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6565B1 - 물필터청소기 - Google Patents

물필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6565B1
KR101986565B1 KR1020170030008A KR20170030008A KR101986565B1 KR 101986565 B1 KR101986565 B1 KR 101986565B1 KR 1020170030008 A KR1020170030008 A KR 1020170030008A KR 20170030008 A KR20170030008 A KR 20170030008A KR 101986565 B1 KR101986565 B1 KR 1019865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space
water filter
plat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00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3288A (ko
Inventor
서순호
Original Assignee
(주)텍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텍콤 filed Critical (주)텍콤
Priority to KR10201700300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656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3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3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65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65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8Liquid filters
    • A47L9/181Separating by passing the ai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6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cyclones or other devices with centrifugal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과, 공간분리판을 가지고 상기 공간분리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공간분리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수직분리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필터청소기{Cleaner with Filter Using Water}
본 발명은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수단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바닥 등을 청소할 때 청소기 내외부의 기압차를 이용하여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을 공기와 함께 장치 내부로 흡입시킨 다음 흡입된 이물질과 공기 중 이물질을 걸러내고 청정한 공기를 다시 장치 외부(실내)로 배출시키는 방법으로 동작하는 청소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장치 내부로 흡입된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해 장치 내부에는 필터링수단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들 필터링수단으로서 물을 사용하는 청소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물을 필터링수단으로서 사용하는 청소기를 물필터청소기라고 한다.
도12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3 및 도14는 각각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15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16은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이고, 도17 및 도18은 각각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9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후위필터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종래의 물필터청소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111a)을 형성하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1)를 구비한 하부본체(110)와, 하부본체(1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중공(中空)형태의 상부본체(120)와,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설치된 공간분리부(130)와, 상부본체(120)의 저면에 결합된 부구가이드(140)와, 부구가이드(140)에 설치된 후위필터(150) 및 부구(168)와,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10)에 결합된 흡입관(162)과, 흡입관(162)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설치된 흡입안내부(170)와, 흡입관(162)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164)와, 상부본체(120)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165) 및 배기팬(166)을 갖고 있다.
하부본체(110)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더하여 물필터작용공간부(111)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115)와, 받침부(115)의 저면에 결합된 바퀴(113)를 갖고 있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1)는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1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본체(120)는 바닥면에 배기안내공(120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12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본체(120)는 배기안내공(120a)이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10)의 상단에 설치된다.
공간분리부(130)는 공간분리판(131)과, 공간분리판(131)의 저면에 형성된 3개의 교란기둥(132)과, 공간분리판(1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분리판(133)과, 수직분리판(133)의 상단으로부터 공기순환개구(138)에 대향하도록 연장형성된 수평분리판(134)과, 수직분리판(1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공간분리판(1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135)와, 공간분리판(131)의 저면에 형성된 디귿자 형태의 브라켓트(136)와, 수평분리판(134)의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137)를 갖고 있다.
공간분리판(131)에는 관지지홈(13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관지지홈(131a)은 수직안내관부(171)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각 교란기둥(132)은 수평안내관부(172)의 전방에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131)의 저면으로부터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교란기둥(132)은 후술하는 공기순환개구(138) 쪽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분리판(133)은 양측 연부에는 공기안내개구(13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분리판(133)은 물이 공기순환개구(138)를 통해 공간분리판(131) 영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수평분리판(134)은 수직분리판(133)의 상단으로부터 공기순환개구(138)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지지판(135)는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브라켓트(136)는 수평안내관부(172)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손잡이(137)는 공간분리부(130)의 설치와 분리시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공간분리부(130)는 공간분리판(131)과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측면 내표면 중 연락공(111b)에 대향하는 영역과의 사이에 공기순환개구(138)가 형성되고, 공간분리판(131)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간분리부(130)의 설치는 지지판(135)를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부구가이드(140)는 요형(凹形)의 승강안내부(141)와, 승강안내부(141)의 상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가이드플랜지부(142)와, 가이드플랜지부(142)의 둘레연부 일부로부터 승강안내부(14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스커트부(143)를 갖고 있다.
승강안내부(141)는 측면에 다수개의 공기통과장공(141b)이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필터고정공(14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부구가이드(140)는 승강안내부(141)가 배기안내공(120a)에 대향하도록 가이드플랜지부(142)를 통해 상부본체(120)의 저면에 결합된다.
후위필터(150)는 원형관형태의 여과지필터부(151)와, 여과지필터부(151)의 상단에 결합된 지지링(152)과, 여과지필터부(151)의 하단에 결합된 지지판부(153)를 갖고 있다.
