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9841B1 - 하드형 패키지 - Google Patents

하드형 패키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9841B1
KR101589841B1 KR1020147007770A KR20147007770A KR101589841B1 KR 101589841 B1 KR101589841 B1 KR 101589841B1 KR 1020147007770 A KR1020147007770 A KR 1020147007770A KR 20147007770 A KR20147007770 A KR 20147007770A KR 101589841 B1 KR101589841 B1 KR 10158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ackage
tray
lid
rea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495A (ko
Inventor
야스시 코쿠분
코지 사카이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62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65D5/66Hinged lids
    • B65D5/6685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 B65D5/6691Hinged lids formed by extensions hinged to the upper edge of a container body formed by erecting a blank to U-shape the container being provided with an internal frame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lid in the closed position by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B65D85/1045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 B65D85/1054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having a cap-like lid hinged to an edge combined with an outer sleeve connected to the l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Abstract

패키지(1)는, 개구단(21a)을 갖는 패키지 본체(2)와, 개구단(21a)의 후측 개구 가장자리에 제1 힌지(51)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개구단(21a)을 개폐하는 뚜껑(3)과,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측에 설치되어 패키지 본체(2)에 접합된 제1 트레이부(41) 및 뚜껑(3)에 접합된 제2 트레이부(42)를 갖고,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가 제2 힌지(52)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된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한다. 그리고,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가 제2 힌지(52)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함으로써, 트레이 부재(4)에 대하여 패키지 본체(2)가 일어선다.

Description

하드형 패키지{HARD PACKAGE}
본 발명은, 하드형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 담배 상품 등의 피수용물을 수용하는 패키지(포장)로서, 소프트 팩(soft pack)형 패키지, 하드형 패키지(hard pakage) 등이 공지되어 있다. 하드형 패키지의 하나의 형태로서, 힌지를 통하여 패키지 본체에 개폐 자유롭게 연결된 상부 뚜껑(힌지 리드(hinge lid))을 구비한 힌지 리드 부착 하드형 패키지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하드형 패키지는, 통상, 상자 형상의 외형을 갖고, 시가렛 다발을 수용하는 패키지 본체와, 패키지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개구단(開口端)을 개폐하기 위한 뚜껑 부재가, 개구단의 가장자리부(緣部)를 따라 설치되는 힌지를 통하여 회동(回動)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제4011542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 제468992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표 2008-531409호 공보 특허문헌 4 : 유럽 특허출원공개 0193365호 명세서 특허문헌 5 : 유럽 특허출원공개 1260449호 명세서
힌지 리드 부착 하드형 패키지에 요구되는 기능으로서, 피수용물의 꺼내기 쉬움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피수용물을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한 하드형 패키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는, 상부에 개구단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 가장자리(開口緣)에 제1 힌지를 통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 부재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後壁)측에 설치되고, 상기 패키지 본체에 접합된 제1 트레이(tray)부 및 상기 뚜껑 부재에 접합된 제2 트레이부를 갖고, 그 제1 트레이부 및 그 제2 트레이부가 제2 힌지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된 트레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 및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가 일어선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하드형 패키지에 의하면, 트레이 부재에 대하여 패키지 본체가 일어선 상태에서 피수용물을 꺼낼 수 있으므로, 해당 수용물을 꺼내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하드형 패키지는, 상기 제1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端部)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低板) 또는 후벽(後壁)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상기 제2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4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부재의 천정판(天板)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또한,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3 힌지 및 상기 제4 힌지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가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함께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구성되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제1 트레이부는, 상기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을 덮고 또한 일단측이 상기 제3 힌지를 통하여 그 바닥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는 바닥판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의 타단측과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는 일단을 갖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2 힌지가 형성되는 후벽면 피복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는, 상기 제1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전벽(前壁)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상기 제2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4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부재의 천정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또한,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3 힌지 및 상기 제4 힌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레이부는, 상기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을 덮는 바닥판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와 연결되는 일단을 가짐과 함께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을 덮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2 힌지가 형성되는 후벽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와 연결되는 일단을 가짐과 함께 상기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전벽의 하부 영역을 적어도 덮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3 힌지가 형성되는 전벽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가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함과 함께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또한, 상기 후벽면 피복부에는, 상기 제1 트레이부가 회동할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과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의 길이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기 바닥판 후측 가장자리부(後緣部)와 상기 제3 힌지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고, 상기 후벽면 피복부의 길이는, 상기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과 상기 뚜껑 부재에 있어서의 후벽의 높이의 합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트레이부의 길이는, 상기 뚜껑 부재의 상기 천정판 후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4 힌지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뚜껑 부재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를 패키지 본체의 배면(背面)측으로 커지는 일 없이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하드형 패키지는, 상기 패키지 내에 배치되어, 일단측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면에 고정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뚜껑 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는 평판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평판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 힌지와 평행한 제5 힌지를 갖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 5의 힌지를 경계로 상기 패키지 본체에 접합되는 제1 영역부와 상기 뚜껑 부재에 접합되는 제2 영역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영역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 상태와, 상기 제1 영역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영역부가 후방으로 경사진 제2 경사 상태 사이에서 자세를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경사 상태로부터 상기 제2 경사 상태로 이행(移行)된 상기 평판 스프링 부재의 자세가 그 제2 경사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가 일어선 상태로 유지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뚜껑 부재는, 닫혀졌을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전벽의 대략 전면(全面)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 부재는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에 의해, 뚜껑 부재의 뚜껑 닫힘이 좋아진다. 더욱이, 패키지의 가장자리는, 모따기 형상이나 둥근(round)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되는 피수용물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봉상 (棒狀) 물품의 집합체, 예를 들면 담배 상품을 피수용물로서 적합하게 예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피수용물은 담배 상품이어도 좋다. 또한, 담배 상품이란, 예를 들면 지권(紙卷)담배(필터 시가렛, 양절(兩切)담배(필터 없음)), 시가(여송연), 시가릴로, 스누스, 코담배, 츄잉담배, 전자담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가능한 한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드형 패키지에 있어서, 피수용물을 용이하게 꺼내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제1 블랭크(blank)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제2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제3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a은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b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c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0a는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c은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의 제1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의 제2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의 제3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실시예 2의 제2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7a은 실시예 3에 따른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7b은 실시예 3에 따른 패키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0은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제4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의 제5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형 패키지에 수용되는 피수용물은 특정의 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여기에서는, 필터 시가렛이나 양절 시가렛 등의 담배 상품을 패키지에 수용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기재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그 상대 배치 등은, 특별히 특정적인 기재가 없는 한은,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그것들 만에 한정하는 취지의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하드형 패키지(이하, 간단히 "패키지"라고 함)(1)의 사시도이다. 패키지(1)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소위 힌지 리드 부착 상자형 패키지이다. 패키지(1)는, 패키지 본체(2)와, 패키지 본체(2)에 힌지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덮개부재로서의 뚜껑(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은, 뚜껑(3)이 닫혀진 패키지(1)를 정면측의 오른쪽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뚜껑(3)이 개방된 패키지(1)를 정면측의 오른쪽에서 비스듬하게 위쪽으로부터 바라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패키지(1)의 정면측을 "전방"이라고 정의하고, 배면측을 "후방"이라고 정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키지(1)는, 예를 들면 종이재(紙材), 또는 플라스틱 시트로 되어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패키지 본체(2)는, 외측 상자(21)와, 내측 프레임(22)을 구비한다. 외측 상자(21)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단측이 비스듬하게 절결된 형상을 갖는 상자체이다. 패키지 본체(2)를 상세히 설명하면, 패키지 본체(2)는, 전벽(23), 후벽(24), 측벽(25), 바닥판(26)을 갖는다. 전벽(23) 및 후벽(24)은 각각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후벽(24)은 전벽(23)에 비해 높이 치수가 기다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전벽(23)과 대향 배치되어 있다. 1조(組)의 측벽(25)은, 전벽(23) 및 후벽(24)의 양측 가장자리를 서로 연결하고 있고, 직사각형 형상의 상단(上端)이 경사변(斜邊)으로 된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측벽(25)의 상단 가장자리(25a)는, 전벽(23)의 상단과 후벽(24)의 상단을 잇도록 경사져 있다. 바닥판(26)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전벽(23) 및 후벽(24)의 하단(下端)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외측 상자(21)의 후벽(24)의 상단에는 힌지(이하, "제1 힌지" 이라고 함)(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힌지(51)는, 각 측벽(25)의 상단 가장자리(25a)의 후부 사이에 걸쳐 연신(延伸)되어, 후벽(24)과 뚜껑(3)을 서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외측 상자(21)는, 그 상단에 개구단(21a)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개구단(21a)의 후측 개구 가장자리에, 제1 힌지(51)를 통하여 뚜껑(3)이, 회동(선회) 자유롭게 접합(연결)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22)은, 대략 U자형 형상을 이룬 전면(前面) 프레임(28)과, 이 전면 프레임(28)의 양측 가장자리에 연결된 측면 프레임(29)을 갖는다. 내측 프레임(22)은, 외측 상자(21)의 상부의 개구단(21a)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외측 상자(21)의 내면, 즉, 전벽(23) 및 측벽(25)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내측 프레임(22)은, 외측 상자(21)의 개구단(21a)을 보강함과 함께, 뚜껑(3)의 개폐를 안내하는 가이드로서도 기능한다.
전면 프레임(28)은,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절결 오목부(28a)를 갖는다. 절결 오목부(28a)는, 내측 프레임(22)의 전면(前面)을 크게 벌려, 담배 상품(피수용물)의 꺼냄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전면 프레임(28)과 측면 프레임(29)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측방으로 약간 돌출된 귀형상편(28b)이 설치되어 있다. 귀형상편(28b)은, 뚜껑(3)이 닫혀졌을 때에, 뚜껑(3)의 내면과 접촉하여, 뚜껑(3)이 부주위로 열리는 것을 억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내측 프레임(22)는, 패키지(1)를 구성하는데 있어서 필수의 부재는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내측 프레임(22)을, 외측 상자(21)와는 별도의 부재로서 외측 상자(21)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지만, 이들을 동일한 블랭크재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외측 상자(21)의 전벽(23) 상단을, 절결 오목부(28a)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내측 프레임을 생략해도 좋다.
