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702B1 - 조립식 수납함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702B1
KR101633702B1 KR1020150147089A KR20150147089A KR101633702B1 KR 101633702 B1 KR101633702 B1 KR 101633702B1 KR 1020150147089 A KR1020150147089 A KR 1020150147089A KR 20150147089 A KR20150147089 A KR 20150147089A KR 101633702 B1 KR101633702 B1 KR 101633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finishing cap
panel
fastening
ed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7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래
Original Assignee
김용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래 filed Critical 김용래
Priority to KR1020150147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7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702B1/ko
Priority to PCT/KR2016/011932 priority patent/WO20170695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25Horizontal connecting members adapted to receive and retain the edges of several panel elements
    • A47B47/005Combination of corners and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91Modular arrangements of similar assemblies of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 Furnitur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한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면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개방된 4개의 삽입홈(1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는 연결파이프(10)와;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며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외측부가 확장된 경사면 만곡면 또는 단턱부로 구성되는 쐐기작동면(24)이 형성된 엣지부(22)가 대향하는 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사각패널(20)과;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나사체결되는 중앙공(32)이 형성된 헤드부(31)와, 이 헤드부(31)의 내측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상기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에 끼워져 맞물리는 인서트부(34)가 형성된 마감캡(30)을 포함하는 조립식 수납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함 {Assembly type container}
본 발명은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부품의 구조가 간단하여 코스트가 절감되면서도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정 단면형태로 압출제작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패널을 서로 연결하고 조립하여 다양한 용도와 형상의 제품을 제작하는데 사용된다. 이와 같이 패널을 조립하는데 사용되는 전형적인 프로파일은 대체로 사각형 단면구조의 각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홈을 형성하고, 이 절개홈에는 패널의 측면에 형성된 결합돌기를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별도의 체결수단으로 패널과 프로파일의 연결부위를 조여서 조립함으로써, 수납공간이 수평 및 수직으로 다단 연장되는 책장이나 진열장 등의 수납가구를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프로파일 연결 조립장치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의 조립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국내특허 제10-1281525호). 이 조립장치는 사각형 단면구조로 내부 중앙의 체결공(111)과 이 체결공(111) 외측의 각 측면 중앙에 절개된 절개홈(112a)을 갖는 조립공간부(112)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프로파일(110)과, 사각판재의 측면에 나사로 된 조립구(120)가 나사체결된 패널(105)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파일(110)의 조립공간부(112)로 패널(105) 측면의 조립구(120)의 헤드부(121)를 삽입하여 서로 조립하고, 프로파일(110)의 양 단부에서 프로파일(110)의 조립공간부(112)로 각각 삽입되는 삽입부(142)가 형성된 마감캡(140)을 결합한다. 이를 위해 마감캡(140)의 내측 둘레부에는 상기 프로파일(110)의 조립공간부(112)로 삽입되어 쐐기작용하도록 완만하게 경사진 단면을 가지며 중앙부에 U자홈(143)이 절개된 삽입부(142)가 구비된다. 따라서 마감캡(140)을 프로파일(110)의 조립공간부(112)에 끼우면 마감캡(140)의 삽입부(142)가 패널(105)의 측면과 조립구(120)의 헤드부(121) 틈새로 진입하여 삽입부(142)의 U자홈(142)이 조립구(120)의 헤드부(121) 밑으로 지나면서 억지끼움되어 패널(105)과 프로파일(110)이 서로 밀착 결합된다. 이와 같이 마감캠(140)이 프로파일(110) 단부에 끼워지면 마감캡(140)의 중앙의 조립공(141)을 통해 체결나사(145)를 프로파일(110)의 체결공(111)에 체결하면 프로파일(110)과 패널(105)이 서로 견고하게 조립된다.
