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9551A -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9551A
KR20180029551A KR1020160117732A KR20160117732A KR20180029551A KR 20180029551 A KR20180029551 A KR 20180029551A KR 1020160117732 A KR1020160117732 A KR 1020160117732A KR 20160117732 A KR20160117732 A KR 20160117732A KR 20180029551 A KR20180029551 A KR 20180029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age
wastewater
sludge
sewage treatm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7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붕전
박준
구본주
김하늘
Original Assignee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리기업 주식회사, 한붕전 filed Critical 실리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77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29551A/ko
Publication of KR20180029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9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B01D29/002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8Mobile apparatus and plants, e.g. mounted on a vehicl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도 또는 보도 상에 설치된 지중시설물(맨홀)의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해 지중시설물에 유입 및 침수된 오수를 펌핑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형화된 오수처리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성 및 기동성을 높이도록 한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오수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어 1차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1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2차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2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여 3차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3 오수처리부로부터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 및 오수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전후방 2대의 차량에 분리 설치되어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오수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Sewage circular purifier treatment system for water saving of washing water underground facility and sewage circular purifier treatment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차도 또는 보도 상에 설치된 지중시설물(맨홀)의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해 지중시설물에 유입 및 침수된 오수를 펌핑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형화된 오수처리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성 및 기동성을 높이도록 한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간접자본으로 시행되어지는 도시기반시설 구축망에서 복잡한 도시일수록 전력, 통신등에 필요한 기반시설을 지하에 매설하여 지상의 구조물을 단순화하고, 안정적인 보급 및 운영, 도시 내의 공간 활용, 미관 개선 등의 효과를 통해 도시를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중 사회기반시설을 확충하고 있으며 지중설비는 도시 미관확보와 도시환경개선, 도시재생 등의 이유로 점차 지중화가 요구되는 추세로 정부투자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삶의 질 향상 및 쾌적한 도심환경을 위한 지중화 사업에 대한 요구는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이렇게 지중설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중설비의 관리가 필요한 수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지중설비의 보호 및 점검을 위한 작업도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지중설비의 보호 및 점검을 위해 맨홀 내부로 유입되는 물을 주기적으로 배수해야 하는데 맨홀 내에서 장기간 체류된 오수는 그 안에서 부패되거나 도로 및 지하에서부터 유입되는 각종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그대로 방류하는 경우 수질오염 등 환경오염을 가속화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맨홀은 도심지의 도로와 보도, 적게는 녹지 등에도 설치되어 있어 맨홀 오수를 그대로 방류하는 경우 주변도로에 설치되어 있는 우수관으로 흘러들어가기 때문에 맨홀 주변의 도로 또는 보도의 차량과 시민에게 불편을 끼치게 되고, 오수에서 발생하는 악취로 인해 쾌적한 도심환경을 저해는 물론 우리의 소중한 수자원에 심각한 오염을 제공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도로상에 방류한 오수가 증발한 뒤 오수에 함유되어 있는 오니, 중금속 등 유해물질이 도로에 그대로 잔류, 비산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시민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다. 또한, 지중설비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지중설비의 관리가 필요한 수량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유입된 오염수는 날로 증가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지중시설물은 맨홀과 하수관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맨홀에는 생활하수나 우수가 유입될 때 다량의 이물질이나 쓰레기 토사 등이 함유된 상태로 유입되어 일부는 오폐수를 따라 하수관로로 흐르는 과정에서 유속이 약해지는 곳에 침전되어 하수관로의 통로를 차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기 또는 통신 시설과 가스배관 등과 같은 시설물을 지중에 매설하여 배치하고자 할 때 적용되는 지중시설물은, 시간이 경과 될수록 부식 및 이물질의 유입에 따라, 내부 설비의 노후 및 파손 예방을 위해 일정 기간마다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해야 한다.
이와 같이 지중시설물에 대한 청소 및 점검 시에는, 이동식 진공 흡입 및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지중시설물의 바닥에 고인 각종 오폐수 및 이물질을 흡입하여 제거하고, 고압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지중시설물의 벽면 및 시설물에 점착된 각종 이물질을 세척하고, 세척시 발생하는 오수를 제거하게 된다.
