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6180B1 -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6180B1
KR100846180B1 KR1020080002267A KR20080002267A KR100846180B1 KR 100846180 B1 KR100846180 B1 KR 100846180B1 KR 1020080002267 A KR1020080002267 A KR 1020080002267A KR 20080002267 A KR20080002267 A KR 20080002267A KR 100846180 B1 KR100846180 B1 KR 1008461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hole
fastening bar
connection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훈
Original Assignee
영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광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영광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2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61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61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6180B1/ko
Priority to PCT/KR2009/000089 priority patent/WO2009088227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16Node corner connectors, e.g. cubic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55Biscuits including formed staples or the like
    • A47B2230/0062Connectors for adjacent furniture parts, the mouths of the grooves for said connectors being on the join lines of said furniture parts
    • A47B2230/0066Connectors for adjacent furniture parts, the mouths of the grooves for said connectors being on the join lines of said furniture parts said connectors being secured with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ed to dismountability or building-up from elements
    • A47B47/0066Formed panels connected without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40Joints for furnitur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못이나 나사 같은 연결부품들의 노출 없이 프레임 측벽에 다른 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된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메인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체결바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을 마련하고,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홀과 교차하는 교차홀을 마련하여 체결바를 구속하는 체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구성된다.
Figure R1020080002267
프레임, 연결구조

Description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FRAME CONNECTION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ON SIDE WALL}
본 발명은 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못이나 나사 같은 연결부품들의 노출 없이 프레임 측벽에 다른 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하는데 적당한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싱크대, 테이블, 선반 등과 같은 주방용 가구는 물론 다양한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지지를 위한 기본 골격을 구성하기 위해 압출 성형된 중공의 프레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중공의 프레임은 그 자체로 가볍고 견고하며 가공성이 용이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전통적인 사용처에서 벗어나 그 사용범위가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중공의 프레임을 연결하는 프레임 연결구조 역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에는 외부 미관이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면서 프레임의 연결을 위해 사용되는 나사, 볼트 등의 부품들이 겉으로 드러나거나 프레임 외벽에 손상을 입히지 않는 연결구조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도 1은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외관 손상을 주지 않고 두 개의 프레임(10,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두개의 프레임(10,20) 내측에 밀착되게 끼워진 후 프레임(10,20)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0)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종래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따르면 상기 연결부재(30)를 두개의 프레임(10,20)에 동시에 끼운 후 볼트(32,33,34) 및 결합편(31)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30)를 프레임(10,20)의 내측벽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1,21)에 결합시켜 고정함으로써 두개의 프레임(10,20)간을 연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기술에 따르면 볼트와 같은 연결부품들(31,32,33,34)이 외부로 노출되거나 연결부위에서 프레임(10,20) 외관이 손상되는 문제가 거의 없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에는 프레임(10,20)의 단부간을 연결시킬 수는 있었으나 프레임(10) 측벽 중간에는 프레임(20)을 연결할 수 없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프레임을 사용하여 다앙한 구조체를 형성하는데 극히 제한적이었다.
