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3580B1 - 유모차 보조 기구 - Google Patents

유모차 보조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3580B1
KR101633580B1 KR1020150000622A KR20150000622A KR101633580B1 KR 101633580 B1 KR101633580 B1 KR 101633580B1 KR 1020150000622 A KR1020150000622 A KR 1020150000622A KR 20150000622 A KR20150000622 A KR 20150000622A KR 101633580 B1 KR101633580 B1 KR 1016335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carriage
support
slide bar
belt member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호
김동은
한동연
이지혜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00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35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35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35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that are adjustable, attachable or detach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유모차 보조 기구가 개시된다. 유모차에 탈착되는 유모차 보조 기구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 일부위에 체결되는 벨트부재; 및 일단은 상기 벨트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모차의 핸들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모차를 지지하도록 상기 착용자와 상기 유모차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모차 보조 기구{Assistance device for baby carriag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모차 보조 기구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는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 필수품으로 자리잡았다. 기존의 유모차를 평지에서 이용하거나 일반적인 상황에서 이용하는 경우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그러나, 유모차를 경사진 내리막길 또는 오르막길에서 사용하는 경우, 유모차 추락이나 미끄러짐 등의 사고 위험성이 매우 높다. 2009년 한국 소비자원 자료에 따르면, 유모차 안전사고의 80.1%가 추락 또는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일 정도로 사고 위험성은 매우 크다.
또한, 최근 정보통신 기기의 발달로 유모차를 이용하면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일이 급증하는 추세이며, 특히 신호 대기와 같이 이동이 잠시 멈춰지는 상황에서의 스마트폰과 같은 정보통신 기기의 이용으로 인한 유모차 안전사고 또한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유모차 추락 또는 미끄러짐과 같은 안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사용자의 유모차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내리막길이나 경사에서 유모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모차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모차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주행 도중 무거운 유모차를 밀고 당길 때 허리의 힘이 잘 전달되어 보다 수월하게 유모차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는 유모차 보조 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하고 손목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유모차 보조 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모차에 탈착되는 유모차 보조 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 일부위에 체결되는 벨트부재; 및 일단은 상기 벨트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모차의 핸들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모차를 지지하도록 상기 착용자와 상기 유모차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내부 홀이 형성되되, 상기 내부 홀의 일단에는 탄성부재가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내부 홀에 고정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은 상기 벨트부재에 고정되되,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내부 홀에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2단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면에는 길이 조정을 위한 조절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절 홀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의 면에 대면하는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 홀을 조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길이 조정을 위한 조절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절 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바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상기 유모차 핸들 일측면에 상기 지지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 각각은, 일단은 상기 체결부재에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 일체로 구성되는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360도 회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보조 기구를 제공함으로써, 내리막길이나 오르막길과 같은 경사에서 유모차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안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목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주행 도중 무거운 유모차를 밀고 당길 때 허리의 힘이 잘 전달되어 보다 수월하게 유모차를 움직일 수 있어 무거운 유모차 이용에 따른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주행 도중 사용자의 손 사용에 대한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보조 기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길이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내부 공간에 일체화된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와 회전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 유모차 보조 기구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일면에 구성된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보조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길이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 내부 공간에 일체화된 탄성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의 회전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와 회전부재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에 유모차 보조 기구를 결합한 것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일면에 구성된 발광소자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를 유모차에 결합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모차 보조 기구(100)는 벨트부재(110) 및 복수의 지지부재(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벨트부재(110)는 유모차 보조 기구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예를 들어, 허리)가 맞닿는 부분이다. 즉, 벨트부재(110)는 유모차 보조 기구(100)가 실체 착용자의 신체 일부분에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벨트부재(110)는 유모차 핸들 양쪽에 각각 결합되는 각 지지부재(120)의 일면에 고정된 형태로 구성된다. 벨트부재(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분리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각 벨트부재(110)의 일단은 각 지지부재(120)의 일단에 고정되고, 각 벨트부재(110)의 타단은 각 벨트부재(110)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부재(115)가 형성된다.