뚜껑(3)은, 제1 힌지(5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31)과, 후벽(31)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정판(32)과, 천정판(32)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33)과, 1조의 측벽(34)을 갖고 있다. 1조의 측벽(34)은, 각각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있고, 후벽(31), 천정판(32) 및 전벽(33)의 각 측방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뚜껑(3)은 제1 힌지(51)를 중심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고, 뚜껑(3)이 닫혔을 때에, 그 측벽(34)의 경사변, 즉 측벽(34)의 경사 하단 가장자리가,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측벽(25)의 상단 가장자리(25a)와 서로 합치(合致)된다.
패키지(1)는, 패키지 본체(2)(외측 상자(21))의 후벽(24)(배면)측에 설치되는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하고 있다. 트레이 부재(4)는, 뚜껑(3)이 닫혀진(닫힌 뚜껑으로 된)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상자(21) 및 뚜껑(3) 양쪽의 후벽을 덮도록, 이들의 각 후벽면을 따른 자세로 유지되는 한편, 뚜껑(3)의 개방(열린 뚜껑) 동작에 따라, 패키지 본체(2)를 일어 세우는(기립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트레이 부재(4)는,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를 갖는다. 제1 트레이부(41)의 일단측은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에 접합(접착)되고, 제2 트레이부(42)의 일단측이 뚜껑(3)의 천정판(32)에 접합(접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의 타단끼리는, 제2 힌지(52)를 통하여 서로 상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제2 힌지(52)와 반대측의 단부가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과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제2 트레이부(42)에 있어서의 제2 힌지(52)와 반대측의 단부가 뚜껑(3)의 천정판(32)과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트레이부(41) 및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과의 접합부에는, 패키지(1)의 폭방향을 따라 제3 힌지(53)가 형성되고, 이 제3 힌지(53)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1 트레이부(41)는 외측 상자(21)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트레이부(42) 및 뚜껑(3)의 천정판(32)과의 접합부에는, 패키지(1)의 폭방향을 따라 제4 힌지(54)가 형성되고, 이 제4 힌지(54)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제2 트레이부(42)는 뚜껑(3)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제4 힌지(51, 52, 53, 54)는 서로 평행하고, 패키지(1)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는,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패키지 본체(2)의 바닥판(26)을 덮고 또한 일단측이 제3 힌지(53)를 통하여 바닥판(26)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는 바닥판면 피복부(44)와, 이 바닥판면 피복부(44)의 타단측과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는 일단을 갖고 또한 타단측에 제2 힌지(52)가 형성되는 후벽면 피복부(45)를 갖는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는, 바닥판면 피복부(44) 및 후벽면 피복부(45)의 측변(側邊)에 연결되고, 대략 삼각형 형상을 갖는 한 쌍의 대향하는 측면부(46, 46)를 갖는다. 각 측면부(46, 46)는, 바닥판면 피복부(44) 및 후벽면 피복부(45)에 대하여 수직으로 입설(立設)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패키지(1)는, 외측 상자(21) 및 뚜껑(3)을 성형하는 제1 블랭크(B1)와, 내측 프레임(22)를 성형하는 제2 블랭크(B2)와, 트레이 부재(4)를 성형하는 제3 블랭크(B3)의 각 부위를 접어, 접합함으로써 제조되어 있다. 도 3은, 제1 블랭크(B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제2 블랭크(B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3 블랭크(B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1)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각 블랭크(B1, B2, B3)에는 카드지, 마닐라 골판지 등의 종이재, 또는 플라스틱 시트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블랭크(B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 상자(21)가 되는 외측 상자 구역(R1), 뚜껑(3)이 되는 뚜껑 구역(R2)을 갖고 있다. 외측 상자 구역(R1)은 외측 상자(21)의 전벽(23)이 되는 전벽 패널(P1)을 갖고 있고, 전벽 패널(P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상자(21)의 측벽(25)이 되는 측벽 패널(P2, P2)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1)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이 되는 바닥판 패널(P3)이 이어져 있다. 바닥판 패널(P3)에는, 전벽 패널(P1)과는 반대측에 위치되어 외측 상자(21)의 후벽(24)이 되는 후벽 패널(P4)이 이어져 있다. 이 후벽 패널(P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벽 패널(P2)에 대한 내측 사이드 플랩(inner side flap)(P5, P5)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내측 사이드 플랩(P5)의 하단(下端)에는, 내측 바텀 플랩(inner bottom flap)(P6)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내측 바텀 플랩(P6)은 바닥판 패널(P3)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의 보강을 이룬다.
뚜껑 구역(R2)은, 뚜껑(3)의 후벽(31)이 되는 후벽 패널(P7)을 갖고 있고, 후벽 패널(P7)의 하단 가장자리는, 제1 힌지(51)가 되는 제1 힌지 라인(L1)을 통하여 외측 상자 구역(46)의 후벽 패널(P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뚜껑 구역(R2)의 후벽 패널(P7)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뚜껑(3)의 천정판(32)이 되는 천정판 패널(P8)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뚜껑(3)의 측벽(34) 일부가 되는 내측 사이드 플랩(P9)이 각각 이어져 있다. 그리고, 각 내측 사이드 플랩(P9)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내측 탑 플랩(inner top flap)(P10)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내측 탑 플랩(P10)은 천정판 패널(P8)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천정판(32)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천정판 패널(P8)에는, 후벽 패널(P7)과는 반대측에 위치되어 뚜껑(3)의 전벽(33) 일부가 되는 전벽 패널(P11) 및 전벽(33)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내측 프론트 플랩(inner front flap)(P12)이 순차적으로 이어져 있다. 내측 프론트 플랩(P12)은, 전벽 패널(P11)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전벽(33)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전벽 패널(P1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뚜껑(3)에 있어서의 측벽(34)의 나머지 부분이 되는 측벽 패널(P13)이 각각 이어져 있다. 상술한 내측 사이드 플랩(P9)은, 측벽 패널(P13)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측벽(34)의 보강을 이룬다.
제2 블랭크(B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 프레임(22)의 전면 프레임(28)이 되는 전면 패널(P14)을 갖고, 전면 패널(P1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내측 프레임(22)의 측면 프레임(29)이 되는 측면 플랩(P15)이 각각 이어져 있다. 또한, 제2 블랭크(B2)에 있어서는, 전면 패널(P14)의 각 측면 플랩(P15)과의 연결부에 칼집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들 칼집은, 도 4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전면 패널(P14)과 측면 플랩(P15) 사이의 접기선과 겹쳐서 형성되고, 전면 패널(P14)측을 향하여 개방된 세로 길이의 C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칼집은, 제2 블랭크(B2)를 접기선을 따라 접었을 때에, 측면 프레임(29)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어, 귀형상편(28b)이 된다.
제3 블랭크(B3)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트레이부(41)가 되는 제1 트레이 구역(RT1), 제2 트레이부(42)가 되는 제2 트레이 구역(RT2)을 갖고 있다. 제1 트레이 구역(RT1)은,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가 되는 후벽면 피복 패널(P16)을 갖고 있다. 후벽면 피복 패널(P16)의 하단 가장자리는, 바닥판면 피복부(44)가 되는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면 피복 패널(P16)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면부(46)가 되는 측면 패널(P18)이 각각 이어져 있다. 그리고, 각 측면 패널(P18)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내측 바텀 플랩(P19)이 연결되어 있고, 이들 내측 바텀 플랩(P19)은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바닥판면 피복부(44)의 보강을 이룬다. 또한,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의 하단 가장자리에는, 제1 블랭크(B1)의 바닥판 패널(P3)의 일부, 구체적으로는 바닥판 패널(P3)에 있어서의 후벽 패널(P4)측의 부분에 접착되는 바닥판 접착 플랩(P20)이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 트레이 구역(RT2)에 있어서는, 제1 트레이 구역(RT1)의 후벽면 피복 패널(P16)의 상단 가장자리에, 제2 트레이부(42)가 되는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이 연결되어 있다.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 및 후벽면 피복 패널(P16)은, 제2 힌지(52)가 되는 제2 힌지 라인(L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제1 트레이 구역(RT1)의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 및 바닥판 접착 플랩(P20)은, 제3 힌지(53)가 되는 제3 힌지 라인(L3)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트레이 구역(RT2)에 있어서,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제1 블랭크(B1)의 천정판 패널(P8)에 접착되는 천정판 접착 플랩(P22)이 연결되어 있다.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 및 천정판 접착 플랩(P22)은, 제4 힌지(54)가 되는 제4 힌지 라인(L4)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블랭크(B1), 제2 블랭크(B2)는, 도 3 및 도 4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접기선으로부터 각각 접어져,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패키지 본체(2) 및 뚜껑(3)이 각각 성형된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부호는, 도 3∼5에 대하여 설명한 각 부(部)의 부호에 대응하고 있다. 제1 블랭크(B1)의 외측 상자 구역(R1)에 있어서는, 각 접기선이 접어져, 내측 바텀 플랩(P6)이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되고, 내측 사이드 플랩(P5)가 측벽 패널(P2)에 접착됨으로써, 패키지 본체(2)의 외측 상자(21)가 성형된다. 그리고, 외측 상자 구역(R1)의 전벽 패널(P1)에 대하여, 제2 블랭크(B2)의 전면 패널(P14)이 접착됨으로써, 외측 상자(21) 및 내측 프레임(22)이 일체로 된 패키지 본체(2)가 성형된다.
한편, 제1 블랭크(B1)의 뚜껑 구역(R2)에 있어서는, 각 접기선이 접어져, 내측 프론트 플랩(P12)이 전벽 패널(P11)에 접착되고, 내측 사이드 플랩(P9)이 측벽 패널(P13)에 접착되고, 내측 탑 플랩(P10)이 천정판 패널(P8)에 접착됨으로써, 뚜껑(3)이 성형된다.