지지판부(153)에는 노브삽입공(15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후위필터(150)는 여과지필터부(151)가 승강안내부(141)의 둘레영역에 배치되고 노브삽입공(153a)이 필터고정공(141a)에 정렬되도록 부구가이드(140)에 결합된다. 여기서 후위필터(150)의 결합은 승강안내부(141)의 바닥면에 걸림작용을 하도록 노브삽입공(153a)과 필터고정공(141a)에 삽입되는 고정노브(154)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후위필터(150)는 배기안내공(120a)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부구(168)는 승강안내부(141)의 바닥면에 설치된다.
흡입관(162)은 연락공(111b)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10)에 결합된다.
흡입안내부(170)는 수직안내관부(171)와, 수직안내관부(17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172)와, 수평안내관부(172)의 종단에 결합되는 물교란캡(173)을 갖고 있다.
물교란캡(173)은 일단이 개구되고 나머지 일단은 볼록하게 밀폐된 형태로 제작된다.
물교란캡(173)의 볼록 영역에는 장공형태 교란공(173a)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교란캡(173)의 볼록 영역 종단에는 종단교란공(173c)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물교란캡(173)은 고무 등과 같은 신축재질로 제작되고, 고정홈(173b)을 통해 수평안내관부(172)의 종단에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된다.
흡입안내부(170)는 수직안내관부(171)의 종단을 통해 흡입관(162)에 연통하고 물교란캡(173)의 종단이 공기순환개구(138)로부터 이격되고 수평안내관부(172)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수직안내관부(171)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1a)에 설치된다.
흡입헤드(164)는 흡입공(164a)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164)는 흡입공(164a)이 흡입관(162)에 연통하도록 흡입관(162)에 결합된다.
배기팬(166)은 배기모터(165)의 회전동작시 흡입공(164a), 흡입관(162) 및 흡입안내부(170)를 통해 공기순환개구(138)의 상측영역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공기순환개구(1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가 공기안내개구(133a)를 통해 공간분리판(1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되고, 공간분리판(1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공기가 배기안내공(120a)을 통해 상부본체(1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부본체(12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기공(120b)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기팬(166)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을 도20 내지 도2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교란캡(173)과 공간분리판(1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도20 참조).
먼저 배기모터(165)에 동작전압을 인가하면 배기팬(16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공(164a)과 흡입관(162)을 통해 수평안내관부(172)로 흡입된다.
다음에 수평안내관부(172)로 흡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장공형태 교란공(173a)과 종단교란공(173c)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물속을 통과하여 공기순환개구(1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다.
이물질포함공기가 물속을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은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된다.
그리고 이물질포함공기가 교란공(173a)과 종단교란공(173c)을 통과할 때 이물질포함공기의 압력에 의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저장된 물은 소용돌이를 일으키기 때문에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도21 참조).
공기순환개구(138)의 상측영역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안내개구(133a)를 통해 공간분리판(1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되고, 공간분리판(1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공기는 후위필터(150), 공기통과장공(141b), 배기안내공(120a)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다(도22 참조).
상부본체(1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공(120b)을 통해 다시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간분리판(131)의 상측 영역으로 많은 물이 비의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부구(168)가 상승하여 배기안내공(120a)을 폐쇄시킴으로써(도23 참조), 청소동작이 중지된다.
한편 전술한 사용예에서는 공간분리판(1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물을 저장하고 있으나, 공간분리판(131)은 잠기지 않도록 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물필터청소기에 따르면, 흡입공기의 압력에 의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에 저장된 물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1)의 내측면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물방울과 이물질포함공기의 접촉기회가 발생하지만, 물과 면(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과의 접촉에 의해서만 물방울이 발생하기 때문에 물방울발생량이 적고 이에 따라 이물질제거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10-1632921호(등록일자: 2016년 6월 17일, 발명의 명칭: 물필터청소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물필터청소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 물필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과, 공간분리판을 가지고 상기 공간분리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공간분리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분리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또는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안내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또는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분리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이물질제거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판은 하단이 상기 수직분리판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산다공판의 설치, 교체, 청소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안내판은 상기 공간분리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연결판 중 어느 일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한 쌍의 수직연결판 중 나머지 일방에 접근한 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수직분리판과 수직안내판과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는 분산다공판을 포함하도록 공간분리부를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이 향상된다(이물질포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분산다공판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물방울들과 접촉할 때 제거됨).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후위필터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
도13 및 도14는 각각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15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
도16은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
도17 및 도18은 각각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후위필터 영역의 분해사시도,
도20, 도21, 도22 및 도23은 각각 종래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요부단면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부분절취사시도이고, 도6, 도7, 도8 및 도9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공간분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후위필터 영역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11a)을 형성하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를 구비한 하부본체(10)와, 하부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중공(中空)형태의 상부본체(20)와,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 공간분리부(30)와, 상부본체(20)의 저면에 결합된 부구가이드(40)와, 부구가이드(40)에 설치된 부구(68)와,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에 결합된 흡입관(62)과,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 흡입안내부(70)와, 흡입관(62)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64)와, 상부본체(20)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65) 및 배기팬(66)을 갖고 있다.