또한 전기 또는 통신 시설의 맨홀의 내부 바닥이나 하수관로에도 침전물이 침전하게 되어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청소작업이 어려워 관리의 어려운 점이 많았으며, 청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는 오수가 부패 되면서 각종 곤충이나 벌레 등의 서식처 및 이동통로가 되고 있고, 또한, 악취는 맨홀과 생활하수의 발생지점으로 역류하여 발산되는 문제점 등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지중시설물의 청소를 위하여 통상의 진공 흡입을 위한 세척차량은 고압의 물(세척수)을 분사하여 세척하고, 세척된 오수를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청소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종래의 진공 흡입 세척차량은, 슬러지와 오물을 청소하기 위하여 고압 분사하기 위한 물을 저장하는 물탱크와; 준설작업 후, 슬러지 및 오물이 포함된 오수를 회수하는 슬러지 탱크로 분리되어 이중 탱크가 차량에 탑재되고,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고압분사 하기 위한 고압펌프 및 세척수 분사장치와, 슬러지가 포함된 오수를 진공 흡입하기 위한 진공펌프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진공 흡입 세척차량을 이용한 지중시설물 청소 작업방법은, 물탱크 내의 물을 고압 펌프를 이용해 고압 분사 장치로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하고, 세척에 의해 고이는 오수는 진공 흡입 펌프를 이용해 슬러지와 함께 흡입하여 슬러지 탱크로 회수한다.
그러나, 슬러지 탱크로 회수되는 오수가 만수위가 되면, 오수를 외부로 배출시킨 후 재작업해야 하며, 역시 물탱크의 물이 부족해지면 물탱크의 물을 재공급해야 한다.
또한 청소 작업 중에 오수 배출 및 청소용 세척수 공급을 위해 청소 작업 장소로부터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고, 이로 인해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슬러지와 오수가 혼합된 상태라서 이를 처리하는 비용이 별도로 들게 되어 경제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 방식에 의한 수작업 방식의 지중시설물(맨홀)의 유지관리를 위한 청소점검 시 맨홀 오수를 도로상에 그대로 방류하여 주변 경관을 해치고,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안전 위협 및 시민 불편, 환경오염 등 많은 문제를 가져왔으며 수거된 슬러지 등을 폐수처리장으로 이동시켜 재처리하는 과정으로 이중적 비용발생의 원인이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지중시설물의 내부를 청소 및 점검하는 장치의 하나로,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제안된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674138호(명칭: 맨홀 청소차의 물 재사용 오수 처리 장치)를 제시한 바가 있으며, 상기 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슬러지 탱크 내에 격벽으로 설치되는 1차 필터와, 1차 필터에 의해 여과된 오수를 2차 여과하는 2차 필터와, 상기 2차 필터를 통과한 처리 수를 슬러지 탱크 외부로 펌핑하는 제1양수 펌프와, 제1양수 펌프에 의해 펌핑된 처리 수를 섬유 필터 장치에 의해 여과처리하는 필터 탱크와, 필터 탱크에서 섬유 필터에 의해 여과 처리된 처리 수를 세척수 탱크로 펌프 하는 제2양수 펌프와, 제2양수 펌프에서 펌프 된 처리 수를 재활용 세척수로 회수하는 세척수 탱크로 구성되고, 세척수 탱크는 슬러지 탱크의 양측에 분리 구성되고, 연통 관로에 의해 세척수가 양측의 세척수 탱크로 분배되게 구성된 것을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슬러지 탱크 용량이 작아 정수처리 용량에 한계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준설차량은 대형 광폭 차량이어서 폭이 좁은 소도로는 물론 간선도로와 같은 맨홀이 위치해 있는 폭이 좁은 인도에서의 준설작업이 어렵고, 준설차량이 차지하는 공간도 매우 커서 교통장애를 유발시킬 수 있는 등 문제점이 있다.
더불어, 도로상에서 작업이 되는 준설차량에 있어서는 안전 표시판을 도로상에 설치했을 경우라도 작업구간의 후방에서 갑작스럽게 진출하는 운행차량으로 인해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KR 등록특허공보 B1 10-0674138 (2007. 01. 18) KR 공개특허공보 A 특2001-0107846 (2001. 12. 07)
본 발명의 목적은 차도 또는 보도 상에 설치된 지중시설물(맨홀)의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해 지중시설물에 유입 및 침수된 오수를 펌핑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형화된 오수처리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성 및 기동성을 높이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수 흡입부터 3차 오수처리단계 및 방류 또는 재이용되는 오수정화 처리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중시설물(맨홀)에 유입된 오수를 정화 처리를 거쳐 부유물질(TSS) 등을 저감하고 전력, 통신, 가스, 상/하수도 등의 지중시설물의 정비를 위한 용수 및 공공용수 등으로 재이용 또는 방류수질 기준 이하로 방류하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단계별 정화수단을 갖는 차량을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하여 오수를 단계별로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되는 차량의 단계별 슬러지 분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슬러지 배출이 가능하고, 각 탱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차량의 탑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 위치한 작업 현장에서 차량의 분배 배치로 도로 점유 시간 및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현장 작업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는 이중 구조의 오수정화 처리장치를 제공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는, 오수 정화처리된 세척수를 가지고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사용할 뿐만 아니라, 정화 처리된 세척수를 바로 하수로 방류가 가능하고, 도심시설의 공공 화단 등의 공공 용수로도 활용 가능토록 하여 하수 오염 및 하천 오염원을 줄일 수 있는 환경 보호로도 활용할 수 있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오수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흡입한 후, 압송되는 오수를 다단계 정화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화하여 방류 및 재이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전후방 2대의 차량에 분리 설치되어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오수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을 게시한다.