제3 블랭크(B3)에 대하여도, 도 5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접기선으로부터 각각 접어져, 내측 바텀 플랩(P19)이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에 겹쳐진 다음에 접착됨으로써,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트레이 부재(4)가 성형된다. 패키지(1)의 조립 시, 제3 블랭크(B3)의 바닥판 접착 플랩(P20)이, 제1 블랭크(B1)의 바닥판 패널(P3)에 있어서의 후벽 패널(P4) 근방의 부분(성형 후에 있어서의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 중, 후벽(24) 근방이 되는 부분)에 접착된다(접착 부분을, 도 6 중 사선으로 나타냄). 이와 같이, 바닥판 접착 플랩(P20)은,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됨으로써, 바닥판 패널(P3)과 함께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을 형성한다.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된 바닥판 접착 플랩(P20)과,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은, 제3 힌지(53)가 되는 제3 힌지 라인(L3)을 경계로 되접어져,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 및 바닥판 접착 플랩(P20)의 양쪽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이 자유롭다. 이에 의해, 패키지(1)의 성형 후에 있어서는, 패키지 본체(2)의 외측 상자(21)와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를,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패키지(1)의 조립 시, 제3 블랭크(B3)의 천정판 접착 플랩(P22)은, 제1 블랭크(B1)의 천정판 패널(P8)에 접착되어(접착 부분을, 도 6 중 사선으로 나타냄), 천정판 패널(P8)과 함께 뚜껑(3)의 천정판(32)을 형성한다. 또한, 천정판 패널(P8)에 접착된 천정판 접착 플랩(P22)과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은, 성형 후의 제4 힌지(54)가 되는 제4 힌지 라인(L4)을 경계로 되접어져, 천정판 접착 플랩(P22) 및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의 양쪽이 이루는 각도가 변경이 자유롭다. 이에 의해, 패키지(1)의 성형 후에 있어서는, 뚜껑(3)과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를,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있어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을 블랭크의 길이 방향이라고 정의한다. 여기서, 제3 블랭크(B3)의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 및 천정판 접착 플랩(P22)의 양쪽의 길이는, 뚜껑(3)의 천정판(32)을 형성하는 제1 블랭크(B1)의 천정판 패널(P8)의 길이와 각각 동일하다. 이에 의해, 패키지(1)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의 길이(제2 힌지(52)와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의 세로 치수와 같아진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트레이부(42)가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와 접합되는 제4 힌지(54)는, 천정판(32)에 있어서의 전단(前端) 가장자리부(전벽(33)측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트레이부(42)의 길이가, 뚜껑(3)의 천정판(32) 후측 가장자리부(後緣部)와 제4 힌지(54)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아진다.
또한, 제3 블랭크(B3)의 후벽면 피복 패널(P16)의 길이는, 제1 블랭크(B1)에 있어서의 외측 상자 구역(R1)의 후벽 패널(P4)과 뚜껑 구역(R2)의 후벽 패널(P7)과의 양쪽의 길이의 합과 같다. 이에 의해,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의 길이(제2 힌지(52)와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외측 상자(21)의 후벽(24)와 뚜껑(3)의 후벽(31)의 양쪽의 높이의 합과 같아진다. 또한, 패키지(1)의 조립시에 있어서, 바닥판 패널(P3)과 후벽 패널(P4)의 접기부의 위치를, 후벽면 피복 패널(P16)과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의 접기부의 위치에 합치시킨 상태에서, 제3 블랭크(B3)의 바닥판 접착 플랩(P20)이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된다. 이에 의해, 패키지(1)가 조립되었을 때에,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바닥판면 피복부(44)의 길이(제2 힌지(52)와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가, 패키지 본체(2)의 바닥판(26) 후측 가장자리부와 제3 힌지(53)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아진다.
다음으로, 패키지(1)에 있어서의 뚜껑(3)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7a∼도 7c는, 실시예 1에 따른 패키지(1)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a는, 뚜껑(3)이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뚜껑(3)이 중간 개도(開度)까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뚜껑(3)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7a를 참조하여, 뚜껑(3)이 닫혀진 상태를 설명한다. 패키지(1)는, 상기한 바와 같이, 바닥판면 피복부(44)의 길이가 패키지 본체(2)의 바닥판(26) 후측 가장자리부와 제3 힌지(53)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기 때문에,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 및 바닥판면 피복부(44)의 접속부의 위치를,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후벽(24) 및 바닥판(26)의 접속부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트레이부(42)의 길이가, 뚜껑(3)의 천정판(32) 후측 가장자리부와 제4 힌지(54)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기 때문에,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2 힌지(52)의 위치를,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 후측 가장자리부의 위치에 합치시킬 수 있다. 이상의 조건에 더하여,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의 길이가, 외측 상자(21)의 후벽(24)과 뚜껑(3)의 후벽(31)과의 양쪽의 높이의 합과 같아지기 때문에,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를 패키지 본체(2) 및 뚜껑(3)의 배면측에 컴팩트하게 접어서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트레이 부재(4) 중,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를 외측 상자(21)의 후벽(24) 및 뚜껑(3)의 후벽(31)을 따르게 하고, 바닥판면 피복부(44)를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을 따르게 하고, 제2 트레이부(42)를 뚜껑(3)의 천정판(32)을 따르게 히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를, 패키지 본체(2)의 후벽측을 따라 커지는 일 없이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여기서 편의상, 도 7a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패키지(1)가 테이블 등의 수평면에 재치(載置)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패키지(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꺼내는 경우, 취급자는, 예를 들면,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양 측면부(46, 46)를 한쪽의 손으로 파지하고, 뚜껑(3)을 다른 쪽의 손으로 집는 등으로 하여 뚜껑(3)의 개방 조작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패키지 본체(2)에는 제3 힌지(53)를 통하여 제1 트레이부(41)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뚜껑(3)에는 제4 힌지(54)를 통하여 제2 트레이부(42)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는, 제2 힌지(52)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들에 의하면,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제1 트레이부(41)가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회동하고, 한편, 제2 트레이부(42)가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한다.
그 결과, 뚜껑(3)의 천정판(32)과 겹져져 있던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가 천정판(32)으로부터 이반(離反)되고,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과 겹쳐져 있던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가 후벽(24)으로부터 이반된다. 이에 의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로부터 패키지 본체(2)가 일어서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그 때, 트레이 부재(4)는, 제2 힌지(52)를 경계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와 제2 트레이부(42)가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하는 제1 트레이부(41)의 회동 동작과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하는 제2 트레이부(42)의 회동 동작이 원활히 행해지고, 이로써 상술한 패키지 본체(2)의 일어서기 기능이 양호하게 발휘된다.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와 제2 트레이부(42)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으로 되어 있다.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패키지 본체(2)의 일어서기 동작이 개시되면, 후벽면 피복부(45)와 제2 트레이부(42)가 이루는 각도는, 도 7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넓혀짐으로써 일단 둔각(鈍角)이 된다(도 7b를 참조). 그 후, 뚜껑(3)의 개도가 어느 정도 진행되면, 상기 각도는 일전(一轉)되어 서서히 감소되어 가서, 둔각으로부터 직각을 거쳐 예각으로 된다(도 7c를 참조).
한편, 뚜껑(3)의 천정판(32)과 제2 트레이부(42)가 이루는 각도는, 뚜껑(3)의 개도가 커질수록 단조롭게 증가되고, 도 7c의 예에서는, 뚜껑(3)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해당 각도는 180°전후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후벽면 피복부(45)와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이 이루는 각도도, 뚜껑(3)의 개도가 커질수록 단조롭게 증가된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후벽면 피복부(45)와 바닥판면 피복부(44)와,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후벽(24)과 바닥판(26)은 서로 직교하는 관계에 있다. 따라서,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하는 바닥판면 피복부(44)의 회동 동작에 따라 변화되는 바닥판면 피복부(44)와 바닥판(26)이 이루는 각도는, 후벽면 피복부(45)와 후벽(24)이 이루는 각도와 같다. 그리고,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와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이 이루는 각도가 증가 될수록, 트레이 부재(4)에 대하여 패키지 본체(2)가 일어서는 경사 각도가 증가된다. 그리고,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부재(4)에 대한 패키지 본체(2)의 경사 각도는, 뚜껑(3)이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최대가 된다.
한편, 개방 상태의 뚜껑(3)을 닫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도 7c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7b에 나타내는 상태를 거쳐, 최종적으로 도 7a 상태에 이른다. 즉, 뚜껑(3)이 닫는 방향으로의 회동 동작에 연동하여, 제2 힌지(52)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와 제2 트레이부(42)가 상대적으로 회동되고,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하여 제1 트레이부(41)가 회동되고,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하여 제2 트레이부(42)가 회동된다. 그 결과, 트레이 부재(4)에 대한 패키지 본체(2)의 경사 각도가 감소된다. 즉, 트레이 부재(4)에 대하여 일어서 있던 패키지 본체(2)가, 다시 트레이 부재(4)로 향하여 쓰러진다. 그리고, 뚜껑(3)이 완전하게 닫혀진 상태에서는, 트레이 부재(4)는 패키지 본체(2)의 후벽측을 따라 수납되기 때문에, 패키지(1)의 외형이 커지는 일도 없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패키지(1)에 의하면,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함으로써, 뚜껑(3)을 여는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로부터 패키지 본체(2)가 자동적으로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도 7b, 도 7c를 참조). 이에 의해, 패키지(1)의 취급자는, 패키지(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보다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는 패키지 본체(2)의 일어서기 동작은, 종래의 패키지에는 없는 신규 동작이다. 이러한 신규 형태의 패키지(1)에 의하면,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자극하고, 패키지(1), 혹은 패키지(1) 및 피수용물을 포함하는 제품의 상품 가치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패키지(1)에 의하면, 브랜드의 로열티의 향상에 이바지할 수 있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키지(1)에는, 여러 가지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것까지의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는, 후벽면 피복부(45) 및 바닥판면 피복부(44)에 의해 제1 트레이부(41)를 구성하였지만, 바닥판면 피복부(44)를 생략해도 좋다. 즉, 후벽면 피복부(45)만을 따라 제1 트레이부(41)를 구성해도 좋다.
이 경우, 후벽면 피복부(45) 중, 제2 트레이부(42)와 연결되는 제2 힌지(52)와 반대측의 단부에 제3 힌지(53)를 형성하고, 이 제3 힌지(53)를 통하여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하면 좋다. 그 때, 제3 힌지(53)는, 후벽(24)에 있어서의 하단 가장자리(바닥판(26)측의 가장자리)에 설치되어도 좋고, 후벽(24)의 도중(途中)에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후벽면 피복부(45)의 길이(제2 힌지(52)와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를,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제3 힌지(53)로부터 뚜껑(3)의 상단 가장자리(천정판(32)측의 가장자리)까지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뚜껑(3)이 닫혀졌을 때에, 제1 트레이부(41)(후벽면 피복부(45))를,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을 따라 배치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1A)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이며, 도 9는 실시예 1의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키지(1A)에 대하여, 실시예 1에서 설명한 패키지(1)와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패키지(1A)는, 실시예 1의 패키지(1)와 같은 패키지 본체(2), 뚜껑(3), 및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한다. 패키지(1A)는, 제1 힌지(51)를 통하여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에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개폐되는 것에 의해,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을 전체적으로 덮는 상태와 개방하는 상태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커버 부재(6)를 구비한다. 커버 부재(6)는,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전벽(23)의 전면(全面)을 덮는 형상 및 치수를 갖고, 그 내면에 뚜껑(3)이 접착되는 커버체(61)를 갖는다.