하부본체(10)는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더하여 물필터작용공간부(11)를 지면에 대하여 지지하는 받침부(15)와, 받침부(15)의 저면에 결합된 바퀴(13)를 갖고 있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는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부본체(20)는 바닥면에 배기안내공(20a)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본체(20)는 배기안내공(20a)이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의 상단에 설치된다.
공간분리부(30)는 공간분리판(31)과, 공간분리판(31)의 저면에 형성된 다수의 교란기둥(32)과,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수직분리판(33)과, 공간분리판(31)의 후단(본 명세서에서 "전"은 흡입관에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후"는 흡입관에 먼 쪽을 의미한다)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33)과, 수직분리판(33)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34)과, 수직분리판(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판(35)과, 수직분리판(33)의 수직연부(공간분리판에 수직으로 배치된 연부)와 수직안내판(34)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38)과, 수직안내판(34)에 지지되거나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된 3개의 분산다공판(39)과, 수직분리판(33)의 상단으로부터 분산다공판(39)에 대향하도록 연장형성된 수평분리판(83)과, 수직안내판(34)과 수직연결판(38)에 나누어 형성된 잠금부(81)와, 공간분리판(31)의 저면에 형성된 디귿자 형태의 브라켓트(36)와, 수직연결판(38)에 설치된 손잡이(37)를 갖고 있다.
공간분리판(31)에는 관지지홈(31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관지지홈(31a)은 수직안내관부(71)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각 교란기둥(32)은 수평안내관부(72)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31)의 저면으로부터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다.
각 교란기둥(32)은 후방을 향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직분리판(33)은 원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수직분리판(33)은 수직안내판(34)에 부딪힌 물이 공간분리판(31) 영역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수직안내판(34)은 원호 형태로 형성되고, 하단이 수직분리판(33)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수직안내판(34)은 한 쌍의 수직연결판(38) 중 일방에 결합된 힌지핀(82)을 통해 일 수직연결판(38)에 결합됨으로써, 공간분리판(31)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지지판(35)은 상호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분산다공판(39) 중 2개는 수직연결판(38)과 수직안내판(34)과 수직연결판(38)의 사이 공간에서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수직안내판(34)에 결합되어 있다.
분산다공판(39) 중 하나는 수직연결판(38)과 수직안내판(34)과 수직연결판(38)의 사이 공간에서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공간분리판(31)으로부터 연장형성된다.
잠금부(81)는 종래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걸쇠와 걸림고리를 수직안내판(34)과 수직연결판(38)에 나누어 형성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잠금부(81)에 의해 수직안내판(34)이 한 쌍의 수직연결판(38) 중 나머지 일방에 접근한 상태를 구속할 수 있게 된다.
브라켓트(36)는 수평안내관부(72)를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손잡이(37)는 공간분리부(30)를 설치하거나 분리할 때 사용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공간분리부(30)는 수직안내판(34)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측면 내표면 중 연락공(11b)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고, 공간분리판(31)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다. 여기서 공간분리부(30)의 설치는 지지판(35)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부구가이드(40)는 부구(68)의 승강동작을 안내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부구(68)는 부구가이드(40)의 내부에 승강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흡입관(62)은 연락공(11b)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연통하도록 하부본체(10)에 결합된다.
흡입안내부(70)는 수직안내관부(71)와, 수직안내관부(71)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72)를 갖고 있다.
흡입안내부(70)는 수직안내관부(71)의 종단을 통해 흡입관(62)에 연통하고, 수평안내관부(72)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을 따라 배치되며, 수직안내관부(71)가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물필터작용공간(11a)에 설치된다.
흡입헤드(64)는 흡입공(64a)이 형성되어 있다.
흡입헤드(64)는 흡입공(64a)이 흡입관(62)에 연통하도록 흡입관(62)에 결합된다.
