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856B1 - 힌지 리드 패키지 - Google Patents

힌지 리드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856B1
KR101632856B1 KR1020157010495A KR20157010495A KR101632856B1 KR 101632856 B1 KR101632856 B1 KR 101632856B1 KR 1020157010495 A KR1020157010495 A KR 1020157010495A KR 20157010495 A KR20157010495 A KR 20157010495A KR 101632856 B1 KR101632856 B1 KR 101632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shaped flap
flap
panel
pac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0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0862A (ko
Inventor
신이치 이와타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60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0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 B65D85/1056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haracterized by the lid having means for holding the lid in a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보다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는 새로운 힌지 리드 패키지를 제공한다.
상부에 개구단을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후측이면서 상기 힌지보다도 상부에 기단이 연결되고, 선단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나온 띠 모양 플랩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띠 모양 플랩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 해당 슬라이드에 연동해서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뚜껑부가 개폐된다.

Description

힌지 리드 패키지{PACKAGE WITH HINGED LID}
본 발명은, 힌지 리드 패키지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 상품 등의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패키지(포장)로서, 소프트 팩형 패키지, 하드형 패키지 등이 공지이다. 하드형 패키지의 하나의 형태로서, 힌지를 통해 패키지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연결된 상부 뚜껑(힌지 리드)을 구비한 힌지 뚜껑이 달린 하드형 패키지(힌지 리드 패키지라고도 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하드형 패키지는, 통상, 박스 형상의 외형을 가지며, 피수용물 다발을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와, 패키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부가, 개구단의 연부(緣部)를 따라 형성된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힌지 리드 패키지의 일 예로서, 힌지 리드의 개폐 형태로 슬라이드 액션을 도입한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는, 리드(힌지 리드)를 가진 인너 케이스와, 인너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아우터 바디를 구비하고, 아우터 바디가, 전벽(前壁)에 형성되어, 인너 케이스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는 개구(開口)와, 상부 개구단의 후연(後緣)에 형성되어, 아우터 바디 안으로 향해서 뻗은 접촉편을 포함하고, 인너 케이스가,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전벽의 내측에 형성된 보강부와, 리드의 후측에 연결된 띠 모양체로서,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결합 가능한 띠 모양체를 포함하고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는, 인너 케이스가 아우터 바디로부터 밀어 올려졌을 때, 띠 모양체와 접촉편의 결합에 의해, 리드에 개방 동작이 부여됨과 아울러 인너 케이스의 슬라이드량이 제한된다.
특허문헌 1:국제 공개 제2009/148034호 팸플릿 특허문헌 2:국제 공개 제2011/060931호 팸플릿 특허문헌 3:특개 2009-292518호 공보
종래의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는, 인너 케이스를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아우터 바디로부터 밀어 올리는 슬라이드 액션에 연동(連動)하여,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가 결합함으로써 힌지 리드(뚜껑부)가 개방되는 개폐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힌지 리드를 개폐하기 위한 외력은, 우선 인너 케이스에 가해지고, 가해진 외력이,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 아우터 케이스의 접촉편, 힌지 리드의 순으로 전달됨으로써, 힌지 리드가 개폐된다.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의 결합이 확실하지 않은 경우도 상정되며, 이 경우, 힌지 리드가 개폐되지 않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하여, 보다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는 새로운 힌지 리드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뚜껑부에 연결된 띠 모양(帶狀) 플랩을 노출시켜, 노출된 띠 모양 플랩을 사용자가 직접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하고, 띠 모양 플랩을 슬라이드 시키는 슬라이드 액션에 연동하여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부에 개구단(開口端)을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被收容物)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開口緣)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후측이면서 상기 힌지보다도 상부에 기단(基端)이 연결되고, 선단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나오는 띠 모양 플랩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띠 모양 플랩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 해당 슬라이드에 연동해서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뚜껑부가 개폐된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뚜껑부에 연결된 띠 모양 플랩이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는 띠 모양 플랩을 직접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이 뚜껑부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뚜껑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바꿔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종래처럼,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가 결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가 결합에 좌우되는 일도 없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에서는,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가, 아우터 바디의 내측에 존재하고, 노출되어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의 결합이 확실하게 행해지고 있는지 어떤지의 확인을 할 수 없었다. 또한, 사용자는,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이나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를 직접 조작할 수 없기 때문에, 인너 케이스의 간접적인 조작에 의해서밖에, 힌지 리드의 개폐 동작을 확인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힌지 리드의 개폐가 곤란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띠 모양 플랩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이 뚜껑부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뚜껑부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고 확인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뚜껑부의 개폐가 용이하고, 조작성에도 뛰어나다.
또한, 종래의 슬라이드 액션형 힌지 리드 패키지에서는, 인너 케이스에 가해진 외력이,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 아우터 케이스의 접촉편을 거쳐 최종적으로 힌지 리드에 전달되었다. 즉, 전달 경로가 복잡하고, 전달 경로에서 힘이 손실되고 있었다. 그 결과, 힌지 리드의 개폐가 곤란하였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외력의 전달 경로가 단순하고, 외력이 전달 경로에서 손실되는 일도 거의 없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뚜껑부를 종래보다도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다.