또한, 종래에는 프레임(10,20)의 단부간 이외에는 연결할 수 없는 관계로 프레임(10,20)간 연결부위의 형태 및 구조에서 많은 제약을 받았다. 따라서 가장 기본적인 사각단면 형태의 프레임(10,20)을 연결하더라도 그 연결되는 단면의 형태를 정밀하게 가공해야만 서로간에 어긋나는 문제없이 프레임(10,20)간을 연결할 수 있었다. 더욱이 원형단면이나 삼각단면 형태의 프레임을 연결한다든지 서로 다른 이형의 프레임간을 연결하는 작업은 더욱 곤란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못이나 나사 같은 연결부품들의 노출 없이 프레임 측벽에 다른 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된 체결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의 측벽으로부터 체결바가 삽입되도록 삽입홀을 마련하고,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홀과 교차하는 교차홀을 마련하여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체결부재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프레임은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 및 교차홀을 갖고,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삽입홀과 관통공이 일치하도록 위치하는 내부 결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결합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와 부합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 하나에 대하여 복수의 내부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복 수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은 자체에 삽입홀 및 교차홀을 갖는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교차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 상태로 선단부가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체결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체결바를 구속할 때 선단부가 상기 체결바의 경사면을 접촉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체결바가 상기 삽입홀에 더욱 깊이 삽입되려는 경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나사는 그 선단부가 상기 통공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부에 나선 형성된 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홀의 일단부가 태핑되어 상기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에 상기 체결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프레임 하나에 대하여 상기 연결프레임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프레임 복수개에 대응하는 개수로 삽입홀 및 교차홀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는, 못이나 나사 같은 연결부품들의 노출 없이 프레임 측벽에 다른 프레임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형태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재질의 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여러 개의 연결프레임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잡한 가공 없이 연결되는 프레임간 연결각도를 다양하게 할 수 있고, 회전방향으로도 각도를 틀어서 결합시키는데 거의 제약을 받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연결프레임을 다양한 개수로 다양한 위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바에 형성된 경사면과 체결나사의 상호작용에 의해 프레임간 연결을 견고히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결프레임 하나에 대하여 두 개 한 쌍의 체결바를 구비하여 연결프레임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이 중실 혹은 중공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의한 프레임 구조물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결합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절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못이나 나사와 같은 연결부품들의 외부노출 없이 메인프레임(110) 측면에 연결프레임(120)을 매끈하게 연결할 수 있으며, 메인프레임(110) 내부 중공에 부합된 형태로 삽입되어 지지되는 내부 결합부재(130)를 매개로 하기 때문에 메인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의 연결이 견고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과, 상기 메인프레임(110) 측벽에 상기 연결프레임(120)의 일단부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수단은 내부 결합부재(130), 체결바(140) 및 체결나사(15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0)은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111)을 구비한다. 상기 관통공(111)은 상기 메인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과 일치될 수 있도록 대응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일단부에 체결바(140)가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압출성형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고정부(121)를 구비한다. 상기 고정부(121)는 측벽 내측에 지지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끼움홀(121B)을 갖는다. 상기 끼움홀(121B)의 일단부는 태핑(Tapping)되어 암나선(121A)이 형성된다. 이로써 숫나선(141))이 형성된 체결바(140)가 고정부(121)의 일단부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그 일단부가 태핑되어 상기 체결바(140)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공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은 전술 것처럼 메인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을 연결시켜주는 매개 역할을 하며, 내부 결합부재(130), 체결바(140) 및 체결부재인 체결나사(1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 내부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나사(150)의 도움으로 체결바(140)를 구속하여 붙잡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는 메인프레임(110) 내부와 부합된 단면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는 메인프레임(1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관통공(111)과 일치시킬 수 있는 삽입홀(131)을 갖는다. 이로써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관통공(111)과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연결프레임(120)의 일단부에 고정된 체결바(140)를 삽입시켜 구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는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삽입홀(131)과 교차하는 교차홀(133)을 구비한다. 상기 교차홀(133)은 체결바(140)를 구속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체결나사(150)를 안내하고 체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결바(140)는 상기 연결프레임(120)을 메인프레임(110) 및 내부 결합부재(13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연결프레임(120) 일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관통공(111) 및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로 삽입되어 구속된다. 상기 체결바(1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체적인 외형은 원형단면을 갖는 핀 타입의 부재로서 후단부 외주면에 숫나선(141) 형성되어 암나선(121A) 형성되어 있는 연결프레임(120)의 고정부(121) 끼움홀(121B)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도 5의 확대영역(A)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체결바(140)의 선단부에는 외주면 둘레를 따라 노칭된 구속홈(1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속홈(143)은 체결바(140)의 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된 경사면(143A)을 구비한다.
이같은 체결바(140)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결프레임(120)에 후단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나머지 부위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관통공(111)을 통해 상기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에 삽입될 수 있다. 이후 체결나사(150)를 사용하여 체결바(140)를 압박하여 고정하면 체결바(140)가 구속되면서 연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내부 결합부재(130)의 교차홀(133)을 통해 삽입된 체결나사(150)의 선단부가 경사면(143A)을 접촉하여 압박함에 따라 상기 체결바(140)는 삽입홀(131)의 남은 여유공간(111A) 쪽으로 더욱 깊이 삽입되려는 경향을 갖게 되고 연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에 더욱 밀착된다.
