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70B1 - 듀플렉서 - Google Patents

듀플렉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70B1
KR101632670B1 KR1020140154396A KR20140154396A KR101632670B1 KR 101632670 B1 KR101632670 B1 KR 101632670B1 KR 1020140154396 A KR1020140154396 A KR 1020140154396A KR 20140154396 A KR20140154396 A KR 20140154396A KR 101632670 B1 KR101632670 B1 KR 101632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onators
antenna
disposed
connector
duple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4853A (ko
Inventor
조학래
서수덕
하종우
고문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너트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너트론
Priority to KR1020140154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70B1/ko
Priority to PCT/KR2015/011432 priority patent/WO2016072659A2/ko
Publication of KR20160054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00Resonators of the waveguide type
    • H01P7/10Dielectric resonators

Landscapes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듀플렉서(duplexer)는 송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공진기들, 수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공진기들 및 상기 제1공진기들 중에서 안테나(antenna)와 가장 인접한 제1공진기 및 상기 제2공진기들 중에서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제2공진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combining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진기들 및 상기 제2공진기들 각각은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도전막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듀플렉서{DUPLEXER}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듀플렉서(duplex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유전체 공진기들과 이를 수납하는 캐비티(cavity)를 가지는 구조에서 안테나와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unit)을 포함하는 듀플렉서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는 다양한 종류의 필터가 적용된다. 필터는 특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만을 통과시키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서, 필터링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LPF)), 대역 통과 필터(Band Pass Filter(BPF)), 고역 통과 필터(High Pass Filter(HPF)), 대역 저지 필터(Band Stop Filter(BSF)) 등으로 구분된다.
또한, 필터는 제작방법과 필터에 사용되는 소자에 따라 LC 필터, 트랜스미션 라인(transmission line) 필터, 캐비티(cavity) 필터, 유전체 공진기(Dielectric Resonator(DR)) 필터, 세라믹(ceramic) 필터, 동축(coacial) 필터, 도파관(waveguide) 필터, SAW(Surface Acoustic Wave) 필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필터에 협대역 특성과 우수한 차단 특성을 동시에 구현하기 위해서는 높은 Q 값(Q-factor)을 갖는 공진기가 요구된다. 이 경우, 공진기는 주로 PCB(Printed Circuit Board), 유전체 공진기 또는 단일 블록(monoblock) 형태로 구현된다.
특히, 송수신 주파수를 분리하는 기능을 하는 소자로써 듀플렉서(duplexer)가 사용되며, 듀플렉서 중에서도 협대역 특성과 우수한 차단 특성을 구현하기 위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복수의 유전체 공진기들과 이를 수납하는 캐비티(cavity)를 가지는 구조에서 안테나와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unit)을 포함함으로써, 협대역 특성과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가지는 듀플렉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duplexer)는 송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공진기들, 수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공진기들 및 상기 제1공진기들 중에서 안테나(antenna)와 가장 인접한 제1공진기 및 상기 제2공진기들 중에서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제2공진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combining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진기들 및 상기 제2공진기들 각각은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도전막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상기 제1공진기 및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상기 제2공진기 각각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안테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안테나 커넥터와 접속 핀(pin)을 통하여 접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제1공진기들과 상기 제2공진기들 각각의 상기 양측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결합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1공진기들과 상기 제2공진기들을 수납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기판 및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 유닛은 도선(conducting wire)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결합 유닛은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듀플렉서는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1공진기들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로 전송하는 송신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2공진기들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커넥터와 상기 수신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안테나의 반대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복수의 유전체 공진기들과 이를 수납하는 캐비티(cavity)를 가지는 구조에서 안테나와 인접하는 유전체 공진기들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unit)을 포함함으로써, 신호 전송 과정에서의 손실률이 낮을 뿐만 아니라 협대역 특성과 우수한 차단 특성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송수신하고자 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라 결합 유닛의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해당 주파수 대역에 효과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duplexer)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플렉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은 채, 제1구성 요소는 제2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 요소는 제1구성 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duplexer)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듀플렉서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100A)는 제1공진기들(110-1 ~ 110-8), 제2공진기들(110-9 ~ 110-16), 기판(120), 하우징(housing; 130), 격벽(132), 안테나 커넥터(antenna connector; 140), 접속 핀(connecting pin; 142), 결합 유닛(combining unit; 144A), 송신 커넥터(transmission connector; 150), 제1커플링 소자(152), 수신 커넥터(receiving connector; 160), 및 제2커플링 소자(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진기들(110-1 ~ 110-8)은 듀플렉서(100A)의 송신 신호의 전송 경로(PATH-TX) 상에 배치되며, 기판(120) 위에 결합되어, 하우징(13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은 듀플렉서(100A)의 수신 신호의 전송 경로(PATH-RX) 상에 배치되며, 기판(120) 위에 결합되어, 하우징(130) 내에 수납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송신 필터의 통과 대역과 수신 필터의 통과 대역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공진기들(110-1 ~ 110-8)과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은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공진기들(110-1 ~ 110-8) 및 제2공진기들(110-9 ~ 110-16) 각각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 예에 따라, 제1공진기들(110-1 ~ 110-8)과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은 서로 다른 크기 또는 서로 다른 비율로 구현될 수도 있다.