피수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상(棒狀) 물품의 집합체, 예를 들면 담배 상품을 피수용물로서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담배 상품이란, 예를 들면 종이말이(紙卷) 담배(필터 시가렛, 양절(兩切) 담배(필터 없음)), 시가(葉卷), 시가릴로, 스누스, 코담배, 츄잉 담배, 전자 담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띠 모양 플랩의 상하 방향으로의 슬라이드는, 띠 모양 플랩을 내리누르는 외력(패키지 본체의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의 힘)과, 띠 모양 플랩을 오르내리게 하는 외력으로 실현된다. 그러나, 띠 모양 플랩을 내리누르는 외력에 의해, 띠 모양 플랩이 휘면, 띠 모양 플랩의 슬라이드가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상정된다.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충분히 피수용물이 수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수용된 피수용물에 의해 띠 모양 플랩이 지지되어, 띠 모양 플랩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수용되는 피수용물의 감소에 따라, 피수용물에 의한 띠 모양 플랩의 지지력도 저하한다. 받침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피수용물의 감소에 관계없이, 띠 모양 플랩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의 휨이 억제되며, 띠 모양 플랩을 항상 원활하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외측에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누름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띠 모양 플랩을 보다 확실하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다. 누름부는,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덮는 패널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누름부는, 힌지 리드 패키지를 감싸는 필름을 이용해도 된다. 이 경우, 개봉 테이프의 위치는, 띠 모양 플랩의 선단보다도 상측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힌지 리드 패키지를 감싸는 필름을 하부만 남김으로써, 띠 모양 플랩의 선단을 필름으로 억제할 수 있고, 띠 모양 플랩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에서, 상기 띠 모양 플랩의 기단은, 상기 뚜껑부의 후면의 상단연과 연결되고, 연결부의 양 단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띠 모양 플랩의 기단의 연결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폐시에 기단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의 기단의 연결부의 파손(예를 들면, 찢어짐이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띠 모양 플랩의 기단의 연결부의 형상은, 챔퍼링(面取) 된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띠 모양 플랩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이 슬라이드 할 때의 직진성이 향상되어, 보다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했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띠 모양 플랩이 가이드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뚜껑부의 개폐를 반복해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이면과 대향하는 영역과,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그 표면에 표면 미끄럼성 처리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마찰 저항이 저감되어, 띠 모양 플랩이,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에서, 상기 띠 모양 플랩은,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를 가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띠 모양 플랩을 슬라이드 시킬 때, 띠 모양 플랩에 가해지는 외력이 보다 확실하게 띠 모양 플랩에 전달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이 미끄럼 방지부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해서 적은 외력으로 띠 모양 플랩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술한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로서 특정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로서, 상기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부에 개구단을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후측이면서 상기 힌지보다도 상부에 기단이 연결되며, 선단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나온 띠 모양 플랩과,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외측에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키지 본체는, 전벽이 되는 전벽 패널을 가지며, 해당 전벽 패널의 양 측연에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측벽이 되는 대향하는 측벽 패널이 이어지고, 한쪽 측벽 패널의 측연에는, 상기 누름부를 구성하는 누름 패널이 이어지며, 상기 전벽 패널의 상연에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저벽이 되는 저판 패널이 이어지고, 해당 저판 패널에는, 상기 전벽 패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이 되는 후벽 패널이 이어지며, 해당 후벽 패널의 한쪽 측연에는, 상기 측벽 패널에 대한 인너 사이드 플랩이 이어지고, 상기 후벽 패널의 다른쪽 측연에는, 상기 받침부를 구성하는 받침 패널이 이어지며,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 패널에는, 상기 뚜껑부를 구성하는 뚜껑 패널이 이어지고, 해당 뚜껑 패널은, 상기 뚜껑부의 후벽이 되는 후벽 패널을 가지며, 해당 후벽 패널의 하단연은, 상기 힌지가 되는 힌지 라인을 통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의 상단연에는, 상기 뚜껑부의 천판이 되는 천판 패널이 이어지고,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의 양 측연에는, 상기 뚜껑부의 측벽의 일부가 되는 인너 사이드 플랩이 각각 이어지며, 상기 천판 패널에는, 상기 띠 모양 플랩을 구성하는 플랩 패널이 이어지고, 또한,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뚜껑부의 전벽의 일부가 되는 전벽 패널 및 상기 전벽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인너 프론트 플랩이 순차 이어져 있는,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로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에 의하면, 상술한 힌지 리드 패키지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다 확실하게 뚜껑부를 개폐할 수 있는 새로운 힌지 리드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전측 사시도를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전측 사시도를 나타낸다(개방 상태).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후측 사시도를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4]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단면 사시도를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5]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6]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개방 상태).
[도 7] 도 7은, 제 1 블랭크(B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제 2 블랭크(B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10]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개방 상태).
[도 11] 도 11은, 변형예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를 나타낸다.
[도 12] 도 12는, 다른 변형예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배면도를 나타낸다.
[도 13] 도 13은, 다른 변형예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후측 사시도를 나타낸다(폐쇄 상태).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형태의 일 예로서, 필터 시가렛이나 양절(兩切) 시가렛 등의 담배 상품을 힌지 리드 패키지에 수용할 경우에 관해서,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패키지(1)의 내부에는, 담배 상품으로서, 종이말이(紙卷) 담배(필터 피수용물, 양절 담배(필터 없음)), 시가(葉卷), 시가릴로, 전자 담배 등을 수용 가능하다. 또한, 패키지(1)에는, 상품명, 회사명, 내용 표시 등의 인쇄가 가능하다.
<외관 구성>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1)(이하, 단순히 패키지(1)라고 한다)는, 대략 직방체(直方體) 형상을 가진 소위 힌지 뚜껑이 달린 박스형 패키지이다. 패키지(1)는, 패키지 본체(2)와, 패키지 본체(2)에 힌지(5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뚜껑부로서의 힌지 리드(3)(이하, 단순히 리드(3)라고 한다)와, 리드(3)에 연결되며,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함으로써 리드(3)를 개폐하는 띠 모양(帶狀) 플랩(6)을 포함해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하, 본 명세서에서, 패키지(1)의 정면측을 "전방"으로 정의하고, 배면측을 "후방"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종이재(예를 들면, 카드지, 마닐라 보드지)로 구성되어 있지만, 패키지(1)의 재질은 한정되지 않는다. 패키지는, 플라스틱 시트나, 금속판으로 구성해도 된다. 패키지(1)의 재질을 종이재로 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이 유연성을 가져, 패키지(1)의 재질을 다른 소재로 구성했을 경우와 비교해서, 힌지 리드(3)를 원활하게 개폐할 수 있다.
