 또한, 슬러지 탱크 용량이 작아 정수처리 용량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준설차량은 대형 광폭 차량이어서 폭이 좁은 소도로는 물론 간선도로와 같은 맨홀이 위치해 있는 폭이 좁은 인도에서의 준설작업이 어렵고, 준설차량이 차지하는 공간도 매우 커서 교통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도로상에서 작업이 되는 준설차량에 있어서는 안전 표시판을 도로상에 설치했을 경우라도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갑작스럽게 진출하는 운행차량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오수 처리장치의 추가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면서도 안전 사고를 미리 예방하기 위한 장치들을 필요로 하였다.
KR 등록특허공보 B1 10-0674138 (2007. 01. 18) KR 공개특허공보 A 특2001-0107846 (2001. 12. 07)
본 발명의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정화처리를 하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하여 세척수를 저장하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세척분사수단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화수단을 갖는 준설차량과 정수수단을 갖는 정수차량을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하여 오수의 슬러지를 단계별로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되는 준설차량과 정수차량의 단계별 슬러지 분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슬러지 배출이 가능하고, 각 탱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차량의 탑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 위치한 준설현장에서 차량의 분배 배치로 도로 점유 시간 및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현장 작업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정화처리를 하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바로 사용하거나 저장하였다가 세척수를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시설물의 오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오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세척분사수단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오수 처리시스템을 이용하는 오수 처리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오수 정화처리된 세척수를 가지고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정화 처리된 세척수를 바로 하수로 방류가 가능하고, 도심시설의 공공 화단 등의 공공 용수로도 활용 가능토록 하여 하수 오염 및 하천 오염원을 줄일 수 있는 환경 보호로도 활용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세척수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시설물의 오수 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을 1차, 2차로 분리하여 정화하고, 2차 정화된 오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3차로 압착 분리한 후, 세척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를 갖는 준설차량과; 상기 준설차량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처리하는 제3 오수 처리부와 제4 오수 처리부를 갖는 정수차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준설차량과 정수차량을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 연결 배치하여 단계별로 오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준설차량은 세척된 오수를 회수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를 가지며, 상기 슬러지 탱크에 상기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 오수 처리부는 슬러지를 분리하는 메쉬형 스크린 망으로 설치되며, 상기 제2 오수 처리부는 슬러지를 분리하는 메쉬형 스크린 필터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차량의 제3 오수 처리부는 차량에 탑재되어 세척수에서 수분을 탈수하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는 필터 프레스 장치이며, 상기 정수차량의 제4 오수 처리부는 상기 제3 오수 처리부에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하는 밸브 부착식 필터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부착식 필터는 배출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차량에는 상기 제4 오수 처리부가 설치된 전방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바로 분사하기 위한 가압펌프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수차량은 상기 제4 오수 처리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가 청소용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로 바이패스되어 세척수로 재사용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오수 처리시스템은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를 갖는 준설차량과; 상기 준설차량에서 선처리 된 슬러지를 회수 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3 오수 처리부와 제4 오수 처리부를 갖는 정수차량을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서 공급라인으로 연결 배치하되, 상기 준설차량 및 정수차량 중 어느 한 차량에는 작업구간 내의 차량의 충돌 안전을 위한 경보 안전장치를 더 갖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보 안전장치는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이나 작업자에게 경보를 육안으로 식별하거나 경보를 들려줄 수 있는 경보장치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로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를 갖는 준설차량과; 상기 준설차량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3 오수 처리부와 제4 오수 처리부를 갖는 정수차량을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서 공급라인으로 연결 배치하되, 세척수를 분사 및 흡입하여 지중시설물 내의 오수를 슬러지 탱크로 흡입하는 단계; 상기 슬러지 탱크에 격벽으로 설치된 상기 제1 오수 처리부를 통하여 1차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1차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배출하면서 상기 제2 오수 처리부에 의해 2차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2차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공급라인을 