또한, 상기 체결바(140)의 구속홈(143)에 전술된 경사면(143A)처럼 평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만이 아니라 곡면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등 같은 기능을 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체결나사(150)는 내부 결합부재(130)의 교차홀(133)에 삽입된 후 나사결합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삽입홀(131)에 삽입되어 있는 체결바(140)를 구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나사(150)의 선단부(155)는 끝이 첨예한 삼각머리 혹은 원뿔모양으로 형성되고, 후단부에는 육각드라이버(155)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육각홈(1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상기 교차홀(133)에 형성된 암나선(133A)에 대응하여 나사결합되는 숫나선(15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1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은폐되는 내부 결합부재(130)를 매개로 메인프레임(110)의 측벽에 연결프레임(120)을 견고하게 연결하면서도 연결부품들이 외부로 전혀 노출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를 사용하여 메인프레임(110)과 연결프레임(120)을 연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의한 프레임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메인프레임(110) 측벽에 연결프레임(120)을 연결하기 위해서, 먼저 도 6a와 같이 메인프레임(110) 일단의 개구부(113)를 통해 내부 결합부재(130)를 밀어 넣는다. 이때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과 메인프레임(110) 측벽에 형성된 관통공(111)이 일치하도록 내부 결합부재(130)를 위치시킨다.
이후, 도 6b와 같이 체결바(140)를 고정시킨 연결프레임(120)의 일단부를 상기 관통공(111) 근처에 접근시킨 후 상기 체결바(140)를 메인프레임(110)의 관통공(111)을 통해 내부 결합부재(130)의 삽입홀(131)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연결프레임(120)이 메인프레임(110)의 측벽에 인접된다.
이후, 도 6c와 같이 내부 결합부재(130)의 교차홀(133)에 체결나사(150)를 삽입한 후 육각드라이버(157)를 사용하여 교차홀(133)과 체결나사(150)를 나사체결한다. 그러면 도 6d와 같이 체결나사(150)의 선단부(155)가 체결바(140)에 형성된 구속홈(143)의 경사면(143A)을 접촉하여 압박하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나사(150)와 경사면(143A)의 작용으로 인해 체결바(140)가 밀려들어가면서 삽입홀(131)의 여유공간(111A)으로 더욱 깊숙이 삽입되려는 경향을 갖게 된다. 이로써 상기 연결프레임(120)은 상기 메인프레임(110)의 측벽에 더욱 강하게 밀착된다.
이후, 체결나사(150)를 체결하는데 사용한 육각드라이버(157)를 체결나사(150)로부터 분리해내면 메인프레임(110)에 대한 연결프레임(120)의 연결작업이 완료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13은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 7은 메인프레임(110-2)에 사각단면의 연결프레임이 아닌 원형단면의 연결프레임(120-2)이 연결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110-2)에 연결되는 연결프레임(120-2)의 형태 및 재질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사각단면이나 원형단면뿐만 아니라 타원형 단면, 삼각단면, 오각단면, 육각단면을 갖는 연결프레임(120-2)도 연결 가능하다. 또한, 재질에 있어서도 메인프레임(110-2) 및 연결프레임(120-2) 모두 스테인리스 스틸이나 알루미늄은 물론, 강화플라스틱, 대나무 등 다양한 재질의 것으로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프레임(110-2) 및 연결프레임(120-2)은 반드시 동일할 재질로 구비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메인프레임(110-2)에 대한 연결프레임(120-2)의 결합이 메인프레임(110-2) 내부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내부 결합부재를 매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도 8 및 도 9는 메인프레임(110-3,110-4)이 각각 삼각단면과 원형단면의 프레임으로 구비된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110-3,110-4)의 형태 역시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그 내부에 삽입되는 내부 결합부재(130-3,130-4)의 형태도 변형된 메인프레임(110-3,110-4)에 부합되는 형태로 맞춰주는 것이 구조적으로 견고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8에서는 내부 결합부재(130-3)가 삼각단면의 것으로 구비되었고 도 9에서는 내부 결합부재(130-4)가 원형단면의 것으로 구비된 것을 볼 수 있다(하지 만 반드시 내부 결합부재(130-3,130-4)의 형태를 변형된 메인프레임(110-3,110-4)에 부합된 형태로 맞춰주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된 체결바(140-3)를 살펴보면 변형전 경사면(143A)을 갖는 구속홈(143)을 대신하여 통공(143-3)이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처럼 상기 체결바(140-3)에 통공(143-3)을 구비하고, 체결나사(150)의 선단부(155)가 상기 체결바(140-3)의 통공(143-3)을 관통하여 구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 이 경우 체결바(140-3)의 통공(143-3)이 체결나사(150)의 방향으로 맞추어져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도 10은 메인프레임(110-5)에 연결프레임(120-5)이 비스듬히 경사지게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메인프레임(110-5)에 대하여 연결프레임(120-5)의 연결각도를 다양화하기 용이하다. 단 이처럼 연결프레임(120-5)을 비스듬히 연결할 때에는 체결바(143-5)에 대응하여 내부 연결부재(130-5)에 형성된 삽입홀(131-5)도 비스듬히 형성시켜야 한다.