패키지 본체(2)는, 아우터 박스(21)와, 인너 프레임(22)을 구비한다. 아우터 박스(21)는, 직방체 형상의 상단측이 경사지게 절결(切缺)된 형상을 가진 박스체(箱體)이다. 패키지 본체(2)는, 전벽(前壁)(23), 후벽(後壁)(24), 측벽(側壁)(25), 저벽(底壁)(26)을 가진다. 전벽(23) 및 후벽(2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후벽(24)은 전벽(23)에 비해 높이 치수가 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전벽(23)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에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힌지(51)로부터 하방으로 향하여, 띠 모양 플랩(6)보다도 약간 폭 넓은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이 절결부(70)는, 띠 모양 플랩(6)보다도 길며, 띠 모양 플랩(6)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이 절결부(70)의 선단과 완충(緩衝)하지 않는 길이로 설계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절결부(70)는,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하단연(下端緣) 근방까지 뻗어 나와 있다.
또한,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내측에는,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받침판(80)이 설치되며,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외측에는, 아우터 박스(21)의 후벽과 거의 동일한 크기이고, 또, 절결부(91)가 형성된 누름판(90)이 설치되어, 아우터 박스(21)의 배면(背面)은 3중 구조로 되어 있다. 받침판(80)은, 본 발명의 받침부에 상당하며, 띠 모양 플랩(6)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띠 모양 플랩(6)을 내측으로부터 지지한다. 한편, 누름판(90)은, 본 발명의 누름부에 상당하며, 띠 모양 플랩(6)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띠 모양 플랩(6)이 패키지 본체(2)의 후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것을 억제한다. 누름판(90)의 절결부(91)는, 띠 모양 플랩(6)이 노출되도록, 띠 모양 플랩(6)보다도 폭 넓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90)의 절결부(91)의 길이는, 띠 모양 플랩(6)의 선단을 덮도록,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90)의 절결부(91)의 선단은, 라운드 형상으로, 띠 모양 플랩(6)의 표면에 형성된 미끄럼 방지부(滑止部)(61)를 구성하는 얕은 홈(淺溝)과 완충하기 어렵게 되어 있다.
아우터 박스(21)의 한 쌍의 측벽(25)은, 전벽(23) 및 후벽(24)의 양 측연(側緣)을 상호 연결하고 있으며, 직사각형 형상의 상단이 경사진 변(斜邊)으로 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측벽(25)의 상단연(上端緣)(25a)은, 전벽(23)의 상단과 후벽(24)의 상단을 잇도록 경사져 있다. 저벽(26)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전벽(23) 및 후벽(24)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다.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상단에는 힌지(51)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51)는, 각 측벽(25)의 상단연(25a)의 후부(後部) 사이에 걸쳐 연신(延伸)하며, 후벽(24)과 리드(3)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아우터 박스(21)는, 그 상단에 개구단(開口端)(2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단(21a)의 후측 개구연(開口緣)에, 힌지(51)를 통해 리드(3)가, 회동(선회) 가능하게 접합(연결)되어 있다.
인너 프레임(22)은, 대략 U자 형상을 이룬 전면 프레임(28)과, 이 전면 프레임(28)의 양 측연에 연결된 측면 프레임(29)을 가진다. 인너 프레임(22)은, 아우터 박스(21)의 상부 개구단(21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아우터 박스(21)의 내측, 즉, 전벽(23) 및 측벽(25)의 내측에 접착되어 있다. 인너 프레임(22)은, 아우터 박스(21)의 개구단(21a)을 보강함과 아울러, 리드(3)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전면(前面) 프레임(28)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 오목부(切缺凹部)(28a)를 가진다. 절결 오목부(28a)는, 인너 프레임(22)의 전면을 크게 개방하여, 담배 상품(피수용물)의 꺼내기(取出)를 용이하게 하고 있다. 또한, 전면 프레임(28)과 측면 프레임(29) 사이의 코너 부분에는, 측방으로 약간 돌출한 모서리편(耳片)이 형성되어 있다. 모서리편은, 리드(3)가 폐쇄되었을 때에, 리드(3)의 내측과 접촉하여, 리드(3)가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인너 프레임(22)은, 패키지(1)를 구성함에 있어서 필수인 부재는 아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너 프레임(22)을, 아우터 박스(21)와는 별개 부재로서 아우터 박스(21)의 내측에 접착하고 있지만, 이들을 동일한 블랭크재로 형성해도 된다. 또한, 아우터 박스(21)의 전벽(23) 상단을, 절결 오목부(28a)와 동일한 형상으로 함으로써, 인너 프레임을 생략해도 된다.
