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826B1 -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 Google Patents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826B1
KR101633826B1 KR1020140044641A KR20140044641A KR101633826B1 KR 101633826 B1 KR101633826 B1 KR 101633826B1 KR 1020140044641 A KR1020140044641 A KR 1020140044641A KR 20140044641 A KR20140044641 A KR 20140044641A KR 101633826 B1 KR101633826 B1 KR 101633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elevating
elevation
dispose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46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8735A (ko
Inventor
박재경
Original Assignee
박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경 filed Critical 박재경
Priority to KR10201400446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82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8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02Loa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90/00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 A01D90/12Vehicles for carrying harvested crops with means for selfloading or unloading with additional devices or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9/00Honey coll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과수원이나 농로, 보관창고 등 불균일한 노면을 갖는 다양한 구간을 안정되게 운행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된 농산물, 농산물이 수납된 박스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차량이나 보관창고 등의 적재공간으로 운반시켜 적재하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차체의 양편에 배치된 양편에 배치된 구동수단을 정역으로 구동시켜 주행하는 운반부와; 상기 운반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이격된 한 쌍의 포크를 상하 승강시켜 포크암에 안착된 물품을 거상 및 적재하는 거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의 구동수단은, 차체의 양측에 전후 이격되게 형성된 구동륜과 종동륜 사이에 궤도를 견착시켜 궤도의 구름 회전을 통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궤도 이송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Caterpillar-type agricultural loading machine}
본 발명은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수원이나 농로, 보관창고 등 불균일한 노면을 갖는 다양한 구간을 안정되게 운행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된 농산물, 농산물이 수납된 박스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차량이나 보관창고 등의 적재공간으로 운반시켜 적재하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어촌의 경우 농경지의 두둑과 고랑에 의해 요철부가 다수 있고, 경사도가 있는 경우에도 화물을 적재한 운반기가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높이에 무관하게 안전하고 신속하게 화물차 및 저장고에 적치 또는 하차할 수 있어야 하나, 농업용 간이 지게차를 이용하거나, 경량 베일러(baler) 집게, 트랙터에 지게차를 접목한 운반기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안정된 화물을 적재, 하역, 저장하기에는 곤란한 점이 있다.
이를 개선한 종래 발명인 등록실용신안 제20-0287458호 공보에 기재된 농업용 간이지게차는, 농가에서 수확한 쌀을 비롯한 기타 곡식, 과일 등의 농산물을 저장창고에 저장하기 위해 근거리를 이동하여 운반하거나 트럭의 적재함 및 물류창고 등의 높은 위치에 적재할 때 힘들이지 않고 농산물을 간편하게 상부로 들어올려 적재할 수 있도록 한 농업용 간이지게차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지게차는 인력으로 근거리를 밀어서 운반한 다음 리프터를 사용하여 화물을 적치하거나 하역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간이 지게차는 자력으로 주행이 불가능하고, 화물을 다층으로 일정높이 적치할 경우 화물을 끈으로 묶지 않고, 적치된 화물 무게에 의한 자중에 의하여 도로를 주행하거나 근거리를 이동할 경우 충격과 경사에 의한 기울기에 의하여 불균형이 이루어지고, 토오크가 작용할 경우 화물이 무게중심을 잃어 무너지면 주변에 있는 사람들에게 부상을 입히고 화물이 흩어져 포장이 찌그러지거나, 기스(균열)가 발생하거나, 멍이 들어 폐기처분하거나 상품가치가 하락한 상태에서 출하하게 됨으로 인하여 농어촌에 수입이 감소하는 현상이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 특2001-0058406호 공보에 기재된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 작업기는, 트랙터 후방에 장착된 연결수단을 구비하여 트랙터용 지게차 겸용 페이로더로 사용되어, 농작물과 기타화물의 운반과, 땅을 고르고 퇴비 등을 정리하기 위한 페이로더 작업의 겸용이 가능한 작업기이다.
