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679B1 - 스피커 장치 - Google Patents

스피커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679B1
KR101633679B1 KR1020150031438A KR20150031438A KR101633679B1 KR 101633679 B1 KR101633679 B1 KR 101633679B1 KR 1020150031438 A KR1020150031438 A KR 1020150031438A KR 20150031438 A KR20150031438 A KR 20150031438A KR 101633679 B1 KR101633679 B1 KR 1016336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speaker unit
speaker
piec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준오
사공석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터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터엠
Priority to KR102015003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6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6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6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6Supports for loudspeaker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1Transducers or their casings adapted for mounting in or to a wall or cei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스피커 장치가 소개된다.
스피커 장치는 돌출되는 전방부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이 벽부에 고정가능한 바디와, 수납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바디에 착탈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피커 장치{SPEAKER APPARATUS}
본 발명은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물의 벽부에 매립되거나 벽부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피커 장치는 전기신호를 입력 받아 소리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스피커 장치는 아파트, 공장과 같은 건물의 벽면, 천장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설치되는 방식에 따라 매립형 스피커 장치과돌출형 스피커 장치로 나뉠 수 있다.
매립형 스피커 장치는 스피커 장치를 벽의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외부에서 보기에 깔끔한 느낌을 줄 수 있으나, 유지 보수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돌출형 스피커 장치는 유지 보수가 용이하기는 하나, 벽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므로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두 가지 형태의 스피커 장치는 설치 방법이 상이하기 때문에, 스피커 장치의 제조사는 동일한 성능의 스피커 장치라고 하더라도 설치 환경에 따라 다른 타입의 스피커 장치를 제조해야한다.
또한, 사용자들은 특정 타입의 스피커 장치를 별도로 구매, 관리, 설치해야 하므로 효율적인 관리가 어렵다. 특히, 스피커 장치가 설치되는 주변 환경이 변경되는 경우 또 다른 타입의 스피커 장치를 구매해야 하므로, 사용자의 경제적인 부담은 커지게 된다.
특허문헌: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16232호 (2006. 05. 08.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매립되거나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는 스피커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피커 장치는, 돌출되는 전방부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이 벽부에 고정가능한 바디; 및 상기 수납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에 착탈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유닛은 중앙에 그릴판이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벽부에 선택적인 고정이 가능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 1 고정홀과, 상기 벽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 2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홀이 상기 바디에 고정될 때, 상기 제 1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리브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벽부에 고정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측벽을 제공하는 측벽부; 및 상기 스피커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측벽부에는 상기 스피커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연통홀과, 상기 연통홀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는 탈거편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탈거편은 제 1 탈거편; 및 상기 제 1 탈거편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탈거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제 1 탈거편과 제 2 탈거편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리브; 및 상기 제 2 탈거편과 상기 연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유닛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 가능한 끼움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부에는 상기 레일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피커를 건물의 벽부에 매립하거나 벽부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들은 특정 타입의 스피커 장치를 별도로 구매, 관리, 설치하지 않을 수 있고, 결국, 스피커 장치의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스피커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바디의 연통홀에서 탈거편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굵기에 맞는 연통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의 바디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장치는, 