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921B1 - 물필터청소기 - Google Patents

물필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921B1
KR101632921B1 KR1020150143362A KR20150143362A KR101632921B1 KR 101632921 B1 KR101632921 B1 KR 101632921B1 KR 1020150143362 A KR1020150143362 A KR 1020150143362A KR 20150143362 A KR20150143362 A KR 20150143362A KR 101632921 B1 KR101632921 B1 KR 101632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water filter
hole
su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3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텍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텍콤
Priority to KR10201501433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9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5Means for the mechanical control of flow of air, e.g. deflectors, baffles or labyrinth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을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판을 구비한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종단이 상기 공기순환개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필터청소기{Cleaner with Filter Using Water}
본 발명은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바닥 등을 청소할 때 청소기 내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장치 내부로 흡입시킨 다음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고 청정한 공기를 다시 장치 외부(실내)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동작하는 청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치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장치 내부에는 필터링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필터링수단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청소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물을 필터링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청소기를 물필터청소기라고 한다.
도18은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9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물필터청소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하부본체(110)와, 하부본체(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중공(中空)형태의 상부본체(120)와, 하부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중간격리통(171) 및 하부망목지(172)와, 중간격리통(171)의 내부에 설치된 내부격리통(173) 및 상부망목지(174)와, 내부격리통(173)의 내부에 설치된 부구가이드(140)와, 내부격리통(173)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상부캡(180)과, 상부캡(180)의 내부에 설치된 흡수대(175)와, 부구가이드(140)에 설치된 부구(168)와, 하부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10)에 결합된 흡입관(162)과, 흡입관(162)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164)와, 상부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165) 및 배기팬(166)을 갖고 있다.
하부본체(110)는 바닥면에 격리통지지리브(111)가 원형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격리통지지리브(111)의 내측에는 망목지지지리브(112)가 원형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격리통지지리브(111)에는 리브안내공(111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본체(110)는 저면에 바퀴(113)이 결합되어 있다.
상부본체(120)는 저면에 팬커버(120c)가 돌출되어 있고, 팬커버(120c)의 바닥면에는 배기안내공(120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본체(120)는 측면에 배기공(1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본체(120)는 배기안내공(120a)이 하부본체(110)의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10)의 상단에 설치된다.
중간격리통(171)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중간격리통안내공(17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중간격리통(171)은 저면에 하향리브(171b)가 중간격리통안내공(171a)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부망목지(172)는 중간격리통안내공(171a)에 대향하도록 망목지지지리브(112)의 상단에 설치된다.
내부격리통(173)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상면과 저면에는 각각 내부격리통상부안내공(173a)과 내부격리통하부안내공(173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망목지(174)는 내부격리통하부안내공(173b)을 덮도록 내부격리통(173)의 내부에 설치된다.
부구가이드(140)는 양단이 밀폐된 관형태로 형성되고, 측면에는 다수개의 공기통과장공(141a)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부구가이드(140)는 상면에 가이드안내공(141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구가이드(140)는 내부격리통상부안내공(173a)을 통해 내부격리통(173)의 내부로 진입하도록 설치된다.
상부캡(180)은 확경관부(181)와 협경관부(182)가 연결플랜지(183)를 통해 상하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고, 협경관부(182)의 하단에는 간격돌기(182a)가 분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캡(180)은 간격돌기(182a)가 내부격리통(173)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흡수대(175)는 링형태로 형성되고, 연결플랜지(183)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부구(168)는 부구가이드(140)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흡입헤드(164)는 흡입공(164a)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164)는 흡입공(164a)이 흡입관(162)에 연통하도록 흡입관(162)에 결합된다.