따라서, 각 벨트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115)를 상호간 연결시킴으로써 착용자는 자신의 신체 일부분(즉, 허리)에 벨트부재(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벨트부재(110)의 타단은 각 지지부재(120)의 일단에 고정된 형태로, 각 벨트부재(110)가 연결부재(115)에 의해 상호 결합된 상태가 아닌 경우, 벨트부재(110)는 지지부재(120)에 형성된 내부 홀에 삽입된 형태로 보관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115)는 버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벨트부재(110)에 형성된 연결부재(115)가 버클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외에도 벨트부재(110)를 결합하기 위한 구성인 경우 모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120)는 유모차 핸들 양쪽에 각각 결합되어 유모차와 착용자를 고정하고, 지탱/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0)는 2단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20)의 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소자는 LED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흐린날이나 어두운 날에 유모차를 이용하는 경우, 발광 소자를 통해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지지부재(120)는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바(122)와 지지바(122)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바(1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지지바(122)의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드바(124)를 인입 또는 인출시켜 슬라이드바(12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지지부재(120)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유모차 보조 기구(100)를 착용하는 착용자의 신체 구조에 적합하도록 지지부재(120)를 조절하여 착용자의 보폭등에 맞춰 손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유모차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슬라이드바(124)의 길이 조절은 슬라이드 바(124)의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홀(126)을 지지바(124)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홀(128)에 일치시켜 길이를 조절하고, 이들 홀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다(도 4 참조).
다른 예를 들어, 슬라이드바(124)의 일면의 일부 영역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지지바(122)의 일면에는 길이 조절을 위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해당 돌기를 지지바(122)에 형성된 홀에 삽입함으로써 길이를 조절하고 고정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 일면에는 탄성부재(510)이 결합된다.
즉, 탄성부재(510)의 일단은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 일면에 일체로 구성되며, 탄성부재(510)의 타단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부재(110)의 일면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510)에 의해 벨트부재(110)는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탄성부재(510)이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의 일면(보다 상세하게 저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벨트부재(110)는 연결부재(115)에 의해 체결된 상태가 아니면, 탄성부재(510)에 의해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게 된다.
반면, 벨트부재(110)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부재(115)가 체결되는 경우,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에서 인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벨트부재(110)가 착용자에 의해 착용되지 않은 미사용 상태인 경우, 지지부재(120)의 내부 공간에 말려 들어가도록 구성하여 유모차 보조 기구(100)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510)가 슬라이드바(124)의 내부 공간의 일면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예를 들어, 탄성부재(510)는 지지바(122)의 내부 공간의 저면에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탄성부재(510)의 벨트부재(110)과 연결되는 일면에는 롤러를 통해 벨트부재(110)과 결합될 수 있으며, 롤러에 의해 벨트부재(110)는 감기거나 풀리는 형태로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지지바(122)의 하부면에는 회전부재(130)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바(122)의 하부면은 지지바(122)의 내부면으로 슬라이드바(124)가 슬라이드되는 면의 반대쪽 저면일 수 있다.
회전부재(130)는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지지부재(120)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상응하여 좌우로의 조향 및 이동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도 6에는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른 회전부재(130)의 좌/우 회전에 대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따라 착용자는 좌/우 회전이 보다 편안하게 유모차를 움직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회전부재(130)의 일면은 체결부재(140)에 고정된다.
체결부재(140)는 유모차 일부 영역(예를 들어, 유모차 핸들의 일 영역)에 체결을 위한 수단이다. 체결부재(140)는 클립 형태로 구성되며, 유모차 핸들을 감싸는 방식으로 유모차 핸들에 체결된다. 이어, 체결부재(140)는 회전부재(130)의 일면에 형성된 고정 홀을 통해 나사가 체결되어 회전부재(130)가 체결부재(14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40)는 각 유모차의 바에 부착 가능하도록 설계하여 굵기를 맞출 수도 있다. 또한, 벨트부재(110)와 지지부재(120)를 포함한 유모차 보조 기구를 유모차에 체결하여 이용하지 않는 경우, 체결부재(140)만을 제외한 나머지를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보관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8에는 유모차 보조 기구가 유모차에 체결된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지부재(120)가 유모차 핸들 양쪽에 각각 결합되고, 지지부재(120)의 일면에 고정된 벨트부재(110)의 연결부재(115)를 결합함으로써 착용자와 유모차를 연결 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벨트부재
120: 지지부재
130: 회전부재
140: 체결부재