커버체(61)는, 뚜껑(3)의 전벽(33)이 접착되어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전체를 덮는 전면 커버부(62), 뚜껑(3)의 측벽(34)이 접착되는 한 쌍의 측면 커버부(63), 및, 바닥판 커버부(64)를 갖는다. 전면 커버부(62)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폭 치수는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 및 뚜껑(3)의 전벽(33)의 폭 치수와 대략 같다. 또한, 전면 커버부(62)의 길이는, 뚜껑(3)의 전벽(33)의 높이 치수와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높이 치수와의 합과 대략 같다.
측면 커버부(63)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고 있고, 각 측면 커버부(63)의 선단(先端) 가장자리부 및 전면 커버부(62)의 선단 가장자리부를 연결하도록 하여, 직사각형 형상의 바닥판 커버부(64)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커버체(61)의 내면에 뚜껑(3)이 접착됨으로써, 커버 부재(6)가 구성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6)에 있어서의 측면 커버부(63)의 선단부와 트레이 부재(4)의 측면부(46)의 선단부가 정면으로 맞서고, 또한, 커버 부재(6)에 있어서의 바닥판 커버부(64)의 선단부와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바닥판면 피복부(44)의 선단부가 정면으로 맞서도록, 측면 커버부(63), 바닥판 커버부(64), 측면부(46), 및 바닥판면 피복부(44)의 길이 치수가 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면 커버부(63) 및 측면부(46)의 선단끼리가 간섭되거나 바닥판 커버부(64) 및 바닥판면 피복부(44)의 선단끼리가 간섭되는 일이 없다. 또한, 측면 커버부(63) 및 측면부(46)의 선단끼리의 사이, 바닥판 커버부(64) 및 바닥판면 피복부(44)의 선단끼리의 사이에 과도한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다.
다음으로, 패키지(1A)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6)의 개폐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a∼도 10c는, 실시예 2에 따른 패키지(1A)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b는, 커버 부재(6)가 중간 개도까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c는, 커버 부재(6)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10b, 10c는,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도 7a, 도 7b, 도 7c에 각각 대응하고 있다.
패키지(1A)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2) 및 트레이 부재(4)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를 패키지 본체(2) 및 뚜껑(3)의 배면측에 컴팩트하게 정리하여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트레이 부재(4) 중,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를 외측 상자(21)의 후벽(24) 및 뚜껑(3)의 후벽(31)을 따르게 하고, 바닥판면 피복부(44)를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을 따르게 하고, 제2 트레이부(42)를 뚜껑(3)의 천정판(32)을 따르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를, 패키지 본체(2)의 후벽측을 따라 커지는 일 없이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6)에 있어서의 바닥판 커버부(64)의 선단이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바닥판면 피복부(44)의 선단과 대향하고, 커버 부재(6)에 있어서의 측면 커버부(63)의 선단이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측면부(46)의 선단과 대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패키지(1A)의 외관도 뛰어난 것이 된다.
다음으로, 커버 부재(6)에 의해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이 덮인 상태로부터, 패키지 본체(2)의 개구단(21a)을 개방할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패키지(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꺼내는 경우, 취급자는, 예를 들면 한쪽의 손으로 트레이 부재(4)를 파지한 상태로, 다른 쪽의 손으로 커버 부재(6)를 들어올린다. 이에 의해, 제1 힌지(51)를 중심으로 뚜껑(3) 및 커버체(61)가 일체로 되어 회동된다. 그 결과, 커버 부재(6)와 일체로 되어 뚜껑(3)이 열려, 개구단(21a)이 개방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커버 부재(6)가 뚜껑 부재에 대응한다.
상기와 같이 커버 부재(6)가 열리면, 그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1 트레이부(41)가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제2 트레이부(42)가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뚜껑(3)의 천정판(32)과 겹쳐져 있던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가 천정판(32)으로부터 이반(離反)되고,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과 겹쳐져 있던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가 후벽(24)으로부터 이반된다. 그 결과,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로부터 패키지 본체(2)가 일어선다.
그 때, 트레이 부재(4)는, 제2 힌지(52)를 경계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와 제2 트레이부(42)가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하는 제1 트레이부(41)의 회동 동작과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하는 제2 트레이부(42)의 회동 동작이 원활히 행해진다. 이에 의해, 상술한 패키지 본체(2)의 일어서기 기능이 양호하게 발휘된다. 그리고,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가 완전하게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 부재(4)에 대한 패키지 본체(2)의 경사 각도가 최대가 된다. 패키지(1A)에 의하면, 커버 부재(6)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커버 부재(6)로부터 패키지 본체(2)를 세워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패키지(1A)의 취급자는, 패키지(1A)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키지(1A)에 의하면, 커버 부재(6)를 닫았을 때에,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전면이 커버 부재(6)에 의해 덮인다. 여기서, 패키지(1A)의 내부에 시가렛을 수용하는 경우, 패키지(1A)에는, 건강에 관한 경고 표시를 소정의 면적 이상 게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대하여, 패키지(1A)에 의하면, 커버 부재(6)의 전면 커버부(62)의 내면 및 외면을 광고 게재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에 비해, 광고 게재 공간를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패키지(1A)에 의하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체(61)가, 시가렛의 낙하 방지용의 받침접시로서도 기능시킬 수 있어, 편리성이 높다.
<변형예>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체(61)의 내면에 뚜껑(3)을 접착하여 커버 부재(6)를 구성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61)와 뚜껑(3)을 별도의 부재가 아니라, 공통의 블랭크(blank)로 성형해도 좋다. 즉, 뚜껑(3)의 일부 또는 전부를 커버체(61)와 공통의 부재에 의해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뚜껑(3)의 전벽(33)과 커버체(61)의 전면 커버부(62), 뚜껑(3)의 측벽(34)과 커버체(61)의 측면 커버부(63) 등은, 각각 다른 패널이 접착되어 형성되어도 좋고, 단일의 패널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본 실시예의 커버체(61)는, 뚜껑(3)의 천정판(32)을 덮지 않고 있지만, 이 천정판(32)을 덮음으로써 보강하는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커버체(61) 및 뚜껑(3)의 접합 형태에 대하여는, 여러 가지의 변화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 2의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1B)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1B)는, 뚜껑의 일부를 커버체(61)와 공통의 블랭크재로 형성하고 있다. 도 12, 도 13은, 패키지(1B)를 형성하는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1 블랭크(B1')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2 블랭크(B2')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3 블랭크(B3')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블랭크(B2')는, 도 4에 나타낸 제2 블랭크(B2)와 같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 12에 나타내는 제1 블랭크(B1')는 도 3에 나타내는 제1 블랭크(B1)에 대응하며, 도 14에 나타내는 제3 블랭크(B3')는 도 5에 나타낸 제3 블랭크(B3)에 대응하고 있다. 도 12∼도 14에 있어서, 도 3∼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 도면의 파선은 접기선을 나타낸다.
제1 블랭크(B1')는, 실시예 1의 제1 블랭크(B1)와 마찬가지로, 전벽 패널(P1), 측벽 패널(P2), 바닥판 패널(P3), 후벽 패널(P4), 내측 사이드 플랩(P5), 내측 바텀 플랩(P6), 후벽 패널(P7), 천정판 패널(P8), 내측 사이드 플랩(P9), 내측 탑 플랩(P10)을 갖는다. 이들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패키지(1B)에 있어서, 전벽 패널(P1)과 측벽 패널(P2)이, 전측(前側) 코너(corner) 패널(P3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후벽 패널(P4)과 내측 사이드 플랩(P5)이, 후측 코너 패널(P32)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3 블랭크(B3')는, 실시예 1의 제3 블랭크(B3)와 마찬가지로, 후벽면 피복 패널(P16), 바닥판면 피복 패널(P17), 각 측면 패널(P18), 내측 바텀 플랩(P19), 바닥판 접착 플랩(P20),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을 갖는다. 이들에 대하여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또한, 제3 블랭크(B3')는, 후측 코너 패널(P34), 전면(前面) 커버 패널(P35), 1조(組)의 측면 커버 패널(P36), 1조의 전측 코너 패널(P37), 1조의 내측 탑 플랩(P38), 바닥판 커버 패널(P39), 내측 바텀 플랩(P40)을 갖는다.
여기서, 전면 커버 패널(P35) 및 측면 커버 패널(P36)은 각각, 조립된 후에 있어서의 패키지(1B)의 전면 커버부(62) 및 측면 커버부(63)를 형성한다. 또한, 내측 바텀 플랩(P40) 및 내측 탑 플랩(P38)이 바닥판 커버 패널(P39)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조립된 후에 있어서의 패키지(1B)의 바닥판 커버부(64)를 형성한다(도 11을 참조). 또한, 천정판 패널(P8), 내측 탑 플랩(P10),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은, 조립된 후에 있어서의 패키지(1B)의 표면 커버부(65)를 형성한다. 표면 커버부(65)는, 커버체(61)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고, 실시예 1에 있어서의 뚜껑(3)의 천정판(32)에 상당하는 부재이다.
후측(後側) 코너 패널(P34)은, 후벽면 피복 패널(P16)과 측면 패널(P18)을 연결하고 있다. 또한, 전면 커버 패널(P35)은,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에 있어서의 후벽면 피복 패널(P16)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전면 커버 패널(P35)은, 후벽면 피복 패널(P16)를 대략 동일한 형상, 치수를 갖는다. 전면 커버 패널(P3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전측 코너 패널(P37), 측면 커버 패널(P36)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측면 커버 패널(P36)의 일단에는, 내측 탑 플랩(P38)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면 커버 패널(P35)에 있어서의 천정판면 피복 패널(P21)이 연결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에는, 바닥판 커버 패널(P39), 내측 바텀 플랩(P40)이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제1 블랭크(B1'), 제2 블랭크(B2'), 제3 블랭크(B3')는, 각 접기선에서 접어져, 각 부위가 적절히 접착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패키지(1B')가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1 블랭크(B1')에 있어서는, 각 접기선이 접어져, 내측 바텀 플랩(P6)이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되고, 내측 사이드 플랩(P5)이 측벽 패널(P2)에 접착됨으로써, 패키지 본체(2)의 외측 상자(21)가 형성된다. 그리고, 전벽 패널(P1)에 대하여, 제2 블랭크(B2')의 전면 패널(P14)이 접착됨으로써, 외측 상자(21) 및 내측 프레임(22)이 일체로 된 패키지 본체(2)가 형성된다.