리드(3)는, 힌지(5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31)과, 후벽(31)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판(天板)(32)과, 천판(32)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33)과, 한 쌍의 측벽(34)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측벽(34)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후벽(31), 천판(32) 및 전벽(33)의 각(各) 측연을 연결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리드(3)는 힌지(51)를 중심으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리드(3)가 폐쇄되었을 때에, 그 측벽(34)의 경사진 변 즉 측벽(34)의 경사 하단연(下端緣)이, 아우터 박스(21)에 있어서의 측벽(25)의 상단연(上端緣)(25a)과 서로 합치(合致)한다. 리드(3)의 후벽(31)에는, 띠 모양 플랩(6)을 따라, 띠 모양 플랩(6)의 폭과 거의 동일하거나 약간 이보다 폭 넓은 리드(3)의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리드(3)와 띠 모양 플랩(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리드(3)의 후벽(31)에 절결부(35)가 형성되어 있지만, 띠 모양 플랩(6)을 리드(3)에 접속하도록 하고, 리드(3)의 후벽(31)의 절결부(35)를 생략하게 해도 된다.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리드(3)에 띠 모양 플랩(6)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띠 모양 플랩(6)을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리드(3)의 개폐가 가능하게 된다. 띠 모양 플랩(6)은, 기단(基端)(62)이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천판(32)과의 경계)의 중앙부와 연결되며, 선단(63)이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을 따라 패키지 본체(2)의 상하 방향의 중앙부까지 뻗어 나와 있다. 기단(62)은,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보다도 후방으로 약간 오프셋 되어 있다(도 3의 화살표 참조). 오프셋 값은, 0.5㎜∼2㎜,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로 할 수 있다. 기단(62)은,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과 동일선상으로 해도 되지만, 오프셋 함으로써,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이 띠 모양 플랩(6)에 의해 패키지(1)의 후방으로 일단 인장(引張)되고 나서, 힌지(5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그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리드(3)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의 양측(도 3의 점선 동그라미표 참조), 바꿔 말하면 띠 모양 플랩(6)과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과의 연결부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고 있다.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의 연결부를 라운드 형상으로 함으로써, 개폐시에 기단(62)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의 연결부의 파손(예를 들면, 찢어짐이나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띠 모양 플랩(6)은, 선단(63) 이외의 영역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형태에 따른 띠 모양 플랩(6)의 미끄럼 방지부(61)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횡방향으로 뻗은 얕은 홈으로 구성되어 있다. 얕은 홈을 형성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의 표면의 마찰 저항이 증가하여, 사용자가 띠 모양 플랩(6)을 슬라이드 시킬 때, 띠 모양 플랩(6)에 가해지는 외력이 보다 확실하게 띠 모양 플랩(6)에 전달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6)이 미끄럼 방지부(61)를 가지지 않는 경우와 비교하여, 적은 외력으로 띠 모양 플랩(6)을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은, 리드(3)가 개방될 때에 만곡(彎曲)하지만(도 6 참조), 얕은 홈으로 이루어지는 미끄럼 방지부(61)를 형성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이 보다 만곡하기 쉬워진다. 그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리드(3)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미끄럼 방지부(61)는, 띠 모양 플랩(6)의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게 해도 된다.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에는, 띠 모양 플랩(6)의 다른 영역보다도 폭 넓게 형성된 스토퍼부(64)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으로,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의 상부에는, 스토퍼부(64)와 접촉해서, 스토퍼부(64)의 빠짐을 억제하는 스토퍼 받이부(71)가 대향하여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아우터 박스(21)의 배면이 3중 구조로,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은, 받침판(80)과 누름판(90)에 의해 협지(挾持)되어 있다. 한편으로,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에는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으며,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4)은, 받침판(80)과 누름판(90)에 의해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나아가, 절결부(70)에 의해, 횡방향의 이동도 규제된다. 즉, 띠 모양 플랩(6)은,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만이 허용된다. 이 띠 모양 플랩(6)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 즉, 받침판(80), 누름판, 및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의 일 예이다.
<제조방법>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아우터 박스(21), 받침판(80), 누름판(90), 리드(3), 띠 모양 플랩(6)을 성형하는 제 1 블랭크(B1)와, 인너 프레임(22)을 성형하는 제 2 블랭크(B2)의 각 부분을 접어넣고, 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도 7은, 제 1 블랭크(B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제 2 블랭크(B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블랭크(B1)는, 아우터 박스(21)가 되는 아우터 박스 구역(R1), 받침판(80)이 되는 받침판 구역(R2), 누름판(90)이 되는 누름판 구역(R3), 리드(3)가 되는 뚜껑 구역(R4), 및 띠 모양 플랩(6)이 되는 플랩 구역(R5)을 가지고 있다.
아우터 박스 구역(R1)은, 아우터 박스(21)의 전벽(23)이 되는 전벽 패널(P1)을 가지고 있으며, 전벽 패널(P1)의 양 측연에는, 아우터 박스(21)의 측벽(25)이 되는 측벽 패널(P2, P2)이 이어져 있다. 한쪽 측벽 패널(P2)의 측연에는, 누름판 구역(R3)이 이어져 있다. 누름판 구역(R3)에는, 누름판(90)의 절결부(91)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판 구역(R3)이 후벽 패널(P4)의 표면에 중첩되어, 누름판 구역(R3)에 형성된 절결부(91) 이외의 영역이 접착됨으로써,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을 보강하여, 띠 모양 플랩(6)의 들뜸(浮上)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누름판(90)이 접속되어 있는 측벽 패널(P2)의 상단과, 인너 사이드 플랩(P5)의 하단에는 인너 보텀 플랩(P6)이 이어져 있으며, 이들 인너 보텀 플랩(P6)은 저벽 패널(P3)에 중첩되어, 아우터 박스(21)의 저벽(26)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누름판(90)이 접속되어 있는 측벽 패널(P2)은 패널의 매수가 1매뿐이기 때문에, 그 보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측벽 패널(P2)의 상단에 이어져 있는 인너 보텀 플랩(P6)만이, 저벽 패널(P3)에 접착된다.