그러나, 상기 작업기는, 트랙터의 후방에 장착하여 지게차와 페이로더로 겸용됨으로 인하여 신속성과 작업성이 떨어지고, 농경지의 두둑과 고랑에 의하여 요철부가 다수 있고, 경사진 도로가 있는 경우에도 화물을 적재한 작업기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많은 양의 화물을 적재 높이에 무관하게 처리하기에는 곤란한 한계성을 갖는다.
한편, 과수원은 포장된 도로와 달리, 노면이 불균일하고 또 국부적으로 구덩이들이 형성된 관계로, 구동륜이 작은 일반의 운반차의 안정된 이동이 어렵고, 또 과수에 의해 트랙터 등의 진입이 어렵고, 특히 종래에는 상기 과수원에 직접 이동하면서 수확된 농작물을 간편하게 운반 및 적재할 수 있는 전용의 수단이 제공되지 아니한 관계로, 작업자가 일일히 수확물을 외부로 나르고 있어, 노동 생산성이 저하되기도 하고, 또 고된 노동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목적은, 과수원이나 농로, 보관창고 등 불균일한 노면을 갖는 다양한 구간을 안정되게 운행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된 농산물, 농산물이 수납된 박스 등을 포함하는 물품을 차량이나 보관창고 등의 적재공간으로 운반시켜 적재하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는,
차체의 양편에 배치된 양편에 배치된 구동수단을 정역으로 구동시켜 주행하는 운반부와;
상기 운반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이격된 한 쌍의 포크를 상하 승강시켜 포크암에 안착된 물품을 거상 및 적재하는 거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의 구동수단은, 차체의 양측에 전후 이격되게 형성된 구동륜과 종동륜 사이에 궤도를 견착시켜 궤도의 구름 회전을 통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궤도 이송형으로 구성되고,
상기 거상부는 차체의 전방에 가이드를 통해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전면에 하나 이상의 포크암이 좌우 이격되게 형성된 승강 적재대와; 상기 차체에 상하 기립되게 배치되어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실린더의 피스톤에 견착되며 단부를 승강 적재대에 고정시켜, 승강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강 적재대의 위상을 조절하는 견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견인로프는 승강 적재대를 상부로 당겨 승강 적재대의 위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차체의 전방에는 승강 적재대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푸쉬로드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는 승강 적재대에 안착된 물품을 전방으로 밀어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적재대의 각 포크암에는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가 회동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포크암에는 상기 구름롤러의 외경에 밀착되어 제동되는 제동로드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전진하는 제동로드와의 간섭에 의해 구름롤러가 마찰 제동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승강 적재대는 견인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하부로 당겨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운행과정에 진동이나 충격이 의해 견인로프에 의해 매달려진 승강 적재대가 상호 요동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구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궤도 이송형의 구동수단을 구비한 운반부에 거상부를 배치한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농업용 적재장치는, 궤도 이송형으로 이루어진 구동수단을 통해 지반이 불균일한 과수원 등을 안정되게 주행하면서, 해당 구간에 위치한 농작물이나 농작물이 수납된 박스 등의 물품을 안정되게 안착시켜 적재공간에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승강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견인로프가 승강 적재대를 거상하는 와이어형의 거상부를 채택하고 있으며, 상기 와이어형의 거상부는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안정된 작동성의 확보가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3a와 도 4a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를 통한 물품의 상하역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와 도 4b는 도 3a와 도 4a에서 승강 적재대의 작용 상태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의 정면 구성도이고, 도 3a와 도 4a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를 통한 물품의 상하역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3b와 