통해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공급라인을 통해서 오수를 유입 받아 세척수를 탈수시키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는 3차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 3차 슬러지 분리 후,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4 오수 처리부에 의해 세척수를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단계별 오수 처리가 이루어지고,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를 통과한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는, 제4 오수 처리부에 의해 세척수 여과 후에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펌프로 분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압펌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는, 상기 제4 오수 처리부에 의해 여과된 세척수가 배출관에 설치되는 조정밸브에 의해 상기 준설차량의 물탱크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정화처리를 하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세척수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시설물의 오수 처리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하면서 세척수를 저장하여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세척분사수단을 제공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화수단을 갖는 준설차량과 정수수단을 갖는 정수차량을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하여 오수의 슬러지를 단계별로 더욱 효과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되는 준설차량과 정수차량의 단계별 슬러지 분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슬러지 배출이 가능하고, 각 탱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차량의 탑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 위치한 준설현장에서 차량의 분배 배치로 도로 점유 시간 및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현장 작업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분배 배치로 시공범위가 확대되어 갈수록 복잡해지는 도로 교통상황, 차량진입 불가지역, 좁은 골목 등의 현장시공여건이 난해한 지역, 차도와 인도가 분리된 지역의 인도 위에서 지중시설물의 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정화처리된 세척수를 가지고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화 처리된 세척수를 바로 하수로 방류가 가능하여 하수 오염원을 줄일 수 있으며, 도심시설의 공공 화단 등의 공공 용수로도 활용 가능토록 하는 친환경적인 지중시설물 정화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을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전체 설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전체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오수를 단계별로 정화 및 정수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세척수 여과 필터를 보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세척수 여과 필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도 7은 도 5의 종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보인 단계별 제1 실시 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보인 단계별 제2 실시 예를 보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상에서 준설차량(100)이 있는 쪽을 차량이 진출하는 도로의 전방, 정수차량(200)이 있는 쪽을 차량이 진출하는 도로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10)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세척수로 1차, 2차로 분리하여 정화하고, 2차 정화된 오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3차로 압착 분리한 후, 세척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130)와 제2 오수 처리부(140)를 갖는 준설차량(100)과; 상기 준설차량(100)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처리하는 제3 오수 처리부(220)와 제4 오수 처리부(250)를 갖는 정수차량(200)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준설차량(100)과 정수차량(200)은 지중시설물의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 연결 배치하여 슬러지와 물로 분리 처리하는 단계별 오수정화 및 오수정수를 통해 깨끗한 정수 세척수를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준설차량(100)과 정수차량(200)은 기본적으로 운전석부와 적재부가 구비되는 차량으로, 오수를 입력받아 슬러지와 세척수로 분리하도록 하는 각 장치들이 있는 것으로, 전후방의 이중 차량 분리 배치로 대략 차량 무게가 5톤이 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상기 준설차량(100)은 세척수단으로 저장된 세척수를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10)와; 진공흡입장치에 의해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흡입관(101)을 통해서 세척된 오수를 회수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120)와; 상기 슬러지 탱크(120)의 내부에 격벽으로 설치되어 흡입된 오수를 1차 여과하도록 하는 제1 오수 처리부(130)와;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에서 여과된 오수를 재차 여과하는 제2 오수 처리부(140)와;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에서 여과된 오수를 슬러지 탱크(120)에서 상기 정수차량(200)으로 배출하도록 연결되는 공급라인(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진공흡입장치는 흡입펌프(102)로서, 흡인관(101)을 통해 오수를 상기 슬러지 탱크(120)로 진공 흡입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탱크(120)에서 여과된 오수는 밸브(103)를 경유하여 상기 정수차량(200)에 설치된 양수 펌프(210)에 의해 공급라인(150)을 경유하여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로 양수된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준설차량의 콘트롤러는 통상 운전석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각 밸브들과 모터 및 각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각 장치들의 작동상태를 센서들을 통해 자동 감시하면서 운전 제어를 하는데 이는 통상의 진공흡입 청소차량의 