전벽 패널(P1)의 상연(上緣)에는, 아우터 박스(21)의 저벽(26)이 되는 저판 패널(P3)이 이어져 있다. 저판(底板) 패널(P3)에는, 전벽 패널(P1)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이 되는 후벽 패널(P4)이 이어져 있다. 이 후벽 패널(P4)의 한쪽 측연에는, 측벽 패널(P2)에 대한 인너 사이드 플랩(P5)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4)의 다른쪽 측연에는, 받침판 구역(R2)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4)에는,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판 구역(R2)이 후벽 패널(P4)의 이면(裏面)에 중첩되어, 후벽 패널(P4)에 형성된 절결부(91) 이외의 영역이 접착됨으로써,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을 보강하고, 띠 모양 플랩(6)을 지지한다.
뚜껑 구역(R4)은, 리드(3)의 후벽(31)이 되는 후벽 패널(P7)을 가지고 있으며, 후벽 패널(P7)의 하단연은, 힌지(51)가 되는 힌지 라인(L1)을 통해 아우터 박스 구역(R1)의 후벽 패널(P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뚜껑 구역(R4)의 후벽 패널(P7)의 상단연에는, 리드(3)의 천판(32)이 되는 천판 패널(P8)이 이어져 있다. 이 천판 패널(P8)에는, 플랩 구역(R5)이 이어져 있다. 또한, 뚜껑 구역(R4)의 후벽 패널(P7)의 양 측연에는, 리드(3)의 측벽(34)의 일부가 되는 인너 사이드 플랩(P9, P9')이 각각 이어져 있다. 인너 사이드 플랩(P5)측의 인너 사이드 플랩(P9)은, 인너 사이드 플랩(P5)의 형상에 대응하여 사다리꼴이며, 받침판 구역(R2)측의 실시형태에 따른 인너 사이드 플랩(P9')은, 받침판 구역(R2)의 형상에 대응하여 직사각형이다. 그리고, 각 인너 사이드 플랩(P9, P9')의 상단연에는, 인너 톱 플랩(P10)이 이어져 있으며, 이들 인너 톱 플랩(P10)은 천판 패널(P8)에 중첩되어, 천판(32)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천판 패널(P8)에는, 후벽 패널(P7)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리드(3)의 전벽(33)의 일부가 되는 전벽 패널(P11) 및 전벽(33)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인너 프론트 플랩(P12)이 순차 이어져 있다. 인너 프론트 플랩(P12)은, 전벽 패널(P11)에 중첩되어, 접착됨으로써, 전벽(33)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전벽 패널(P11)의 양 측연에는, 리드(3)에 있어서의 측벽(34)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측벽 패널(P13)이 각각 이어져 있다. 상술한 인너 사이드 플랩(P9, P9')은, 측벽 패널(P13)에 중첩되어, 측벽(34)의 보강을 이룬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블랭크(B2)는, 인너 프레임(22)의 전면 프레임(28)이 되는 전면 패널(P14)을 가지며, 전면 패널(P14)의 양 측연에는, 인너 프레임(22)의 측면 프레임(29)이 되는 측면 플랩(P15)이 각각 이어져 있다. 또한, 제 2 블랭크(B2)에서는, 전면 패널(P14)의 각 측면 플랩(P15)과의 연결부에 슬릿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슬릿은, 도 8 중 파선(破線)으로 나타낸 전면 패널(P14)과 측면 플랩(P15) 사이의 접어넣기선과 중첩하여 형성되며, 전면 패널(P14)측으로 향하여 벌어진 세로로 긴 C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슬릿은, 제 2 블랭크(B2)를 접어넣기선을 따라 접어넣은 때에, 측면 프레임(29)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돌출하여, 모서리편이 된다.
상술한 제 1 블랭크(B1), 제 2 블랭크(B2)는, 도 7 및 도 8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접어넣기선으로부터 각각 접어넣어져,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패키지 본체(2), 받침판(80), 누름판(90), 리드(3), 및 띠 모양 플랩(6)이 각각 성형된다. 제 1 블랭크(B1)의 아우터 박스 구역(R1)에서는, 각 접어넣기선이 접어넣어져, 인너 사이드 플랩(P5)이 측벽 패널(P2)에 접착됨으로써, 패키지 본체(2)의 아우터 박스(21)가 성형된다. 누름판(90)이 접속되어 있는 측벽 패널(P2)은 패널의 매수가 1매뿐이기 때문에, 그 보강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측벽 패널(P2)의 상단에 이어져 있는 인너 보텀 플랩(P6)만이, 저벽 패널(P3)에 접착된다. 그리고, 아우터 박스 구역(R1)의 전벽 패널(P1)에 대해, 제 2 블랭크(B2)의 전면 패널(P14)이 접착됨으로써, 아우터 박스(21) 및 인너 프레임(22)이 일체로 된 패키지 본체(2)가 성형된다. 또한, 받침판 구역(R2)이 후벽 패널(P4)의 이면에 중첩되어, 후벽 패널(P4)에 형성된 절결부(70) 이외의 영역이 접착되고, 또한, 누름판 구역(R3)이 후벽 패널(P4)의 표면에 중첩되어, 누름판 구역(R3)에 형성된 절결부(70) 이외의 영역이 접착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리드(3)를 개폐 가능한 패키지(1)가 성형된다.
한편, 제 1 블랭크(B1)의 뚜껑 구역(R4)에서는, 각 접어넣기선이 접어넣어져, 인너 프론트 플랩(P12)이 전벽 패널(P11)에 접착되고, 인너 사이드 플랩(P9)이 측벽 패널(P13)에 중첩됨으로써, 인너 톱 플랩(P10)이 천판 패널(P8)에 접착됨으로써, 리드(3)가 성형된다.