또한, 제1 블랭크(B1')에 있어서의 내측 탑 플랩(P10)이 천정판 패널(P8)에 겹쳐진 다음 접착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전측 코너 패널(P31)에 의해,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전벽(23)과 측벽(25)의 경계를 이루는 전측 가장자리부에, 평면 형상의 전측 가장자리측 모따기부(23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후측 코너 패널(P32)에 의해,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후벽(24)과 측벽(25)의 경계를 이루는 후측 가장자리부에, 평면상의 후측 가장라리측 모따기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된다.
한편, 제3 블랭크(B3')에 대하여도 각 접기선으로 접어져, 바닥판 접착 플랩(P20)이 제1 블랭크(B1')의 바닥판 패널(P3)에 접착된다. 또한, 내측 탑 플랩(P38)과, 내측 바텀 플랩(P40)은, 바닥판 커버 패널(P39)의 내측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커버체(61)의 바닥판 커버부(64)를 형성한다. 또한, 제3 블랭크(B3')의 각 측면 커버 패널(P36)이, 제1 블랭크(B1')의 각 내측 사이드 플랩(P9)의 외면에 접착됨으로써, 양쪽의 블랭크가 일체로 된다. 또한, 제3 블랭크(B3')의 전면 커버 패널(P35)은, 후벽면 피복 패널(P16)과 같은 길이 치수를 갖고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의 제3 블랭크(B3')는, 전면 커버 패널(P35) 및 측면 커버 패널(P36) 사이에 전측 코너 패널(P37)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1B)의 성형 후에 있어서, 커버체(61)의 전면 커버부(62) 및 측면 커버부(63)의 경계를 이루는 측 가장자리부에, 평면 형상의 커버 부재측 모따기부(47)가 형성된다. 이 평면 형상의 커버 부재측 모따기부(47)는,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전측 가장자리측 모따기부(23a)에 합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블랭크(B3')는, 후벽면 피복 패널(P16)과 측면 패널(P18) 사이에 후측 코너 패널(P34)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패키지(1B)의 성형 후에 있어서, 트레이 부재(4)(제1 트레이부(41))의 후벽면 피복부(45) 및 측면부(46)의 경계를 이루는 측 가장자리부에, 평면 형상의 트레이 부재측 모따기부(48)가 형성된다. 이 트레이 부재측 모따기부(48)는,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후측 가장라지측 모따기부에 합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1∼도 14에 나타낸 패키지(1B)와 같이, 커버체(61)와 패키지의 뚜껑은 단일의 블랭크재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키지(1B)는, 코너부가 모따기 형상을 이루고 있다. 특히, 패키지 본체(2)의 전측 가장자리부에 전측 가장자리측 모따기부(23a)를 형성하였으므로, 커버 부재(6)를 닫을 때에, 커버체(61)의 측면 커버부(63)가 패키지 본체(2)의 전측 가장자리부에 간섭되어, 닫기 어렵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 본체(2)에 형성되는 전측 가장자리측 모따기부(23a)는,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전체를 덮는 커버 부재(6)와 조합하여 적용됨으로써, 그 존재 의의가 보다 현저한 것이 된다. 또한, 패키지 본체(2), 커버 부재(6) 및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는, 가장자리를 모따기 코너(엣지(edge))로 하는 대신에 원호 형상의 둥근 코너(엣지)로 해도 좋고, 모따기 코너로 하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 및 도 16은, 제2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1B')의 사시도이다. 패키지(1B')는, 패키지 본체(2)에 있어서의 전벽(23)의 전면을 덮는 커버 부재(6)를 갖는다는 점에서 전술한 패키지(1B)와 같지만, 커버 부재(6)가 바닥판 커버부(64)를 갖지 않는 점이 패키지(1B)와 다르다. 또한, 도 15, 도 16에 나타내는 구성요소 중, 앞서 설명한 것까지의 패키지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패키지(1B')에 있어서의 커버 부재(6)(뚜껑 부재)는,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전체를 덮는 전면 커버부(62), 한 쌍의 측면 커버부(63), 및, 표면 커버부(65)를 갖는다. 전면 커버부(62)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폭 치수는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폭 치수와 대략 같다. 또한, 전면 커버부(62)의 길이는, 패키지(1B')의 높이 치수와 대략 같다.
측면 커버부(63)는 대략 삼각형상을 갖고 있고, 각 측면 커버부(63)의 가장자리는 전면 커버부(62)의 선단 가장자리부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패키지(1B')와 관련되는 커버 부재(6)는, 도 9나 도 11에 나타내는 바닥판 커버부(64)를 갖고 있지 않다.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6)에 있어서의 측면 커버부(63)의 가장자리와 트레이 부재(4)의 측면부(46)의 선단부가 정면으로 맞서도록, 측면 커버부(63) 및 측면부(46)의 크기가 결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측면 커버부(63) 및 측면부(46)의 선단끼리가 간섭되는 일이 억제된다. 또한, 측면 커버부(63) 및 측면부(46)의 선단끼리의 사이에 큰 틈새가 생기는 일이 없다.
패키지(1B')의 트레이 부재(4)의 기본 구조에 대하여는, 패키지(1A, 1B)에 있어서의 트레이 부재(4)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 즉, 트레이 부재(4)는,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를 갖는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는,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패키지 본체(2)의 바닥판(26)을 덮는 바닥판면 피복부(44), 후벽(24)를 덮는 후벽면 피복부(45), 측벽(25)을 덮는 측면부(46)를 갖는다. 본 변형예에 따른 패키지(1B')에 있어서는, 제1 트레이부(41)의 바닥판면 피복부(44)가 패키지 본체(2)에 연결되는 제3 힌지(53)가, 바닥판(26)의 전단(前端) 가장자리부, 즉 바닥판(26)과 전벽(23)의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패키지(1B')에 의하면, 패키지(1A, 1B) 등과 마찬가지로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함으로써, 뚜껑 부재로서의 커버 부재(6)를 여는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로부터 패키지 본체(2)를 자동적으로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패키지(1B')의 취급자는, 패키지 본체(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6)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는 패키지 본체(2)의 일어서기 동작은, 종래의 패키지에는 없는 신규 동작이며, 상기한 바와 같이 소비자의 구매 의욕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6)의 전면 커버부(62)의 내면 및 외면은, 광고 게재 공간으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패키지(1B')의 커버 부재(6)는, 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대략 전면을 덮는 크기의 전면 커버부(62)를 갖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에 비해, 광고 게재 공간를 보다 많이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예 3>
다음으로, 실시예 3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7a 및 도 17b는, 실시예 3에 따른 패키지(1C)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패키지(1C)는, 시가렛의 수용 공간측에, 평판 스프링 부재(7)를 구비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2의 패키지(1A)와 같다. 여기에서는, 평판 스프링 부재(7)를 중심으로 패키지(1C)를 설명한다.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얇은 평판 부재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패키지 본체(2) 등과 마찬가지로, 종이재로 구성되어 있다.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패키지 본체(2)측에 고정되는 제1 영역부(71)와, 뚜껑(3)측에 고정되는 제2 영역부(72)를 갖는다. 제1 영역부(71) 및 제2 영역부(72)에 있어서의 각각의 외단측에는, 본체측 고착부(73) 및 덮개측 고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부(71)에 있어서의 본체측 고착부(73)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본체측 고착부(73)가 패키지 본체(2)의 내면에 접착된다. 마찬가지로, 제2 영역부(72)에 있어서의 덮개측 고착부(74)에는 접착제가 도포되고, 덮개측 고착부(74)가 뚜껑(3)의 내면에 고정(고착)된다. 또한, 제1 영역부(71) 및 제2 영역부(72)의 경계에는, 제5 힌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5 힌지(55)는, 제1 힌지(51)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1 영역부(71)는, 그 외단측에 형성되는 본체측 고착부(73)에 있어서, 패키지 본체(2)(외측 상자(21))의 후벽(24)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2 영역부(71)는, 그 외단측에 형성되는 덮개측 고착부(74)에 있어서,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의 내면에 접착되어 있다. 평판 스프링 부재(7)는, 패키지(1C)의 높이 방향(바닥판(26)으로부터 천정판(32)으로 향하는 방향, 전벽(23) 및 후벽(24)을 따른 방향에 상당함)에 있어서 제5 힌지(55)가 제1 힌지(51)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패키지 본체(2)의 외측 상자(21)의 상부로부터 제1 영역부(71)의 일부가 돌출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패키지(1C)에 있어서, 평판 스프링 부재(7)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제1 영역부(71)측이 패키지 본체(2)의 내면에 고정되고, 제2 영역부(72)측이 뚜껑(3)의 내면에 고정됨으로써, 뚜껑(3)의 패키지 본체(2)에 대한 자유로운 회동을 제한한다.
도 1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버 부재(6)(뚜껑(3))가 폐쇄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제1 영역부(71)가 패키지 본체(2)의 후벽(24)을 따라 배치되고, 이 제1 영역부(71)에 대하여 제2 영역부(72)가 패키지(1B)의 전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커버 부재(6)가 열리면, 그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제5 힌지(55)를 중심으로 제1 영역부(71)와 제2 영역부(72)가 상대적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제1 영역부(71)에 대한 제2 영역부(72)의 경사 각도가 서서히 완만해지게 된다(얕아진다). 커버 부재(6)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회동되는 과정에 있어서, 제1 경사 상태에 있는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자신의 굽힘 강성에 의해 적당한 휘어짐을 수반하면서 제5 힌지(55)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즉, 평판 스프링 부재(7)가 판스프링로서 기능하여, 제1 영역부(71) 및 제2 영역부(72)를 휘어지게 하면서 회동되고, 제1 영역부(71)에 대한 제2 영역부(72)의 경사 각도가 서서히 완만하게 되는 방향으로 자세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커버 부재(6)(뚜껑(3))가 일정 이상의 개도까지 열리면, 평판 스프링 부재(7)가 제5 힌지(55)를 경계로 반전(反轉)되고, 제1 영역부(71)에 대하여 제2 영역부(72)가 패키지(1C)의 후방측으로 경사진 제2 경사 상태로 그 자세를 변화시킨다.