배기팬(66)은 배기모터(65)의 회전동작시 흡입공(64a), 흡입관(62) 및 흡입안내부(70)를 통해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의 사이 공간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분산다공판(39)을 순차적으로 통과한 후 수평분리판(83)과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측면 내표면 사이를 통해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되고,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공기가 배기안내공(20a)을 통해 상부본체(2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상부본체(20)의 내부공간에 유입된 공기가 배기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기팬(66)은 종래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필터청소기의 동작을 도1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간분리판(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배기모터(65)에 동작전압을 인가하면 배기팬(66)이 회전하고, 이에 따라 실내의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흡입공(64a), 흡입관(62) 및 수평안내관부(72)을 통해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다.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에 유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물속을 통과하여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물질포함공기가 물속을 통과하는 동안 이물질은 물의 흡착력에 의해 제거된다.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포함공기는 수평분리판(83)과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측면 내표면 사이를 통해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다. 이물질포함공기가 분산다공판(39)을 통과하는 동안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저장된 물의 일부는 이물질포함공기의 압력에 의해 분산다공판(39)에 순차적으로 부딪치게 된다.
물이 각 분산다공판(39)에 부딪칠 때 많은 양의 물방울이 발생한다.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의 사이 공간으로 유입된 이물질포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분산다공판(39)에 의해 발생한 물방울들과 접촉할 때 제거된다.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안내된 이물질포함공기는 배기안내공(20a)을 통과하여 상부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부본체(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공(도시되지 않음)을 통해 다시 외부(실내)로 배출된다.
그리고 공간분리판(31)의 상측 영역으로 많은 물이 비의도적으로 유입되는 경우 부구(68)가 상승하여 배기안내공(20a)을 폐쇄시킴으로써, 청소동작이 중지된다.
한편 전술한 사용예에서는 공간분리판(31)이 잠기도록 물필터작용공간부(11)에 물을 저장하고 있으나, 공간분리판(31)이 잠기지 않을 정도로 물을 저장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분산다공판(39) 중 일부를 수직안내판(34)에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수직안내판(34)에 지지되도록 분산다공판을 설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간분리판(31)이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공간분리판(31) 전부 또는 일부를 물필터작용공간부(11)의 바닥면에 경사를 이루도록 배치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분리판(33)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34)과, 수직분리판(33)의 수직연부와 수직안내판(34)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38)과, 수직분리판(33)과 수직안내판(34)과 수직연결판(38)의 사이 공간에 배치된 분산다공판(39)을 포함하도록 공간분리부(30)를 구성함으로써, 이물질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이물질포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은 분산다공판에 의해 발생하는 많은 물방울들과 접촉할 때 제거됨).
그리고 하단이 수직분리판(33)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수직안내판(34)을 형성함으로써, 흡입공기의 압력에 의해 물이 수직분리판(33)에 부딪칠 때 발생하는 물방울 양이 증가하고(수직안내판을 타고 분산다공판에 부딪치는 물의 양이 증가함) 이에 따라 이물질제거효율을 더욱 더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공간분리판(31)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수직안내판(34)을 수직연결판(38)에 결합함으로써, 분산다공판(39)의 설치, 교체, 청소작업이 용이해진다.
10, 110 : 하부본체 11, 111 : 물필터작용공간부
20, 120 : 상부본체 30, 130 : 공간분리부
31, 131 : 공간분리판 32, 132 : 교란기둥
33, 133 : 수직분리판 34 : 수직안내판
38 : 수직연결판 39 : 분산다공판
40, 140 : 부구가이드 62, 162 : 흡입관
64, 164 : 흡입헤드 70, 170 : 흡입안내부
71, 171 : 수직안내관부 72, 172 : 수평안내관부

Claims (5)

  1.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과, 공간분리판을 가지고 상기 공간분리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공간분리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수직분리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2.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과, 공간분리판을 가지고 상기 공간분리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공간분리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서 상기 수직안내판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3. 측면 일영역에 연락공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 요형(凹形)의 물필터작용공간을 갖도록 형성된 물필터작용공간부를 구비한 하부본체와, 중공형태로 형성되고 바닥면에 배기안내공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배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기안내공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본체와, 상기 연락공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연통하도록 상기 하부본체에 결합된 흡입관과, 흡입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흡입공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도록 상기 흡입관의 종단에 결합된 흡입헤드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된 배기모터와,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기모터의 회전동작시 상기 흡입공 및 상기 흡입관을 통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안내공을 통해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으로 흡입되고 상기 상부본체의 내부공간에 흡입된 공기가 상기 배기공을 통해 배출되도록 작동하는 배기팬과, 공간분리판을 가지고 상기 공간분리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에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공간분리부와, 수직안내관부와 상기 수직안내관부로부터 절곡 형성된 수평안내관부를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관부의 종단을 통해 상기 흡입관에 연통하고 상기 수평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바닥면과 상기 공간분리판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수직안내관부가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도록 상기 물필터작용공간에 설치되는 흡입안내부를 갖는 물필터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공간분리판의 후단으로부터 상방향으로 기립 형성된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후방에 배치된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분리판의 수직연부와 상기 수직안내판의 수직연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직연결판과 상기 수직분리판과 상기 수직안내판과 상기 수직연결판의 사이 공간에 배치되도록 상기 공간분리판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분산다공판을 가지고,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물필터작용공간부의 측면 내표면 중 상기 연락공에 대향하는 영역에 인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안내판은 하단이 상기 수직분리판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안내판은 상기 공간분리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한 쌍의 수직연결판 중 어느 일방에 결합되고;
    상기 공간분리부는 상기 수직안내판이 상기 한 쌍의 수직연결판 중 나머지 일방에 접근한 상태를 구속하기 위한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필터청소기.