또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부와; 상기 오수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도록 1단계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1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2단계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2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도록 3단계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3 오수처리부로부터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 및 오수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상기 1차 오수처리부 및 정화단계를 통과한 정화수를 최종 처리하는 상기 3차 오수처리부가 설치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1 오수처리부에서 진공펌프에 의해 압송 받은 오수를 2차 정화처리하는 상기 2차 오수처리부가 설치되는 제2 차량을 포함하며, 도로 작업구간의 전/후방에 상기 제1 차량과 제2 차량을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차량에는 세척된 오수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회수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를 가지며,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는 유입된 오수내의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오수정화의 1단계의 스크린 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차량에는 스크린 필터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2차 정화를 위한 2단계의 가압탈수 방식의 필터프레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량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필터프레스를 거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3차 정화를 위한 3단계의 상향류식 섬유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에 의해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을 1 사이클로 하는 정화 3단계의 순서로 정화처리하며 진공펌프로 오수를 흡입, 저장하고 이 저장된 오수를 정화과정을 통하여 정수 처리하는 단계별 물리적 여과방식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정화수로 분리 정화 처리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을 갖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도로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 여과 공정 라인으로 배치하되,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단계; 상기 오수 흡입단계에서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어 오수를 1차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1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오수를 2차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2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여 오수를 3차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하는 방류단계; 및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저장 및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별 여과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전체 오수 정화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정화수 배출단계에서,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 의해 세척수 여과 후에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분사하여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블로워형 펌프 1개만을 적용하여 총 3단계의 여과 공정에서 유입부터 배출까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전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화수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도 또는 보도 상에 설치된 지중시설물(맨홀)의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해 지중시설물에 유입 및 침수된 오수를 펌핑하여 처리하기 위한 소형화된 오수처리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고 이동성 및 기동성을 높이도록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흡입부터 3차 오수처리단계 및 방류 또는 재이용되는 오수정화 처리단계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지중시설물(맨홀)에 유입된 오수를 정화 처리를 거쳐 부유물질(TSS) 등을 저감하고 전력, 통신, 가스, 상/하수도 등의 지중시설물의 정비를 위한 용수 및 공공용수 등으로 재이용 또는 방류수질 기준 이하로 방류할 수 있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중시설물에서 발생된 오수를 회수하여 단계별로 슬러지와 세척수로 정화 및 정수처리를 한 상태에서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바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인 물 재사용으로 청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단계별 정화수단을 갖는 차량을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하여 오수를 단계별로 더욱 효과적으로 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구간의 앞뒤로 분배 배치되는 차량의 단계별 슬러지 분리를 통하여 효율적인 슬러지 배출이 가능하고, 각 탱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분배하고 차량의 탑재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 위치한 작업 현장에서 차량의 분배 배치로 도로 점유 시간 및 작업시간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 통행이 빈번한 도로상에서 현장 작업 차량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 차량의 분배 배치로 시공범위가 확대되어 갈수록 복잡해지는 도로 교통상황, 차량진입 불가지역, 좁은 골목 등의 현장시공여건이 난해한 지역, 차도와 인도가 분리된 지역의 인도 위에서 지중시설물의 준설작업을 효율적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수 정화처리된 세척수를 가지고 지중시설물의 청소용 세척수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정화 처리된 세척수를 바로 하수로 방류가 가능하여 하수 오염원을 줄일 수 있으며, 도심시설의 공공 화단 등의 공공 용수로도 활용 가능토록 하는 친환경적인 지중시설물 정화시스템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의 실시 예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전체 차량 설치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다단계별 오수처리를 공정 흐름을 보인 전체 요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상에서 제1 차량(100)이 있는 쪽을 차량이 진출하는 도로의 전방, 제2 차량(200)이 있는 쪽을 차량이 진출하는 도로의 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에 따른 실시 예를 보인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오수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부(10)와; 상기 오수 흡입부(10)에 의해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도록 1단계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부(20)와; 상기 제1 오수처리부(20)를 통과한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2단계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부(130)와; 상기 제2 오수처리부(130)를 통과한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도록 3단계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부(70)와; 상기 제3 오수처리부(70)로부터 최종 여과된 정화수를 방류 및 오수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부(80)를 포함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으로 구성된다.