<동작>
다음으로, 패키지(1)에 있어서의 리드(3)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작용효과와 함께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개방 상태).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폐쇄 상태).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을 나타낸다(개방 상태).
도 5, 도 9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3)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띠 모양 플랩(6)이 아우터 박스(21)의 내측에 설치된 받침판(80)과 접해 있다. 그때,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에 형성된 스토퍼부(64)는, 스토퍼 받이부(71)와 접하거나, 혹은 스토퍼 받이부(71)의 근방에 위치한다. 만일, 리드(3)가 폐쇄된 상태보다도 더 상방으로 띠 모양 플랩(6)을 슬라이드 하도록 해도, 스토퍼부(64)가 스토퍼 받이부(71)와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의 빠짐이 억제된다.
도 6,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드(3)가 폐쇄된 상태에서 띠 모양 플랩(6)이 하방으로 슬라이드 하도록, 띠 모양 플랩(6)에 외력을 가하면, 슬라이드 조작에 연동하여, 리드(3)가 서서히 개방 상태가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면 패키지(1)의 전면(前面)이 사용자의 손바닥측이 되도록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패키지(1)를 쥐고, 엄지손가락으로 띠 모양 플랩(6)의 미끄럼 방지부(61)를 누른다. 그리고, 엄지손가락으로 띠 모양 플랩(6)을 누르면서, 띠 모양 플랩(6)을 하방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또한, 패키지(1)의 지지나 띠 모양 플랩(6)의 슬라이드는, 다른 손가락으로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집게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패키지(1)를 쥐고, 집게손가락으로 띠 모양 플랩(6)의 미끄럼 방지부(61)를 슬라이드 해도 된다.
띠 모양 플랩(6)의 이면은, 받침판(8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의 휨이 억제된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은, 받침판(80)과 누름판(90)에 의해 협지되고, 또,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 내에 위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의 이동만이 허용되고 있다. 그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에 대해 하방으로의 외력을 가한 경우에는, 띠 모양 플랩(6)은, 받침판(80), 누름판(90), 및 절결부(70)에 의해 구성되는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하방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한다. 또한,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은,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보다 약간 후방으로 오프셋 되어 있기 때문에, 리드(3)의 후벽(31)의 상단연이 띠 모양 플랩(6)에 의해 패키지(1)의 후방으로 일단 인장되고 나서, 힌지(51)를 축으로 하여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보다 원활하게 리드(3)가 회전할 수 있다. 그때, 띠 모양 플랩(6)은, 받침판(80)으로부터 서서히 이간한다. 또한, 리드(3)의 후벽(31)이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과 직교할 때, 띠 모양 플랩(6)과 받침판과의 간격이 최대가 된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의 이면과 받침판(80)의 표면 중, 띠 모양 플랩(6)과 대향(對向)하는 영역에 표면 미끄럼성(滑性) 처리를 행함으로써, 마찰 저항이 저감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6)이,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드 할 수 있다. 표면 미끄럼성 처리는, 띠 모양 플랩(6)의 이면과 받침판(80)의 표면 중, 어느 한쪽이어도 된다.
개방 상태에 있는 리드(3)를 폐쇄 상태로 할 경우는, 개방할 때와 반대 동작을 행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손바닥 또는 엄지손가락 이외의 손가락으로 패키지(1)를 쥔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띠 모양 플랩(6)의 미끄럼 방지부(61)를 누르면서 띠 모양 플랩(6)을 상방으로 슬라이드 시킨다. 띠 모양 플랩(6)의 이면은, 받침판(80)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할 때와 동일하게, 띠 모양 플랩(6)의 휨이 억제된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은, 상하 방향의 이동만이 허용되고 있기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에 대해 상방으로의 외력을 가한 경우에는, 띠 모양 플랩(6)은, 받침판(80), 누름판(90), 및 절결부(70)에 의해 구성되는 가이드부에 가이드되어 상방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드 한다. 띠 모양 플랩(6)이 상방으로 슬라이드 해 가면, 리드(3)가 힌지(51)를 축으로 하여 개방할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때, 띠 모양 플랩(6)은, 받침판(80)에 서서히 접근해 간다. 리드(3)가 폐쇄 상태가 되면, 띠 모양 플랩(6)은, 아우터 박스(21)의 내측에 설치된 받침판(80)과 완전히 접한 상태가 된다. 그때,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에 형성된 스토퍼부(64)는, 스토퍼 받이부(71)와 접하거나, 혹은 스토퍼 받이부(71)의 근방에 위치한다. 만일, 리드(3)가 폐쇄된 상태보다도 더 상방으로 띠 모양 플랩(6)을 슬라이드 하게 해도, 스토퍼부(64)가 스토퍼 받이부(71)와 접촉하여, 상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그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의 빠짐이 억제된다. 또한, 리드(3)를 직접 파지(把持)하고, 리드(3)는 수동으로 폐쇄해도 된다.