배기팬(166)은 배기모터(165)의 회전동작시 장치외부의 공기가 흡입공(164a) 및 흡입관(162)을 통해 하부본체(110)와 중간격리통(171)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되고 하부본체(110)와 중간격리통(171)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 공기가 배기안내공(120a)을 통해 상부본체(120)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며, 상부본체(120)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배기공(120b)을 통해 장치외부로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기팬(166)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을 도20 및 도2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내부격리통(173)에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배기모터(165)에 동작전압을 인가하면 배기팬(16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흡입공(164a) 및 흡입관(162)을 통해 실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하부본체(110)와 중간격리통(171)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다.
다음에 하부본체(110)와 중간격리통(171)의 사이공간으로 흡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리브안내공(111a), 하부망목지(172, 2회 통과), 중간격리통안내공(171a) 및 상부망목지(174)를 통해 내부격리통(173)의 내부로 유입된다.
다음에 내부격리통(173)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내부격리통(173)에 저장된 물을 통과한 후 공기통과장공(141a)과 가이드안내공(141b)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캡(180)과 내부격리통(173)의 상면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에 상부캡(180)과 내부격리통(173)의 상면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간격돌기(182a)의 도움을 받아 중간격리통(17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다.
다음에 중간격리통(17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는 흡수대(175)와 배기안내공(12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공(120b)을 통해 다시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한편 내부격리통(173)에 비의도적으로 많은 물이 유입되는 경우 부구(168)가 상승하여 내부격리통상부안내공(173a)을 폐쇄시킴으로써(도21 참조), 청소동작이 중지된다.
그런데 종래의 물필터청소기에 따르면, 리브안내공(111a), 하부망목지(172, 2회 통과), 중간격리통안내공(171a) 및 상부망목지(174)에 의해 내부격리통(173)의 내부와 흡입관(162) 사이의 공기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이물질포함공기가 내부격리통(173)의 내부로 유입되는 속도가 저하되고 이에 따라 이물질제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고공보 특1993-527호(공고일자: 1993년 1월 25일, 발명의 명칭 : 무필터 방식의 액체여과 진공청소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 물필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을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판을 구비한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종단이 상기 공기순환개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 또는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와, 일단은 개구되고 나머지 일단은 볼록하게 밀폐된 형태로 제작되고 볼록 영역에는 교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종단에 결합되는 물교란캡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물교란캡의 종단이 상기 공간분리판을 넘어 상기 공기순환개구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분리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교란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교란기둥의 물흐트림작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교란기둥은 상기 공기순환개구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구 또는 배기모터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방울이 상기 공기순환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분리판의 상측영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구 또는 배기모터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되도록,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기순환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직분리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수평분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분리부에는 상기 공기순환개구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공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안내부를 설치하는 한편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가 형성되고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을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흡입안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교란캡을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하부본체에 흡입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0 및 도11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후위필터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3, 도14, 도15 및 도1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18은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
도19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20 및 도21은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5 및 도6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흡입안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교란캡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하부본체에 흡입안내부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11a)을 형성하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를 구비한 하부본체(10)와, 하부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중공(中空)형태의 상부본체(20)와,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 공간분리부(30)와, 상부본체(20)의 저면에 결합된 부구가이드(40)와, 부구가이드(40)에 설치된 후위필터(50) 및 부구(68)와,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에 결합된 흡입관(62)과,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 흡입안내부(70)와, 흡입관(62)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64)와, 상부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65) 및 배기팬(66)을 갖고 있다.
하부본체(10)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더하여 물필터작용공간부(11)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15)와, 받침부(15)의 저면에 결합된 바퀴(13)를 갖고 있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는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본체(20)는 바닥면에 배기안내공(20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본체(20)는 배기안내공(20a)이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된다.
공간분리부(30)는 공간분리판(31)과, 공간분리판(31)의 저면에 형성된 3개의 교란기둥(32)과,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분리판(33)과, 수직분리판(33)의 상단으로부터 공기순환개구(38)에 대향하도록 연장형성된 수평분리판(34)과, 수직분리판(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부(35)와, 공간분리판(31)의 저면에 형성된 디귿자 형태의 브라켓트(36)와, 수평분리판(34)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37)를 갖고 있다.