도 11은 메인프레임(110-6) 하나에 대하여 복수의 연결프레임(120-6,120-7)이 연결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하나의 메인프레임(110-6)에 대하여 여러 개의 연결프레임(120-6,120-7)을 연결하기 편리하다. 단 이 경우에는 내부 결합부재(130-6)에 체결되는 체결바들(140-6,140-7) 및 체결나사들(미도시됨)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삽입홀(131-6) 및 교차홀(133-6,133-7)들의 위치 설계를 신중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는 하나의 메인프레임(110-6)에 몇 개의 연결프레임(120-6,120-7)을 연결하는데 편 리하다.
도 12는 메인프레임(110-6) 하나에 대하여 여러 개의 내부 결합부재(130-6,130-8)가 구비되어 다수의 연결프레임(120-6,120-7,120-8)이 연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도 13은 메인프레임(110-9) 및 연결프레임(120-9)이 중공이 아닌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같은 변형실시예에서는 별도로 구비되던 내부 결합부재(130 도 4 참조)가 생략되고 체결바(140-9)가 삽입되는 삽입홀(131-9)과 체결나사(150-9)가 삽입되는 교차홀(133-9)이 메인프레임(110-9) 자체에 형성된다. 연결프레임(120-9)의 경우도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그 일단부에 체결바(140-9)가 고정되도록 태핑에 의한 나사공(121B-9)이 형성된다. 그리고 그 외 나머지 구성을 변형전과 다르지 않다.
도 13에서는 메인프레임(110-9) 및 연결프레임(120-9) 모두가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 중 어느 하나만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변형전과 같이 중공의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같이 메인프레임(110-9) 및 연결프레임(1200-9) 중 적어도 하나가 중실의 프레임으로 구비된 경우에도 도 7 내지 도 12에서 보여진 변형실시예들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 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프레임 연결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의한 프레임 구조물을 보여주는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내부 결합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부분절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프레임 연결구조에 의한 프레임 연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메인프레임 111 : 관통공
120 : 연결프레임 121 : 고정부
130 : 내부 결합부재 131 : 삽입홀
140 : 체결바 143 : 경사홈
150 : 체결나사

Claims (12)

  1. 측벽에 관통공이 형성된 중공의 메인프레임과;
    연결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의 일단부에 고정된 체결바와;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상기 메인프레임 측벽의 관통공을 통해 상기 체결바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삽입홀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홀과 교차하도록 마련된 교차홀을 구비하는 내부 결합부재와;
    상기 교차홀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상기 삽입홀에 삽입된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결합부재는 상기 메인프레임 내부와 부합하는 단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 하나에 대하여 복수의 내부 결합부재가 구비되어 복수의 연결프레임이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교차홀에 삽입되어 나사결합된 상태로 선단부가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체결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는 둘레를 따라 형성된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체결바를 구속할 때 선단부가 상기 체결바의 경사면을 접촉하여 압박함으로써 상기 체결바가 상기 삽입홀에 더욱 깊이 삽입되려는 경향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바는 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나사는 그 선단부가 상기 통공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체결바를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일단부에 나선 형성된 나사공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바는 상기 나사공에 나사결합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압출성형에 의해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끼움홀을 구비하고, 상기 끼움홀의 일단부가 태핑되어 상기 나사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에 상기 체결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연결프레임의 불필요한 회전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12. 삭제