<효과>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리드(3)에 연결된 띠 모양 플랩(6)이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는 띠 모양 플랩(6)을 직접 슬라이드 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이 리드(3)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리드(3)에 직접적으로 작용한다. 바꿔 말하면, 실시형태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1)는, 종래처럼, 아우터 바디의 접촉편과 인너 케이스의 띠 모양체가 결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개폐가 결합에 좌우되는 일도 없다. 또한, 띠 모양 플랩(6)은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해 가해진 외력이 리드(3)를 개폐하기 위한 동력으로서, 리드(3)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모습을 보고 확인할 수 있으며, 조작성에도 뛰어나다. 또한, 외력의 전달 경로가 단순하고, 외력이 전달 경로에서 손실되는 일도 거의 없다. 그 결과,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리드(3)를 종래보다도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받침판(80)을 구비함으로써, 피수용물의 감소에 관계없이, 띠 모양 플랩(6)을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6)의 휨이 억제되고, 띠 모양 플랩(6)을 항상 원활하게 슬라이드 시킬 수 있어, 확실하게 리드(3)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누름판(90)을 구비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의 연결부가 라운드 형상으로, 리드(3)의 개폐시에 기단(62)에 작용하는 응력이 분산된다. 그 결과, 띠 모양 플랩(6)의 기단(62)의 연결부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는, 아우터 박스(21)의 배면이 3중 구조로, 받침판(80), 누름판(90), 아우터 박스(21)의 후벽(24)의 절결부(70)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를 구비한다. 가이드부를 구비함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은, 상하 방향의 이동만이 허용되어, 보다 원활하게 띠 모양 플랩(6)이 슬라이드 한다. 그 결과, 확실하게 리드(3)를 개폐할 수 있다.
<변형예>
누름판(90) 대신, 힌지 리드 패키지를 감싸는 필름에 의해 띠 모양 플랩(6)을 누르게 해도 된다. 이 경우,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봉 테이프(99)의 위치는, 띠 모양 플랩의 선단보다도 상측으로 하면 된다. 이에 의해, 힌지 리드 패키지를 감싸는 필름을 하부만 남김으로써, 띠 모양 플랩(6)의 선단(63)을 필름으로 누를 수 있고, 띠 모양 플랩(6)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토퍼 받이부(71) 대신, 받침판(80)에 띠 모양 플랩(6)의 띠 부분(帶部)을 삽통(揷通)할 수 있고 스토퍼부(64)가 삽통하지 않는 폭의 슬릿을 형성해도 된다. 이 슬릿에 띠 모양 플랩(6)의 선단을 삽입함으로써, 삽입 후는 스토퍼부(64)가 슬릿에 단부가 걸리기 때문에, 띠 모양 플랩(6)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우터 박스(21)의 배면을 후벽(24)만의 한 겹 구조로 하고, 플레이트 형상의 부재(100)를 후벽(24)에 설치하여, 띠 모양 플랩(6)의 띠 부분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띠 모양 플랩(6)을 누르게 해도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64), 절결부(70), 스토퍼 받이부(71)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서는, 띠 모양 플랩(6)과 스토퍼부(64')와의 접속 부분에 테이퍼부(6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 받이부(71')가 테이퍼부(641)에 맞춰서 테이퍼 형상으로, 절결부(70')의 상부 폭은 띠 모양 플랩(6)의 폭과 거의 동일한 폭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띠 모양 플랩(6)과 절결부(70')는 플라스크 형상으로, 절결부(70')는 플라스크의 저부(底部)가 띠 모양 플랩(6)보다도 깊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 13에 나타내는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1)는, 실시형태에 따른 패키지(1)보다도, 스토퍼부(64'), 절결부(70'), 스토퍼 받이부(71')의 요철이 적어, 보다 간이한 구성이다. 그 때문에, 펀칭(打拔) 가공 등에 따른 제조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적합한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힌지 리드 패키지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고, 가능한 한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1…패키지
2…패키지 본체
3…리드
6…띠 모양 플랩
21…아우터 박스
22…인너 프레임
51…힌지

Claims (9)

  1. 상부에 개구단(開口端)을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被收容物)을 수용하는 직방체(直方體)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開口緣)에 힌지를 통해 회동(回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후측이면서 상기 힌지보다도 상부에 기단(基端)이 연결되며, 선단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나온 띠 모양(帶狀) 플랩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상기 띠 모양 플랩을 직접 조작함으로써,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면, 해당 슬라이드에 연동(連動)해서 상기 힌지를 축으로 하여, 상기 뚜껑부가 개폐하는, 힌지 리드 패키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구비하는, 힌지 리드 패키지.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외측에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간(離間)하는 것을 억제하는 누름부를 더 구비하는, 힌지 리드 패키지.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플랩의 기단은, 상기 뚜껑부의 후면의 상단연과 연결되며, 연결부의 양 단부(端部)는 라운드 형상을 가지는, 힌지 리드 패키지.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상하 방향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방 방향으로 슬라이드 했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스토퍼부를 더 구비하는, 힌지 리드 패키지.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받침부 중,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이면과 대향하는 영역과,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이면 중 적어도 어느 한쪽은, 그 표면에 표면 미끄럼성 처리부를 가지는, 힌지 리드 패키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띠 모양 플랩은, 표면에 미끄럼 방지부(滑止部)를 가지는, 힌지 리드 패키지.