공간분리판(31)에는 관지지홈(3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관지지홈(31a)은 수직안내관부(71)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각 교란기둥(32)은 수평안내관부(7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31)의 저면으로부터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교란기둥(32)은 후술하는 공기순환개구(38)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분리판(33)은 양측 연부에는 공기안내개구(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분리판(33)은 물방울이 공기순환개구(38)를 통해 공간분리판(31)의 상측영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수평분리판(34)은 수직분리판(33)의 상단으로부터 공기순환개구(38)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부(35)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트(36)는 수평안내관부(72)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손잡이(37)는 공간분리부(30)의 설치와 분리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공간분리부(30)는 공간분리판(31)과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측면 내표면 중 연락공(11b)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38)가 형성되고, 공간분리판(31)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간분리부(30)의 설치는 지지판부(35)를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부구가이드(40)는 요형(凹形)의 승강안내부(41)와, 승강안내부(4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플랜지부(42)와, 가이드플랜지부(42)의 둘레연부 일부로부터 승강안내부(4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스커트부(43)를 갖고 있다.
승강안내부(41)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통과장공(41b)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필터고정공(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구가이드(40)는 승강안내부(41)가 배기안내공(20a)에 대향하도록 가이드플랜지부(42)를 통해 상부본체(20)의 저면에 결합된다.
후위필터(50)는 원형관형태의 여과지필터부(51)와, 여과지필터부(51)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링(52)과, 여과지필터부(51)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판(53)을 갖고 있다.
지지판(53)에는 노브삽입공(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위필터(50)는 여과지필터부(51)가 승강안내부(41)의 둘레영역에 배치되고 노브삽입공(53a)이 필터고정공(41a)에 정렬되도록 부구가이드(40)에 결합된다. 여기서 후위필터(50)의 결합은 승강안내부(41)의 바닥면에 걸림작용을 하도록 노브삽입공(53a)과 필터고정공(41a)에 삽입되는 고정노브(54)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위필터(50)는 배기안내공(20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부구(68)는 승강안내부(4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흡입관(62)은 연락공(11b)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에 결합된다.
흡입안내부(70)는 수직안내관부(71)와, 수직안내관부(7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72)와, 수평안내관부(72)의 종단에 결합되는 물교란캡(73)을 갖고 있다.
물교란캡(73)은 일단이 개구되고 나머지 일단은 볼록하게 밀폐된 형태로 제작된다.
물교란캡(73)의 볼록 영역에는 장공형태 교란공(73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교란캡(73)의 볼록 영역 종단에는 종단교란공(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물교란캡(73)은 고무 등과 같은 신축재질로 제작되고, 고정홈(73b)을 통해 수평안내관부(72)의 종단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흡입안내부(70)는 수직안내관부(71)의 종단을 통해 흡입관(62)에 연통하고 물교란캡(73)의 종단이 공기순환개구(38)로부터 이격되고 수평안내관부(72)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수직안내관부(71)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다.
흡입헤드(64)는 흡입공(64a)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64)는 흡입공(64a)이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흡입관(62)에 결합된다.
배기팬(66)은 배기모터(65)의 회전동작시 흡입공(64a), 흡입관(62) 및 흡입안내부(70)를 통해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안내개구(33a)를 통해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되고,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공기가 배기안내공(20a)을 통해 상부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부본체(2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기공(20b)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기팬(66)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을 도13 내지 도1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교란캡(73)과 공간분리판(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도13 참조).
먼저 배기모터(65)에 동작전압을 인가하면 배기팬(6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공(64a)과 흡입관(62)을 통해 수평안내관부(72)로 흡입된다.
다음에 수평안내관부(72)로 흡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장공형태 교란공(73a)과 종단교란공(73c)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다.
이물질포함공기가 흡입안내부(70)를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로 유입되기 때문에 공기저항이 작아진다.