그런데 패널(105) 측면의 조립구(120)는 상단이 확장된 헤드(121)를 가지는 나사로 구성되므로 이러한 조립구(120)를 구성하는 나사를 일일이 패널(105)의 측면에 정확한 위치와 일정한 깊이로 나사체결하는 일은 번거롭고 정밀한 품질관리를 요하는 문제점이 있고, 조립구(120)가 체결된 패널제품의 운반과정이나 조립이 완료된 후에도 어떠한 이유로 조립구(120)의 나사결합상태가 헐거워지면, 조립구(120)의 헤드(121) 위치도 변경되므로, 이 경우 조립구(120)의 헤드(121)가 프로파일(110)의 조립공간부(112)로 정확하게 삽입되지 못하거나 조립된 패널(105)과 프로파일(110)과의 체결상태도 헐거워지고 조립의 정밀도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마감캡(140)의 삽입부(142)가 완만하게 경사지게 형성되어 프로파일(110) 내에서 깊게 박혀서 쐐기작용을 하므로, 수납함의 조립구조를 변경하거나 위치이동을 위해 수납함을 해체하고자 하는 경우에, 마감캡(140)이 프로파일(110)에 깊고 견고하게 박혀서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수납함의 형태변경이나 위치이동을 위한 분리해체가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특허등록 제10-1281525호 (2013.06.27)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프로파일 연결 조립장치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간단한 부품을 사용하여 프로파일과 패널을 용이하고 견고하게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다단 조립하여 책장이나 진열장, 수납장 등과 같은 수납가구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고 분해도 용이한 새로운 구조의 조립식 수납함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둘레면에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직각방향으로 개방된 4개의 삽입홈(1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는 연결파이프(10)와;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며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선단부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경사면, 만곡면 또는 단턱부로 구성되는 쐐기작동면(24)이 형성된 엣지부(22)가 대향하는 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사각패널(20)과;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나사체결되는 중앙공(32)이 형성된 헤드부(31)와, 이 헤드부(31)의 내측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에 맞닿아 쐐기작용하는 인서트부(34)가 형성된 마감캡(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0)의 둘레면 삽입홈(12)에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를 삽입하고 연결파이프(10)의 단부에 마감캡(30)을 대고 마감캡(30)의 중앙공(32)을 통해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체결부재(40)를 체결하면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가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과 맞물려서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은 사각패널(20)의 측면 선단으로부터 마감캡(30)의 헤드부(31) 두께보다 더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30)의 중앙공(32)의 둘레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복귀되는 탄성걸림부(36)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40)는 헤드부(42)와 나사산부(44) 사이에 상기 마감캡(30)의 탄성걸림부(36)가 끼워지는 걸림홈(46)이 형성된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연결파이프(10)에 마감캡(30)을 나사체결한 체결부재(40)를 풀면 체결부재(40)와 마감캡(30)이 함께 연결파이프(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이 제공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둘레면에 서로 직각방향으로 개방된 4개의 삽입홈(12)이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중앙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는 연결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사각패널(20)을 끼워 결합하되, 이 사각패널(20)의 대향하는 변에는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외측부가 확장된 경사면, 만곡면 또는 단턱부로 구성되는 쐐기작동면(24)이 형성된 엣지부(22)를 형성하여, 마감캡(30)을 연결파이프(10)의 단부에 체결할 때, 마감캡(30)의 내측 인서트부(34)가 사각패널(20)이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에 끼워져 맞물리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도 마감캡(30)을 체결함으로써 연결파이프(10)와 사각패널(20)이 서로 맞물려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납함을 조립체결할 수 있다. 또한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와 맞물리는 사각패널(20)의 쐐기작동면(24)을 엣지부(22)의 단부에 사각패널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쐐기작동면(24)의 제작이 용이하고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여 수납함 조립시의 오차가 적고 조립정밀도가 우수하다.