  8.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로서,
    상기 힌지 리드 패키지는,
    상부에 개구단을 가지며, 내부에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직방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연에 힌지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부와,
    상기 뚜껑부의 후측이면서 상기 힌지보다도 상부에 기단이 연결되며, 선단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을 따라 하방으로 뻗어 나온 띠 모양 플랩과,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부에 상기 띠 모양 플랩과 접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을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외측에 상기 띠 모양 플랩의 적어도 선단을 덮도록 설치되어, 상기 띠 모양 플랩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하였을 때, 해당 띠 모양 플랩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을 억제하는 누름부를 구비하며,
    상기 패키지 본체는, 전벽(前壁)이 되는 전벽 패널을 가지며, 해당 전벽 패널의 양 측연(側緣)에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측벽(側壁)이 되는 대향(對向)하는 측벽 패널이 이어지고, 한쪽 측벽 패널의 측연에는, 상기 누름부를 구성하는 누름 패널이 이어지며, 상기 전벽 패널의 상연(上緣)에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저벽(底壁)이 되는 저판(底板) 패널이 이어지고, 해당 저판 패널에는, 상기 전벽 패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後壁)이 되는 후벽 패널이 이어지며, 해당 후벽 패널의 한쪽 측연에는, 상기 측벽 패널에 대한 인너 사이드 플랩이 이어지고, 상기 후벽 패널의 다른쪽 측연에는, 상기 받침부를 구성하는 받침 패널이 이어지며,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 패널에는, 상기 뚜껑부를 구성하는 뚜껑 패널이 이어지고, 해당 뚜껑 패널은, 상기 뚜껑부의 후벽이 되는 후벽 패널을 가지며, 해당 후벽 패널의 하단연(下端緣)은, 상기 힌지가 되는 힌지 라인을 통해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 패널과 연결되고,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의 상단연(上端緣)에는, 상기 뚜껑부의 천판(天板)이 되는 천판 패널이 이어지고,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의 양 측연에는, 상기 뚜껑부의 측벽의 일부가 되는 인너 사이드 플랩이 각각 이어지며, 상기 천판 패널에는, 상기 띠 모양 플랩을 구성하는 플랩 패널이 이어지고, 또한, 상기 뚜껑 패널의 후벽 패널과는 반대측에 위치하여 상기 뚜껑부의 전벽의 일부가 되는 전벽 패널 및 상기 전벽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인너 프론트 플랩이 순차 이어져 있는, 힌지 리드 패키지의 블랭크.
  9. 삭제
KR1020157010495A 2012-10-16 2013-10-11 힌지 리드 패키지 KR101632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28854 2012-10-16
JP2012228854 2012-10-16
PCT/JP2013/077724 WO2014061576A1 (ja) 2012-10-16 2013-10-11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0862A KR20150060862A (ko) 2015-06-03
KR101632856B1 true KR101632856B1 (ko) 2016-06-22

Family

ID=50488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0495A KR101632856B1 (ko) 2012-10-16 2013-10-11 힌지 리드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5889427B2 (ko)
KR (1) KR101632856B1 (ko)
CN (1) CN104736456B (ko)
RU (1) RU2598297C1 (ko)
TW (1) TWI611989B (ko)
WO (1) WO2014061576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2518A (ja) 2008-06-06 2009-12-17 Japan Tobacco Inc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JP4602095B2 (ja) 2005-01-17 2010-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993A (en) * 1890-11-04 bailey
GB107331A (en) * 1916-11-16 1917-06-28 Harry Levy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Slide Boxes.
JPS5648019Y2 (ko) * 1977-01-14 1981-11-10
JPH062095B2 (ja) * 1987-05-28 1994-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DE4204827A1 (de) * 1992-02-18 1993-08-19 Focke & Co Verpackung, insbesondere weichbecher-packung fuer zigaretten
US20050103654A1 (en) * 2003-11-19 2005-05-19 Hennessy Martin A. Cigarette container
SG127781A1 (en) * 2005-05-26 2006-12-29 Indra Muliadi Sugiharto 2 In 1 cigarettes packaging with a "click" openingsystem as container for all kinds of cigarettes e quipped with matches and striking paper
JP5136840B2 (ja) 2007-12-12 2013-02-06 株式会社デンソー 回転電機
CN201317541Y (zh) * 2008-12-08 2009-09-30 云南侨通包装印刷有限公司 一种自动打开式翻盖烟盒
JP5391003B2 (ja) 2009-09-09 2014-01-15 株式会社クラレ 光反射性回路基板
JP2012030882A (ja) * 2010-08-03 2012-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摺動式カートン
CN201864153U (zh) * 2010-09-08 2011-06-15 湖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向上提拉开启烟盒
GB201101916D0 (en) * 2011-02-04 2011-03-23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ack for smoking art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02095B2 (ja) 2005-01-17 2010-1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
JP2009292518A (ja) 2008-06-06 2009-12-17 Japan Tobacco Inc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61576A1 (ja) 2014-04-24
KR20150060862A (ko) 2015-06-03
RU2598297C1 (ru) 2016-09-20
JPWO2014061576A1 (ja) 2016-09-05
CN104736456B (zh) 2016-08-24
TW201429828A (zh) 2014-08-01
JP5889427B2 (ja) 2016-03-22
CN104736456A (zh) 2015-06-24
TWI611989B (zh) 2018-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7677B1 (ko) 슬라이드 작용형 힌지 리드 패키지
KR20110002087A (ko) 슬라이드 작용형 힌지 리드 패키지
JP2011098735A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KR101589841B1 (ko) 하드형 패키지
RU2582447C2 (ru) Сигаретная пачка с жестким вытяжным клапаном
JP5902396B2 (ja) 引上げテープを備えたタバコのパッケージ、および、関連する包装方法および装置
GB2115386A (en) Pack for cigarettes or the like
KR101632856B1 (ko) 힌지 리드 패키지
KR101600223B1 (ko) 슬라이드 패키지
EP2727852A1 (en) Package for tobacco related articles having slidable compartments
EP2759492B1 (en) Upsliding package and blank set thereof
KR101632854B1 (ko) 하드형 패키지
KR20160143780A (ko) 종이 제품의 단부 구조 및 종이제의 패키지
JP5859655B2 (ja) ヒンジリッド型ボックス
RU2638630C2 (ru) Упаковка курительных изделий со скользящим открыванием
WO2014068704A1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KR101935175B1 (ko) 개선된 담배갑
JP5955976B2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TWI483873B (zh) 滑箱型包裝件
TW201406628A (zh) 鉸鏈蓋型盒
WO2016030995A1 (ja) パッケージ
TW201418118A (zh) 鉸鏈蓋包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