벽부(W)에 고정가능한 바디(100)와, 바디(100)에 고정되거나 벽부(W)에 고정 가능한 스피커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벽부(W)는 건물의 측벽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스피커 장치가 설치 가능한 모든 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벽부(W)는 건물의 측벽뿐만 아니라, 건물의 천정벽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바디(100)는 벽부(W)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케이스로, 스피커유닛(200)을 수납하기 위해, 건물 내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바디(100)는 일면이 개방되는 직육면체 형태의 케이스로 이루어질 수 있고, 스피커의 설치가 필요한 건물의 측벽이나 천정벽에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바디(100)에는 스피커유닛(200)을 설치하기 위한 수납공간(101)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수납공간(101)은 스피커유닛(200)이 수용가능한 용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유닛(200)은 수납공간(101) 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바디(10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바디(100)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지지부(110)와, 바디(100)의 측벽을 제공하는 측벽부(120)와, 스피커유닛(200)을 지지하도록 지지부(110)에서 돌출되는 리브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10)에는 체결부재(202)를 통해 벽부(W)에 고정되기 위해, 체결부재(202)가 삽입되는 다수개의 고정홀(125)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10)의 중앙에는 스피커유닛(200)의 전선이 선택적으로 관통 가능한 관통홀(124)이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10)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리브부(130)가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바디(100)의 측벽부(120)는 바디(100) 내 수납공간(101)이 형성되도록 지지부(110)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특히, 바디(100)의 측벽부(120)에는 스피커유닛(200)에 연결되는 전선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연통홀(121) 및 탈거편(122)이 마련될 수 있다. 이 연통홀(121) 및 탈거편(12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부(120)에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통홀(121) 및 탈거편(122)은 바디(100)의 모든 벽부(W)에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21)은 스피커유닛(200)에 연결된 전선이 통과 가능한 이동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 이동통로는 탈거편(122)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탈거편(122)은 연통홀(121)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리브(123)를 통해 연통홀(121)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탈거편(122)은 작은 사이즈의 제 1 탈거편(122a)과, 제 1 탈거편(122a)의 가장자리를 두르도록 제 1 탈거편(122a)보다 큰 사이즈로 구성된 제 2 탈거편(12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 1 탈거편(122a)과 제 2 탈거편(122b)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 1 연결리브(123a)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제 2 탈거편(122b)과 연통홀(121)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제 2 연결리브(123b)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스피커유닛(200)의 전선이 얇은 굵기의 전선인 경우, 제 1 연결리브(123a)를 절개하여 제 1 탈거편(122a)을 제 2 탈거편(122b)으로부터 분리하면, 제 1 탈거편(122a)이 제거된 공간을 통해, 얇은 굵기의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반면에, 스피커유닛(200)의 전선이 두꺼운 굵기의 전선인 경우, 제 2 연결리브(123b)를 절개하여 제 1 탈거편(122a) 및 제 2 탈거편(122b)을 연통홀(121)로부터 분리하면, 제 1 탈거편(122a) 및 제 2 탈거편(122b)이 제거된 공간을 통해, 두꺼운 굵기의 전선이 통과될 수 있다.
측벽부(120)의 가장자리에는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끼움홈(103)이 형성될 수 있다. 바디(100)와 스피커유닛(200) 간의 조립시, 끼움홈(103)에는 스피커유닛(200)의 커버(210)에 형성된 끼움돌기(미도시)가 끼워져 조립될 수 있다.
바디(100)의 리브부(130)에는 리브돌기(102) 및 리브홈(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리브돌기(102) 및 리브홈(104)에는 후술하는 스피커유닛(200)의 지지판(220)이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220)이 리브부(130)에 조립될 때, 리브홈(104)에는 지지판(220)의 제 1 고정홀(221)을 관통한 체결부재(202)가 고정될 수 있고, 리브돌기(102)는 지지판(220)의 제 1 고정홀(221)에 삽입되므로, 지지판(220)의 원활한 조립을 안내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200)은 바디(100)에 고정되거나 벽부(W)에 고정 가능한 구조로, 커버(210), 지지판(220), 스피커(230) 및 트랜스(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200)의 커버(210)는 스피커유닛(200)의 전면을 덮는 구성으로, 중앙에 그릴판(21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릴판(211)은 중앙으로 구배진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위에는 다수개의 소리홀이 천공될 수 있다. 물론, 그릴판(211)의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플레이트 형태, 구 형태, 사각 형태 등으로 변경될 수 있다.
커버(210)의 후면에는 지지판(220)의 체결홈(221)에 끼워 조립이 가능한 체결돌기(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체결돌기는 커버(210)를 제외한 스피커유닛(200) 구성이 바디(100)에 고정되거나 벽부(W)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판(220)의 체결홈(221)에 끼워 고정될 수 있다.