기판(120)은 제1공진기들(110-1 ~ 110-8) 및 제2공진기들(110-9 ~ 110-16) 각각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제1공진기들(110-1 ~ 110-8) 및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은 기판(120)과 도금을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판(120)는 접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도전성 패턴을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PCB))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하우징(130) 내에는 복수의 격벽들(132)로 구분된 캐비티(cavity)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공진기들(110-1 ~ 110-8) 및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은 상기 캐비티 내에 수납될 수 있다. 격벽들(132)의 배치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격벽들(132)의 배치에 따라 하우징(130) 내에서의 신호 전달 경로가 변경될 수도 있다.
하우징(130)은 직육면체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하우징(130)의 형태에 의해 제한 해석 되어서는 안 된다.
실시 예에 따라, 하우징(130)의 외면 또는 내면은 도전성 물질(예컨대, 은(Ag) 또는 구리(Cu) 등)로 도금될 수도 있다.
하우징(130)은 하우징(130)의 하부에 배치된 기판(120)과 결합되어 제1공진기들(110-1 ~ 110-8) 및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을 수납할 수 있다.
하우징(130)의 일측에는 안테나 커넥터(140)가 구현될 수 있다.
안테나 커넥터(140)는 안테나(미도시)와 연결되어 듀플렉서(100A)가 양방향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접속 핀(142)은 안테나 커넥터(140)와 결합 패널(144A) 사이에 접속되어, 안테나 커넥터(140)와 결합 패널(144A) 상호 간에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공진기(110-8)는 송신 신호의 전송 경로(PATH-TX) 상에 배치되는 제1공진기들(110-1 ~ 110-8) 중에서 안테나(미도시)와 가장 인접한, 즉 도 1과 도 2에서 안테나(미도시)와 접속되는 안테나 커넥터(140)와 가장 인접한 공진기이다.
또한, 제2공진기(110-9)는 수신 신호의 전송 경로(PATH-RX) 상에 배치되는 제2공진기들(110-9 ~ 110-16) 중에서 안테나(미도시)와 가장 인접한, 즉 도 1과 도 2에서 안테나(미도시)와 접속되는 안테나 커넥터(140)와 가장 인접한 공진기이다.
결합 유닛(144A)은 제1공진기(110-8) 및 제2공진기(110-9)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닛(144A)은 제1공진기(110-8) 및 제2공진기(110-9)와 중첩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결합 패널(144A)은 제1공진기(110-8)와 제2공진기(110-9)와 신호 진행 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유닛(144A)는 제1공진기(110-8)와 중첩되는 영역을 통하여, 송신 커넥터(150)와 제1공진기들(110-1 ~ 110-8)을 통하여 전송된 송신 신호를 효과적으로 안테나 커넥터(140)로 전달할 수 있다.
결합 유닛(144A)는 제2공진기(110-9)와 중첩되는 영역을 통하여, 안테나 커넥터(140)와 접속 핀(142)를 통하여 전송된 수신 신호를 효과적으로 제2공진기(110-9)로 전달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결합 유닛(144A)의 단면적과 길이는 듀플렉서(100A)가 송수신 신호 각각의 통과 주파수 대역 및 대역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송신 커넥터(150)는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듀플렉서(100A)로 입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송신 커넥터(150)에는 신호 처리 회로(예컨대, 대역 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거나, 상기 신호 처리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처리 회로는 신호 처리를 위해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커플링 소자(152)는 송신 커넥터(150)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제1공진기(110-1)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커넥터(160)는 신호의 특정 주파수 대역을 듀플렉서(100A)로부터 출력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수신 커넥터(160)에는 신호 처리 회로(예컨대, 대역 통과 필터 회로)를 포함하거나, 상기 신호 처리 회로와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신호 처리 회로는 신호 처리를 위해 구성되는 RF(Radio Frequency)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커플링 소자(162)는 제2공진기(110-16)로부터 전송된 신호를 수신 커넥터(16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제1공진기들(110-1 ~ 110-8)과 제2공진기들(110-9 ~ 110-16)의 갯수와 배치는 일 실시 예에 불과하며, 듀플렉서(100A)의 송수신 신호 각각의 통과 주파수 대역 및 대역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안테나(미도시)는 하우징(130)의 일측에 배치된 안테나 커넥터(140)와 접속되므로 안테나 커넥터(140)와 같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송신 커넥터(150)와 수신 커넥터(160)는 안테나(미도시)의 반대측, 즉 안테나 커넥터(140)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공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144A)은 제1공진기(110-8) 및 제2공진기(110-9)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결합 유닛(144A)은 제1공진기(110-8) 및 제2공진기(110-9)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유닛(144A)은 접속 핀(142)을 통하여 안테나 커넥터(140)와 접속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결합 유닛(144A)은 기판(120) 및 격벽(13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도체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각 공진기(110), 예컨대 제1공진기들(110-1 ~ 110-8)과 제2공진기들(110-9 ~ 110-16) 각각은 유전 물질(예컨대, 세라믹 등)로 이루어진 몸체(111)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몸체(111)는 사각 기둥 외에도 원기둥, 타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111)의 일방향으로 관통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몸체(111)의 길이 방향, 즉 몸체(111)에서 가장 긴 변의 방향으로 관통홀(116)이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몸체(11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112 및 114)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에는 도전막이 도금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관통홀(116)의 내면에도 도전막(예컨대, 은 도금 또는 구리 도금에 의한 도전막)이 도금될 수 있다.
몸체(111)의 하측 단면(114)은 기판(120)과 도금을 통하여 결합, 즉 접지될 수 있다.
몸체(111)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112 및 114)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은 도금 처리가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각 공진기(110-1 내지 110-3)는 TEM 모드(Transverse Electro Magnetic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듀플렉서의 평면도이다.
도 1과 도 5를 참조하면, 결합 유닛(144B)의 형상 및 접속 구조를 제외하면 도 5의 듀플렉서(100B)의 구조는 도 2의 듀플렉서(100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결합 유닛(144B)은 도선(conducting wire)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선으로 구현된 결합 유닛(144B)은 제1공진기(110-8)와 제2공진기(110-9) 사이를 지나며, 접속 핀(142)과 격벽(132)을 연결시킬 수 있다.
결합 유닛(144B)의 형상 및 접속 구조는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결합 유닛(144B)은 결합 유닛(144B)은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결합 유닛(144B)은 기판(120)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접속 핀(142)과 격벽(132)을 연결시킬 수 있다.
결합 유닛(144B)은 격벽(132)과 연결됨으로써 접지될 수 있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단면에서 바라본 결합 유닛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와 도 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결합 유닛(144B')은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도선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결합 유닛(144B')이 일정한 각도로 구부러진 선분들이 조합된 형태로 도시되나, 실시 예에 따라 결합 유닛(144B')은 구부러진 곡선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결합 유닛(144B')은 듀플렉서(100A)의 송수신 신호 각각의 통과 주파수 대역 및 대역폭에 따라 최적의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A, 100B : 듀플렉서(duplexer)
110-1 ~ 110-16 : 공진기
120 : 기판
130 : 하우징(housing)
140 : 안테나 커넥터(antenna connector)
144A, 144B : 결합 유닛
150 : 송신 커넥터
160 : 수신 커넥터