콘트롤러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의 구성이나 그 제어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물탱크(110)는 통상 1개의 탱크로 구성되거나, 상기 슬러지 탱크(120)의 양측에 2개로 분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개의 물탱크는 서로 연통 관로(도면에 미고시)에 의해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물탱크(110)에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 등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통상의 진공 흡입 청소 차량에 설치된 구성과 동일하여 이하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탱크(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진공 흡입방식으로 오수를 회수하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슬러지 탱크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슬러지 탱크(120)는 통상의 진공 흡입 청소차의 슬러지 탱크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으로서, 흡입관 연결장치, 해치, 진공 흡입장치, 분사 장치 등의 구성은 일반적은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 탱크(120)의 내부에는 격벽으로 설치되는 제1 오수 처리부(130)와,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에 의해 여과된 오수를 2차 여과시키는 제2 오수 처리부(14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슬러지 탱크(120)로 유입되는 오수는 흐름에 따라 제1 오수 처리부(130)에서 1차적인 슬러지(협착물) 등이 걸러 처리되고,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를 경유한 오수는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를 경유하는 동안에 2차적으로 슬러지가 분리된 후, 오수는 펌핑에 의해 공급라인(150)을 따라 상기 정수차량(200)으로 공급이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는 메쉬형 스크린 망으로 그 구멍 크기가 5mm 정도의 메쉬 형태의 여과 필터이고,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는 메쉬형 스크린 필터로 그 구멍 크기가 2mm 정도의 메쉬 형태의 여과 필터이다. 이때 메쉬 형태는 다양한 그물 모양의 형태나 격자 무늬와 같은 형태이면 족한 것으로, 그 형태나 크기를 반듯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정수차량(200)은, 상기 준설차량(100)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공급라인(150)을 통해 오수를 양수하기 위한 양수펌프(210)와; 상기 양수펌프(210)와 연결되어 양수된 오수에서 세척수를 탈수시키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기 위한 제3 오수 처리부(220)와;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에 탈수된 세척수를 배출하는 배출관(230)과; 상기 배출관(230)에 연결되어 세척수를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바로 분사하기 위한 가압펌프(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수차량(200)은 상기 배출관(230)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펌프(2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를 분사 전에 다시 한번 세척수를 여과 정수하여 필터링하기 위한 제4 오수 처리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수차량(200)의 제3 오수 처리부(220)는 차량에 탑재되어 세척수에서 수분을 탈수하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도록 설치되는 필터 프레스 장치이며, 상기 정수차량(200)의 제4 오수 처리부(250)는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에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230)에 결합되어 세척수를 여과하도록 설치되는 밸브 부착식 필터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필터 프레스 장치는 필터 프레스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판과 타측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판 사이에 여러 장의 여과판과 여과포를 설치하여 슬러지를 공급하면서 가압판으로 여과판을 가압시키면 슬러지 중의 물은 여과포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슬러지는 여과포 사이에 걸러져 뭉쳐지게 되므로 케이크 상태로 되며, 탈수가 완료되고 난 후 여과판을 이격시키면 여과포 사이에 케이크 상태로 눌려진 슬러지가 필터 프레스의 하부 슈트로 낙하되는 것이며 슈트하부에 수거용 자루를 끼워 고형의 슬러지를 담아 폐기장소로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 사용되는 일반 구조의 필터 프레스 장치이면 족한 것으로 이하 도면과 자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230)은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에서 여과 탈수된 세척수가 배출되는 것으로, 상기 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는 정수차량(200)의 외부로 연결되는 가압펌프(240)에 의해 세척수를 바로 분사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준설차량(100)과 정수차량(200)을 작업구간 내의 앞뒤에 공급라인(150)으로 연결 배치하여 지중시설물의 오수를 흡입하여 슬러지와 세척수를 단계별로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에서 정수된 세척수를 다시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재차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는 세척수를 여과하는 밸브 부착식 필터로서, 상기 밸브 부착식 필터는 배출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는 케이스(251)와; 상기 케이스(251)의 좌우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 플랜지(252)(252a)와;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에 결합되어 배출관(230)에 연결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좌우 관 접속구(253)(253a)와; 상기 케이스(251) 내측에서 양측으로 마련되는 메쉬 망(254); 및 상기 메쉬 망(254)에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에 채워지는 여과재(255)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251)는 상기 여과재(255)가 충진되도록 내부 공간을 갖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51)는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의 사이에서 안쪽으로 끼움 결합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의 양측 끝단에는 상기 배출관(230)과 결속되어 고정되기 위한 좌우 관 접속구(253)(253a)가 설치된다.