지지판(220)은 중앙이 천공된 플레이트 형상의 브라켓으로, 체결홈(221)에 의해 커버(210)의 후면에 조립될 수 있다. 이 지지판(220)은 체결부재(202)를 통해 바디(100)에 장착되거나, 벽부(W)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220)에는 바디(100)의 리브홈(104)에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202)가 삽입되는 제 1 고정홀(221)과, 벽부(W)에 고정을 위한 체결부재(202)가 삽입되는 제 2 고정홀(222)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220)에는 스피커(230) 및 트랜스(24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스피커(230)는 트랜스(240)에 접속되어 전기적인 신호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고, 트랜스(240)는 입력되는 입력된 오디오신호의 잡음을 제거할 수 있다. 이들 스피커(230) 및 트랜스(240)는 일반적인 스피커 장치에 사용되는 스피커 및 트랜스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르면, 스피커유닛(200)의 지지판(220)과 커버(21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220)의 양측부에는 지지판(22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일부(212)는 양측 가장자리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되는 레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버(210)의 양측부에는 커버(210)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홈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레일홈부(211)는 레일부(212)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가이드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210)는 스피커유닛(200)의 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지지판(220)에 조립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스피커 장치는, 벽부(W)에 고정가능한 바디(100)와, 바디(100)에 고정되거나 벽부(W)에 고정 가능한 스피커유닛(200)을 포함하되, 바디(100)에서 스피커유닛(200)을 분리하여 벽부(W)에 매립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스피커유닛(200)이 바디(100)에 조립된 상태인 경우, 먼저, 스피커유닛(200)을 바디(100)에서 분리한 후, 스피커유닛(200)의 지지판(220)에 형성된 제 2 고정홀(222)을 통해 벽부(W)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유닛(200)을 바디(10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커버(210)를 스피커유닛(200)에서 분리한 후, 리브홈(104)에 고정된 체결부재(202)를 바디(100)에서 분리함으로써, 스피커유닛(200)을 바디(10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스피커유닛(200)이 바디(100)에서 분리되면, 분리된 스피커유닛(200)을 벽부(W)의 벽홀(W2)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 2 고정홀(222)을 관통한 체결부재(202)를 중앙이 천공(W1)된 벽부(W)의 벽홀(W2)에 고정한 후, 커버(210)의 체결돌기를 지지판(220)의 체결홈(221)에 끼워 고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스피커를 통해, 건물의 벽부에 매립되거나 돌출되게 설치할 수 있으므로, 벽부에 매립 가능한 매립형 스피커나, 벽부에 돌출되게 설치되는 돌출형 스피커를 별도로 구매 및 관리하지 않아도 되어 자재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고, 스피커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의 굵기에 따라, 바디의 연통홀에서 탈거편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전선의 굵기에 맞는 연통홀의 크기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바디 101 :수납공간
102 :리브돌기 103 :끼움홈
110 :지지부 120 :측벽부
130 :리브부 200 :스피커유닛
210 :커버 220 :지지판
230 :스피커

Claims (9)

  1. 돌출되는 전방부의 내측에 수납공간이 마련되고, 후면이 벽부에 고정가능한 바디; 및
    상기 수납공간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도록 상기 바디에 착탈되는 스피커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는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벽부에 고정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가장자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바디의 측벽을 제공하는 측벽부와, 상기 스피커유닛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부에서 돌출되는 리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디의 측벽부에는 상기 스피커유닛에 연결되는 전선이 통과되는 연통홀과, 상기 연통홀에서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리브를 통해 상기 연통홀에 연결되는 탈거편이 마련되고, 상기 연통홀 및 탈거편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측벽부에 마련되며,
    상기 탈거편은 제 1 탈거편; 및 상기 제 1 탈거편의 가장자리를 두르는 제 2 탈거편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리브는 상기 제 1 탈거편과 제 2 탈거편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리브와, 상기 제 2 탈거편과 상기 연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리브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유닛은
    중앙에 그릴판이 마련되는 커버;
    상기 커버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바디 또는 상기 벽부에 선택적인 고정이 가능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장착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는 스피커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상기 바디에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 1 고정홀과, 상기 벽부에 고정되도록 체결부재가 삽입 가능한 제 2 고정홀이 형성되는 스피커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체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 1 고정홀이 상기 바디에 고정될 때, 상기 제 1 고정홀에 삽입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고정 위치를 안내하는 리브돌기가 마련되는 스피커 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가장자리에는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의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피커유닛에는 상기 끼움홈에 결합 가능한 끼움돌기가 돌출되는 스피커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양측부에는
    상기 지지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양측부에는
    상기 레일부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커버의 양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레일홈부가 형성되는 스피커 장치.