또한, 엣지부(22)의 양단 쐐기작동면(24)은 사각패널(20)의 인접한 둘레부 선단으로부터 마감캡(30)의 헤드부(31) 두께보다 더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고, 마감캡(30)의 중앙공(32)의 둘레부에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복귀하는 탄성변형되는 탄성걸림부(36)로 구성하고, 체결부재(40)는 헤드부(42)와 나사산부(44) 사이에 상기 마감캡(30)의 탄성걸림부(36)가 끼워져 걸리도록 된 걸림홈(46)이 형성된 체결나사로 구성함으로써, 체결부재(40)로 마감캡(30)을 연결파이프(10)에 체결하면 마감캡(30)의 헤드부(31)가 사각패널(20)의 전면 둘레부로부터 돌출되지 않아서 조립식 수납함의 전면이 평탄하여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조립식 수납함의 해체를 위해 체결부재(40)를 풀면 평탄하게 매입되어 분리하기 곤란한 마감캡(30)이 체결부재(40)와 함께 연결파이프로(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므로, 마감캡(30)의 분리를 위한 별도의 수고를 덜 수 있어서 해체작업이 신속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도 1은 종래의 프로파일 연결 조립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패널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마감캡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도
도 6은 상기 실시예의 조립상태 요부 단면도
도 7은 상기 실시예의 패널과 프로파일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8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수납가구의 예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실시예의 패널의 평면도, 도 4는 마감캡의 구성도, 도 5는 조립상태도, 도 6은 조립상태 요부 단면도, 도 7은 패널과 프로파일의 조립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각형 단면으로 된 연결파이프(10)를 사각패널(20)의 대향 측면에 형성된 엣지부(22)에 결합하고, 연결파이프(10)의 양단부에 마감캡(30)을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파이프(10)를 매개로 상하 및 좌우의 측면에 시각패널(20)을 결합하여 사각패널(20)을 다단연장시켜서 진열장이나 책장과 같은 조립식 수납가구나 파티션, 선반 등을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파이프(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각 측면(10)의 중앙에는 길이방향의 삽입홈(12)이 형성되도록 알루미늄이나 합성수지를 압출성형하여 제작한다. 이 연결파이프(10)의 단면의 중앙에는 단면 원형의 체결공(14)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사각패널(20)은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측면(11)의 크기와 대응되는 두께로 제작된다. 본 발명의 사각패널(20)은 합성수지나 금속 또는 인조목재로 제작되거나 이들의 복합재료로 제작될 수 있으며 내부가 채워진 솔리드패널이나 중공패널로 제작될 수도 있다. 이 사각패널(20)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엣지(edge)부(22)가 돌출되도록 연장형성된다. 이 엣지부(22)는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끼워맞춤되는 폭으로 제작된다. 본 실시예의 엣지부(22)는 그 두께가 사각패널(2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러나 도 9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엣지부(22)의 두께가 사각패널(20)과 동일한 두께로 제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엣지부(22)의 길이는 이 엣지부(22)가 형성된 사각패널(20)의 측면의 길이보다는 짧아서 패널(2) 측면의 단부로부터 일정길이 후퇴된 위치까지 연장형성된다. 이 엣지부(22)의 사각패널(20)의 측단부로부터의 후퇴되는 정도는 후술하는 마감캡(30)을 결합할 때, 마감캡(30)의 헤드부(31)가 사각패널(20)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평탄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정해진다.
그리고 이 엣지부(22)의 양단부에는 기단부에서 선단으로 갈수록 길이방향 외측으로 그 길이가 점차 확장되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쐐기작동면(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쐐기작동면(24)은 후술하는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와 맞닿아 쐐기작용을 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하며, 구체적으로는 경사면, 또는 만곡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거나, 상부가 돌출되는 단턱부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가 형성되지 않은 두 측면 중 어느 한 측면에 인접한 패널의 상하면에는 가장자리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되는 오목홈(23)이 형성된다. 이 오목홈(3)은 연결파이프(10)를 매개로 사각패널(2)을 조립하여 수납함의 상판과 측판 및 저판을 상호 연결하는 경우에는 사용되지 않으나, 수납함의 배면판(28)을 조립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판(28)은 사각패널(20)과는 다른 형태로 제작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더 얇은 패널로 제작하고 네 모서리부에는 연결파이프(1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절개부(29)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배면판(28)은 수납함의 기능에 따라 생략될 수 있고, 배선의 통과 등을 위해 통공이 형성되는 등 적절하게 형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마감캡(30)은 연결파이프(10)의 단면에 대응되는 형태로 된 헤드부(31)의 중앙에 중앙공(32)이 형성되고, 이 헤드부(31)의 내측의 중앙공(32)의 둘레부에는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인서트부(34)가 구비된다. 