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32637B1 -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32637B1
KR101632637B1 KR1020150016745A KR20150016745A KR101632637B1 KR 101632637 B1 KR101632637 B1 KR 101632637B1 KR 1020150016745 A KR1020150016745 A KR 1020150016745A KR 20150016745 A KR20150016745 A KR 20150016745A KR 101632637 B1 KR101632637 B1 KR 1016326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electrode
conductive ink
nozzle
voltag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6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주
이승조
김현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Priority to KR10201500167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26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26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26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는 전도성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토출시키는 노즐; 상기 전도성 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 및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DISPLAY REPARING DEVICE AND METHOD USING CONDUCTIVE INK}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전자 부품분야에서 도전 배선 형성 방법에는 주로, 에칭법, 스크린인쇄법, 그리고 진공 증착법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에는 FED, PDP,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의 내부 전극 형성을 위하여 각종 금속 페이스트가 사용된다. 기존 전극소재에 사용되는 전도성 코팅에 이용되는 금속 페이스트용 금속으로 Au, Ag, Cu, Pt, Re, Al, Fe, Ni 등에 의해서도 가능하나 전기적 특성에 의해 Au, Ag, Cu가 주로 연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대부분의 금속 페이스트는 전극 형성에 필요한 재료에 대한 손실이 많으며, 인쇄 형상의 제약이 따르며, 근래에는 은 페이스트(Ag paste)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은(Ag) 코팅막은 지난 20년 동안 건축용 로이 유리(low-E glass)시장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선택적 태양광조절유리와 디스플레이용 투명전극, 자동차용 발열유리, 자동차용 글래스(glass) 안테나 등 그 쓰임새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 전도성 코팅방법으로는 스퍼터링 방식과 무전해 도금법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방법은 코팅막 두께의 한계와 그 방법에 따른 여러 가지 문제점이 있어 많은 제약이 따른다. 스퍼터링 방식은 산소 분위기에 상온에서도 집적화(agglomerate)가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도금법 또한 금속이온을 환원시키는 과정에서도 집적화(agglomerate)가 일어나는 것이다. 집적화(agglomerate)는 열처리 중에 코팅막 표면의 에너지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미세구조 변화 중에 원자와 기공들이 이동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집적화(agglomerate)가 진행되면 표면에 기공과 힐콕(hillock)과 같은 손상이 발생하게 되어 코팅막의 저항을 높이고, 전기적 물성을 떨어뜨리게 된다. 또한 전도성 코팅막이 형성되는 두께의 한계로 인하여 증착된 은(Ag) 코팅막의 집적화는 공정을 까다롭게 만들고 물성을 떨어뜨려 배선재료로서의 활용을 더디게 하는 이유가 된다.
상기한 단점을 보완한 인쇄 기술로서, 최근에는 잉크젯 프린팅 기술을 디스플레이 분야의 전극형성 및 기타 제조공정에 활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픈 결함(open defect)을 수리하기 위하여 잉크젯 프린팅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의 오픈 결함(open defect)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오픈 결함이 발생한 영역에 전도성 잉크를 토출시켜 와이어링(wiring)을 통해 오픈 결함을 제거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전도성 잉크를 미세하고 균일하게 도포하기 어려워 미세한 오픈 결함의 수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가공 유의차와 기판의 손상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전압 제어부가 전도성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고,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고,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가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여, 전압 조절만으로 기판 상에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노즐과 보조 전극간의 간격 변동 요인을 제거하고 일정한 간격을 항상 유지하여 보다 정밀도 높은 디스플레이의 수리가 가능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는 전도성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토출시키는 노즐; 상기 전도성 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 및 상기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과 극성이 반대인 전압을 상기 보조 전극에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노즐에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압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제1 보조 전극; 및 제2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1 보조 전극에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보조 전극과 상기 제2 보조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보조 전극과 상기 제2 보조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전압을 인가받거나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출된 전도성 잉크가 도포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스테이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 전극은 링 형상, 'ㄷ'자 형상 또는 두 개의 침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성 잉크는 극성 용매(polarized solvent)와 전도성 금속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은, 압력 제어부가 전도성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제1 단계; 전압 제어부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가 전하를 띄게 하는 제2 단계;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에 상기 노즐에 인가되는 전압과 극성이 반대인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게 하는 제3 단계; 및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제4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4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전압 제어부가 전도성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고,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고,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가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여, 전압 조절만으로 기판 상에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노즐과 보조 전극간의 간격 변동 요인을 제거하고 일정한 간격을 항상 유지하여 보다 정밀도 높은 디스플레이의 수리가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는 압력 제어부(120), 노즐(130), 보조 전극(180) 및 전압 제어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압력 제어부(120)는 전도성 잉크(232)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11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공급하며, 노즐(130)은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토출시킨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잉크 저장부(110)에는 전도성 잉크(232)가 저장되며, 상기 잉크 저장부(110)에 저장된 전도성 잉크(232)는 상기 압력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기판(140) 상에 토출된다.