KR1020150031438A 2015-03-06 2015-03-06 스피커 장치 KR1016336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38A KR101633679B1 (ko) 2015-03-06 2015-03-06 스피커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1438A KR101633679B1 (ko) 2015-03-06 2015-03-06 스피커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679B1 true KR101633679B1 (ko) 2016-06-27

Family

ID=5634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1438A KR101633679B1 (ko) 2015-03-06 2015-03-06 스피커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6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3519A (zh) * 2018-12-21 2019-03-01 东莞市声电子科技有限公司 一壳两用音箱腔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30Y1 (ko) * 2003-03-28 2003-06-27 박남칠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200416232Y1 (ko) 2006-01-25 2006-05-12 변희선 댐퍼와 스팀 히터가 설치된 선박의 팬룸
KR100683262B1 (ko) * 2005-09-08 2007-02-15 권영현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의 벽면 고정장치
KR20090079591A (ko) * 2008-01-18 2009-07-22 정종기 스피커용 커버어셈블리
KR200446403Y1 (ko) * 2009-03-27 2009-10-27 주식회사 인터엠 스피커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8230Y1 (ko) * 2003-03-28 2003-06-27 박남칠 케이블관의 밀폐 설치구조
KR100683262B1 (ko) * 2005-09-08 2007-02-15 권영현 스피커 어셈블리 및 이의 벽면 고정장치
KR200416232Y1 (ko) 2006-01-25 2006-05-12 변희선 댐퍼와 스팀 히터가 설치된 선박의 팬룸
KR20090079591A (ko) * 2008-01-18 2009-07-22 정종기 스피커용 커버어셈블리
KR200446403Y1 (ko) * 2009-03-27 2009-10-27 주식회사 인터엠 스피커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13519A (zh) * 2018-12-21 2019-03-01 东莞市声电子科技有限公司 一壳两用音箱腔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022766A1 (ja) ヘッドフォン型音響装置
US10567858B2 (en) Loudspeaker module and terminal device
US946271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se
US6741720B1 (en) In-wall loudspeaker system
WO2015022765A1 (ja) ヘッドフォン型音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2785072B1 (en) Enclosure speaker with side acoustic emission structure
EP2582154A2 (en) Micro speaker module
EP1465452A3 (en) Narrow opening electroacoustical transducing
KR20170060068A (ko) 이동 단말의 스피커 방진 구조와 스피커 방진 구현 방법
US20140314265A1 (en) Headphones with rotatable speaker arranged within housing of earpiece assembly
JP4744484B2 (ja) ドアホン子機装置
CN108270892B (zh) 一种壳体组件、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A2578697A1 (en) Loudspeaker with an integrated woofer frame and baffle component
KR101633679B1 (ko) 스피커 장치
EP3186975B1 (en) Loudspeaker audio accessory for a communication device
US9479862B2 (en) Acoustic box structure
CN204350284U (zh) 声学设备
KR101455790B1 (ko) 블루투스 스피커
US9584892B2 (en) Speaker and showerhead assembly
CN101329895A (zh) 用于容纳便携式媒体播放器的容器
US20190132660A1 (en) Speaker tower with individual speaker enclosures
KR100965871B1 (ko) 스피커 인클로져
EP3081005B1 (en) Device for the diffusion of sound
JP6455006B2 (ja) スピーカ装置
EP1939884A1 (en) On-vehicle acoustic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