Claims (8)

  1. 송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공진기들;
    수신 신호의 전송 경로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공진기들; 및
    상기 제1공진기들 중에서 안테나(antenna)와 가장 인접한 제1공진기 및 상기 제2공진기들 중에서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제2공진기의 사이에 배치되는 결합 유닛(combining unit)을 포함하고, 상기 제1공진기들 및 상기 제2공진기들 각각은,
    유전 물질로 이루어지고, 일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측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상기 관통홀의 벽면에 결합되는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공진기들과 상기 제2공진기들 각각의 상기 양측 단면 중에서 적어도 일측의 단면과 결합되어 접지 기능을 수행하는 기판;
    상기 기판과 결합되어 상기 제1공진기들과 상기 제2공진기들을 수납하는 하우징(housing);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 유닛은, 도선(conducting wire)으로 구현되고,
    상기 도선은, 접속 핀과 상기 격벽을 연결시키며, 상기 격벽과 연결됨으로써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플렉서(duplexer).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상기 제1공진기 및 상기 안테나와 가장 인접한 상기 제2공진기 각각과 중첩되는 영역을 가지는 듀플렉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안테나를 결합시키기 위한 안테나 커넥터와 접속 핀(pin)을 통하여 접속되는 듀플렉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기판 및 상기 격벽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듀플렉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구부러진 부분을 포함하는 듀플렉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신호를 상기 제1공진기들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로 전송하는 송신 커넥터(connector); 및
    상기 수신 신호를 상기 제2공진기들을 통하여 상기 안테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커넥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송신 커넥터와 상기 수신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된 상기 안테나의 반대 측에 배치되는 듀플렉서.