상기 오수 흡입부(10)는 지중시설물(맨홀) 내에 유입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정화 처리하기 위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슬러지탱크(11)에 진공펌프(40)를 사용하여 오수 및 슬러지를 모두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탱크(11)는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함과 동시에 진공탱크로 사용되어 탱크 내의 진공압력에 따라 오수를 흡입(Suction)하기 때문에 각종 이물질을 모두 수거할 수 있다.
또한, 진공펌프(40)를 사용하여 슬러지탱크(11)로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흡입구(Intake)와 배출구(Outtake)에 소음기(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슬러지탱크(11) 내부에서 발생하는 먼지 등의 건식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하여 사이클론(Cyclone)과 공기여과기(Air Filter)를 장착할 수 있다. 사이클론과 공기여과기는 건식 이물질이 진공펌프에 유입되는 것을 예방함과 동시에 간혹 발생할 수 있는 슬러지탱크의 오버플로(Over flow)로부터 진공펌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아울러, 진공펌프는 흡입기능을 수행하지만 반대로 작동시킬 경우 공기를 배출(Discharge) 시킬 수도 있다. 배출공정은 슬러지탱크(11)를 가압상태로 만들고 가압상태에서 흡입관이나 배출관의 밸브를 열 경우 매우 빠른 유량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맨홀 내부에 산소가 부족하거나 유해가스가 발생하여 인력이 진입할 수 없을 때 맨홀 내부를 환기시키는 기능까지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진공펌프(40)는 슬러지탱크(11)에 진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차량의 엔진으로 구동되는 펌프로 슬러지 및 오수를 흡입하여 수거하는 장치이다. 연속 흡입 작업이 가능하고, 체인지 밸브를 통해 압송 배출이 가능하다. 진공펌프에는 베인형, 루츠형, 수봉형 등의 여러 종류가 있으며, 그 중 루츠형 블로워 진공펌프는 루츠의 고속 회전을 이용하여 강력한 진공력을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소음이 낮으며, 유지관리가 편리한 것이 장점이다.
상기 제1 오수처리부(20)는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맨홀 내부의 오수 및 슬러지를 슬러지탱크(11)로 흡입하게 되면 다양한 종류의 이물질이 모두 슬러지탱크(11)로 흡입된다. 이 슬러지탱크(11)에서 무게가 무거운 이물질은 저면에 침전되지만 그 중에는 오수와 함께 떠있는 경우도 있는데, 슬러지탱크 내부에서 비교적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스크린 필터(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 필터(21)는 슬러지탱크(11) 내부의 저면에서 일정높이 이상 설치되어 저면에 침전되어 있는 다량의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역세척 기능을 갖추어 유지관리가 수월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슬러지탱크(11) 내부에 위치해 있는 스크린 필터(21)의 역세척은 맨홀 정비 시 세척수를 고압으로 분사하기 위한 고압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저장되어 있는 세척수를 고압분사 배관을 통해 스크린 필터에 고압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고, 스크린 필터(21)의 스크린부를 회전시켜 스크린부 타공부위에 골고루 분사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스크린 필터의 역세 공정은 슬러지탱크 내 오수를 대부분 비운상태에서 시행해야하며, 역세척된 역세수는 슬러지탱크 내부에 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정화 처리 공정의 1단계인 스크린 필터(21)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슬러지탱크(11) 내부에 설치되어 있다. 슬러지탱크에 설치 시 탱크의 저면에서 일정 높이 이상 여유 공간을 확보하면 하단 부분에 침전되는 노폐물이 필터로 유입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스크린 필터는 오수에서 비교적 크기가 큰 협잡물 및 노폐물 등을 여과하는데 목적이 있으며, 그 자체만으로는 그다지 큰 여과성능을 가지지는 못한다. 역세척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압수를 분사하여 필터에 흡착되어 있는 흡착물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수처리부(60)는 필터프레스(61)로서, 여기서 상기 필터프레스(61)는 필터프레스의 일측에 구비된 고정판과 타측에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가압판 사이에 여러 장의 여과판과 여과포를 설치하여 슬러지를 공급하면서 가압판으로 여과판을 가압시키면 슬러지 중의 물은 여과포를 통과하여 배출되고 슬러지는 여과포 사이에 걸러져 뭉쳐지게 되므로 케이크 상태로 되며, 탈수가 완료되고 난 후 여과판을 이격시키면 여과포 사이에 케이크 상태로 눌려진 슬러지가 필터 프레스의 하부 슈트로 낙하되는 것이며 슈트하부에 수거용 자루를 끼워 고형의 슬러지를 담아 폐기장소로 이동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통상 사용되는 일반 구조의 필터프레스 장치이면 족한 것으로, 이하 도면과 자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크린 필터(21)를 통과한 1차 정화수는 진공펌프(40)를 통하여 2단계의 가압탈수 방식의 필터프레스(61)로 공급라인(50)을 통해 압송되며, 여과판 사이로 오수가 누수되지 않도록 300kg/㎠의 압력으로 밀착하여 펌프로 오수를 필터프레스(61)에 주입, 오수 내에 있는 중간단계의 부유물질(SS)이 여과실 내에 가득 찰 때까지 계속 주입한다. 이때 여과포를 통과하지 못한 중간단계의 부유물질(SS)는 여과실 내에 계속 쌓여 케이크를 형성하고 여액은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하게 된다.