이 인서트부(34)의 선단부는 연결파이프(10)에 끼워진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에 끼워져서 쐐기작용을 할 수 있도록 경사면(35)으로 형성된다. 쐐기작용을 위해서는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과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 양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어느 한쪽에 경사면이 형성되면 타측에는 직선 또는 경사진 경사면이나 단턱부로 구성해도 쐐기작용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마감캡(30)의 헤드부(31)의 중앙공(32)을 통해 후술하는 체결부재(40)를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체결하면, 마감캡(30)과 연결파이프(10)가 서로 체결됨과 동시에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가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과 맞물림작용 또는 쐐기작용에 의해 상호 체결되므로, 마감캡(30)의 결합에 의해 연결파이프(10)와 사각패널(20)이 동시에 체결고정되어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1의 종래와 같이 마감캡(140)의 삽입부(142)가 나사형태의 조립구(120)를 통과하여 깊이 삽입되면서 억지끼움되는 대신에,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가 엣지부(22)의 단부의 쐐기작동면(24)에 맞닿아 쐐기작용하므로, 수납함의 분해시에 마감캡(30)이 쐐기작용에서 쉽게 이탈되어 분리될 수 있어서 수납함의 분해작업이 신속용이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함의 예시적 구성도로서, 연결파이프(10)를 전후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여 사각패널(20)의 각 측면의 엣지부(22)에 결합하고, 마감캡(30)을 체결하여 다단으로 조립한 것을 보여준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연결파이프(10)의 단면형태가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단면 사각형이 아니라,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네 쌍의 돌조(11)에 의해 삽입홈(12)이 형성되며, 마감캡(30)의 헤드부(31)는 원형으로 이루어져서 연결파이프(10)의 단부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사각패널(20)은 패널 본체의 두께와 에지부(22)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엣지부(22)에 비해 사각패널(20)의 두께가 두꺼운 것에 비해, 본 실시예의 패널이 더욱 슬림하고 경량으로 제작되어 코스트를 절감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의 엣지부(22)의 양단에도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쐐기작동면(24)을 구비하고, 마감캡(30)에도 동일한 인서트부(34)를 가지므로 조립 및 분해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Claims (3)

  1. 둘레면에 인접하는 것끼리 서로 직각방향으로 개방된 4개의 삽입홈(12)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에는 체결공(14)이 형성되는 연결파이프(10)와;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삽입홈(12)에 끼워지며 길이방향 양단부에는 선단부가 길이방향 외측으로 확장된 경사면, 만곡면 또는 단턱부로 구성되는 쐐기작동면(24)이 형성된 엣지부(22)가 대향하는 측면에 일체로 성형되는 사각패널(20)과; 상기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나사체결되는 중앙공(32)이 형성된 헤드부(31)와, 이 헤드부(31)의 내측에서 서로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며 그 선단부가 상기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에 맞닿아 쐐기작용하는 인서트부(34)가 형성된 마감캡(30)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파이프(10)의 둘레면 삽입홈(12)에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를 삽입하고 연결파이프(10)의 단부에 마감캡(30)을 대고 마감캡(30)의 중앙공(32)을 통해 연결파이프(10)의 체결공(14)에 체결부재(40)를 체결하면 마감캡(30)의 인서트부(34)의 선단부가 사각패널(20)의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과 맞물려서 체결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부(22)의 쐐기작동면(24)은 사각패널(20)의 측면 선단으로부터 마감캡(30)의 헤드부(31) 두께보다 더 후퇴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마감캡(30)의 중앙공(32)의 둘레부는 반경방향 내측으로 탄성복귀되는 탄성걸림부(36)로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40)는 헤드부(42)와 나사산부(44) 사이에 상기 마감캡(30)의 탄성걸림부(36)가 끼워지는 걸림홈(46)이 형성된 체결나사로 구성되어, 연결파이프(10)에 마감캡(30)을 나사체결한 체결부재(40)를 풀면 체결부재(40)와 마감캡(30)이 함께 연결파이프(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함.