Claims (11)

  1. 유모차에 탈착되는 유모차 보조 기구에 있어서,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에 의해 착용자의 신체 일부위에 체결되는 벨트부재; 및
    일단은 상기 벨트부재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유모차의 핸들 양측에 결합되며, 상기 유모차를 지지하도록 상기 착용자와 상기 유모차를 연결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의 일단에는 상기 착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좌우로의 조향 및 이동에 따라 360도 회전이 가능한 회전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유모차 핸들의 일측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벨트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내부 홀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홀의 일단에는 탄성부재가 일체로 구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에는 상기 벨트부재가 고정되며, 상기 벨트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에 형성된 상기 내부 홀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외측에 형성되는 지지바; 및
    상기 지지바 내부면을 따라 슬라이드되는 슬라이드 바를 포함하는 2단 슬라이드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면에는 길이 조정을 위한 조절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절 홀이 형성된 슬라이드 바의 면에 대면하는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 홀을 조정시키기 위한 나사가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의 일면에는 길이 조정을 위한 조절 홀이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조절 홀이 형성된 상기 지지바의 내부면과 대면하는 상기 슬라이드 바의 일면에는 상기 조절 홀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바와 상기 슬라이드 바를 고정시키기 위한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의 외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 소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조 기구.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따른 유모차 보조 기구가 결합된 유모차.
KR1020150000622A 2015-01-05 2015-01-05 유모차 보조 기구 KR1016335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2A KR101633580B1 (ko) 2015-01-05 2015-01-05 유모차 보조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622A KR101633580B1 (ko) 2015-01-05 2015-01-05 유모차 보조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3580B1 true KR101633580B1 (ko) 2016-06-24

Family

ID=5634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622A KR101633580B1 (ko) 2015-01-05 2015-01-05 유모차 보조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35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72A1 (ko) * 2017-06-02 2018-12-06 이청림 핸즈프리 유모차
GB2582734A (en) * 2019-01-30 2020-10-07 Ikegulu Ify Mother to baby pram pushchair bel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19U (ja) * 1991-10-03 1993-04-27 大一産業株式会社 トレー運搬車
JP2000500351A (ja) * 1995-10-24 2000-01-18 ウォルシュ.ポール 牽引装置
US6349949B1 (en) * 1999-06-21 2002-02-26 Kristin S. Gorringe Baby stroller harness for joggers
KR200374022Y1 (ko) * 2004-10-29 2005-01-27 주식회사 한국이어폰텍 유모차의 발광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219U (ja) * 1991-10-03 1993-04-27 大一産業株式会社 トレー運搬車
JP2000500351A (ja) * 1995-10-24 2000-01-18 ウォルシュ.ポール 牽引装置
US6349949B1 (en) * 1999-06-21 2002-02-26 Kristin S. Gorringe Baby stroller harness for joggers
KR200374022Y1 (ko) * 2004-10-29 2005-01-27 주식회사 한국이어폰텍 유모차의 발광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21772A1 (ko) * 2017-06-02 2018-12-06 이청림 핸즈프리 유모차
GB2582734A (en) * 2019-01-30 2020-10-07 Ikegulu Ify Mother to baby pram pushchair bel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44854B1 (en) Gripping apparatus for handheld devices
CN108803019B (zh) 头戴式显示装置
US20150342529A1 (en) Optical pulse-rate sensor pillow assembly
US20110005878A1 (en) Handle of a two pulling rod suitcase
KR101633580B1 (ko) 유모차 보조 기구
US6845521B2 (en) Length adjusting mechanism of goggles
KR101550223B1 (ko) 요대
EP1611834A3 (en) Medical apparatus remote control and method
TWM441501U (en) Swimming goggles
US8678020B2 (en) Grip for a sports pole
WO2006039305A3 (en) Wearable imaging device
US6859981B2 (en) Fine adjustable sliding buckle
US20160166161A1 (en) Novel Design Considerations in the Development of a Photoplethysmography Ring
US10009679B1 (en) Bluetooth earphone combined with a pair of eyeglasses
US20140135187A1 (en) Portable exercise device
KR20190108861A (ko) 허벅지 고정유닛, 종아리 고정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근력 보조 로봇
KR101339602B1 (ko) 목발 및 지팡이 거치가 가능한 발받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350559B1 (ko) 신발고정장치
CN104882732B (zh) 一种可穿戴设备
EP3324233A1 (en) Mounting fixture for wearable device
CN209846289U (zh) 一种腕带结构和一种可穿戴设备
US8267513B2 (en) Attachment mechanism for eye glass shield
JP2007143762A (ja) 顔面装着具および顔面装着具用バンド
KR200473469Y1 (ko) 스케이트 날 커버
KR102285320B1 (ko) 링거 거치대 결속 겸용 링거 거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