상기 메쉬 망(254)은 상기 케이스(251)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일부 오수에 남은 미세한 슬러지나 침전물을 한번 더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쉬 망은 원형의 형태가 바람직하며, 원형의 메쉬 망의 크기에 맞게 물은 배출되고 미세한 슬러지는 걸리도록 하는 흡착포(여과포) 등을 별도로 더 설치할 수도 있는데, 이는 세척수를 좀 더 효과적으로 정수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여과재(255)는 세척수에 잔존하는 미세 이물질(슬러지)을 한 번 더 필터링하기 위한 섬유 필터로 제작 형성할 수 있다. 여기 섬유 필터는 층 구조이거나 부직포 형태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필터 구조로 제공 가능한 것으로 그 구조와 형태를 반듯이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상기 좌우 관 접속구(253)(253a)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접속되는 배출관에 세척수 여과 필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온/오프가 가능한 잠금부재(256)를 갖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251)를 중앙에 두고 좌우로 결합되는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의 일단에는 관통 결합되는 고정 나사봉(257)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 나사봉(257)은 각 끝단부에 와셔(258)와 조임너트(259)에 의해 체결 고정하도록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 나사봉(257)은 양측 단부보다 중앙의 몸체(257a)를 더 두껍게 형성하게 된다. 이는 상기 좌우 플랜지(252)(252a)의 단부에 몸체 부위가 밀착되어 유동이 없도록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정수차량(200)은 상기 배출관(230)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준설차량(100)의 청소용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110)로 바이패스되게 하는 조정밸브(2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밸브(260)는 다른 배출관(230A)에 의해 물탱크(110)와 연결 구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배출관(230)을 경유하여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를 통과한 세척수를 가압펌프(240)를 통해 세척수를 바로 분사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가압펌프(240)를 통해 세척수가 분사되기 전, 상기 배출관(230)의 일정 구간에 설치되는 조정밸브(260)에 의해 세척수를 바로 분사하지 않고 다른 배출관(230A)을 통해 상기 준설차량(100)의 세척수를 저장하는 물탱크(110)로 세척수를 바이패스하여 저장하여 재차 세척수로 선택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물탱크(110)에 저장된 정수된 세척수는 다시 상기 가압펌프(240)에 의해 지중시설물에서 세척수로 분사하여 사용하거나, 오염원이 없는 세척수로 하수로 자연 방류가 가능한 것이다. 이는 기존 오수 정화처리시설에서 오염원을 그냥 하수나 하천으로 방류시켜 환경을 오염시켰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준설차량(100)과 정수차량(200)을 작업구간 내의 앞뒤에서 공급라인(150)으로 연결 배치하되, 상기 준설차량(100) 및 정수차량(200) 중 어느 한 차량에는 작업구간 내의 차량의 충돌 안전을 위한 경보 안전장치(270)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 안전장치(270)에 의해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의 보수 지역에서 세척차량 배치에 따른 세척작업 도중에 일부 도로 통제하에서도 미처 차량을 못 보고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에 대해 미리 대비를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경보 안전장치(270)는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이 잘 식별할 수 있는 사이렌 경보기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경보 안전장치(270)는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 거리에 따른 후방을 감지하도록 하여 충돌 차량에 따른 작업자에게 충돌 경보를 알려주도록 하는 후방 감지센서로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경보 안전장치(270)는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 거리에 따른 후방을 감시하도록 하여 충돌 차량이나 사용자에게 충돌 경보를 알려주도록 하는 후방 감시 카메라로 설치하여 통제 작업자에게 알려주도록 하는 안전 감시 정보시스템으로 운영 설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보 안전장치(270)는 도로상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차량과 도로를 진입하는 차량간의 충돌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나 차량 운전자에게 바로 식별 가능한 형태의 경보 형태가 바람직하며, 작업자에게도 신속하게 경보를 알릴 수 있는 감지 형태이면 족하다. 또한 작업 안전 관리자가 사고 유무를 판단하거나 신속한 대응을 위한 보조 장비로서 블랙박스와 같은 장치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개시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을 보인 단계별 제1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로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130)와 제2 오수 처리부(140)를 갖는 준설차량(100)과; 상기 준설차량(100)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3 오수 처리부(220)와 제4 오수 처리부(250)를 갖는 정수차량(200)을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서 공급라인(150)으로 연결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오수 흡입 단계]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오물을 세척수를 분사 및 흡입하여 지중시설물 내의 오수를 슬러지 탱크로 흡입하는 단계(S10).