상기와 같이, 평판 스프링 부재(7)가 제1 경사 상태로부터 제2 경사 상태로 반전되면, 제2 영역부(72)에 의해 뚜껑(3)의 천정판(32)의 내면이 유지됨으로써, 커버 부재(6)(뚜껑(3))의 자유로운 회동이 제한된다. 이에 의해, 커버 부재(6)(뚜껑(3))이 자중(自重)이나 종이의 반발력 등에 의해 흔들리는 일이 없어, 취급자는 커버 부재(6)(뚜껑(3))을 파지하지 않아도, 패키지(1C)를 도 17b에 나타내는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개방 상태에 있는 커버 부재(6)(뚜껑(3))를 닫는 경우에는, 취급자는, 예를 들면 커버 부재(6)(뚜껑(3))를 닫는 방향으로, 제2 경사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평판 스프링 부재(7)가 뚜껑(3)의 내면을 밀어붙이는 밀어붙이는 힘(付勢力)에 저항하여 압압함으로써, 평판 스프링 부재(7)를 제2 경사 상태로부터 제1 경사 상태로 반전시키는 것으로, 용이하게 커버 부재(6)를 닫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의 패키지(1C)는 평판 스프링 부재(7)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6)(뚜껑(3))를 파지하는 일 없이, 커버 부재(6)(뚜껑(3))를 개방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즉, 도 1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트레이 부재(4)에 대하여 패키지 본체(2)가 일어선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취급자에게 있어서는, 패키지(1B)로부터 시가렛을 꺼내기가 매우 쉬워진다. 따라서, 사용 편리성이 매우 뛰어난 패키지(1C)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 부재(6)(뚜껑(3))의 개폐 조작시에, 평판 스프링 부재(7)를, 제1 경사 상태와 제2 경사 상태 사이에서 자세를 반전시키는 구조를 채용하였으므로, 뚜껑(3)이 확실히 개폐된다고 하는 감각을 취급자에게 부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패키지(1C)의 조작감, 사용감 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패키지(1C)의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평판 스프링 부재(7)는, 앞서 설명한 것까지의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4>
다음으로,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1D)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8∼21은, 패키지(1D)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실시예 4에 따른 패키지(1D)의 측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닫은 상태의 패키지(1D)를 나타내며, 도 20∼도 22는 개방된 상태의 패키지(1D)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패키지(1D)에 있어서의 상하 전후 좌우의 각 방향은, 도 18,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다.
패키지(1D)는, 외측 상자(21)(패키지 본체(2)), 이 외측 상자(21)에 제1 힌지(51)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는 덮개부로서의 뚜껑(3), 트레이 부재(4) 등을 갖는다. 외측 상자(21)는, 직육면체 형상의 상단측이 개구단으로 된 상자체이다. 외측 상자(21)는, 전벽(23), 후벽(24), 한 쌍의 측벽(25), 바닥판(26)을 갖는다. 전벽(23) 및 후벽(24)은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양측 가장자리가 한 쌍의 측벽(2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바닥판(26)은, 전벽(23), 후벽(24) 및 측벽(25)의 하단(下端)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외측 상자(21)는, 상부에 비스듬한 개구단을 갖고 있다. 외측 상자(21)의 전벽(23) 및 측벽(25)의 경계 위치에 형성된 가장자리부와, 후벽(24) 및 측벽(25)의 경계 위치에 형성된 가장자리부는 모따기 형상을 갖고 있고, 소위 모따기 엣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측 상자(21)의 후측 개구 가장자리, 즉 후벽(24)의 상단에는 제1 힌지(51)가 설치되어 있다. 제1 힌지(51)는, 외측 상자(21)의 후벽(24)을 따라 뻗고, 이 후벽(24)에 대하여 뚜껑(3)을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있다. 뚜껑(3)은, 제1 힌지(51)에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후벽(31)과, 후벽(31)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천정판(32)과, 천정판(32)에 직교하도록 연결되어 있는 직사각형 형상의 전벽(33)과, 1조의 측벽(34)을 갖고 있다. 1조의 측벽(34)은, 후벽(31), 천정판(32) 및 전벽(33)의 각 측방 가장자리를 연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뚜껑(3)은, 제1 힌지(51)를 중심으로, 외측 상자(21)에 대하여 상대 회동이 가능하고, 외측 상자(21)의 개구단에 씌워져서, 이 개구단을 개폐할 수 있다.
뚜껑(3)은, 모따기 형상을 갖는 전측 가장자리부(36)를 갖는다. 전측 가장자리부(36)는, 전벽(33)과 각 측벽(34)의 경계부를 이루고 있고, 전벽(33) 및 측벽(34)을 연결하는 가장자리이다. 전측 가장자리부(36)는 소위 모따기 엣지이다. 또한, 각 전측 가장자리부(36)의 하단에는,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돌출 손톱형상부(37)가 형성되어 있다.
트레이 부재(4)는, 외측 상자(21)의 후벽(24)(배면)측에 설치된 커버 부재이다. 트레이 부재(4)는,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상자(21)의 후벽(24)과 뚜껑(3)의 후벽(31)의 양쪽을 덮도록, 이들의 각 후벽면(24, 31)을 따른 자세로 유지된다. 한편,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수반하여, 외측 상자(21)를 일어 세우는(기립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재이다.
트레이 부재(4)는,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를 갖는다. 제1 트레이부(41)는 외측 상자(21)에 접합(접착)되고, 제2 트레이부(42)는 뚜껑(3)에 접합(접착)되어 있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의 경계 위치에는 제2 힌지(5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 힌지(52)를 경계로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가 서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는, 전벽(411)(전벽면 피복부), 후벽(412)(후벽면 피복부), 한 쌍의 측벽(413), 저벽(414)(바닥판면 피복부)을 갖는다. 전벽(411) 및 후벽(412)은 서로 대향 배치되어 있고, 이들의 양측 가장자리가 한 쌍의 측벽(4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저벽(414)은, 전벽(411), 후벽(412), 및 측벽(413)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의 저벽(414)은,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과 대략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고 있고,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바닥판(26)과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저벽(414)이 겹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저벽(414)은,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상자(21)(패키지 본체(2))의 바닥판(26)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그 높이 치수는,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후벽(24)의 높이 치수와 뚜껑(3)에 있어서의 후벽(31)의 높이 치수의 합과 대략 같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의 폭 치수는,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후벽(24)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에 있어서의 대략 하측 반분(半分)의 영역에는, 개구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415)는, 후벽(412)의 전체 폭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개구부(415)의 개구 폭은,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후벽(24)의 폭 치수보다 대략 같거나 약간 커져 있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후벽(412) 및 측벽(413)의 경계 위치에 형성된 가장자리부는 모따기 형상을 갖고 있고, 소위 모따기 엣지로 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은,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상자(21)(패키지 본체(2))의 후벽(24)과 뚜껑(3)의 후벽(31)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의 전벽(411)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고, 그 높이 치수는, 패키지(1D)의 높이 치수로부터 뚜껑(3)에 있어서의 전벽(33)의 높이 치수를 뺀 치수와 대략 같아져 있다. 즉,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전벽(411)의 높이 치수와 뚜껑(3)에 있어서의 전벽(33)의 높이 치수와의 합은, 패키지(1D)의 높이 치수와 대략 같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전벽(411)의 폭 치수는, 뚜껑(3)에 있어서의 전벽(33)의 폭 치수와 대략 같고,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전벽(23)의 폭 치수보다 약간 크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의 전벽(411)은, 제3 힌지(53)를 통하여, 외측 상자(21)의 전벽(23)에 대하여 상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이 제3 힌지(53)는,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전벽(411)의 상단 가장자리를 따라 뻗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의 전벽(411)은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상자(21)(패키지 본체(2))의 전벽(23)의 아래쪽 영역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전벽(411)과 각 측벽(413)과의 경계 위치에 형성된 각각의 전측 가장자리부(416)는 사각형 형상을 갖는, 소위 사각형 엣지(square edge)이다. 또한,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각 전측 가장자리부(416)의 상단에는, 그 상단 부분을 비스듬하게 잘라내서 이루어지는 경사면 걸림 가장자리(4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있다. 제2 트레이부(42)는, 뚜껑(3)의 천정판(32)과 대략 동일한 크기를 갖고,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뚜껑(3)의 천정판(32) 위에 제2 트레이부(42)가 겹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2 트레이부(42)는,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의 전측 가장자리, 즉 천정판(32)과 전벽(33)의 경계를 이루는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제4 힌지(54)에 대하여 상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제1∼제4 힌지(51, 52, 53, 54)는 서로 평행하고, 패키지(1D)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패키지(1D)는, 외측 상자(21) 및 뚜껑(3)의 일부를 성형하는 제4 블랭크(B4)와, 트레이 부재(4) 및 뚜껑(3)의 잔부(殘部)를 성형하는 제5 블랭크(B5)의 각 부위를 접어, 접합함으로써 성형된다. 도 23은, 제4 블랭크(B4)를 나타내며, 도 24는, 제5 블랭크(B5)를 나타낸다. 또한, 블랭크의 설명에서는, 도면의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4 블랭크(B4)는, 외측 상자(21)가 되는 외측 상자 구역(R1'), 뚜껑(3)의 일부가 되는 제1 리드 구역(R2')을 갖고 있다. 외측 상자 구역(R1')은, 외측 상자(21)의 전벽(61)이 되는 전벽 패널(P31)을 갖고 있고, 전벽 패널(P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상자(21)의 측벽(25)이 되는 측벽 패널(P32, P32)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31) 상측 가장자리(도 23에 있어서의 상측 가장자리)에는, 외측 상자(21)의 바닥판(26)이 되는 바닥판 패널(P33)이 이어져 있다. 바닥판 패널(P33)에는, 전벽 패널(P31)과는 반대측에 위치되어 외측 상자(21)의 후벽(24)이 되는 후벽 패널(P34)이 이어져 있다. 이 후벽 패널(P34)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측벽 패널(P32)에 대한 내측 사이드 패널(P35, P35)이 이어져 있다. 또한, 각 내측 사이드 패널(P35) 하측 가장자리에는, 내측 바텀 플랩(P36)이 이어져 있고, 이들 내측 바텀 플랩(P36)은 바닥판 패널(P33)에 겹쳐져,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바닥판(26)의 보강을 이룬다.