이와 같이 공기저항이 작아지면 이물질포함공기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로 유입되는 속도가 증가하여 이물질제거효율이 증가하게 된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물속을 통과하여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다.
이물질포함공기가 물속을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은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된다.
공간분리판(31)에 의해 이물질포함공기가 물속을 통과할 때 이물질포함공기의 물속 통과 거리가 증가하여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
즉, 공간분리판(31)에 의해 공간분리판(31)의 하측에 있는 공기에 가해지는 상방향압력과 하방향압력의 차이가 적어져 공간분리판(31)의 하측을 통과하는 공기에 대한 부력이 공간분리판(31)이 없는 경우보다 작아지고, 이에 따라 공간분리판(31)에 의해 공간분리판(31)의 하측에 있는 공기의 이동거리는 공간분리판(31)이 없는 경우보다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물질포함공기의 물속 통과 거리가 증가하게 되면 아래와 같은 이유로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첫째, 이물질포함공기와 물의 접촉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둘째,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내측면에 보다 강하게 부딪쳐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으로 보다 많은 물방울이 튀게 되고, 이에 따라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에서 물과 이물질포함공기의 접촉기회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이물질포함공기가 교란공(73a)과 종단교란공(73c)을 통과할 때 이물질포함공기의 압력에 의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은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도14 참조).
또한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은 교란기둥(32)에 의해 흩어지기 때문에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물과 이물질포함공기의 접촉기회가 증가함, 도14 참조).
공기순환개구(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안내개구(33a)를 통해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되고,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공기는 후위필터(50), 공기통과장공(41b), 배기안내공(2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다(도15 참조).
상부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공(20b)을 통해 다시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많은 물이 비의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부구(68)가 상승하여 배기안내공(20a)을 폐쇄시킴으로써(도16 참조), 청소동작이 중지된다.
한편 전술한 사용예에서는 공간분리판(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물을 저장하고 있으나, 공간분리판(31)은 잠기지 않도록 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수직분리판(33)의 양측 연부에 공기안내개구(33a)를 형성하고 있으나, 수직분리판(33')의 중앙영역에 공기안내개구(33'a)를 형성하거나(도17 참조) 수평분리판(34)의 중앙영역에 공기안내개구를 형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나아가 공기안내개구에는 프리필터(Prefilter) 등의 여과필터를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흡입안내부(70)를 설치하는 한편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측면 내표면 중 연락공(11b)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38)가 형성되고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31)을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
그리고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흡입안내부(70)를 설치하고 교란공(73a)이 형성되어 있는 물교란캡(73)을 흡입안내부(70)에 포함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교란기둥(32)을 포함하도록 공간분리부(30)를 형성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물과 이물질포함공기의 접촉기회가 증가함으로써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함).
또한 공기순환개구(38)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교란기둥(32)을 형성함으로써, 이물질포함공기에 포함된 섬유형태의 이물질(머리카락 등)이 교란기둥(32)에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교란기둥(32)의 물흐트림작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직분리판(33)을 포함하도록 공간분리부(30)를 형성함으로써, 부구(68) 또는 배기모터(65)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부구(68)에 물이 튀면 부구(68)가 오작동할 염려가 있고, 배기모터(65)에 물이 튀면 배기모터(65)의 동작이 정지될 염려가 있다.
또한 수평분리판(34)을 포함하도록 공간분리부(30)를 형성하는 한편 공간분리부(30)에 공기안내개구(33a, 33'a)를 형성함으로써, 부구(68) 또는 배기모터(65)에 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물과 이물질포함공기의 접촉기회가 증가함으로써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함).