이때, 상기 전도성 잉크(232)는 극성 용매(polarized solvent)와 전도성 금속 재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 전도성 잉크(232)는 노즐(13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여 스테이지 상에 놓인 기판(140) 상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보조 전극(180)은 링(ring) 형상 또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두 개의 침(needle)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130)에서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가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180)은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노즐(130)간의 전기장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전극(180)은 전압 제어부(160)로부터 전압을 인가받거나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브(18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 제어부(160)는 상기 노즐(130)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노즐(130)에 인가되는 전압과 극성이 반대인 전압을 상기 보조 전극(180)에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게 하고, 상기 노즐(130)에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상기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전압 제어부(160)는 노즐(13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양전하를 띄게 하며, 상기 보조 전극(180)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도록하고, 상기 보조 전극(18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130)과 상기 보조 전극(180)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이후, 상기 전압 제어부(160)는 상기 노즐(130)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이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토출하도록 제어하여, 기판(140) 상에 전도성 잉크(232)를 도포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18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130)과 상기 보조 전극(180)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조 전극(180)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상기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18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130)과 상기 보조 전극(180)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130)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 전극(180)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상기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된 노즐(130)과 보조 전극(180) 간의 간격에서, 전압 제어부(160)에서의 전압 조절 만으로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0)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후부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압력 제어부(120)가 전도성 잉크(232)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11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공급한다.
이후에는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토출하는 노즐(13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가 양(+)전하를 띄게 한다.
이후,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180)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한다.
이때,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보조 전극(180)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130)과 상기 보조 전극(180)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상기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한다.
따라서, 전압 제어부(160)의 전압 조절을 통해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0)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는 압력 제어부(120), 노즐(130), 보조 전극(180) 및 전압 제어부(1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도 잉크 저장부(110)에는 전도성 잉크(232)가 저장되며, 상기 잉크 저장부(110)에 저장된 전도성 잉크(232)는 상기 압력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다.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된 전도성 잉크(232)는 노즐(13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여 스테이지 상에 놓인 기판(140) 상에 도포된다.
이때, 상기 보조 전극(180)은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노즐(130)에서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가 관통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전극(180)은 제1 보조 전극(181)과 제2 보조 전극(182)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보조 전극(181)과 상기 제2 보조 전극(18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18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전극(180)은 전압 제어부(160)로부터 전압을 인가 받거나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브(185, 186)를 각각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압 제어부(160)는 노즐(13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양전하를 띄게 하며, 상기 보조 전극(180)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전압 제어부(160)는 상기 제1 보조 전극(181)에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보조 전극(182)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보조 전극(181)과 제2 보조 전극(182)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압 제어부(160)는 상기 노즐(180)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이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토출하도록 제어하여 기판(140) 상에 전도성 잉크(232)를 도포한다.
즉,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제1 보조 전극(181)과 제2 보조 전극(182)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전도성 잉크(230)가 토출되도록 하여 전도성 잉크(230)가 스프레이 없이 드롭(drop)을 유지하면서 기판(140) 상에 토출될 수 있다.
이후부터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도 압력 제어부(120)가 전도성 잉크(232)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110)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공급한다.
이후에는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전도성 잉크(232)를 토출하는 노즐(130)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가 양(+)전하를 띄게 한다.
이후,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180)에 전압을 인가하여 일정한 전기장을 유지한다.
이때,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제1 보조 전극(181)에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보조 전극(182)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보조 전극(181)과 상기 제2 보조 전극(182)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는 상기 전압 제어부(160)가 상기 노즐(130)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232)가 상기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가 보조 전극(180)을 통과하도록 제어하여, 전압 조절만으로 기판(140) 상에 토출되는 전도성 잉크(232)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노즐(130)과 보조 전극(180)간의 간격 변동 요인을 제거하고 일정한 간격을 항상 유지하여 보다 정밀도 높은 디스플레이의 수리가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잉크 저장부
120: 압력 제어부
130: 노즐
140: 기판
160: 전압 제어부
180: 보조 전극
181: 제1 보조 전극
182: 제2 보조 전극
183, 185, 186: 프로브
232: 전도성 잉크

Claims (16)

  1. 전도성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압력 제어부;
    상기 전도성 잉크를 토출시키는 노즐;
    상기 전도성 잉크가 토출되는 상기 노즐의 일단에 배치되는 보조 전극;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압제어부; 및
    상기 토출된 전도성 잉크가 도포되는 기판이 배치되는 스테이지;
    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제1 보조 전극; 및
    제2 보조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부는,
    상기 제1 보조 전극에 양의 직류 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제2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제1 보조 전극과 상기 제2 보조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전극과 상기 제2 보조 전극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층;
    을 더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전압을 인가 받거나 접지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브;
    를 더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9. 삭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 전극은,
    링 형상, 'ㄷ'자 형상 또는 두 개의 침으로 형성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극성 용매(polarized solvent)와 전도성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12. 청구항 1의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를 이용한 수리 방법으로서,
    압력 제어부가 전도성 잉크가 저장되는 잉크 저장부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를 공급하는 제1 단계;
    전압 제어부가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제2 단계; 및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제3 단계;
    를 포함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
  13. 삭제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양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노즐에 음의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도성 잉크가 음전하를 띄게 하고,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전압을 인가하거나 접지를 형성하여 상기 노즐과 상기 보조 전극 간에 형성되는 전기장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전압 제어부가 상기 보조 전극에 양의 펄스 전압(Pulse Voltage)을 인가하여, 상기 노즐을 통해 토출되는 상기 전도성 잉크가 상기 보조 전극을 통과하도록 제어하는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방법.