이때, 필터프레스(61)를 통하여 중간단계의 부유물질(SS) 등을 분리함으로서 분리된 오니는 압축단계를 거쳐 함수율이 최소화된 고형화 케이크상태로 배출시키고 부유물질(SS) 등이 제거된 2차 정화수는 다시 제3 오수처리부(70)의 상향류식 섬유필터(71)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오수처리부(70)는 상향류식 섬유필터(71)로서, 상기 필터프레스 (61)를 거친 2차 정화수는 상향류식 섬유필터(71)를 통해 최종적으로 여과된다. 이 상향류식 섬유필터(71)는 오수를 상방향으로 유입시키고, 유입된 오수에 따라 섬유여재가 부상되고, 부상압력에 의해 섬유여재가 압축되어 공극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섬유여재는 단위면적당 부유물질(SS) 포집량이 우수하고, 역세 시 여재에 잔유물이 거의 남지 않아 역세 효율이 매우 뛰어나다. 또한, 여과수량의 약 1% 미만의 세정수로 역세척이 가능하며, 미세하게 조각난 형태의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처리수의 수질이 매우 안정적이다. 더불어 설치면적 및 설비의 크기가 타 섬유여과기에 비교하여 소형이며, 효율이 우수하여 고속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차량 등과 같이 설치공간에 대한 제약이 따르는 경우 고효율 정화 설비의 구성에 있어 매우 적합하다. 섬유 여재는 고열에서 융착 처리되어 장시간 여과, 교반, 세정에 대하여 안정된 성능을 유지하기 때문에 연속운전이 가능하고, 여재가 작기 때문에 여재 교체가 수월하며, 외부의 확인 창 등을 통해 여재의 오염 정도를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운전 중 역세 시기의 판별은 유입수와 처리수의 압력 차이에 의하여 판별하고, 자동과 수동 운전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압력차가 높아지더라도 처리수의 배출구 부분의 막힘 또는 케이크 현상이 없기 때문에 설비의 여과 능력을 지속시킬 수 있고, 공극률이 우수하기 때문에 매우 빠른 속도로 여과가 가능하다.
이러한 상향류식 섬유필터의 역세 공정은 스크린 필터의 역세 공정과 유사하게 세척수탱크에 저장되어있는 세척수를 이용하여 섬유필터에 유입시키고, 유입된 세척수와 함께 필렛 섬유 필터를 교반기를 사용하여 회전시켜 역세하도록 한다. 충분한 회전이 이루어지면 방류밸브를 열고 양수펌프를 사용하여 슬러지탱크에 저장시킬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장에서 섬유필터를 역세척하는 경우는 드물며, 섬유필터의 역세척은 지정된 장소나 역세수의 방류가 가능한 곳에서 시행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한편, 맨홀 오수의 최종 처리단계인 상향류식 섬유필터(71)는 여과기의 하부로 유입되어 여과기 상부에 형성된 여재층을 통과하면서 부유물질은 여재층에 남고 처리수는 상부의 집수구를 통하여 처리수로 배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표준처리량은 평균적으로 30/h이나 실제로는 유입수의 오염농도와 유량에 따라 크게 변동하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이는 맨홀 오수의 오염농도 범위가 매우 넓어 중간처리 단계에서 처리량 변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최종처리 단계인 상향류식 섬유필터의 처리량은 종속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중간 처리단계에서 배출하는 유량이 충분하기 때문에 맨홀 오수를 최종 처리하기까지 약 2040 /h의 처리량을 가지며, 이는 맨홀 청소 점검 작업 시 오수를 정화하여 배수하기까지 충분한 처리능력을 갖출 수 있다.