도 4b는 도 3a와 도 4a에서 승강 적재대의 작용 상태를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1)는,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체(11)의 양편에 배치된 양편에 배치된 구동수단을 정역으로 구동시켜 주행하는 운반부(10)와, 상기 운반부(10)의 전방에 배치되며, 안착된 물품(B)을 거상 및 적재하는 거상부(2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운반부(10)의 구동수단을, 구동륜(12)과 종동륜(13) 사이에 궤도(14)를 견착시켜 궤도(14)의 구름 회전을 통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궤도 이동형으로 구성하여, 궤도(14)를 과수원 등의 불균일한 지면에 접단시켜 안정되게 주행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구동륜(12)은 통상 엔진 또는 정역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역으로 구동하여서, 구동륜과 종동륜 사이에 견착된 궤도를 정역으로 구름 회전시켜서 차체의 주행을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일예로 엔진(15)에서 생성된 회전력을 변속기(16)를 통해 각 구동수단의 구동륜(12)에 제공하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엔진과 변속기를 포함하는 동력구조는 공지의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궤도형의 구동수단을 통해 안정된 주행성이 확보된 운반부(10)의 전방에 물품의 상하역을 도모하는 거상부(20)를 배치하여서, 과수원 등 불균일한 노면을 갖는 노지를 궤도(14)를 통해 안정되게 주행하면서, 농작물이나 이를 수납한 박스 등의 물품을 안정되게 운반하여 운반 차량이나 보관창고 등지의 적재공간에 안정되게 적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거상부(2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차체(11)의 전방에 가이드(24)를 통해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전면에 한 쌍의 포크암(22a)이 좌우 이격되게 형성된 승강 적재대(22)와; 상기 차체(11)에 상하 기립되게 배치되어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21); 및 상기 승강 실린더(21)의 피스톤(21a)에 견착되며 단부를 승강 적재대(22)에 고정시켜, 승강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승강 적재대(22)의 위상을 조절하는 견인로프(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승강 적재대(22)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승강 실린더(21)는 통상 차체에 마련된 유압 펌프를 통해 제공되는 작동유의 진출입에 의해 신장 또는 수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피스톤(21a)의 단부에는 안내롤러(21b)가 형성되어 견착로프(23)는 안내롤러(21b)를 통해 구름 마찰상태를 형성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실린더(21)가 신장되면 하강된 승강 적재대(22)는 견인로프(23)에 의해 상부로 당겨져 위상이 상승하고, 또 상기 승강 실린더(21)가 수축하면 상승된 승강 적재대(22)는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승강 실린더(21)의 신축에 의해 승강 적재대(22)의 위상이 조절되도록 한 거상부(20)는 구조가 매우 간단할 뿐 아니라, 향상된 작동 안정성을 갖는다.
그런데, 상기 거상부(20)는 그 특성상 견인로프(23)에 의해 상향 견인되어 위상이 설정되도록 구성된 관계로, 불균일한 노면에서의 운행 과정에서 상하 진동이 야기될 수 있고, 이는 소음 발생이나 장치의 내구성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적재대(22)를 하부로 견인하는 견인 스프링(25)을 부가하여, 도 2와 같이 견인 스프링(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승강 적재대(22)는 하부로 당겨지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승강 적재대(22)는 견인 스프링(2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항시 하부로 당겨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운행과정에 진동이나 충격이 의해 견인로프(23)에 의해 매달린 승강 적재대가 상호 요동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체(11)의 전방에는 승강 적재대(22)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푸쉬로드(30)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30)는 승강 적재대(22)에 적재된 물품(B)을 전방으로 밀어서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운반부(10)를 운행하여 농작물 또는 농작물이 수납된 박스가 안착된 파레트(P)에 하강된 승강 적재대(22)를 진입시킨 다음, 도 3a 내지 도 3b와 같이 승강 실린더(21)를 신장시켜 승강 적재대(22)를 거상하게 된다.