KR1020080002267A 2008-01-08 2008-01-08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KR1008461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67A KR100846180B1 (ko) 2008-01-08 2008-01-08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PCT/KR2009/000089 WO2009088227A2 (ko) 2008-01-08 2009-01-08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2267A KR100846180B1 (ko) 2008-01-08 2008-01-08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6180B1 true KR100846180B1 (ko) 2008-07-14

Family

ID=39824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2267A KR100846180B1 (ko) 2008-01-08 2008-01-08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46180B1 (ko)
WO (1) WO2009088227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210B1 (ko) * 2012-03-15 2012-12-04 주식회사 야흥금속 프레임 연결구조
KR20200100362A (ko) * 2019-02-18 2020-08-26 김동환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79213B (en) * 2018-11-23 2022-11-09 Causeway Aero Group Ltd An improved join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1142A1 (en) * 1983-03-09 1984-10-10 Dow Corn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shaping a distal femoral surface
JPH11169241A (ja) * 1997-12-10 1999-06-29 Sankyuu Shokai:Kk 棚装置を構成する部材の接合構造及び棚装置
JP2001123628A (ja) * 1999-10-28 2001-05-08 Atom Livin Tech Co Ltd 手摺用連結部材
KR20060070600A (ko) * 2004-12-21 2006-06-26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57190A5 (de) * 1982-11-01 1986-08-15 Syma Intercontinental Sa Klemmvorrichtung zum loesbaren verbinden zweier profilstuecke.
IT1315150B1 (it) * 2000-11-27 2003-02-03 M F Metalforniture S R L Dispositivo e metodo per l'assemblaggio di telai smontabili di mobili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21142A1 (en) * 1983-03-09 1984-10-10 Dow Corn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shaping a distal femoral surface
JPH11169241A (ja) * 1997-12-10 1999-06-29 Sankyuu Shokai:Kk 棚装置を構成する部材の接合構造及び棚装置
JP2001123628A (ja) * 1999-10-28 2001-05-08 Atom Livin Tech Co Ltd 手摺用連結部材
KR20060070600A (ko) * 2004-12-21 2006-06-26 영광금속 주식회사 프레임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7210B1 (ko) * 2012-03-15 2012-12-04 주식회사 야흥금속 프레임 연결구조
KR20200100362A (ko) * 2019-02-18 2020-08-26 김동환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151642B1 (ko) * 2019-02-18 2020-09-03 김동환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88227A3 (ko) 2009-10-08
WO2009088227A2 (ko) 2009-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781B2 (en) Connector assembly
US3864051A (en) Connecting means for tubular members
EP3017201B1 (en) A tube connector
KR101633702B1 (ko) 조립식 수납함
KR100846180B1 (ko) 측벽 연결이 가능한 프레임 연결구조
JP5090288B2 (ja) 角パイプ接続装置
US8813344B2 (en) Profile connector and profile composite
KR200467577Y1 (ko) 가구용 조립구
WO2014119874A1 (ko) 프로파일의 연결 조립장치
TW201636516A (zh) 螺紋緊固組件及其螺合件
CN107940082B (zh) 一种龙头手柄
TW300272B (ko)
FR2717870A1 (fr) Système de fixation pour structures en barres profilées.
KR102151642B1 (ko) 바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3044433A (ja) ジョイント部材、組み立てフレーム、組み立てキット、及び、ジョイント部材セット
KR200331824Y1 (ko) 선반
KR200489569Y1 (ko) 가구 프레임용 파이프의 결합구조
KR20200101052A (ko) 프레임의 직교 결합구조를 구비한 프레임 가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187816Y1 (ko) 파이프 연결구
KR200456387Y1 (ko) 암수 결합형 선반다보
KR101034662B1 (ko) 가구용의 직교방향 프레임 연결구조물
KR100788030B1 (ko) 조립식 구조물
CN216517332U (zh) 淋浴门防松拉手结构
TWM547609U (zh) 防鬆脫螺栓組件
KR102013028B1 (ko) 모듈식 가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