상기 정화수 배출부(80)는 상기 제3 오수처리부(70)로부터 최종 여과된 정화수를 방류 및 오수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고압펌프가 사용되는데, 세척수탱크(81)에 저장하여 청소 용수로 재이용하거나 스크린 필터의 역세척 시 고압의 물을 분사하기 위한 고압펌프로 동력 인출 장치에 의해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맨홀 청소 차량에서는 고압펌프의 성능에 따라 두 가지의 고압펌프를 장착하였는데, 세척건을 한 개만 사용할 수 있는 저용량 펌프(A-Type)와 두 개의 세척건을 사용하기 위해 고용량 펌프(B-Type)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수거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할 수 있는 슬러지탱크와 오수를 정화하여 처리된 처리수(세척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2개의 구획으로 통합된 탱크로 원통형을 슬러지탱크의 좌우에 각형의 세척수탱크(81)를 설치할 수 있다. 슬러지탱크는 진공펌프와 연결되어 오수를 흡입하기 때문에 진공펌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오수 만재 시 이를 알려주는 만수위 경보장치를 설치하고, 세척수탱크는 고압펌프와 연결되어 세척수를 분사하기 때문에 고압펌프를 보호하기 위하여 세척수 고갈시 이를 알려주는 저수위 경보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도 있다.
한편, 원수펌프(오수/세척수 이송펌프)로서, 슬러지탱크 내의 오수 또는 세척수탱크 내의 세척수를 필요한 다른 설비로 이송시키는 펌프로 블로워형의 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블로워형 펌프는 슬러지탱크의 많은 양의 오수를 빠른 시간 안에 이송시킬 수 있으며, 양정 거리가 길어 3단계의 정화공정에서 오수를 모두 이송시킬 수 있다. 특히, 슬러지탱크가 진공 상태에서도 오수를 이송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에 있어서, 작업차량의 콘트롤러는 통상 운전석에 설치되는 장치로서 각 밸브들과 모터 및 각 장치들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지며, 각 장치들의 작동상태를 센서들을 통해 자동 감시하면서 운전 제어를 하는데 이는 통상의 진공흡입 작업차량의 콘트롤러와 유사한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콘트롤러의 구성이나 그 제어프로그램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세척수 탱크(81)는 통상 1개의 탱크로 구성되거나, 상기 슬러지탱크(11)의 양측에 2개로 분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2개의 세척수 저장탱크는 서로 연통 관로(도면에 미고시)에 의해 연통하도록 구성되며, 세척수 저장탱크에는 외부로부터 세척수를 급수하기 위한 급수장치 등은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이는 통상의 진공 흡입 청소 차량에 설치된 구성과 동일하여 이하 생략한다.
또한, 상기 슬러지탱크는 차량에 탑재되어 진공 흡입방식으로 오수를 회수하도록 이루어진 통상의 슬러지탱크로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슬러지탱크는 통상의 진공 흡입 청소차의 슬러지탱크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성으로서, 흡입관 연결장치, 해치, 진공 흡입장치, 분사 장치 등의 구성은 일반적은 구성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따른 다단계 정화수단은, 상기 1차 오수처리부(20) 및 정화단계를 통과한 정화수를 최종 처리하는 상기 3차 오수처리부(70)가 설치되는 제1 차량(100)과; 상기 제1 오수처리부(20)에서 진공펌프(40)에 의해 압송 받은 오수를 2차 정화처리하는 상기 2차 오수처리부(60)가 설치되는 제2 차량(200)을 포함하며, 도로 작업구간의 전/후방에 상기 제1 차량과 제2 차량을 공급라인(50)으로 연결 배치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차량(100)에는 세척된 오수를 진공펌프(40)를 이용하여 회수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11)를 가지며,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는 유입된 오수내의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오수정화의 1단계의 스크린 필터(2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2 차량(200)에는 스크린 필터(21)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2차 정화를 위한 2단계의 가압탈수 방식의 필터프레스(61)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량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필터프레스(61)를 거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3차 정화를 위한 3단계의 상향류식 섬유필터(71)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에 의해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을 1 사이클로 하는 정화 3단계의 순서로 정화처리하며 진공펌프로 오수를 흡입, 저장하고 이 저장된 오수를 정화과정을 통하여 정수 처리하는 단계별 물리적 여과방식을 제공하여 작업 공정이 이루어진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을 보인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은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정화수로 분리 정화 처리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을 갖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도로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 여과 공정 라인으로 배치하되,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단계; 상기 오수 흡입단계에서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어 오수를 1차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1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오수를 2차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2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여 오수를 3차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하는 방류단계; 및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저장 및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별 여과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전체 오수정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블로워형 펌프 1개만을 적용하여 총 3단계의 여과 공정에서 유입부터 배출까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전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화수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정화수 배출단계에서,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S40)에 의해 세척수 여과 후에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분사하는 것으로서, 상기 가압펌프에서 분사되는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더불어, 상기 세척수는 가압펌프에 의해 배출되기 전, 조정밸브(미도시)에 의해 상기 제1 차량(100)에 적재되는 세척수탱크로 세척수를 바이패스하여 저장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세척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된 세척수는 다시 상기 가압펌프에 의해 지중시설물에서 세척수로 분사하여 사용하거나, 오염원이 없는 세척수로 하수로 자연 방류가 가능한 것이다. 이는 기존 오수 정화처리시설에서 오염원을 그냥 하수나 하천으로 방류시켜 환경을 오염시켰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차량 중, 어느 한 차량에는 작업구간 내의 차량의 충돌 안전을 위한 경보 안전장치를 더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보 안전장치에 의해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의 보수 지역에서 세척차량 배치에 따른 세척작업 도중에 일부 도로 통제하에서도 미처 차량을 못 보고 진입하는 차량의 충돌에 대해 미리 대비를 하기 위함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의한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에 따른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중시설물(1)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슬러지와 물이 혼합된 오수를 진공펌프(40)에 의해 흡인관을 통해서 상기 슬러지 탱크(11)로 오수를 유입한다.