  3. 삭제
KR1020150147089A 2015-10-22 2015-10-22 조립식 수납함 KR101633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89A KR101633702B1 (ko) 2015-10-22 2015-10-22 조립식 수납함
PCT/KR2016/011932 WO2017069584A1 (ko) 2015-10-22 2016-10-21 조립식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7089A KR101633702B1 (ko) 2015-10-22 2015-10-22 조립식 수납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702B1 true KR101633702B1 (ko) 2016-06-27

Family

ID=56344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7089A KR101633702B1 (ko) 2015-10-22 2015-10-22 조립식 수납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3702B1 (ko)
WO (1) WO201706958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110B1 (ko) * 2016-12-08 2017-07-26 김용진 조립식 수납장
KR101959516B1 (ko) *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KR20190105861A (ko) 2018-03-06 2019-09-18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수납함과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2693U (ko) * 2019-10-23 2020-12-1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의 패널 가이드 파이프
KR102356053B1 (ko) * 2020-08-19 2022-02-07 주식회사 에코이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768474B (zh) * 2020-09-10 2022-06-21 大陸商疆域康健創新醫療科技成都有限公司 裝配機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579A (ko) * 2006-05-18 2007-11-22 심응용 슬라이딩 조립방식 박스가구
KR101281525B1 (ko) 2013-01-30 2013-07-22 주식회사 두맥스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8423Y2 (ko) * 1974-06-03 1977-09-01
JP4169040B2 (ja) * 2006-04-17 2008-10-22 船井電機株式会社 壁掛け型表示装置
KR101075449B1 (ko) * 2009-03-04 2011-10-24 원욱성 조립식 수납장 및 이를 갖는 조립식 장식장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579A (ko) * 2006-05-18 2007-11-22 심응용 슬라이딩 조립방식 박스가구
KR101281525B1 (ko) 2013-01-30 2013-07-22 주식회사 두맥스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8110B1 (ko) * 2016-12-08 2017-07-26 김용진 조립식 수납장
KR101959516B1 (ko) * 2017-11-30 2019-03-18 주식회사 유일코퍼레이션 다기능성 가변형 가구
KR20190105861A (ko) 2018-03-06 2019-09-18 사회복지법인 주내자육원 수납함과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2693U (ko) * 2019-10-23 2020-12-11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의 패널 가이드 파이프
KR200493672Y1 (ko) 2019-10-23 2021-05-14 금성에이스산업(주) 산업용 선반의 패널 가이드 파이프
KR102356053B1 (ko) * 2020-08-19 2022-02-07 주식회사 에코이 다단 적층이 가능한 조립식수납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9584A1 (ko) 2017-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702B1 (ko) 조립식 수납함
US11098484B2 (en) Panels comprising a mechanical locking device and an assembled product comprising the panels
US20230033132A1 (en) Set of panels with a mechanical locking device
US11703072B2 (en) Set of panels with a mechanical locking device
US20190320793A1 (en) Set of panels with a mechanical locking device
US10138917B2 (en) Connector system for rapid assembly and disassembly of panels and other members
US20080164787A1 (en) Joint device for assembled furniture and foldable cabinet using the joint device
US4128284A (en) Construction of articles of furniture
CA2712288A1 (en) A connector assembly
US20150023759A1 (en) Fastener for Attaching Objects to Channeled Members
US20180080489A1 (en) Furniture assembly bracket, self-assembly furniture using same,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281525B1 (ko)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US20110192854A1 (en) Cabinet assembly and assembly unit thereof
KR20170116422A (ko) 조립식 수납함
KR101810743B1 (ko) 제작이 용이한 조립식 가구용 브라켓, 이를 이용한 가구, 및 이의 조립방법
CN102188109B (zh) 家具用框架
KR101838804B1 (ko) 가구의 라운드 모서리 결합구
US2258909A (en) Joint for articles of furniture
TWI690282B (zh) 用於家具的可組裝抽屜以及組裝抽屜的方法
RU13425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оединения деталей мебели
KR100846180B1 (ko)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KR102611209B1 (ko) 가구용 서랍
KR20210041891A (ko) 서랍용 칸막이
CN216044803U (zh) 活动层板托的卡接座、活动层板托和型材组合式家具
JP6106626B2 (ja) 板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