제1 리드 구역(R2')은, 뚜껑(3)의 후벽(31)이 되는 후벽 패널(P37)을 갖고 있고, 후벽 패널(P37) 하측 가장자리는, 접기선 및 슬릿(slit)을 통하여, 외측 상자 구역(R1')의 후벽 패널(P34)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 리드 구역(R2')의 후벽 패널(P37) 상측 가장자리에는, 뚜껑(3)의 천정판(32)이 되는 천정판 패널(P38)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37)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뚜껑(3)의 측벽(34)의 일부가 되는 내측 사이드 플랩(P39)이 각각 이어져 있다. 그리고, 각 내측 사이드 플랩(P39) 상측 가장자리에는, 내측 탑 플랩(P40)이 이어져 있고, 이들 내측 탑 플랩(P40)은 천정판 패널(P38)에 겹쳐져,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의 보강을 이룬다.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5 블랭크(B5)는, 뚜껑(3)의 잔부가 되는 제2 리드 구역(R2"), 트레이 부재(4)가 되는 트레이 구역(RT)을 갖고 있다. 제2 리드 구역(R2")에는, 뚜껑(3)의 전벽(33)이 되는 전벽 패널(P41)을 갖고, 전벽 패널(P41) 상측 가장자리에는, 전벽 패널(P41)의 보강을 이루는 내측 프론트 플랩(P42)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4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뚜껑(3)의 측벽(34)이 되는 측벽 패널(P43)이 각각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41) 및 이것에 이어지는 측벽 패널(P43)과의 경계부에는 위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에 의해 뚜껑(3)의 돌출 손톱형상부(37)가 형성된다.
트레이 구역(RT)에 있어서는,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가 되는 탑 패널(P44)이, 제2 리드 구역(R2")에 있어서의 전벽 패널(P41)에 이어져 있다. 또한, 탑 패널(P44) 하측 가장자리에는,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후벽(412)이 되는 후벽 패널(P45)이 이어져 있다. 또한, 후벽 패널(P45)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측벽(413)이 되는 측벽 패널(P46)이 각각 이어져 있다. 또한, 한편의 측벽 패널(P46) 하측 가장자리에는,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저벽(414)이 되는 저벽 패널(P47)이 이어져 있다. 또한, 이 저벽 패널(P47) 하측 가장자리에는, 다른 쪽의 측벽 패널(P46)에 겹쳐짐으로써 제1 트레이부(41)의 측벽(413)의 보강을 이루는 제1 보강 사이드 패널(P48)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저벽 패널(P47)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전벽(411)이 되는 전벽 패널(P49)이 이어져 있다. 그리고, 이 전벽 패널(P49) 상측 가장자리에는, 한쪽의 측벽 패널(P46)에 겹쳐짐으로써 제1 트레이부(41)의 측벽(413)의 보강을 이루는 제2 보강 사이드 패널(P50)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49) 하측 가장자리에는, 다른 쪽의 측벽 패널(P46)에 겹쳐짐으로써 제1 트레이부(41)의 측벽(413)의 보강을 이루는 제3 보강 사이드 패널(P51)이 이어져 있다. 또한, 전벽 패널(P49)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제4 블랭크(B4)에 있어서의 외측 상자 구역(R1')의 전벽 패널(P31)과 접착되는 접합 패널(P52)이 이어져 있다.
상술한 제4 블랭크(B4) 및 제5 블랭크(B5)는, 도 23, 도 24 중 파선으로 나타내는 접기선으로 각각 접어진다. 그 결과, 도 18∼도 22에 나타내는 패키지(1D)가 성형된다. 상세하게는, 내측 바텀 플랩(P36)이 바닥판 패널(P33)에 겹쳐지고, 내측 사이드 플랩(P35)이 측벽 패널(P32)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외측 상자(21)가 성형된다. 또한, 전벽 패널(P31)과 측벽 패널(P32)의 경계 위치에 있는 이중의 접기선에 의해, 외측 상자(21)의 전벽(23) 및 측벽(25)을 연결하는 모따기 엣지가 형성된다. 또한, 후벽 패널(P34)과 내측 사이드 패널(P35)의 경계 위치에 있는 이중의 접기선에 의해, 외측 상자(21)의 후벽(24) 및 측벽(25)을 연결하는 모따기 엣지가 형성된다.
또한, 내측 탑 플랩(P40)이 천정판 패널(P38)에 겹쳐지고, 내측 사이드 플랩(P39)이 측벽 패널(P43)에 겹쳐져 접착됨으로써, 뚜껑(3)이 성형된다. 또한, 내측 프론트 플랩(P42)은 전벽 패널(P41)에 대하여 되접어진 후, 그 전벽 패널(P41)에 접착되어도 좋고, 접착되지 않아도 되다. 또한, 전벽 패널(P41)과 측벽 패널(P43)의 경계 위치에 있는 이중의 접기선에 의해, 뚜껑(3)의 전벽(33) 및 측벽(34)을 연결하는 모따기 엣지가 형성된다.
또한, 제5 블랭크(B5)의 트레이 구역(RT)에 있어서는, 제2 보강 사이드 패널(P50)을 한쪽의 측벽 패널(P46)에 접착하고, 제1 보강 사이드 패널(P48) 및 제3 보강 사이드 패널(P51)을 다른 쪽의 측벽 패널(P46)에 접착한다. 그리고, 접합 패널(P52)을 제4 블랭크(B4)의 전벽 패널(P31)과 접착함으로써, 트레이 부재(4)가 성형된다. 또한, 트레이 구역(RT)에 있어서의 후벽 패널(P45)과 측벽 패널(P46)의 경계 위치에 있는 이중의 접기선에 의해,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후벽(412) 및 측벽(413)을 연결하는 모따기 엣지가 형성된다.
또한, 외측 상자 구역(R1')의 후벽 패널(P34)과 제1 리드 구역(R2')의 후벽 패널(P37)의 경계를 이루는 접기선 및 슬릿에 의해 제1 힌지(51)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 구역(RT)의 후벽 패널(P45)과 탑 패널(P44)의 경계를 이루는 접기선에 의해 제2 힌지(52)가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 구역(RT)의 접합 패널(P52)과 전벽 패널(P49)의 경계를 이루는 접기선에 의해 제3 힌지(53)가 형성된다. 또한, 제2 리드 구역(R2")에 있어서의 전벽 패널(P41)과 트레이 구역(RT)의 탑 패널(P44)의 경계를 이루는 접기선에 의해 제4 힌지(54)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18∼도 22를 참조하여, 패키지(1D)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패키지(1D)는,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는, 저벽(414)의 세로 치수가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바닥판(26)의 세로 치수와 동일하고, 후벽(412)의 높이 치수가 외측 상자(21)에 있어서의 후벽(24)의 높이 치수 및 뚜껑(3)의 후벽(31)의 높이 치수의 합과 동일하다. 또한, 제2 트레이부(42)의 세로 치수는, 뚜껑(3)에 있어서의 천정판(32)의 세로 치수와 동일하다. 그 때문에, 도 18,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를, 외측 상자(21)와 간섭되는 일 없이, 외측 상자(21)의 외면을 따르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또한,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를, 뚜껑(3)의 천정판(32)을 따르게 하여 배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뚜껑(3)이 닫혀졌을 때에, 패키지(1D) 전체가 커지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편의상, 패키지(1D)가 테이블 등의 수평면에 재치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패키지(1D) 내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꺼내는 경우, 취급자는, 예를 들면, 외측 트레이(21)의 제1 트레이부(41)에 있어서의 양쪽의 측벽(413)을 다른 한쪽의 손으로 파지하고, 뚜껑(3)을 다른 쪽의 손으로 집는 등으로 하여 뚜껑(3)을 개방시킨다. 즉, 제1 힌지(51)를 중심으로 외측 상자(21)에 대하여 뚜껑(3)을 회동시켜, 개방한다.
패키지(1D)의 외측 상자(21)에는, 제3 힌지(53)를 통하여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41)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뚜껑(3)에는 제4 힌지(54)를 통하여 트레이 부재(4)의 제2 트레이부(42)가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어 있다. 또한,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는, 제2 힌지(52)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3)의 개방 동작을 하면, 그에 연동하여, 제1 트레이부(41) 및 제2 트레이부(42)가 제2 힌지(52)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외측 상자(21)에 대하여 제1 트레이부(41)가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회동되며, 뚜껑(3)에 대하여 제2 트레이부(42)가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그 결과, 뚜껑(3)의 천정판(32)과 겹쳐져 있던 제2 트레이부(42)가 그 천정판(32)으로부터 이반되고, 외측 상자(21)의 후벽(24)과 겹쳐져 있던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이 외측 상자(21)의 후벽(24)으로부터 이반된다. 여기서, 제1 트레이부(41)의 후벽(412)에는, 외측 상자(21)의 후벽(24)의 폭 치수와 같거나 약간 큰 개구 폭을 갖는 개구부(41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트레이부(41)를 외측 상자(21)의 후벽(24)과 간섭되는 일 없이,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제1 트레이부(9)를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20∼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관되어, 외측 상자(21)가 트레이 부재(4)로부터 일어서도록 동작된다.
한편, 개방된 뚜껑(3)이 닫히는 방향으로 조작되면, 그에 연동하여, 제2 힌지(52)를 중심으로 제1 트레이부(41)와 제2 트레이부(42)가 회동된다. 마찬가지로, 제3 힌지(53)를 중심으로 제1 트레이부(41)가 외측 상자(21)에 대하여 회동됨과 함께, 제4 힌지(54)를 중심으로 제2 트레이부(42)가 뚜껑(3)에 대하여 회동된다. 그 결과, 트레이 부재(4)에 대한 외측 상자(21)의 경사 각도가 감소된다. 즉, 트레이 부재(4)에 대하여 일어선 외측 상자(21)가, 다시 트레이 부재(48)를 따르도록 하는 자세까지 쓰러져,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트레이 부재(4)를 구비한 패키지(1D)에 의하면, 뚜껑(3)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트레이 부재(4)로부터 외측 상자(21)를 자동적으로 기립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취급자는, 패키지(1D)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시가렛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패키지(1C)는, 뚜껑(3)에 설치된 돌출 손톱형상부(37)와, 트레이 부재(4)의 제1 트레이부(9)에 설치된 경사면 걸림 가장자리(417)와의 조합에 의해 구성되는 로크(lock)기구를 갖는다. 이 로크기구와 관련되는 돌출 손톱형상부(37)와 경사면 걸림 가장자리(417)는, 뚜껑(3)이 닫혀졌을 때에 서로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트레이 부재(4)에 있어서의 제1 트레이부(41)의 전측 가장자리부(416)가 사각형 엣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뚜껑(3)의 전측 가장자리부(36)는 모따기 엣지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뚜껑(3)이 닫혀진 상태에서는, 뚜껑(3)측의 전측 가장자리부(36)가, 제1 트레이부(41)측의 전측 가장자리부(416)에 비하여, 패키지(1D)의 횡단면 방향에 있어서 내부측에 위치된 상태로 된다. 이에 의해, 뚜껑(3)이 닫혀질 때, 뚜껑(3)의 돌출 손톱형상부(37)가 트레이 부재(4)의 경사면 걸림 가장자리(417)에 걸려진다. 이와 같이 기능하는 로크기구에 의하면, 닫혀진 뚜껑(3)이 부주위로 개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패키지(1D)의 뚜껑 닫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패키지(1D)는, 뚜껑 닫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돌출 손톱형상부(37)와 경사면 걸림 가장자리(417)와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로크기구를 구비하고 있지만, 이 로크기구는 필수의 구성이 아니며, 적절히 생략해도 상관없다.