[1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준설차량(100)에 탑재된 슬러지 탱크(120) 내에 격벽으로 설치된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를 통하여 1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20).
[2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를 통한 1차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배출하면서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에 의해 2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30).
[오수 이동 단계]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를 통한 2차로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공급라인(150)을 통해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로 선처리 된 오수를 이동시키는 단계(S40).
[3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공급라인(150)을 통해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로 오수를 유입 받아 세척수를 탈수시키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는 3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50).
[4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에 의해 3차 슬러지 분리 후,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에 의해 세척수를 여과하는 단계(S60).
[세척수 재사용 단계]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를 마친 후, 상기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펌프(240)로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펌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오수순환 처리방법을 보인 단계별 제2 실시 예이다.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로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130)와 제2 오수 처리부(140)를 갖는 준설차량(100)과; 상기 준설차량(100)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처리하기 위한 제3 오수 처리부(220)와 제4 오수 처리부(250)를 갖는 정수차량(200)을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서 공급라인(150)으로 연결 배치하여 이루어진다.
[오수 흡입 단계]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오물을 세척수를 분사 및 흡입하여 지중시설물 내의 오수를 슬러지 탱크로 흡입하는 단계(S100).
[1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준설차량(100)에 탑재된 슬러지 탱크(120) 내에 격벽으로 설치된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를 통하여 1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200).
[2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제1 오수 처리부(130)를 통한 1차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배출하면서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에 의해 2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300).
[오수 이동 단계]
상기 제2 오수 처리부(140)를 통한 2차로 슬러지 분리 후, 오수를 공급라인(150)을 통해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로 선처리 된 오수를 이동시키는 단계(S400).
[3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공급라인(150)을 통해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로 오수를 유입 받아 세척수를 탈수시키고 슬러지만을 압축 분리하는 3차로 슬러지를 분리하는 단계(S500).
[4차 오수 처리 단계]
상기 제3 오수 처리부(220)에 의해 3차 슬러지 분리 후,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에 의해 세척수를 여과하는 단계(S600).
[세척수 물탱크 저장단계]
상기 제4 오수 처리부(250)에 의해 여과된 세척수가 배출관(230)에 설치되는 조정밸브(260)에 의해 다른 배출관(230A)을 통해 상기 준설차량의 물탱크(110)로 세척수를 저장하는 단계(S700).
[세척수 재사용 단계]
상기 물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배출관과 연결된 가압펌프(240)에 의해 분사하는 것으로, 상기 가압펌프(24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S800).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와 물이 혼합된 오수를 흡입펌프(102)에 의해 흡인관(101)을 통해서 상기 슬러지 탱크(120)로 오수를 유입한다.
다음, 상기 슬러지 탱크(120)에 포집된 오수를 제1, 2 오수 처리부(130)(140)를 경유시키면서 1차, 2차로 오수를 슬러지와 물로 분리 정화한다.