이후, 작업자는 운반부(10)를 주행하여 적재공간으로 이동시키고, 도 4a 내지 도 4b와 같이 승강 적재대(22)의 위상을 조절하여 물품의 적재 높이를 설정한 다음, 푸쉬로드(30)를 전진시켜 승강 적재대(22)에 적재된 물품(B)을 해당 적재공간에 적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운반부(10)는 궤도(14)를 통해 운행하므로 지면이 불균인한 다양한 지반의 안정된 운행이 가능하고, 또 승강 적재대(22)는 견인 스프링(25)에 의해 하부로 당겨진 상태를 유지하므로 물품이 적재되지 아니하더라도 불균일한 지반을 운행하는 과정에 상하 진동하거나 요동하는 현상이 억제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승강 적재대(22)에 물품의 안정된 이송과 이송된 물품의 안정된 고정을 도모하는 전용의 구조를 부가하여, 물품의 상하역에 따른 안정성을 확보하고, 또 승강 적재대(22)에 적재된 물품이 운반부(10)의 운행을 통한 이동과정에 노면 진동에 의해 이탈하는 현상이 억제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도 3a 내지 도 4b와 같이 상기 승강 적재대(22)의 각 포크암(22a)에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22b)를 회동구조로 배치하여, 포크암(22a)에 적재된 구름롤러(22b)는 구름마찰을 통해 진입 및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크암(22a)에는 상기 구름롤러(22b)의 외경에 밀착되어 제동하는 제동로드(22c)를 진퇴구조로 설치하여, 전진하는 제동로드(22c)와의 간섭에 의해 구름롤러(22b)의 제동이 이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동로드(22c)의 진퇴를 도모하는 진퇴부재(22d)로 진퇴 실린더를 채택하여, 진퇴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제동로드(22c)는 진퇴하여 구름롤러(22b)들의 제동상태를 일괄하여 설정하도록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승강 적재대(22)를 구성하는 포크암(22a)의 선단부에는 힌지축(22e-a)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여 상향 기립되는 이탈 방지편(22e)을 힌지구조로 설치하여, 이탈 방지편(22e)의 기립에 의해 포크암(22a)에 적재된 물품의 전방을 지지하여 이탈이 방지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이탈 방지편(22e)은 제동로드(22c)의 선단과 단방향 링크구조를 형성하여, 도 3b와 같이 제동로드(22c)가 전진하면 이탈 방지편(22e)은 힌지축(22e-a)을 중심으로 힌지 회전하여 포크암(22a)의 선단에 상향 기립된다.
따라서, 승강 적재대(22)에 물품을 안착 또는 적재공간으로 물품을 배출시키는 적재과정에서는 도 4b와 같이 제동로드(22c)는 후퇴하여 구름롤러(22b)의 비제동, 및 이탈 방지편은 비기립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포크암(22a)에 진입되는 물품은 구름마찰 상태로 안정되게 진입하여 안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상기 구름롤러(22b)의 마찰 제동을 위한 제동로드(22c)의 전진에 의해, 포크암(22a)의 선단에 형성된 이탈 방지편(22e)은 상향 기립되어서, 물품의 전면을 지지하여 구속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1)는 운반부(10)의 주행을 통한 물품의 운반과정에서는 도 3b와 같이 포크암(22a)에 형성된 구름롤러(22b)는 마찰 제동되고, 또 이탈 방지편(22e)은 상향 기립되어 물품의 전면을 지지하여 구속하므로, 과수원 등 불균일한 지반의 운행시 발생되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포크암(22a)에 안착된 물품의 임의 이탈을 예방된다.
이후, 적재시에는 도 4b와 같이 제동로드(22c)는 후퇴하여 구름롤러(22b)의 구름마찰을 해체하고, 또 이탈 방지편(22e)에 의한 물품의 구속을 해체하여서, 물품의 안정된 이동 및 적재가 가능하다.