KR1020140154396A 2014-11-07 2014-11-07 듀플렉서 KR101632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96A KR101632670B1 (ko) 2014-11-07 2014-11-07 듀플렉서
PCT/KR2015/011432 WO2016072659A2 (ko) 2014-11-07 2015-10-28 듀플렉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96A KR101632670B1 (ko) 2014-11-07 2014-11-07 듀플렉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53A KR20160054853A (ko) 2016-05-17
KR101632670B1 true KR101632670B1 (ko) 2016-06-22

Family

ID=55909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96A KR101632670B1 (ko) 2014-11-07 2014-11-07 듀플렉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32670B1 (ko)
WO (1) WO20160726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46019B (zh) * 2016-06-02 2021-05-28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一种双层腔共端口合路器
CN106058402B (zh) * 2016-08-05 2019-06-11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双层腔合路器及其共用端口耦合装置
CN106785275B (zh) * 2017-02-17 2020-11-06 京信通信技术(广州)有限公司 双层腔合路器及其公共端口装置
CN111384545A (zh) * 2018-12-29 2020-07-07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介质滤波器及通信设备
CN111697294B (zh) * 2019-03-14 2022-10-14 康普公司意大利有限责任公司 带阻滤波器、用于带阻滤波器的传输线、以及复用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0120Y1 (ko) * 2002-06-28 2002-09-2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 개선용 단일 루프 급전 듀플렉서
JP2002299909A (ja) * 2001-03-30 2002-10-11 Nec Corp 共振器のアンテナ結合方式及び結合アンテナ
JP2010199790A (ja) * 2009-02-24 2010-09-09 Nec Wireless Networks Ltd 誘電体共振器の実装構造、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15803A (ja) * 1982-06-09 1983-12-15 Nippon Dengiyou Kosaku Kk コムライン形帯域通過ろ波器
KR100586321B1 (ko) * 2003-07-18 2006-06-21 (주)알에프트론 초전도 필터 서브 시스템용 송수신 결합형 듀플렉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9909A (ja) * 2001-03-30 2002-10-11 Nec Corp 共振器のアンテナ結合方式及び結合アンテナ
KR200290120Y1 (ko) * 2002-06-28 2002-09-27 주식회사 에이스테크놀로지 Pim 개선용 단일 루프 급전 듀플렉서
JP2010199790A (ja) * 2009-02-24 2010-09-09 Nec Wireless Networks Ltd 誘電体共振器の実装構造、その製造方法、及びフィル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72659A3 (ko) 2016-06-23
KR20160054853A (ko) 2016-05-17
WO2016072659A2 (ko) 2016-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2670B1 (ko) 듀플렉서
KR100441727B1 (ko) 필터 내장 유전체 안테나, 듀플렉서 내장 유전체 안테나 및 무선 장치
KR101632668B1 (ko) 듀플렉서
CN106384864B (zh) 一种基于多频耦合的ltcc平衡式带通滤波器
US20160164162A1 (en) Filter package
EP3386028B1 (en) Combiner
JP2001332906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装置
KR101632667B1 (ko) 필터
KR101801260B1 (ko) 필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패키지
CN104134836A (zh) 一种基于四分之一波长短路馈线的平面双工器
JP6297652B2 (ja) 内導体を備えるフィルタ
KR101781987B1 (ko) 듀플렉서
CN108183295B (zh) 基于公度传输线网络的双通带滤波器
KR101861137B1 (ko)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통신 컴포넌트
KR101033506B1 (ko) 커플링 소자를 구비한 광대역 공진 필터
KR101439420B1 (ko) 공진기 및 이를 포함하는 필터
KR101681899B1 (ko) 유전체 필터
JP2777501B2 (ja) 誘電体フィルタ
EP3057175B1 (en) Coaxial wiring device and transmitter-receiver demultiplexer
JP2002204106A (ja) 複合誘電体フィルタ装置および通信装置
EP3883050B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KR100419237B1 (ko) 듀플렉서의 주파수 격리회로
KR101887362B1 (ko) 통신 컴포넌트
EP3503390B1 (en) Multi-band filter
KR101670893B1 (ko)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