KR1020150016745A 2015-02-03 2015-02-03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KR1016326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745A KR101632637B1 (ko) 2015-02-03 2015-02-03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6745A KR101632637B1 (ko) 2015-02-03 2015-02-03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32637B1 true KR101632637B1 (ko) 2016-06-24

Family

ID=5634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745A KR101632637B1 (ko) 2015-02-03 2015-02-03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326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8036A (zh) * 2018-03-05 2018-08-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修复玻璃基板的材料、用于修复玻璃基板的方法和阵列基板的制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162A (ko) * 2006-02-15 2007-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라인 형성을 위한 패터닝 장치
KR20100027842A (ko) * 2008-09-03 2010-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수력학적 분무방식의 미세 전도성라인 패터닝 장치 및이를 이용한 패터닝 방법
KR20110026458A (ko) * 2011-02-22 2011-03-15 (주)미래컴퍼니 액정 패널의 버스 라인 리페어 방법 및 장치
KR20120113965A (ko) * 2011-04-06 2012-10-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린더형 멀티 노즐 정전기력 잉크젯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 분무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162A (ko) * 2006-02-15 2007-08-2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도성 라인 형성을 위한 패터닝 장치
KR20100027842A (ko) * 2008-09-03 2010-03-11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수력학적 분무방식의 미세 전도성라인 패터닝 장치 및이를 이용한 패터닝 방법
KR20110026458A (ko) * 2011-02-22 2011-03-15 (주)미래컴퍼니 액정 패널의 버스 라인 리페어 방법 및 장치
KR20120113965A (ko) * 2011-04-06 2012-10-1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실린더형 멀티 노즐 정전기력 잉크젯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잉크 분무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88036A (zh) * 2018-03-05 2018-08-1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修复玻璃基板的材料、用于修复玻璃基板的方法和阵列基板的制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han et al. Direct patterning and electrospray deposition through EHD for fabrication of printed thin film transistors
TWI569883B (zh) Electrostatic coating method and electrostatic coating device
US11376847B2 (en) Liquid droplet ejection device and liquid droplet ejection method
KR101454106B1 (ko) 전기 수력학을 이용한 패턴라인 형성장치 및 패턴라인을 형성하는 방법
CN103906703A (zh) 用于对准通过静电纺丝工艺沉积的纳米线的方法和设备
JP2011175921A (ja) エレクトロスプレーデポジション装置及び局所成膜方法
KR101632637B1 (ko)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KR101549672B1 (ko) 전도성 잉크를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수리 장치 및 방법
CN106229259B (zh) 一种薄膜晶体管印刷电极的制备方法
KR101397384B1 (ko) 스프레이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코팅 시스템
TW201741150A (zh) 圖案線形成設備
KR101382738B1 (ko) 정전 분무를 이용한 패턴 형성 장치와 방법 및, 표시패널의 제조 방법
JP2012135704A (ja) エレクトロスプレーデポジション装置
KR101323763B1 (ko) 투명전극필름 제조장치
US20060283385A1 (en) Functional droplet coating apparatus,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Huang et al. Morphology control of ferroelectric lead titanate thin films prepared by electrostatic spray deposition
TW200824800A (en) Coating method
KR20150145874A (ko) 접착제를 기판에 도포시키는 도포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하여 기판을 접착하는 방법.
KR101442672B1 (ko) 마스크를 이용한 스프레이 노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터치스크린의 제조방법
JP2015003293A (ja) 静電スプレー製膜方法および静電スプレー製膜装置
JP2008300388A (ja) 導電性パターン及び導電性パターンの作製方法
KR20160111768A (ko) 잉크 분사 유닛
JP2010037600A (ja) 電析装置
KR102180717B1 (ko) 개선된 표면 탄성파 분무 장치 및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기판 분무 코팅 장치 및 방법
Son et al. Fine metal line patterning of ITO ink based on electrohydrodynamic pri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4