다음, 상기 슬러지 탱크(11)에 포집된 오수를 제1 오수처리부(20)인 스크린 필터(21)를 경유시키면서 1차로 오수를 슬러지와 물로 분리 정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차량(100)에서 진공펌프(40)를 통하여 공급라인(50)을 통해 제2 차량(200)에서 압송된 오수를 제2 오수처리부(60)인 필터프레스(61)에 공급받으면서 슬러지를 압축하여 세척수를 탈수하고, 공급라인(50)을 통해 배출시킨다.
끝으로, 공급라인으로 배출되는 오수는 제1 차량에 설치되는 제3 오수처리부(70)인 상향류식 섬유필터(71)를 거치면서 최종 오수를 배출하거나, 오수 정화처리된 후 바로 세척수 탱크(81)로 저장하였다가 지중시설물인 맨홀이나 하수관로 내의 오물을 청소하는 고압분사 세척수로 바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은 대형 차량에 소형고효율 오수처리 설비를 탑재하고, 여러 가지의 기능에 따라 정화 설비를 다양하게 연결하여 오수의 특성에 따라 정화방식을 선정할 수 있는 기술로써, 전력, 통신, 가스, 상.하수도 맨홀에서 발생하는 오수 또는 슬러지 등을 습식용 진공펌프를 사용하여 별도의 저장 공간인 슬러지 탱크에 신속하게 흡입저장하고 저장된 오수 또는 슬러지를 흡입 스크린 필터 필터프레스 상향류식 섬유필터 방류 및 재이용의 공정으로 정화 처리하여 맨홀의 유지관리 및 보수를 위한 청소점검 시공 시 맨홀 외부(도로 또는 보도)로 맨홀 내 오수의 유출 없이 시공이 가능하며 우수관에 방류수 수질기준 이하의 방류 가능한 수준으로 오수를 정화하여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정화 처리 시간이 매우 빠르기 때문에 복잡한 도심지에서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지중시설물
10 : 오수 흡입부
11 : 슬러지 탱크
20 : 제1 오수처리부
21 : 스크린 필터
30 : 진공펌프
50 : 공급라인
60 : 제2 오수처리부
61 : 필터 프레스
70 : 제3 오수처리부
71 : 상향류식 섬유필터
80 : 정화수 배출부
81 : 세척수 탱크

Claims (10)

  1. 차량에 탑재되어 이동 가능한 오수처리시스템으로서,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흡입한 후, 압송되는 오수를 다단계 정화수단에 의해 순차적으로 정화하여 방류 및 재이용하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전후방 2대의 차량에 분리 설치되어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오수 정화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부와;
    상기 오수 흡입부에 의해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도록 1단계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1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2단계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2 오수처리부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도록 3단계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부와;
    상기 제3 오수처리부로부터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 및 오수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부를 포함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임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은,
    상기 1차 오수처리부 및 정화단계를 통과한 정화수를 최종 처리하는 상기 3차 오수처리부가 설치되는 제1 차량과;
    상기 제1 오수처리부에서 진공펌프에 의해 압송 받은 오수를 2차 정화처리하는 상기 2차 오수처리부가 설치되는 제2 차량을 포함하며,
    도로 작업구간의 전/후방에 상기 제1 차량과 제2 차량을 위치하도록 하여 작업 공정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량에는 세척된 오수를 진공펌프를 이용하여 회수하기 위한 슬러지 탱크를 가지며, 상기 슬러지 탱크 내부에는 유입된 오수내의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오수정화의 1단계의 스크린 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차량에는 스크린 필터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2차 정화를 위한 2단계의 가압탈수 방식의 필터프레스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차량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필터프레스를 거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적으로 여과하는 3차 정화를 위한 3단계의 상향류식 섬유필터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에 의해 처리된 세척수를 분사 및 저장 가능한 세척수로 재차 사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계 정화수단을 1 사이클로 하는 정화 3단계의 순서로 정화처리하며 진공펌프로 오수를 흡입, 저장하고 이 저장된 오수를 정화과정을 통하여 정수 처리하는 단계별 물리적 여과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8. 지중시설물에서 오수를 회수하여 슬러지와 정화수로 분리 정화 처리하는 다단계 정화수단을 갖는 제1 차량 및 제2 차량을 도로 작업구간 내의 전후방에 여과 공정 라인으로 배치하되,
    지중시설물 내에 유입 및 침수되어 있는 오수 및 슬러지를 유입하는 오수 흡입단계;