이상,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형태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상자형 패키지는, 가능한 한 각 실시예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자형 패키지에 수용되는 피수용물의 적합한 적용예로서 필터 시가렛이나 양절 시가렛 등의 담배 상품을 들었지만, 이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담배 상품 이외의 물품을 패키지에 수용해도 좋다.
1,1A, 1B, 1C ··· 하드형 패키지
2 ··· 패키지 본체
3 ··· 뚜껑
4 ··· 트레이 부재
6 ··· 커버 부재
7 ··· 평판 스프링 부재
21 ··· 외측 상자
22 ··· 내측 프레임
41 ··· 제1 트레이부
42 ··· 제2 트레이부
44 ··· 바닥판면 피복부
45 ··· 후벽면 피복부
51 ··· 제1 힌지
52 ··· 제2 힌지
53 ··· 제3 힌지
54 ··· 제4 힌지
55 ··· 제5 힌지

Claims (8)

  1. 상부에 개구단(開口端)을 갖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패키지 본체와,
    상기 개구단의 후측 개구 가장자리에 제1 힌지를 통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개구단을 개폐하는 뚜껑 부재와,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측에 설치되고,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 후벽, 전벽 중 어느 것에 일체로 접합된 제1 트레이부 및 상기 뚜껑 부재의 천정판에 일체로 접합된 제2 트레이부를 갖고, 그 제1 트레이부 및 그 제2 트레이부가 제2 힌지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된 트레이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트레이부는, 상기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뚜껑 부재의 상기 천정판을 따라 배치됨으로써 해당 천정판을 덮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 및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2 힌지를 중심으로 상대 회동(回動)함으로써, 상기 트레이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가 일어서는, 하드형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 또는 후벽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상기 제2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4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부재의 천정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또한,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3 힌지 및 상기 제4 힌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가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하드형 패키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트레이부의 길이는, 상기 뚜껑 부재의 상기 천정판 후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4 힌지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은, 하드형 패키지.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힌지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레이부는, 상기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을 덮고 또한 일단측이 상기 제3 힌지를 통하여 그 바닥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는 바닥판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의 타단측과 대략 직각으로 연결되는 일단을 갖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2 힌지가 형성되는 후벽면 피복부를 갖는, 하드형 패키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端部)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전벽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상기 제2 트레이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힌지의 반대측의 단부는, 패키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4 힌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뚜껑 부재의 천정판에 회동이 자유롭게 접합되고, 또한, 상기 제2 힌지는, 상기 제3 힌지 및 상기 제4 힌지에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트레이부는, 상기 뚜껑 부재가 닫혀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패키지 본체의 바닥판을 덮는 바닥판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와 연결되는 일단을 가짐과 함께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을 덮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2 힌지가 형성되는 후벽면 피복부와,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와 연결되는 일단을 가짐과 함께 상기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전벽의 하부 영역을 적어도 덮고 또한 타단측에 상기 제3 힌지가 형성되는 전벽면 피복부를 갖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트레이부가 상기 제3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됨과 함께 상기 제2 트레이부가 상기 제4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고, 또한, 상기 후벽면 피복부에는, 상기 제1 트레이부가 회동될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후벽과의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드형 패키지.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면 피복부의 길이는, 상기 패키지 본체의 상기 바닥판 후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제3 힌지와의 직선간 거리와 같고,
    상기 후벽면 피복부의 길이는, 상기 패키지 본체에 있어서의 후벽과 상기 뚜껑 부재에 있어서의 후벽의 높이의 합과 같은, 하드형 패키지.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 내에 배치되고, 일단측이 상기 패키지 본체의 내면에 고정됨과 함께 타단측이 상기 뚜껑 부재의 내면에 고정되는 평판 스프링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평판 스프링 부재는 상기 제1 힌지와 평행한 제5 힌지를 갖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5 힌지를 경계로 상기 패키지 본체에 접합되는 제1 영역부와 상기 뚜껑 부재에 접합되는 제2 영역부가 상대적으로 회동함으로써, 상기 제1 영역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영역부가 전방으로 경사진 제1 경사 상태와, 상기 제1 영역부에 대하여 상기 제2 영역부가 후방으로 경사진 제2 경사 상태와의 사이에서 자세를 반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뚜껑 부재의 개방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제1 경사 상태로부터 상기 제2 경사 상태로 이행된 상기 평판 스프링 부재의 자세가 그 제2 경사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상기 트레이 부재에 대하여 상기 패키지 본체가 일어선 상태로 유지되는, 하드형 패키지.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 부재는, 닫혀졌을 때에 상기 패키지 본체의 전벽의 대략 전면(全面)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드형 패키지.
KR1020147007770A 2012-01-17 2013-01-08 하드형 패키지 KR1015898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PCT/JP2012/050781 2012-01-17
PCT/JP2012/050781 WO2013108358A1 (ja) 2012-01-17 2012-01-17 ハード型パッケージ
PCT/JP2013/050132 WO2013108670A1 (ja) 2012-01-17 2013-01-08 ハード型パッケー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495A KR20140062495A (ko) 2014-05-23
KR101589841B1 true KR101589841B1 (ko) 2016-01-28

Family

ID=48798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7770A KR101589841B1 (ko) 2012-01-17 2013-01-08 하드형 패키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769926B1 (ko)
KR (1) KR101589841B1 (ko)
CN (1) CN104053605B (ko)
ES (1) ES2572917T3 (ko)
RU (1) RU2571356C1 (ko)
WO (2) WO20131083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010778A1 (de) * 2013-06-28 2014-12-31 Focke & Co. (Gmbh & Co. Kg) Zigarettenpackung
PL2860123T3 (pl) * 2013-10-14 2017-07-31 Reemtsma Cigarettenfabriken Gmbh Opakowanie z zawiasowym wieczkiem
PT2942311T (pt) * 2014-05-09 2017-10-18 Reemtsma Cigarettenfabriken Gmbh Embalagem para artigos para fumar e/ou relacionados com tabaco
CN104176348B (zh) * 2014-08-07 2016-10-05 上海美真包装贸易有限公司 一种自动开启和关闭纸板包装盒
KR101967766B1 (ko) * 2017-05-28 2019-04-10 유경일 담배 케이스 커버
EA039458B1 (ru) * 2017-12-08 2022-01-28 ДжейТи ИНТЕРНЕШНЛ СА Упаковка с шарнирной крышкой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4416A2 (en) * 2003-08-04 2005-02-17 Chettan Karsan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8081A (en) 1985-02-22 1986-05-13 Philip Morris Incorporated Folding carton and blank therefor, for cigarettes
US6193060B1 (en) 2000-02-16 2001-02-27 Philip Morris Incorporated Front opening cigarette box
NL1018140C1 (nl) 2001-05-23 2002-11-26 Claessens Prod Consult Verpakking bestaande uit een houder en een daar scharnierbaar mee verbonden deksel.
DE10128243A1 (de) * 2001-06-11 2002-12-12 Philip Morris Prod Kappenschachtel
ITBO20010749A1 (it) * 2001-12-11 2003-06-11 Gd Spa Involucro rigido per articoli da fumo
ITBO20050099A1 (it) 2005-02-24 2005-05-26 Gd Spa Incarto rigido per articoli da fumo con coperchio incernierato
KR20080004328U (ko) * 2007-03-29 2008-10-02 박상규 담배케이스
ITBO20070481A1 (it) * 2007-07-17 2007-10-16 Gd Spa Confezione di tipo rigido per articoli da fumo.
CA2716350C (en) * 2008-02-25 2013-08-06 Japan Tobacco Inc. Swing-open type package
JP2011098735A (ja) * 2008-02-25 2011-05-19 Japan Tobacco Inc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GB0806691D0 (en) * 2008-04-14 2008-05-14 British American Tobacco Co Package for smoking article
JP5323399B2 (ja) * 2008-06-06 2013-10-23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スライド機能付き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4416A2 (en) * 2003-08-04 2005-02-17 Chettan Karsan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69926A4 (en) 2015-06-24
RU2571356C1 (ru) 2015-12-20
WO2013108358A1 (ja) 2013-07-25
CN104053605A (zh) 2014-09-17
EP2769926A1 (en) 2014-08-27
CN104053605B (zh) 2017-04-05
WO2013108670A1 (ja) 2013-07-25
ES2572917T3 (es) 2016-06-03
KR20140062495A (ko) 2014-05-23
EP2769926B1 (en) 201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9841B1 (ko) 하드형 패키지
RU2573963C1 (ru) Упаковка коробчатого типа
KR100354570B1 (ko) 담배갑과이를제조하기위한블랭크
JP5955983B2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CN101287661B (zh) 用于烟草制品的硬质铰链盖包装
JP5669724B2 (ja) 喫煙品用パッケージ
JP5313921B2 (ja) 喫煙品用パック
WO2009107521A1 (ja) ヒンジリッド型パッケージ
WO2009148036A1 (ja) スライドアクション型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JP6195934B2 (ja) スライド可能なコンパートメントを有するタバコ関連物品用のパッケージ
JP7337798B2 (ja) ヒンジ式蓋パッケージング
JP5676018B2 (ja) ハード型パッケージ
KR101632854B1 (ko) 하드형 패키지
TWI491541B (zh) 鉸鏈蓋包裝
TWI472464B (zh) 硬殼型包裝
TWI494064B (zh) 箱型包裝
JP5955976B2 (ja) ヒンジリッドパッケージ
TW201429828A (zh) 鉸鏈蓋包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