KR1020170030008A 2017-03-09 2017-03-09 물필터청소기 KR1019865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08A KR101986565B1 (ko) 2017-03-09 2017-03-09 물필터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0008A KR101986565B1 (ko) 2017-03-09 2017-03-09 물필터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88A KR20180103288A (ko) 2018-09-19
KR101986565B1 true KR101986565B1 (ko) 2019-06-10

Family

ID=63718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0008A KR101986565B1 (ko) 2017-03-09 2017-03-09 물필터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65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550B1 (ko) * 2019-05-14 2021-04-06 주식회사 텍콤 청소기
DE102022122061A1 (de) * 2022-08-31 2024-02-29 Kärcher Industrial Vacuuming GmbH Saugvorricht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827A (ja) 2004-02-06 2005-08-18 Nicchu Kikaku Kk 水フィルタを利用したゴミ収集、加湿加冷、空気浄化装置
KR101562809B1 (ko) 2014-07-30 2015-10-26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KR101578758B1 (ko) 2014-05-23 2015-12-18 주식회사 청림아쿠아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KR101632921B1 (ko) * 2015-10-14 2016-06-23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8364B1 (ko) * 1991-08-27 1993-08-31 삼성전자 주식회사 습, 건식 전기 소제기
KR20040064032A (ko) * 2003-01-09 2004-07-16 이건집 진공 청소기
KR20150127815A (ko) * 2012-05-22 2015-11-18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18827A (ja) 2004-02-06 2005-08-18 Nicchu Kikaku Kk 水フィルタを利用したゴミ収集、加湿加冷、空気浄化装置
KR101578758B1 (ko) 2014-05-23 2015-12-18 주식회사 청림아쿠아 물세척 집진기의 기수분리장치
KR101562809B1 (ko) 2014-07-30 2015-10-26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KR101632921B1 (ko) * 2015-10-14 2016-06-23 주식회사 텍콤 물필터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3288A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184442A1 (en) Hob with central downward removal of cooking vapors through suction
US20070039127A1 (en) Dust container of upright type vacuum cleaner and supporting structure for cover thereof
KR102015092B1 (ko) 집진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청소기
EP1535560A2 (en) Dust-collecting device and vacuum cleaner for both wet and dry cleaning using the same
GB2456192A (en) Sloped upper wall of cyclone inflow channel
KR101986565B1 (ko) 물필터청소기
GB2431095A (en) Demountable cyclone unit
US7080425B2 (en) Vacuum canister and mounting bracket for use therewith
KR101632921B1 (ko) 물필터청소기
CN104367266B (zh) 手持吸尘器
KR101833162B1 (ko) 연속 필터청소기능이 구비된 집진장치
KR100704336B1 (ko) 진공청소기용 사이클론 집진장치
KR101546839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및 진공청소기
KR101562809B1 (ko) 물필터청소기
KR100730944B1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유로구조
CN216876265U (zh) 一种气液分离装置及回收箱
KR20120061784A (ko) 물세척 집진장치
KR101532910B1 (ko) 듀얼 볼텍스 진공청소기
CN219538172U (zh) 干湿分离模块及清洁设备
KR20150127815A (ko) 집진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진공 청소기
CN215533994U (zh) 一种用于灰尘分离模块的固体筛网及灰尘分离模块
CN113876240B (zh) 一种用于分离灰尘及水混合物的分离装置及地面清洁机
CN219538173U (zh) 干湿分离模块及清洁设备
CN115108197B (zh) 污液桶装置
CN220256398U (zh) 垃圾收集装置与清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