10, 110 : 하부본체 11 : 물필터작용공간부
20, 120 : 상부본체 30 : 공간분리부
31 : 공간분리판 32 : 교란기둥
33 : 수직분리판 34 : 수평분리판
40, 140 : 부구가이드 50 : 후위필터
62, 162 : 흡입관 64, 164 : 흡입헤드
70 : 흡입안내부 71 : 수직안내관부
72 : 수평안내관부 73 : 물교란캡
163 : 흡입안내관

Claims (8)

  1.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을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판을 구비한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종단이 상기 공기순환개구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분리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교란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기둥은 상기 공기순환개구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4.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을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판을 구비한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와, 일단은 개구되고 나머지 일단은 볼록하게 밀폐된 형태로 제작되고 볼록 영역에는 교란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평안내관부의 종단에 결합되는 물교란캡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물교란캡의 종단이 상기 공간분리판을 넘어 상기 공기순환개구로 진입하지 아니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물교란캡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분리판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된 교란기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교란기둥은 상기 공기순환개구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방울이 상기 공기순환개구를 통해 상기 공간분리판의 상측영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직분리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기순환개구에 대향하도록 상기 수직분리판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수평분리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분리부에는 상기 공기순환개구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배기안내공으로 안내하기 위한 공기안내개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KR1020150143362A 2015-10-14 2015-10-14 물필터청소기 KR101632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362A KR101632921B1 (ko) 2015-10-14 2015-10-14 물필터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362A KR101632921B1 (ko) 2015-10-14 2015-10-14 물필터청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921B1 true KR101632921B1 (ko) 2016-06-23

Family

ID=5635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362A KR101632921B1 (ko) 2015-10-14 2015-10-14 물필터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9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211A (zh) * 2018-01-03 2018-04-20 南京特沃斯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污水防溅过滤网
KR20180103288A (ko) * 2017-03-09 2018-09-19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KR102018564B1 (ko) * 2018-03-07 2019-09-05 서순호 물필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364B1 (ko) * 1991-08-27 199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 건식 전기 소제기
KR930005850Y1 (ko) * 1991-06-21 1993-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 건식 청소기의 청정효과와 모터보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5850Y1 (ko) * 1991-06-21 1993-09-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 건식 청소기의 청정효과와 모터보호장치
KR930008364B1 (ko) * 1991-08-27 199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 건식 전기 소제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88A (ko) * 2017-03-09 2018-09-19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KR101986565B1 (ko) * 2017-03-09 2019-06-10 (주)텍콤 물필터청소기
CN107930211A (zh) * 2018-01-03 2018-04-20 南京特沃斯清洁设备有限公司 一种污水防溅过滤网
KR102018564B1 (ko) * 2018-03-07 2019-09-05 서순호 물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09175B1 (en) Handheld vacuum cleaner
KR101632921B1 (ko) 물필터청소기
KR100623916B1 (ko) 먼지 분리장치
US7404231B2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US20060102000A1 (en) Wet type air cleaner
KR101768009B1 (ko) 여과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장치
JP2005323998A (ja) サイクロン集塵装置および真空掃除機
KR20180001395A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WO2015078092A1 (zh) 一种气液分离装置以及具有该气液分离装置的硬质表面清洁器
CN115177182A (zh) 分离栏、分离结构、污水储存装置和表面清洁设备
JP2017124066A (ja) 吸引ヘッド
CN112842177A (zh) 清洁机器人水箱及清洁机器人
KR101986565B1 (ko) 물필터청소기
JP2016182592A (ja) オイルミスト集塵機
WO2012146616A1 (en) Vacuum cleaner comprising a water filter and a cyclone unit
KR101335675B1 (ko) 물세척 집진장치
KR1015468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1562809B1 (ko) 물필터청소기
KR20150127815A (ko)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KR101053378B1 (ko) 물청소 겸용 진공청소기의 집진유니트
JP5396200B2 (ja) 分離装置
EP2433540A2 (en) Wet type dust collection device for vacuum cleaner
KR20150134885A (ko)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KR102234655B1 (ko) 무필터 집진장치
CN216135807U (zh) 清洁机器人水箱及清洁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