    상기 오수 흡입단계에서 흡입된 오수 및 슬러지를 저장하고 걸러주어 오수를 1차 정화하는 제1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1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1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가압탈수하여 오수를 2차 정화하는 제2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2 오수처리단계를 통과한 2차 정화수를 압송 받아 최종 여과하여 오수를 3차 정화하는 제3 오수처리단계;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방류하는 방류단계; 및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서 최종 여과된 3차 정화수를 저장 및 세척수로 재이용하는 정화수 배출단계를 포함하는 단계별 여과공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오수의 흐름이 정체되지 않고 다단계 정화수단을 지속적으로 흐르면서 한 번의 공정으로 전체 오수 정화가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수 배출단계에서,
    상기 제3 오수처리단계에 의해 세척수 여과 후에 배출관을 통해 배출되는 세척수를 가압펌프에 의해 분사하여 세척수가 지중시설물의 청소작업에 필요한 세척수로 재사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별 여과공정은,
    압송 펌프 1개만을 적용하여 총 3단계의 여과 공정에서 유입부터 배출까지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전 공정에서 필요로 하는 정화수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방법.
KR1020160117732A 2016-09-13 2016-09-13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KR20180029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32A KR20180029551A (ko) 2016-09-13 2016-09-13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7732A KR20180029551A (ko) 2016-09-13 2016-09-13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9551A true KR20180029551A (ko) 2018-03-21

Family

ID=6190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7732A KR20180029551A (ko) 2016-09-13 2016-09-13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295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014B1 (ko) * 2019-02-12 2019-08-19 예도컨스텍(주) 오염수 여과용 이동식 처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여과 처리 공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38B1 (ko) * 2001-10-31 2005-02-21 대보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138B1 (ko) * 2001-10-31 2005-02-21 대보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오니(汚泥)처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2014B1 (ko) * 2019-02-12 2019-08-19 예도컨스텍(주) 오염수 여과용 이동식 처리장비 및 이를 이용한 오염수 여과 처리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863B1 (ko) 무인 자동 제어가 가능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JP3148921U (ja) 雨水濾過器
KR101736743B1 (ko) 자동 역세척 및 정체수 처리 기능을 갖는 비점오염 저감시설의 자동 역세척장치
KR101799868B1 (ko) 지중시설물의 정수된 인입수를 공공용수, 지중시설물 세척수로 활용할 수 있는 이동식 친환경 오수순환 정수처리장치
KR101580859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1527005B1 (ko) 오염수 정화장치
US20120012541A1 (en) Multiphase Particulate Separation Vacuum
KR100516951B1 (ko) 건축물 우수배수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CN2892839Y (zh) 轻油污水集成处理装置
KR101384490B1 (ko) 자동 우수 처리 장치
KR20180029551A (ko) 지중시설물의 유지관리 보수를 위한 친환경 이동식 오수처리 시스템 및 그 오수처리방법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CN209188314U (zh) 一种环保渣土车清洗系统
US20050184011A1 (en) Car wash water reclamation system
KR20220122906A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KR102136957B1 (ko) 다단적층형 필터를 갖는 역세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1621030B1 (ko) 우·오수 및 빗물 재이용 여과형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와 역세 방법
KR101995494B1 (ko) 여재층을 구비하여 유지관리가 용이한 우수처리장치
KR101431325B1 (ko) 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1758155B1 (ko) 와류방지 및 여과역세박스를 이용한 자동화 비점오염 저감시설
CN113187022A (zh) 一种雨水收集排放生态系统
CN105709469A (zh) 活性介质水处理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51779B1 (ko) 필터프레스 진공흡입탈수수단을 갖는 이동식 오수처리시스템
JP4382397B2 (ja) 土砂洗浄装置及び土砂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