그리고 분리 및 정화된 오수는, 밸브(103)를 경유하여 상기 정수차량(200)의 양수펌프(210)에 의해 펌핑으로 공급라인(150)을 통해서 상기 준설차량(100)에서 선처리된 오수를 정수차량(200)으로 공급받는다.
그런 다음, 상기 정수차량(200)의 양수펌프(210)에서 펌핑되는 오수를 내부의 제3 오수 처리부(220)로 공급받으면서 슬러지를 압축하여 세척수를 탈수하고, 배출관(230)을 통해 배출시키면서 바로 가압펌프(240)에 의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사용한다.
한편, 상기 가압펌프(240)로 공급되는 중간에서 세척수를 한번 더 필터링하기 위한 제4 오수 처리부(250)를 경유하도록 하여 세척수를 완전 정수한 상태로 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링 된 세척수는 전방의 가압펌프(240)에 의해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오물을 청소하는 세척수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세척수는 가압펌프(240)로 배출되기 전, 조정밸브(260)에 의해 상기 준설차량(100)에 적재되는 물탱크(110)로 세척수를 바이패스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이로써, 상기 물탱크(110)에 저장된 세척수를 초기 장치 운전 시에 소정 시간 동안 세척수를 리턴시켜서 초기 운전시 가압펌프(240)에 의해 재차 오물제거용 세척수로 활용이 가능하다.
아울러, 작업 차량에 설치되는 경보 안전장치(270)에 의해 지중시설물의 보수 지역에서 세척차량 배치에 따른 세척작업 도중에 일부 도로 통제하에서도 미처 피하지 못하고 진입하여 충돌할 수 있는 차량의 충돌에 대한 안전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100 : 준설차량
101 : 흡수관
102 : 흡입펌프
103 : 밸브
110 : 물탱크
120 : 슬러지 탱크
130 : 제1 오수 처리부
140 : 제2 오수 처리부
150 : 공급라인
200 : 정수차량
210 : 양수펌프
220 : 제3 오수 처리부
230 : 배출관
240 : 가압펌프
250 : 제4 오수 처리부
251 : 케이스
252, 252a : 좌우 플랜지
253, 253a : 좌우 관 접속구
254 : 메쉬 망
255 : 여과재
256 : 개폐 잠금구
257 : 고정 나사봉
257a : 몸체
258 : 와셔
259 : 조임너트
260 : 조정밸브
270 : 경보 안전장치

Claims (12)

  1.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물로 분리하여 정화하고, 정화된 오수를 슬러지와 세척수로 압착 분리한 후, 세척수를 여과시켜 배출하는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을 가지며,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에서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세척수 재사용이 가능한 지중시설물의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수단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세척수로 1,2차 분리 처리하는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를 갖는 준설차량과;
    상기 준설차량에서 선처리 된 오수를 회수 받아 3,4차 분리 처리하는 제3 오수 처리부와 제4 오수 처리부를 갖는 정수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준설차량과 정수차량을 지중시설물의 작업구간 내에 앞/뒤로 분배 배치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준설차량의 제1 오수 처리부와 제2 오수 처리부를 경유하여 여과된 오수를 밸브로 통하여 상기 정수차량에 설치된 양수 펌프에 의해 공급라인을 경유시켜 상기 제3 오수 처리부로 양수받아 재차 슬러지와 세척수로 압착 분리한 후에 세척수를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관에 설치되어 세척수 분사 전에 세척수를 한 번 더 여과 정수하여 필터링하는 제4 오수 처리부를 통과하여 세척수를 배출하도록 이루어지며,
    가압펌프의 세척수 분사 전에 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세척수를 준설차량의 청소용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물탱크로 바이패스되게 하는 조정밸브를 통하여 다른 배출관에 의해 물탱크와 연결 구성되도록 하여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단계별 오수 처리 수단에 의해 처리된 세척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바로 분사 배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오수 처리부는 슬러지를 분리하는 구멍 형태의 크기가 5mm 정도의 메쉬형 스크린 망이고,
    상기 제2 오수 처리부는 슬러지를 분리하는 구멍 형태의 크기가 2mm 정도의 메쉬형 스크린 필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오수 처리부는 상기 제3 오수 처리부에서 세척수가 배출되는 배출관에 설치되어 세척수를 여과하는 탈부착 가능한 밸브 부착식 필터로서,
    상기 밸브 부착식 필터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좌우에 결합되는 한 쌍의 좌우 플랜지와;
    상기 좌우 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연결 고정되기 위한 한 쌍의 좌우 관 접속구와;
    상기 케이스 내측에서 양측으로 마련되는 메쉬 망; 및