1.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10. 운반부 11. 차체
12. 구동륜 13. 종동륜
14. 궤도 15. 엔진
16. 변속기
20. 거상부 21. 승강 실린더
21a. 피스톤 21b. 안내롤러
22. 승강 적재대 22a. 포크암
22b. 구름롤러 22c. 제동로드
22d. 진퇴부재 22e. 이탈 방지편
22e-a. 힌지축 23. 견인로프
24. 가이드 25. 견인 스프링
30. 푸쉬로드
P. 파레트 B. 물품

Claims (4)

  1. 차체의 양편에 배치된 양편에 배치된 구동수단을 정역으로 구동시켜 주행하는 운반부와;
    상기 운반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좌우 이격된 한 쌍의 포크를 상하 승강시켜 포크암에 안착된 물품을 거상 및 적재하는 거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운반부의 구동수단은, 차체의 양측에 전후 이격되게 형성된 구동륜과 종동륜 사이에 궤도를 견착시켜 궤도의 구름 회전을 통해 지면을 따라 이동하는 궤도 이송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거상부는 차체의 전방에 가이드를 통해 상하 승강구조로 설치되며, 전면에 하나 이상의 포크암이 좌우 이격되게 형성된 승강 적재대와;
    상기 차체에 상하 기립되게 배치되어 신축하는 승강 실린더; 및
    상기 승강 실린더의 피스톤에 견착되며 단부를 승강 적재대에 고정시켜, 승강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승강 적재대의 위상을 조절하는 견인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승강 실린더의 신장에 의해 견인로프는 승강 적재대를 상부로 당겨 승강 적재대의 위상을 조절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체의 전방에는 승강 적재대의 전방으로 진출하는 푸쉬로드가 형성되어, 상기 푸쉬로드는 승강 적재대에 안착된 물품을 전방으로 밀어서 배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적재대의 각 포크암에는 하나 이상의 구름롤러가 회동구조로 배치되고, 상기 포크암에는 상기 구름롤러의 외경에 밀착되어 제동되는 제동로드가 진퇴구조로 설치되어, 전진하는 제동로드와의 간섭에 의해 구름롤러가 마찰 제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KR1020140044641A 2014-04-15 2014-04-15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KR101633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41A KR101633826B1 (ko) 2014-04-15 2014-04-15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4641A KR101633826B1 (ko) 2014-04-15 2014-04-15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35A KR20150118735A (ko) 2015-10-23
KR101633826B1 true KR101633826B1 (ko) 2016-06-27

Family

ID=54427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4641A KR101633826B1 (ko) 2014-04-15 2014-04-15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987B1 (ko) * 2019-03-08 2023-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실린더 이송용 로봇 및 가스 공급 시스템
KR102301438B1 (ko) * 2020-01-13 2021-09-14 (주)매일 이동형 채밀장치
KR102615158B1 (ko) * 2020-06-26 2023-12-19 엘앤에스(주) 적재차량과 운반차량을 이용한 화물 운반 및 적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458Y1 (ko) 2002-05-09 2002-09-05 변혁 농업용 간이 지게차
US20060181039A1 (en) * 2006-03-18 2006-08-17 Fridlington Keith W Jr Pallet jack having width-adjustable fork prongs
KR100849409B1 (ko) * 2006-06-02 2008-07-31 이복한 지게장치가 설치된 채밀기용 운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077B1 (ko) * 2000-12-27 2004-02-25 한전기공주식회사 차단기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458Y1 (ko) 2002-05-09 2002-09-05 변혁 농업용 간이 지게차
US20060181039A1 (en) * 2006-03-18 2006-08-17 Fridlington Keith W Jr Pallet jack having width-adjustable fork prongs
KR100849409B1 (ko) * 2006-06-02 2008-07-31 이복한 지게장치가 설치된 채밀기용 운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735A (ko) 2015-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29113B1 (en) Telescoping stacking conveyor having a single conveyor belt and single drive mechanism for the belt
US20050042068A1 (en) Forklift with stabilizing forks
CN108033392B (zh) 一种移动式物资装卸辅助平台
US20160068357A1 (en) Robotic trailer loading device with telescoping robot
US10149436B2 (en) Fruit harvester platform
CN105835929A (zh) 重载型搬运车
KR101633826B1 (ko) 궤도 이송형 농업용 적재장치
WO2010008326A1 (en) Fork pallet truck
US20170355575A1 (en) Cargo container crane
US1885399A (en) Freight loading and unloading device for vehicles
US7308781B2 (en) Combination bulk and tote loading harvesting apparatus and method
CN203902357U (zh) 田园果蔬转运机
US4537548A (en) Combination hay hauler and stock trailer
US2517938A (en) Industrial truck attachment
US20130243563A1 (en) Sliding loading lifting system
US5476360A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goods
JP3127597U (ja) コンテナ運搬用台車
US4171927A (en) Loading and transport vehicle
JPH1160177A (ja) 高所作業車
RU2418695C1 (ru) Сортиментовоз
US20170369292A1 (en) Cargo container lift truck
KR200472815Y1 (ko) 적재부 승강이 가능한 농업용 고소 작업차
JP2020189714A (ja) 荷搬送作業車
JP2020158040A (ja) 荷搬送作業車
CN219217463U (zh) 伸缩式升降搬运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