    상기 메쉬 망의 사이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채워지는 여과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관 접속구 중, 적어도 한 곳에는 접속되는 배출관에 세척수 여과 필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온/오프가 가능한 잠금부재를 더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준설차량 및 정수차량 중, 어느 한 차량에는 지중시설물의 보수 작업구간의 전/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에 대한 차량 충돌 경보를 육안으로 식별하거나 경보를 들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경보 안전장치를 더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50180984A 2015-12-17 2015-12-17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KR10163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84A KR101634560B1 (ko) 2015-12-17 2015-12-17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0984A KR101634560B1 (ko) 2015-12-17 2015-12-17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436A Division KR20170072765A (ko) 2016-04-11 2016-04-11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4560B1 true KR101634560B1 (ko) 2016-07-08

Family

ID=5650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0984A KR101634560B1 (ko) 2015-12-17 2015-12-17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456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682A (ko) * 1994-05-09 1995-12-20 김주용 패턴 인식을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10107846A (ko) 2001-10-31 2001-12-07 박찬우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장치
KR100421443B1 (ko) *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0674138B1 (ko) 2006-08-21 2007-01-29 한국전력공사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101115238B1 (ko) * 2011-11-23 2012-02-14 정호룡 연속식 준설 탈수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31682A (ko) * 1994-05-09 1995-12-20 김주용 패턴 인식을 이용한 차량 충돌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10107846A (ko) 2001-10-31 2001-12-07 박찬우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장치
KR100421443B1 (ko) * 2003-04-14 2004-03-18 이텍산업 주식회사 준설차의 오수 리싸이클링장치
KR100674138B1 (ko) 2006-08-21 2007-01-29 한국전력공사 맨홀 청소차의 물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
KR101115238B1 (ko) * 2011-11-23 2012-02-14 정호룡 연속식 준설 탈수 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99868B1 (ko) 지중시설물의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장치
DE60124257T2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inigung in situ von schweren maschinen , mit abwasserrückgewinnung
US7578930B2 (en) Mobile water treatment system
US5093012A (en) Water reclamation system and method
KR100979766B1 (ko)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
KR101634560B1 (ko)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KR20170072765A (ko) 지중시설물 인입 오염수를 진공흡입 후 정수처리하고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 방법
KR101649039B1 (ko) 친환경 빗물받이
KR20220122906A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KR102376643B1 (ko) 하수의 역류와 악취 방지용 슬러지 제거를 위한 배수시스템 제공방법
US5223150A (en) Water reclamation system and method
KR101951779B1 (ko) 필터프레스 진공흡입탈수수단을 갖는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KR20180029551A (ko)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KR200303903Y1 (ko) 자동세륜기
USRE35871E (en) Water reclamation system and method
US20190152799A1 (en) Improved site device for recycling washing water
KR101264748B1 (ko) 전개식 스크레이퍼를 갖는 살수 차량
KR100845997B1 (ko) 세륜기용 슬러지 탈수장치
KR101336554B1 (ko) 세륜기용 청정수 공급장치
KR101596640B1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CN211595358U (zh) 无人洗车机自动水回收系统、洗车机
AU758846B2 (en) Mobile water treatment system
CN114472299B (zh) 一种碎石筛分清洗回收系统及方法
CN215154511U (zh) 一种洗车台
CN215793671U (zh) 一种具有多重过滤功能的建筑施工车辆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